KR950009877Y1 - 디바이스 핸들러의 튜브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핸들러의 튜브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877Y1
KR950009877Y1 KR92010641U KR920010641U KR950009877Y1 KR 950009877 Y1 KR950009877 Y1 KR 950009877Y1 KR 92010641 U KR92010641 U KR 92010641U KR 920010641 U KR920010641 U KR 920010641U KR 950009877 Y1 KR950009877 Y1 KR 950009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uide plate
pusher
cylind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0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989U (ko
Inventor
· 김철 · 김원남 성용규
Original Assignee
문정환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92010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877Y1/ko
Publication of KR9400019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9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8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바이스 핸들러의 튜브 정렬장치
제1도는 종래 디바이스 핸들러의 언로우더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일부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가 장착된 튜브 로우더부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출레일 2 : 베이스
3, 3a : 가이드판 4 : 튜브
5 : 푸셔 6 : 시린더
9 : 모터 10 : 벨트
11, 12 : 풀리
본 고안은 디바이스 핸들러(Device Handler)의 튜브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가이드판 사이에 적재되는 튜브를 원활하게 하부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완료된 디바이스를 테스트하는 핸들러는 크게 디바이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로우더부와, 공급된 디바이스를 테스트하는 테스터부 그리고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를 분류하는 분류부 및 분류된 디바이스를 반튜브에 담는 언로어두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핸들러의 언로우더부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은 형태로서, 분류부에 설치된 송출레일(1)의 끝단부에 일정각도(θ)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송출레일(1)과 언로우더부를 수평면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하는 이유는 디바이스를 자중에 의해 이송시키기 위함이다.
베이스(2)의 상부에 U형상의 가이드판(3)이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판(3) 사이에는 튜브(4)를 송출레일(1)측으르 이송시키기 위한 푸셔(5)가 실린더(6)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튜브(4)의 유무를 감지하여 실린더(6)의 구동을 제어하는 센서(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판(3) 사이에 적재되는 튜브(4)는 디바이스가 담길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가마개(8)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마개(8)에 의해 일측이 패쇄된 튜브(4)를 가이드판(3) 사이에 적재시겨 놓으면 튜브(4)는 자중에 의해 제2도와 같이 가이드판(3)을 따라 하강하여 쌓여있게 되는데, 초기 상태에서는 실린더(6)에 의해 푸셔(5)가 당겨져 있어 최하방의 튜브(4)가 푸셔(5)의 상부에 얹혀져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린더(6)의 일측에 설치된 센서(7)가 튜브(4)를 감지하여 콘트롤부(도시는 생략함)에 이를 알리면 실린더(6)가 작동되므로 푸셔(5)가 일점쇄선과 같이 이동되어 튜브(4)를 송출레일(1)과 일치시켜놓고 최초의 상태로 환원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동작은 디바이스가 튜브(4)내에 차이게 됨에 따라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언로우더부에서 연속동작을 위해서는 가이드판(3) 사이에 적재되는 튜브(4)가 자중에 의해 가이드판(3)의 하부까지 이송되어야 하는데 튜브(4)의 하부에 끼워진 마개(8)와 가이드판(3)의 마찰력때문에 제1도의 일점쇄선과 같이 상부는 양호하게 내려오지만 하부는 내려오지 못하고 경사를 이루게되므로 쨈(Jam)이 자주 발생되었고, 이에 따라 장비의 가동을 저하로 생산성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의해 안출한 것으로서, 가이드판 사이에 적재되는 튜브를 순차적으로 가지런히 적재시킬 수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베이스에 고정된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푸셔가 왕복운동하면서 튜브를 송출레일측으로 순차이동시키도록 된것에 있어서, 튜브가 적재되는 가이드판중 베이스의 하방에 설치되는 가이드판의 수직방향으로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벨트를 폴리에 감싸지게 설치하여 튜브를 가이드판과 벨트사이에 적재시키도록 하여서 된 디바이스 핸들러의 튜브 정렬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3도 및 제4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 장치가 정착된 튜브 로우더의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종단면도로서 송출레일(1)의 끝단부로 일정각도(θ) 경사지게 설치된 베이스(2)에 일측에 개방된 가이드판(3)과 양측이 개방된 가이드판(3a)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어 가이드판(3)(3a) 사이에 하부가 마개(8)에 의해 폐쇄된 튜브(4)를 적재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가이드판(3a)내의 수직방향으로는 모터(9)의 구동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벨트(10)가 폴리(11)(12)에 감겨져 설치되어 있다.
이때 모터(9)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시게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판(3)(3a) 사이에는 최하방에 위치한 튜브(4)를 송출레일(1) 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푸셔(5)가 실린더(6)에 의해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튜브(4)의 유무를 감지하여 실린더(6) 및 모터(9)의 구동을 제어하는 센서(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5도를 본 고안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폴로우차드로서, 일측(하부) 이 마개(8)에 의해 폐쇄된 튜브(4)를 제4도와 같이 가이드판(3)(3a) 사이에 밀어넣으면 마개(8)가 가이드판(3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벨트(10)와 접촉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콘트롤부(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튜브(4)의 공급신호가 전달되면 가이드판(3)(3a) 사이에 위치된 튜브(4)중 최하방에 위치된 튜브가 푸셔(5)에 얹혀지도록 모터(9)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판(3a)에 설치된 폴리(11)(1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폴리(11)(12)에 감겨진 벨트(10)가 마개(8)와 접속하면서 이동되어 튜브(4)를 하부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동작에 의해 최하방의 튜브(4)가 푸셔(5)에 얹혀져 센서(7)가 이를 감지하게 되면 모터(9)의 구동이 중단됨과 동시에 푸셔(5)를 송출레일(1)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6)가 작동하는데, 이때 튜브(4)가 가이드레일(3)(3a) 사이에 걸려 센서(7)가 튜브(4)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모터(9)가 계속해서 동작하여 튜브(4)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켜 푸셔(5)로 이송시키게된다.
그후 1개의 튜브(4)를 송출레일(1) 측으로 이송시킨 다음에는 푸셔(5)를 최초상태,
즉 가이드판(3)(3a) 하방에 위치되도록 실린더(6)가 작동된 후 동작을 중단하게 되므로 1싸이클(cycle)을 완료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동작은 계속해서 반복수행됨을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장치는 하부에 위치된 가이드판(3a)에 벨트(1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마찰력에 의해 튜브(4)를 졔속해서 하방으로 이송시키게 되므로 튜브(4)가 가이드판(3)(3a)사이에 걸려 쨈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

  1. 베이스(2)에 고정된 실린더(6)의 작동에 따라 푸셔(5)가 왕복운동하면서 튜브(4)를 송출레일(1)측으로 순차이동시키도록 된것에 있어서, 튜브(4)가 적재되는 가이드판(3)(3a)중 베이스(2)의 하방에 설치되는 가이드판(3a)의 수직방향으로 모터(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벨트(10)를 풀리(11)(12)에 감싸지게 설치하여 튜브(4)를 가이드판(3)과 벨트(10)사이에 적재시키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핸들러의 튜브 정렬장치.
KR92010641U 1992-06-15 1992-06-15 디바이스 핸들러의 튜브 정렬장치 KR950009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0641U KR950009877Y1 (ko) 1992-06-15 1992-06-15 디바이스 핸들러의 튜브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0641U KR950009877Y1 (ko) 1992-06-15 1992-06-15 디바이스 핸들러의 튜브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989U KR940001989U (ko) 1994-01-03
KR950009877Y1 true KR950009877Y1 (ko) 1995-11-23

Family

ID=1933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0641U KR950009877Y1 (ko) 1992-06-15 1992-06-15 디바이스 핸들러의 튜브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8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989U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245Y1 (ko) 핸들러의 디바이스 자동 송출장치
KR880700370A (ko) 적재장치
US4531344A (en) Device for aligning and banding a pile of paper sheets
KR950009877Y1 (ko) 디바이스 핸들러의 튜브 정렬장치
US8186670B2 (en) Sheet supply apparatus
US6802503B2 (en) Transport mechanism of sorting machine for large thin objects
KR950014682B1 (ko) 리드 프레임 반송장치
US5048819A (en) Sorting machine having an uppermost tray which is only used in the non-sorting mode
GB206946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eeding and registering sheets for facsimile recording
US7758034B1 (en) Sheets post processing device including stapler for variable widths
US4815723A (en) Photosensitive plate autofeeder
JP3950658B2 (ja) 開栓システム及び開栓方法
CN217857443U (zh) 一种批量产品快速测试装置
KR960006764B1 (ko) 핸들러의 튜브 자동공급장치
US11926486B2 (en) Conveyance assisting apparatus, conveyance apparatus, and packaging sorting apparatus
JP4473563B2 (ja) 紙葉類処理装置
US5259605A (en) Sorter with trays having guide plates and return springs
JPH06166461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H09151034A (ja) ボビン支持装置
US5741988A (en) Lead frame detection apparatus
JPH04341458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KR100388305B1 (ko) 테스터 핸들러의 스토퍼핀 자동공급장치
KR0122283Y1 (ko) 반도체소자용 트레이의 위치결정장치
WO1988009525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sheet-film cassette
KR100190918B1 (ko) 용지분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