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803Y1 - 파이프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체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803Y1
KR950009803Y1 KR2019930013467U KR920023387U KR950009803Y1 KR 950009803 Y1 KR950009803 Y1 KR 950009803Y1 KR 2019930013467 U KR2019930013467 U KR 2019930013467U KR 920023387 U KR920023387 U KR 920023387U KR 950009803 Y1 KR950009803 Y1 KR 950009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lt
tapered
expansion pipe
fe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3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896U (ko
Inventor
오상평
Original Assignee
오상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평 filed Critical 오상평
Priority to KR2019930013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803Y1/ko
Publication of KR940011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8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8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이프 체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체결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나사체결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체결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나사체결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울트 5 : 확장용 파이프
5a : 절결홈 6,6' : 분할링
6a : 경사내면 6b : 돌기
7 : 태이퍼너트 7a : 절개홈
7b : 돌기 7c : 암나사
본 고안은 임의의 기둥이나 벽체사이에 파이프를 고정하고자 할때(예컨대, 양측으로 기둥을 갖는 철봉, 정글짐의 횡파이프등) 사용하는 파이프 체결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 자세히 말하자면 지지기둥을 사이에 두고 보울트를 조여 파이프를 고정하되 보울트 끝의 너트가 쐐기작용으로 확장용 파이프를 벌려 파이프의 내벽면에 밀착시키므로서 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종래에도 이와같은 방식의 파이프체결 장치가 있었는데, 이는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다.
즉, 지지기둥(A)에 파이프(B)를 측방향으로 고정하되, 파이프의 반대쪽으로부터 외측원판(C)이 끼워진 보울트(D)를 기둥의 통공(A')으로 끼운후, 다시 내측원판(E)을 끼우고 그 뒤로 절개홈(F')이 마련된 확장용 파이프(F)와 테이퍼너트(G)를 차례로 끼워 이들이 고정하고자하는 파이프(B)의 속으로 들어가게한 상태에서 보울트(D)를 조여준는 구조인데, 이렇게 보울트(D)를 조여주면 테이퍼너트(G)가 절개홈(F')을 가진 확장용 파이프(F)내로 밀려들어가 결국 확장용 파이프(F)가 벌려져 확장하게 되고, 따라서 확장용 파이프(F)와 고정하고자 하는 파이프(B)간에 발생하는 밀착력에 의해 파이프가 고정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파이프 체결장치는 보울트를 조여주는데 따라 테이퍼너트가 단순히 전진하여 확장용 파이프를 확장시켜주는 역할만 하게 되는 바, 이때의 나삽상태를 자세히 관찰해보면 제5도와 같다.
즉, 보울트(D)의 나사부와 테이퍼너트(G)의 암나사부가 힘을 받는 쪽으로만 밀착되기 때문에 나사의 일반공차에 따른 여백(H)이 반대쪽 경사면에 남게된다.
그러므로 이는 최초에 강하게 나삽하여 조여주었을 때에는 고정된 파이프가 흔들리지 않으나 여름, 겨울이 반복됨에 따라 수축이완이 있을때, 또 예기치 못한 강한 충격이 한번이라도 있었을때에는 강한 나삽상태를 지속하지 못하고 급기야는 나사조임이 최초에 조여주었던 반대방향으로 풀려버리기 시작해 더이상 파이프를 견고히 체결해 주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보완하고자 새로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주된 목적은 최초에 보울트를 조일때에는 확장용 파이프를 벌려 파이프 내면에 밀착력을 갖게하고, 이후 계속조여 주게되면 테이퍼너트의 나사부가 나사축 중심방향으로 조여들어 나사와 나사면의 여백이 남겨지지 않도록 하는데 있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으로는 내면에 경사면을 갖는 별도의 분할된 링을 개입시킴과 동시에 테이펴너트를 길이방향으로 부분절개시켜준 것을 들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자세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보울트(1)에 외측원판(2)과 보조파이프(3)와 내측원판(4)를 끼워 구비하고 그 다음으로 절결홈(5a)을 가진 확장용 파이프(5)를 끼워 주는데까지는 종래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그 이후에 둘로 분할되면서 내면이 경사내면(6a)으로된 분할링(6)(6')을 끼우고, 그 다음으로 보울트의 나사부(la)에 끼우는 테이퍼너트(7)는 사방의 절개홈(7a)으로 부분절개 형성한 것이 전혀 다르다.
그리고, 상기한 분할링(6)(6')과 테이퍼너트(7)는 그 의주면상에 돌기(6b)(7b)를 마련해 확장용 파이프(5)의 절결홈(5a)에 끼워 졌을 때 상호개별적인 회전이 허용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을 정확한 순서에 의해 끼우고 기둥(8)에 조립하게 되면 제2도에서와같은 상태가 된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일차적으로 보울트(1)에 외측원판(2)과 보조파이프(3)를 띄운후 기등(8)의 통공(8a)에 삽입하고, 다음에 내측원판(4)과 확장용 파이프(5)와 분할링(6)(6')과 보울트(1)에 끼우고 테이퍼너트(7)를 나삽하면 체결준비가 끝난다.
이때 분할링(6)(6')과 테이퍼너트(7)는 그 각각의 외주면돌기(6b)(7b)가 상기한 확장용 파이프(5)의 절결홈(5a)에 위치해 있도록 하는 거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고정하고자하는 파이프(10)를 상기한 확장용파이프(5)상에 끼우되, 기둥(8) 쪽으로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보울트(1)를 조여주면 체결이 이루어진다.
즉, 보울트(1)가 회전하면 그 나사부(la)에 나삽된 테이퍼너트(7)가 기둥(8) 쪽으로 전진하게 되고, 따라서 테이퍼너트(7)의 외면이 분할링(6)(6')의 내면인 경사내면(6a)에 접한상태이므로 분할링(6)(6')은 점차 벌어져확장용 파이프(5)를 확장시켜 결국 고정하고자 하는 파이프(10) 내부면에 밀착시킨다.
이같이 보울트(1)를 적당히 돌려주면 확장용 파이프(5)가 고정하고자 하는 파이프(10) 내면에 밀착되므로 체결작업이 거의 완료되는 바 이는 본 고안의 일단계 작동이다.
다음에 상기 보울트(1)를 계속 더 들려주면 확장용 파이프(5)의 확장에 한계가 있으므로 이번에는 분할링(6)(6')의 경사면(6')에 의해 테이퍼너트(7)가 절개홈(7a)으로 갈라져 있으므로 보울트(1)의 중심방향으로 눌려 나사면끼리 밀착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3도에서 보듯이 보울트(1)의 나사부(1a)와 테이퍼너트(7)의 암나사(7c)가 서로 틈새없이 꼭 밀착한상태로 발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이가 반복되거나 강한 충격이 있다. 하더라도 애초에 나사부의 여백을 없애버렸기 때문에 미세한 유동조차도 발생치 않게 되고, 따라서 최초에 부여한 체결상태를 지속하게 되므로 한번 체결된 구조가 이완되는 일이 없이 오래가게 되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보울트(1)에 기둥(8)의 외측에 가는 외측원판(2)과, 내측에 가는 내측원판(4)을 끼우고, 그 다음에 끼운확장용 파이프(5)가 테이퍼암나사(7)에 의해 확장되도록 하였을 때 파이프(10)의 내면에 밀착하여 체결하는통상의 것에 있어서, 확장파이프(5)와 테이퍼암나사(7)간에 경사내면(6a)을 갖는 분할링(6)(6')을 개입시키고, 상기 테이퍼 암나사(7)를 절개홈(7a)으로 부분절개하여 보울트(l)를 계속 조였을 때 일차적으로 분할링(6)(6')이 벌어져 확장용 파이프(5)를 확장시키고, 이차적으로 테이퍼암나사(7)를 수축시켜 보울트(1)와 테이퍼 암나사(7)의 나사면이 틈새없이 밀착되도록 구성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체결장치
KR2019930013467U 1992-11-25 1992-11-25 파이프 체결장치 KR950009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467U KR950009803Y1 (ko) 1992-11-25 1992-11-25 파이프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467U KR950009803Y1 (ko) 1992-11-25 1992-11-25 파이프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896U KR940011896U (ko) 1994-06-15
KR950009803Y1 true KR950009803Y1 (ko) 1995-11-22

Family

ID=19344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3467U KR950009803Y1 (ko) 1992-11-25 1992-11-25 파이프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8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896U (ko) 1994-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81570B2 (ja) 固定部材及びこの固定部材を取り付ける正面プレート
JPH0260883B2 (ko)
US2313763A (en) Nut assembly
US5425285A (en) Auxiliary handlebar assembly for bicycle
SU1713444A3 (ru) Распорный дюбель
GB2066402A (en) A slack-resisting bolt-and-nut
US4078471A (en) Fastening device
US6357958B1 (en) Universally adjustable mounting device
KR950009803Y1 (ko) 파이프 체결장치
GB2066401A (en) A slack-resisting bolt
US4261666A (en) Clamp device for a bicycle and the like
JPH03204405A (ja) ターンバックルアセンブリ
JPH05202920A (ja) ナット
KR102194640B1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강화한 볼트 어셈블리
KR830002223B1 (ko) 이완방지 볼트
JPH0246308A (ja) 緩み止めネジ
KR830002224B1 (ko) 이완방지 볼트너트
KR200238474Y1 (ko) 철근 이음구
JPH027287Y2 (ko)
KR200155517Y1 (ko) 풀림방지형 너트
JPS6023617A (ja) 弛緩防止ボルトとナツト
JPS61192917A (ja) めねじ穴用ゆるみ止めボルト
JPS59222612A (ja) 棒鋼接合構造
JPH10306819A (ja) 緩み止め部材および緩み止めナット
KR19980027812U (ko) 풀림방지용 고정 너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