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223B1 - 이완방지 볼트 - Google Patents

이완방지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223B1
KR830002223B1 KR1019800002930A KR800002930A KR830002223B1 KR 830002223 B1 KR830002223 B1 KR 830002223B1 KR 1019800002930 A KR1019800002930 A KR 1019800002930A KR 800002930 A KR800002930 A KR 800002930A KR 830002223 B1 KR830002223 B1 KR 830002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nut
screw
main body
loos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668A (ko
Inventor
마사오 가나사와
Original Assignee
마사오 가나사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오 가나사와 filed Critical 마사오 가나사와
Priority to KR1019800002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223B1/ko
Publication of KR830003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완방지 볼트
제1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볼트의 요부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볼트의 세퍼레이트측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볼트의 요부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볼트의 세퍼레이트측의 평면도.
제5도는 제1도, 제3도의 원형부분(A)의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이완방지 볼트에 관한 것이며, 한층 상세하게 말하면 너트의 체결된 위치에서 그 너트를 고정상태로 하여 이완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볼트이다.
일반적으로 나사를 체결한 경우 볼트에는 인장력이 발생하여 체결되어 있는 물체에 체결력이 부여되는데 이 첼결력의 저하현상을 「나사의 이완」이라고 불려지고 있다.
그리고 「나사의 이완」을 대표하는 예가 볼트에 대하 너트의 이완되는 현상이며, 과거 수년간에 걸쳐서 이 너트의 이완방지에 여러가지의 고안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너트의 체결하였을 때에는 견고하게 작용하여도 진동에 의하여 너트가 한번 이완되기 시작하면 용이하게 너트가 이완된 방향으로 돌아 풀리게 되므로 소기의 목적을 달할 수 없는 것이 보통이다.
너트가 이완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는 이중너트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것은 너트의 이완방지의 간단한 방법의 하나이기는 하지만 바깥 쪽의 너트의 이완을 방지하는 수단이 하등 취하여져있지 않아서 너트의 이완 방지에 아무런 보장도 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재 상태이다.
일반에서 알려져 있는 것 같이 나사 예컨대 볼트에 대하여 너트를 체결시킬 때에 필요한 토오크(T)는 미터나사의 경우 한번 체결된 너트를 되돌리기 위하여 필요한 토오크(T')에 대하여 T>T'의 관계가 성립된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한번 조여서 고착된 너트는 외부의 힘을 가하지 않는한 이완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의 문제로서 볼트와 너트가 돌아서 너트가 풀려 빠지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그 원인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즉, 이와 같은 현상을 발생할 때 많건 적건간에 진동 또는 간헐적인 충격이 작용하여 정(靜)미찰계수가 훨씬 동(動) 마찰계수로 되여서나 사면의 마찰계수도 마찬가지로 적게 된다.
그 결과 극히 작은 외부의 힘으로도 이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완방지 혹은 이완방지로서의 대책은
1) 가는 나사를 사용한다. 3) 나사면의 마찰계수를 크게 한다는 것이다.
2) 너트 끝면의 마찰을 크게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3)에 상당하는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은 하나 또는 이중너트의 이완방지를 볼트의 구조에 의하여 마찰계수를 증대하여 너트의 이완방지를 완전하게 달성할 수 있는 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이완방지 볼트는 기본적으로는 볼트를 2중구조로 하는 것에 의하여 너트의 이완을 방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1예를 표시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 제2도에 있어서 볼트 주체(1)는 헤드측(2)과 세퍼레이트측(3)으로 분할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되여 있다. 헤드측(2)의 중심에 암나사구멍(4)이 천설되어 있으며, 그 암나사구멍(4)에 세퍼레이트측(3)에서 돌출한 작은 지름 나사부(5)를 나사 맞춤한다. 이 나사맞춤된 상태에서는 헤드측(2)과 세퍼레이트측(3)과의 양자는 1개의 볼트주체(1)를 구성한다.
(6)은 제1너트, (7)은 제2너트이며, 양 쪽 너트의 어느 것인가 한 쪽의 중앙부에서 볼트주체의 헤드측과세퍼레이트측(2)의 접합부(3)가 위치하도록하여 체결할 필요가 있다.
제1도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너트(7)의 중앙부에 접합부(8)가 위치하고 있다. 이것은 안쪽의 제1너트(6)보다도 바깥쪽의 제2너트의 중앙부에 접합부(7)가 위치하고 있는것이 바람직 것이다.
또 작은 지름 나사부(5)의 나사방향은 볼트주체(1)의 나사방향과의 동일하며, 즉 오른나사이다. (9)(10)은 체결시키는 고정부재이며, (11)은 세퍼레이트측(3)의 끝부분에 설치된 회동용의 걸어맞춤 부재의 홈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이완방지용 볼트이며, 먼저 체결하는 고정부재(9)(10)의 관통공(12)에 볼트주체(1)를 끼워놓고 반대쪽에서 제1너트(6) 및 제2너트(7)를 조이고, 이어서 볼트주체(1)의 세퍼레이트측(3)의 끝 부분에 각설한 걸어맞춤 부재의 홈(11)을 개재하여 왼쪽방향으로 회전하여 제5도에 표시와 같이 헤드측(2)과 세퍼레이트측(3)의 접합부(8)가 약간 틈이 생길 정도로 회전하면 제2너트(7)는 볼트주체(1)의 접합부(8)를 경계로하여 나사의 핏치가 다르기 때문에 나사면의 마찰계수가 극히 증대하게 되여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보전된다.
제5도는 상기한 고정상태의 확대도이며, 제2너트(7)의 암나사가 헤드측(2)의 숫나사에 의한 체결력(a)과, 그 체결력과 반대방향에 가하여지는 세퍼레이트측(3)의 숫나사에 의한 체결력(b)에 의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로 전보되는 것이다.
다음에 제3도, 제4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볼트주체(1)는 제4도와 동일하게 헤드측(2)과 세퍼레이트(3)측으로 분할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도와는 달리 세퍼레이트측(3)의 중심에 암나사 구멍(4)이 천설되어 있으며, 그 암나사 구멍에(4) 헤드측(2)에서 돌출한 작은나사부(5)를 나사맞춤 한다. 이 나사맞춤 상태에서는 헤드측(2)과 세퍼레이트측(3)과의 양자는 1개의 볼트주체(1)를 구성한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는 너트(7)는 하나이며, 그 너트(7)의 중앙부에서 볼트주체의 헤드측(2)과 세퍼레이트측(3)의 접합부(8)가 위치하도록 체결할 필요가 있다. 또 작은지름 나사부(5)의 나사방향은 볼트주체(1)의 나사방향과 동일하며, 즉, 오른나사이다. (9)(10)은 체결하려는 고정부재이며, (11)은 세퍼레이트측(3)의 끝부분에 설치된 회동용의 걸어맞춤 부재의 돌기부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이완방지 볼트이며, 먼저 체결하고져하는 고정부재 (9)(10)의 관통공(12)에 볼트주체(1)를 끼워넣고 계속하여 반대쪽에서 너트(7)를 체결하고 다음에 볼트주체(1)의 세퍼레이트측(3)의 끝부분에 설치한 계합부재(11)의 돌기를 개재하여 외쪽방향으로 회하전여, 제5도에 표시와 같이 헤드측(2)과 세퍼레이트측(3)의 접합부(8)가 약간 틈이 생길 정도로 회전하면 너트(7)은 볼트(1)의 접합부(8)를 경계로 하여서 나사핏치가 다르기 때문에 나사면의 마찰계수가 극히 중대하게되어 견고하고 고정된 상태가 보전된다.
이것은 너트(7)의 암나사가 헤드측(2)의 숫나사에 의한 체결(a)과 그 체결력(a)과 반대방향으로 가하여지는 세퍼레이측(3)의 숫나사에 의한 체결력(b)에 의하여 견고한 고정된 상태로 보전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완방지볼트는 체결될 때 뿐만 아니라, 진동을 수반하는 사용중에 있어서도 그 이완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체결력(a)(b)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하여 짐과 이울러, 헤드측(2)과 세퍼레이트측(3)의 접합부(8)를 경계로하여서 나사핏치를 달리하므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보전하는 것이다.

Claims (1)

  1.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볼트주체(1)와 제1, 제2너트(6)(7)와를 교합하며, 전기한 볼트주체는 제1, 제2너트를 체결고정시키는 위치에서 2부분으로 분리하여 한쪽 부분에는 작은 직경의 암나사 구멍(4)을, 다른 쪽 부분에는 작은 직경의 나사부(5)를 설치하고, 전기한 나수부의 한쪽끝에 설치한 회동용 걸어맞춤부재의 홈(11)을 회동시켜서 전기한 암나사 구멍으로 나사부를 교합하며, 전기한 2부분으로 형성한 너트 중 제2너트(7)의 중앙에 볼트주체를 2개로 분리되는 접합부(8)가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완방지 볼트.
KR1019800002930A 1980-07-24 1980-07-24 이완방지 볼트 KR830002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930A KR830002223B1 (ko) 1980-07-24 1980-07-24 이완방지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930A KR830002223B1 (ko) 1980-07-24 1980-07-24 이완방지 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668A KR830003668A (ko) 1983-06-22
KR830002223B1 true KR830002223B1 (ko) 1983-10-20

Family

ID=1921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930A KR830002223B1 (ko) 1980-07-24 1980-07-24 이완방지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2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724B1 (ko) * 2012-08-30 2014-04-21 주식회사 현진아이엔씨 사상압연기에 사용되는 사이드 가이드의 라이너 결합장치 및 그 라이너의 결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724B1 (ko) * 2012-08-30 2014-04-21 주식회사 현진아이엔씨 사상압연기에 사용되는 사이드 가이드의 라이너 결합장치 및 그 라이너의 결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668A (ko) 198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754B1 (ko) 스크류-형 체결장치
US4790702A (en) Nut and bolt assembly
US6860690B2 (en) Screw member with biting features
JPH11117929A (ja) 雄ねじ、及び雄ねじと雌ねじの螺合構造
GB2066402A (en) A slack-resisting bolt-and-nut
JPS6261805B2 (ko)
JPH09144733A (ja) 緩み止めねじ
KR830002223B1 (ko) 이완방지 볼트
KR830002224B1 (ko) 이완방지 볼트너트
GB2047837A (en) Threaded fasteners with flexible flanges
KR20010077809A (ko) 풀림 방지 볼트 조립체
KR102194640B1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강화한 볼트 어셈블리
KR102098074B1 (ko) 볼트-너트 조립체
KR100237318B1 (ko) 풀림방지용 너트
EP0166223A2 (en) Double locknut assembly
KR20060023331A (ko) 풀림방지체결볼트의 구조와 풀림방지체결볼트너트의체결구조
KR200197004Y1 (ko) 풀림 방지 볼트 조립체
KR20240076136A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볼트용 와셔 및 너트
US11519453B2 (en) Lock nut, lock screw, and threaded fastening assembly
JP2019120338A (ja) ねじの緩み止め構造
JPH09144738A (ja) 締結具
KR950009803Y1 (ko) 파이프 체결장치
KR200339479Y1 (ko) 풀림 방지되는 너트
JPH026616Y2 (ko)
JPH0343450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