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318B1 - 풀림방지용 너트 - Google Patents

풀림방지용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318B1
KR100237318B1 KR1019970057548A KR19970057548A KR100237318B1 KR 100237318 B1 KR100237318 B1 KR 100237318B1 KR 1019970057548 A KR1019970057548 A KR 1019970057548A KR 19970057548 A KR19970057548 A KR 19970057548A KR 100237318 B1 KR100237318 B1 KR 100237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bolt
loosening
spring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주
Original Assignee
김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주 filed Critical 김광주
Priority to KR101997005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31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이나 충격 등이 수반되는 기계류에 결합용으로 사용되는 풀림방지용 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류의 진동에 따라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풀림방지용 너트는 일측에 형성된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볼트가 관통되는 중앙홀 내부의 나사산이 상기 너트부의 나사산과 연속진행되며 내부직경이 상기 너트부보다 일정치만큼 작으며 감겨진 방향이 상기 나사산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겨지도록 형성된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진동이나 충격 등이 수반되는 기계류에 결합용으로 사용되어 특수한 장치에 의하지 않고는 반복적인 진동에도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너트부와 스프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별개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며 제조가 용이하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풀림방지용 너트
본 발명은 진동이나 충격 등이 수반되는 기계류에 결합용으로 사용되는 풀림방지용 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류의 진동에 따라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합용 볼트의 리이드각은 볼트면의 마찰각보다 작게 취하여 자립상태(self-sustenance)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볼트의 축방향에 하중이 걸려도 체결된 볼트와 너트가 풀릴 수 없을 것이나, 실제의 경우 진동과 충격 등이 수반되는 기계류에 결합용으로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는 반복되는 진동에 의하여 체결이 풀어지게 되어 기계의 파손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인명을 해치는 경우까지도 발생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된 부품사이의 졸라매는 힘을 유지하도록 스프링 와셔(1)와 같이 탄성이 큰 부품을 중간에 끼우거나,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에 대하여 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핀(2)과 같은 기계적인 수단으로 고정하거나, 도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와 너트사이의 마찰력이 커지도록 너트속에 나일론(3) 등을 집어넣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도1(a)의 스프링 와셔(1)와 도1(b)의 핀(2)은 볼트·너트와 별개의 부품이어서 작업도중 분실가능성이 많고 반복되는 진동을 견디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핀(2)의 경우에는 반복하중에 따른 피로로 인하여 핀(2)이 파쇄되며, 작업시에도 상기 볼트나 너트에 형성된 홈에 핀(2)을 끼워넣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1(c)의 나일론(3)이 삽입된 너트는 연성의 재질이어서 내구성에 문제가 있으며 상기와 마찬가지로 반복되는 진동을 견디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이나 충격 등이 수반되는 기계류에 결합용으로 사용되어 반복적인 진동에도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풀리지 않는 풀림방지용 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풀림방지용 너트는 일측에 형성된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볼트가 관통되는 중앙홀 내부의 나사산이 상기 너트부의 나사산과 연속되며 내부직경이 상기 너트부보다 일정치만큼 작으며 감겨진 방향이 상기 나사산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겨지도록 형성된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a), 도1(b) 및 1(c)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풀림방지용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풀림방지용 너트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4는 기계류의 결합부에 볼트와 체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풀림방지용 너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풀림방지용 너트가 볼트와 결합된 상태에서 잠금과 풀림시에 가해지는 작용력의 방향을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스프링와셔 2:핀
3:나일론 10:너트부
14,24:나사산 20:스프링부
22:중앙홀 30:돌기부
40:볼트 50:결합부
D₁:너트부 내부직경 D₂:스프링부 내부직경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인 풀림방지용 너트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a), 도1(b) 및 1(c)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풀림방지용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풀림방지용 너트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4는 기계류의 결합부에 볼트와 체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풀림방지용 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풀림방지용 너트가 볼트와 결합된 상태에서 잠금과 풀림시에 가해지는 작용력의 방향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2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풀림방지용 너트는 일측에 형성된 너트부(10)와, 타측에 형성된 스프링부(20)와, 상기 스프링부(20)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부(20)는 너트부(10)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볼트(40)가 관통되는 중앙홀(22)내부의 나사산(24)이 상기 너트부(10)의 나사산(14)과 연속진행되며, 내부직경(D₂)이 상기 너트부(10)의 내부직경(D₁)보다 일정치만큼 작으며, 감긴 방향이 상기 나사산(14,24)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겨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4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볼트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볼트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풀림방지용 너트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볼트와 너트로 결합시키려는 기계의 결합부(50)에 볼트(40)를 삽입한 후 반대쪽에서 본 발명의 풀림방지용 너트를 끼운다.
이 때, 너트부(10)의 직경(D₁)보다 스프링부(20)의 직경(D₂)이 일정치만큼 작아서 쉽게 삽입되지 않을 것 같지만, 실제로 너트부(10)를 돌려서 삽입하게 되면 도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2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24)과 볼트(40)간의 접촉마찰력이 상기 스프링부(20)가 감긴 방향의 역방향인 내부직경을 크게 하는 a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스프링부(20)가 반경방향으로 벌어져서 볼트(40)에 쉽게 삽입된다.
이렇게 체결된 상태에서 기계류의 결합부(50)가 진동과 충격을 반복적으로 겪게 되면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너트를 볼트로부터 이탈시키려는 작용력이 가해진다.
이 때, 스프링부(20)의 직경(D₂)이 너트부(10)의 직경(D₁)보다 작아서 볼트(40)를 압박할 뿐만 아니라, 도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2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24)과 볼트(40)간의 접촉마찰력이 상기 스프링부(20)가 감긴 방향의 순방향인 스프링부(20)의 내부직경을 작게 하는 b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너트에 이탈력이 작용할수록 스프링부(20)가 반경방향으로 오므라들어서 볼트(40)에 더욱 강하게 체결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풀림방지용 너트는 자체의 구조에 따른 셀프록(self-lock) 성질에 의하여 일단 삽입한 후에는 특별한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는 풀 수 없는 너트이므로, 기계나 부품을 교체하기 위하여 결합부(50)를 풀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돌기부(30)를 도5의 c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스프링부(20)가 감긴 방향의 역방향인 내부직경을 크게 하는 a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면서 너트부(10)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장치를 이용하여 풀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풀림방지용 너트에 의하면, 일측에 형성된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볼트가 관통되는 중앙홀 내부의 나사산이 상기 너트부의 나사산과 연속진행되며 내부직경이 상기 너트부보다 일정치만큼 작으며 감겨진 방향이 상기 나사산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겨지도록 형성된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진동이나 충격 등이 수반되는 기계류에 결합용으로 사용되어 특수한 장치에 의하지 않고는 반복적인 진동에도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너트부와 스프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별개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며 제조가 용이하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측에 형성된 너트부(10)와, 상기 너트부(10)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볼트(40)가 관통되는 중앙홀(22) 내부의 나사산(24)이 상기 너트부(10)의 나사산(14)과 연속진행되며 내부직경(D2)이 상기 너트부(10)의 내부직경(D1)보다 일정치 만큼 작으며 감겨진 방향이 상기 나사산(14,24)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겨지도록 형성된 스프링부(20)와, 상기 스프링부(20)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너트.
KR1019970057548A 1997-11-01 1997-11-01 풀림방지용 너트 KR100237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548A KR100237318B1 (ko) 1997-11-01 1997-11-01 풀림방지용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548A KR100237318B1 (ko) 1997-11-01 1997-11-01 풀림방지용 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7318B1 true KR100237318B1 (ko) 2000-01-15

Family

ID=19523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548A KR100237318B1 (ko) 1997-11-01 1997-11-01 풀림방지용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73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409A (ko) * 2001-06-25 2003-01-06 대원강업주식회사 풀림방지용 볼트장치
KR101179531B1 (ko) * 2011-06-28 2012-09-04 강훈식 풀림방지 너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3105751A1 (ko) * 2012-01-10 2013-07-18 Kang Hoon Sik 풀림방지 너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516856B1 (ko) * 2012-11-08 2015-05-04 (주)엘지하우시스 로프형 펜스의 로프 고정장치
KR102208581B1 (ko) * 2019-10-04 2021-01-27 주식회사 에드오션 파랑에 대한 충격력 완충 앵커볼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409A (ko) * 2001-06-25 2003-01-06 대원강업주식회사 풀림방지용 볼트장치
KR101179531B1 (ko) * 2011-06-28 2012-09-04 강훈식 풀림방지 너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3105751A1 (ko) * 2012-01-10 2013-07-18 Kang Hoon Sik 풀림방지 너트 및 그 제조방법
CN104053913A (zh) * 2012-01-10 2014-09-17 姜镇熙 防松螺母及其制造方法
CN104053913B (zh) * 2012-01-10 2017-10-24 姜镇熙 防松螺母及其制造方法
KR101516856B1 (ko) * 2012-11-08 2015-05-04 (주)엘지하우시스 로프형 펜스의 로프 고정장치
KR102208581B1 (ko) * 2019-10-04 2021-01-27 주식회사 에드오션 파랑에 대한 충격력 완충 앵커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5463A (en) Bolt and nut thread friction locking device with opposite hand threads with a captured spring or spring lock washer
US5333977A (en) Bolt having a locking means
EP0856671B1 (en) Lock nut
KR100237318B1 (ko) 풀림방지용 너트
GB2066402A (en) A slack-resisting bolt-and-nut
JPS6261805B2 (ko)
KR20010077809A (ko) 풀림 방지 볼트 조립체
JPH09291924A (ja) ロック付き締結機構
KR19980083807A (ko) 풀림방지형 볼트, 너트 앗세이
KR200197004Y1 (ko) 풀림 방지 볼트 조립체
KR102283353B1 (ko) 풀림방지너트
SU1820056A1 (en) Self-stopping nut
KR20130011244A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춘 볼트
KR200495842Y1 (ko) 이중너트로 구성된 풀림방지너트
EP4121662B1 (en) Locking threaded fastener assembly
KR102285186B1 (ko) 풀림방지 볼트
US12000425B2 (en) Locking threaded fastener assembly
KR200235137Y1 (ko) 풀림방지용 볼트
KR200155517Y1 (ko) 풀림방지형 너트
KR20240076136A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볼트용 와셔 및 너트
KR200221016Y1 (ko) 풀림방지용 안전 체결구
KR0133508Y1 (ko) 풀림방지용 너트
KR830002224B1 (ko) 이완방지 볼트너트
JPH08338417A (ja) 弛み防止ボルトおよびナット
KR20090095197A (ko) 체결용 볼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