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004B1 - 액체 연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체 연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004B1
KR950009004B1 KR1019870002443A KR870002443A KR950009004B1 KR 950009004 B1 KR950009004 B1 KR 950009004B1 KR 1019870002443 A KR1019870002443 A KR 1019870002443A KR 870002443 A KR870002443 A KR 870002443A KR 950009004 B1 KR950009004 B1 KR 95000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mposition
wax
effluent
alka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998A (ko
Inventor
제랄드 아이반 브라운.
준 카들린 코스텔로
Original Assignee
엑손 케미칼 페이턴트 아이엔씨
피터 찰스 보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868606656A external-priority patent/GB8606656D0/en
Application filed by 엑손 케미칼 페이턴트 아이엔씨, 피터 찰스 보든 filed Critical 엑손 케미칼 페이턴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870008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6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43Organic compounds mixtures of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6Hydrocarbons
    • C10L1/1625Hydrocarbons 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1633Hydrocarbons macromolecular compounds homo- or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 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1641Hydrocarbons macromolecular compounds homo- or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 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compounds containing aliph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6Hydrocarbons
    • C10L1/1691Hydrocarbons petroleum waxes, mineral waxes; paraffines; alkylation products; Friedel-Crafts condensation products; petroleum resins; modified waxes (oxidis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92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19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92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19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195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omo-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e carbon bond to 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e, ketonic, ketal, aceta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92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19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19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a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and a carboxyl group or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homo-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e carbon bond to 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92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19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19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a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and a carboxyl group or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homo-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e carbon bond to 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10L1/19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a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and a carboxyl group or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homo-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e carbon bond to 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mono-carboxyl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92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19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19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a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and a carboxyl group or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homo-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e carbon bond to 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10L1/196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a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and a carboxyl group or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homo-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e carbon bond to 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poly-carboxyl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92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19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19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a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and an acyloxy group of a saturated carboxylic or carbonic acid
    • C10L1/197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a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and an acyloxy group of a saturated carboxylic or carbonic acid mono-carboxyl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 연료 조성물
본 발명은 유동성 증진제를 함유한 유출(留出) 연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난방용 오일 및 예컨대 디이젤 연료같은 기타 유출 석유 연료는 낮은 온도에서 큰 결정으로서 침전되어 연료의 유동성을 잃게 만드는 겔 구조물을 만드는 경향을 갖는왁스를 함유한다. 연료가 흐를 수 있는 가장 낮은 온도를 일반적으로 유동점이라고 한다.
연료의 온도가 유동점에 또는 이보다 낮은 온도에 도달하여 연료가 더 이상 자유롭게 흐르지 못할 때, 예를 들어 중력 또는 펌프압에 의해 연료를 한 저장 용기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연료를 연소기에 공급할때와 같이 유동선 및 펌프를 통해 연료를 이동시키는데 어려움이 생긴다.
용액에서부터 만들어지는 결정체는 또한 유동점 보다 높은 온도에서, 연료선 스크린 및 여과기를 막는 경향이 있다. 이런 문제는 이전부터 잘 알려져있는 문제이며 연료 오일의 유동점을 낮추고 왁스 결정체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부가제가 제안되었었다. 그런 부가제의 기능중 하나는 연료 오일로부터 침전되는 결정체의 성질을 변화시켜 왁스 결정체가 겔로되는 경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결정의 크기는 침전된 왁스가 연료의 운반, 저장 및 분배 장치내에 있는 미세한 메쉬 스크린을 막지않을 정도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유동점이 낮은 오일뿐만 아니라 낮은 온도에서 조작되는 연료가 필터가 막혀 흐르지 못하게 되지 않을 정도로 작은 왁스 결정체는 만드는 오일이 바람직하다.
밀도 측정법 또는 DSC 법으로 측정하였을 때 연무점보다 10℃ 낮은 온도에서 n-알칸을 4wt%까지 함유하는 유출물에 거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로 이루어진 유동성 증진제를 부가하면(모의실험 및 실제 실험뿐만 아니라 CFPP 및 기타 조작 특성시험으로 측정하였을 때)왁스 결정체를 효과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최종 비등점에 대해 델타값이 20℃-25℃가 되게 마지막 90%를 증가시키도록 유출물의 ASTM D-86 증류 특성을 조정하는 정제장치(refiner)를 사용하면 이 유출물들내에서의 부가제의 감응(response)을 활발하게 만들 수 있다.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1461008호에 따라 제조한 에틸렌과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에 대한 1968년 미합중국에서 사용된 왁스 함량이 낮은 중간 유출 연료의 감응은 평균 분자량이 300-650범위인 왁스를 0.03-2wt% 정도 제공할 수 있는 소량의 파라핀 왁스를 함침시키면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이 미합중국 특허 제3620696호에 제안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유사한 부가제에 대한 같은 형태의 중간 증류물의 감응은 0.1-2wt%의 C28이상되는 n-알칸을 제공하기 위해 n-넥사코산보다 고급이고 n-테트라콘탄만큼 고급인 n-알칸을 함유한 파라핀성 유출물을 부가함으로써 증진될 수 있다는 것이 미합중국 특허 제3040691호에 제안되었다. 이들 특허에서는 최소0.1wt% 및 최대 0.3wt%의 C24이상되는 왁스를 부가하면 감응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유사한 유출물이 왁스의 함량이 더 높고(DSC 분석 또는 중량 분석으로 측정하였을 때 연무점보다 10℃ 아래의 온도에서 5-10%되는 정도의) 탄소수 분노가 다른 특히 C22-28범위를 나타낼지라도 극동 및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얻어지는 것과 같은 왁스 함량이 크고 비등점의 폭이 좁은 증류물을 처리할때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특히, 처리하기 어려운 연료는 탄소수 분포가 좁고 왁스의 함량이 높은 예를들어 370℃ 보다 높지 않고 때때로 360℃ 이하의 비교적 낮은 최종 비등점을 갖고 왁스의 함량이 큰 연료이다. 가장 처리하기 어려운 연료는 기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전체적인 성분이 C12+n-알칸이 증류물의 전체 n-알칸 함량이 20% 이상일 수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및 극동지역의 원유로부터 얻어지는 연료와 같은 왁스 함량이 높은 원류로 만든 연료이다.
최근 연료의 전체 왁스 함량을 5.5-12wt%로 조절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왁스 함량이 높고 낮은 연료들을 혼합하면 유동성 증진제에 감응하는 중간 유출물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일본국 특허 공고 제615811586호에 제안되었다. 이 왁스의 함량이란 -20℃의 연료 1g에서 나온 메틸 에틸 케톤과 침전된 왁스의 량이다. 이 기술은 부가제로 처리할 연료의 왁스 함량을 만족스럽게 가르키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연료의 저온 특성에 중요하고 부가제로 처리된 연료의 조작가능 온도와 연료의 연무점 사이에서 왁스가 침전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는 유동 증진제에 대한 이 연료의 감응력이 연료의 전체 왁스 함량에 무관한 것을 발견했다.
연료의 연무점 보다 10℃ 아래에서 5-10wt%의 왁스 및/또는 20wt% 이상의 C12+n-알칸을 함유한 처리하기 어려운 전형적인 유출 연료는 다음과 같은 ASTM D-86 특징을 갖는다.
초기 비등점 212℃
5% 234℃
10% 243℃
20% 255℃
30% 263℃
40% 279℃
50% 288℃
60% 298℃
70% 303℃
80% 321℃
90% 334℃
95% 343℃
최종 비등점 361℃
본 발명자는 일본국 특허출원 제615811586호의 앞선 설명과는 대조적으로 왁스 성분의 탄소수 분포를 일정 범위내에서 넓힐 수 있는 물질을 상기한 유출 연료에 부가함으로써 유출 연료의 유동성 증진제에 대한 감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액체 연료 조성물은 연무점 보다 10℃ 낮은 온도에서 왁스를 4-10wt% 함유하고 n-알칸 분포가 좁은, 즉 n-트리아콘탄(C30) 보다 긴 파라핀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대부분의 유출 연료, 유출 연료 중량의 0.001-2.0wt% 되는 저온 유동성 증진제 및 C24+가 연료의 0.35wt% 이상인 0.001-2.0wt%의 부가된 n-알칸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연무점 10℃ 낮은 온도에서 왁스를 4-10wt% 함유하고 탄소 분포가 좁은, 즉 n-트라아콘탄(C30) 보다 긴 파라핀을 거의 함유하지 않는 유출 연료에 대한 저온 유동성 증진제로서 유출 연료 유동성 증진제와 C24+가 연료 중앙의 0.35wt% 이상인 부가된 n-알칸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유동성 증진제는 에틸렌 및 최소한 하나의 제2의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지라도 일반적으로 구입가능한 것일 수 있다. 제2의 불포화 단량체는 예를들어 C3-18알파-모노올레핀과 같은 또다른 모노올레핀이거나 예를들어 비닐아세테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불포화 에스테르일 수 있다. 이 제2의 단량체는 또한 불포화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와 분지쇄 또는 직쇄 알파 모노올레핀과의 혼합물일 수 있다. 공중합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들어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와 알킬화된 폴리스티렌과의 혼합물 또는 아실화된 폴리스티렌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다른 물질로는 아미노 숙신산 유도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에스테르화된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같은 에스테르 및 폴리알파 올레핀등이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유출 연료 유동성 증진제는 1몰비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몰당 1-40, 및 바람직하게는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3-20몰비의 에틸렌으로 구성되는데 이 불포화 상기 단량체는 단일 단량체 또는 일정한 비로 혼합된 그런 단량체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중합체는 오일에 용해되며 수평균 분자량이 약 1,000-50,000, 바람직하게는 약 1,000-5,000인 것이다. 분자량은 예를들어 메크로라브(Mechrolab) 증기상 침투압계 모델 310 A를 사용하여 응고점 강하법 또는 증기 상 침투압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단일 중합될 수 있거나 또는 에틸렌과, 그렇지않으면 서로 공중합될 수 있는 불포화 단량체로는 불포화산, 산 무수물, 및 다음 일반식의 모노 및 디에스테르가 있다 :
Figure kpo00001
식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 R2는 -OOCR4또는 -COOR4그룹(R4는 수소 또는 C1-16, 바람직하게는 C1-4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그룹); R3는 수소 또는 -COOR4.
R1및 R3가 수소이고, R2가 -OOCR4인 단량체로는 C2-17모노카복실산의 비닐 알콜에스테르가 있다. 각 에스테르의 예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이소부티레이트, 비닐 라우레이트, 비닐 미리스테이트, 비닐 팔미테이트등이 있다. R2가 -COOR4인 각 에스테르의 예로는 C8옥소 알콜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알파-메타크릴산의 팔미틸 알콜 에스테르, 메타크릴산의 C13옥소 알콕 에스테르등이 있다. R1이 수소이고, R2및 R3가 -COOR4그룹인 나량체의 예로는 C12옥소 알콜 푸마레이트, 디-이소프로필 말레이트; 디-라우릴 푸마레이트; 에틸 메틸 푸마레이트; 푸마르산, 말레인산등이 있다. R2가 H이고, R1인 COOR4이고 R3가 CG2COOR4인 것은 이타코네이트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유동점 강하제 또는 유동성 증진제를 제조하기 위해 에틸렌과 공중합 가능한 기타 불포화 단량체로는 예를들어, 프로필렌, n-옥텍-1, 2-에틸 데켄-1, n-데켄-1 등과 같은 C3-16분지쇄 또는 직쇄 알파 모노올레핀이 있다.
소량의 예를들어 약 -0-20몰%의 제3의 단량체 또는 제4의 단량체는 공중합체내에 포함시킬 수 있는데, 예를들어 C2-16분지쇄 또는 직쇄 알파 모노올레핀, 예를들어 프로필렌, n-옥텐-1, n-데켄-1 등으로서 공중합체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3-40몰의 에틸렌과 30-99몰%의 불포화 에스테르 및 70-1몰%의 올레핀 혼합물 1몰과의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형성된 공중합체는 탄화수소 또는 옥시-치환된 탄화수소의 측쇄가 분포된 에틸렌 중합체가 기본을 이루는 랜덤 공중합체이다.
전술한 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사용한 알콜은 C3-4모노올레핀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같은 올레핀으로부터 제조된 분지쇄 지방족 일가 알콜의 이성체 혼합물로써, 약 1,000-3,000p.s.i 압력 및 약 300℉-400℉의 온도에서, 코발트 카보닐과 같은 코발트를 함유한 촉매의 존재하에서 일산화탄소 및 산소와 반응되어 알데히드를 제조한다. 결과의 알데히드 생성물을 수소 첨가하여 알콜을 만든 뒤 수소첨가된 생성물로부터 증류하여 알콜을 회수한다.
공중합체는 소량의 분지된 측쇄를 갖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며; 특히 공중합체는 핵자기공명에 의해, 특히 500메가헤르츠 양성자 NMR 분석으로 측정하였을 때 100메틸 그룹당 10이하, 바람직하게는 8이하의 메틸 종결된 측쇄(에스테르 그룹이 아닌)를 포함한다.
유동성 증진제는 처리한 유출 연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약 2wt%, 바람직하게는 약 0.005-약 0.2wt% 범위의 농도로 사용한다.
C24+n-알칸을 제공하는 제2의 부가제는 탄소수 분포가 약 20-약 40인 왁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왁스는 소량의 분지된 탄화수소를 함유했을지라도 주로 직쇄 알칸으로 구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 왁스는 순수한 왁스로서 부가되거나 또는 원하는 범위내의 탄소수를 갖는 일정량의 왁스를 함유한 해비 애트머스패릭 개스 오일 배큠 개스 오일 또는 분해된 해비 개스 오일같은 정제 스트림으로서 부가될 수 있다. 이 왁스는 연료내에 있는 n-알칸이 결정화되는 핵을 이루며 또한 첫 번째 n-알칸과 함께 결정으로 만들어져 연료에서부터 침전된다. 따라서, 부가된 왁스의 n-알칸 분포는 특정한 연료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C24+n-알칸 성분이 연료 중량의 0.35wt% 이상이어야 하지만 0.5w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 특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기타 부가제들, 예를들어 디아미드 또는 바람직하게는 해드(half) 아미드, 디카복실산 또는 무수 프탈산과 같은 무수물의 해프 아민염, 및 2차 아민을 또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12-30인 알킬 그룹을 부가할 수 있다. 특히 해프 아미드, 프탈산의 아민염 및 있는 소화된 탈로우아민-Armeen 2HT(대략 4wt% n-C14알킬, 30wt%-n-C16알킬, 60wt% n-C18알킬, 나머지는 불포화물)가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부가된 디아미드 또는 해프 아미드, 해프 아민염의 양은 유출 연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대개 0.001-2wt%이며, 0.005-0.2wt%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부가제의 예로는 유럽 특허 제0 061 895 B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글리콜 에스테르, 유럽 공고 제0214786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의 에스테르 및 아민; 폴리올레핀 및 염화 폴리올레핀 및 무수 알킬 숙신산의 아민 또는 아미드가 있다.
유출 연료의 저온 유동성은 연료에 왁스-나프탈렌 축합물을 부가함으로써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전형적인 축합물은 약 15중량% 염소를 함유한 염소화된 왁스를 얻기 위해 n- 및 분지쇄 C18-39파리핀(평균 C26)을 함유하는 왁스를 염화시켜 제조한다. 얻어진 염소왁스(Chloro wax)를 알킬화 반응시켜 나프탈렌과 중합시키고 왁스와 나프탈렌의 단위가 번갈아 들어간 축합물을 만든다.
부가된 축합물의 양은 유출 연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대개 0.00005-0.1wt% 이다.
본 발명의 부가제는 종종 대량 연료에 함침시키기 위한 농축물 형태로 제공되며 본 발명은 또한 에틸렌과 기타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와 탄화수소 왁스의 혼합물을 30-70wt%, 바람직하게는 4-60wt% 함유하는 용액으로 구성된 농축물을 제공한다.
다음과 같은 부가제들을 실시예에서 사용했다.
부가제 1 : 엑손 케미칼사에서 판매하는 ECA 8400인, 두개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혼합물의 63wt% 용액.
부가제 2 : 부가제 1+10wt%의 왁스-나프탈렌 축합물.
부가제 3 : (1)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2중량부), (2) 왁스-나프탈렌 축합물 및 (3) 프탈산의 해프 아미드-해프 아민염 및 이수소화 탈로우 아민(Armeen 2HT) 1중량부, 왁스-나프탈렌 축합물의 양은 공중합체(1) 및 해프 아미드-해프 아민염(2) 총중량의 5중량%이다.
부가제 4 :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1461008호에 따라 제조한 분자량이 2000이고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약 30wt%인 많이 분지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45wt% 용액.
부가제 5 : 엑손사에서 시판하는 파라플로우 206(Paraflow 206)인 퓨마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혼합물.
부가제 6 : 왁스 성장 억제제 약 75wt%와 핵 형성제 약 25wt% 로된 두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혼합물이 방향족 희석제내에 약 50wt% 되게 들어있는 농축물, 왁스 성장 억제제는 에틸렌 및 약 38wt%의 비닐 아세테이트로 구성되며 수 평균 분자량은 약 25-35이다. 핵 형성제는 에틸렌 및 약 16wt%의 비닐 아세테이트로 구성되며 수평균 분자량이 약 3000이다(VPO). 이것은 영국 특허 제1374051호의 공중합체 H와 동일하다.
[실시예 1]
연무점이 +3℃, 유동점이 -3℃이고 다음의 ASTM D-86 특징을 갖으며 연무점보다 10℃ 낮은 온도에서 왁스 함량이 5.7wt%인 유출 연료에 1500ppm의 부가제 1을 부가했다.
초기 비등점 244℃
10% 256℃
20% 263℃
50% 294℃
90% 340℃
95% 351℃
최종 비등점 358℃
"Journal of the Institute of Petroleum" Vol. 52, No. 510, June 1966, page 173-185에 상세하게 기술된 방법으로 실시한 저온에서의 여과기 막힘 점 시험법(CFPPT)을 사용하여 연료의 필터 통과능력을 평가하였다. 다시 말하면, 시험하고자 하는 40㎖의 샘플 오일을 약-34℃의 온도로 유지되는 배스에서 냉각시켰다. 주기적으로(연무점 위 5℃ 이상에서부터 시작하여 1℃씩 떨어질 때), 시간내에 미세한 스크린을 통과하는 냉각된 연료의 능력을 시험했다. 이러한 저온 특성은 시험하려는 오일의 표면 바로 아래에 위치한 역깔대기가 끝점에 연결된 피펫으로 구성된 장치로 시험했다. 깔대기의 주둥이위에 면적이 약 0.45inch2인 350메쉬 스크린이 덮혀있다. 피펫의 맨 위쪽에 진공을 걸어 이 스크린을 거쳐 피펫의 20㎖가 표시된 곳까지 도달하도록 각 경우마다 시험하였다. 오일이 20ml가 표시된 곳까지 피펫을 채우게되지 못할때까지 온도를 매 1℃씩 내려가면서 시험을 반복했다.
60초내에 오일로 피펫을 채우지 못하게 될 때까지 매번 1℃ 강하하면서 시험을 반복했다. 마지막 여과가 개시되는 온도를 기록하고 이를 저온에서의 여과기 막힘 점으로 나타냈다.
유일한 부가제로서 150ppm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한 처리된 연료 및 처리하지 않은 연료에 대한 값은 -1℃였다.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한 연료에 다음의 판매되고 있는 구입가능한 왁스를 다양한 양으로 부가했다.
왁스
A 아스토 케미칼 왁스(Astor Chemical Wax) A
B 셀 왁스(Shell Wax) 130/135
C 셀 왁스 125/130
D 아스토 케미칼 왁스 B
이 왁스들의 n-알칸 분포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02
처리된 연료를 CFPP 테스트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
Figure kpo00003
단일 부가제로서 각각의 왁스를 사용하였을 때 CFPP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실시예 2]
연무점이 +6℃이고 연무점보다 10℃ 낮은 온도에서 왁스 함량이 8중량%인 다음의 ASTM D-86 특징으로 갖는 중국 원유로부터
초기 비등점 212.8℃
5% 234.8℃
10% 243.8℃
20% 255.8℃
30% 263.8℃
40% 279.1℃
50% 288.8℃
60% 298.6℃
70% 303.3℃
80% 321.0℃
90% 334.8℃
95% 343.8℃
최종 비등점 361.0℃
얻은 왁스 함량이 높은 유출연료에 거의 대부분 C24-29n-알칸을 가지고 있고 다음의 ASTM D-86 증류 특징을 갖는 7부피%의 배큠 개스 오일(VGO)을 부가했다.
초기 비등점 252.0℃
10% 301.5℃
50% 358.0℃
90% 435.0℃
최종 비등점 480.0℃
연료 및 배큠 개스 오일의 n-알칸 분포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04
기본 연료에는 23.40wt%의 C12+의 n-알칸이 함유되어 있다. 기본 연료로 언급된 유출물을 사용하여 다음의 혼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kpo00005
부가제 3이 1250ppm인 경우의 저온 여과기 막힘 점은 -1℃였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연무점보다 10℃ 낮은 온도까지 왁스를 침전시켜 측정하였을 때 왁스의 함량이 8.8wt%인 오스트랄리아 바스 스트레이트(Australian Bass Strait) 원유로부터 제조한 연무점이 +3℃인 기본 연료에 각각 최대 C32n-알칸을 갖는 연무점이 +12℃인 배큠 개스 오일(VGO) 및 최대 C33n-알칸을 갖는 연무점이 +35℃인 분해된 증유를 부가하여 비교했다.
성분들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06
기본 연료는 27.3wt%의 C12+알칸을 함유했다.
다음의 혼합물을 제조했다 :
Figure kpo00007
다음의 부가제에 대한 CFPP 감응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8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연무점이 +7℃인 기본 연료에 C32-33n-알칸을 갖는 성분을 부가한 경우를 다큉(Deqing)으로부터의 왁스가 많은 중극 원유에서 만든 탄소수가 많은 n-알칸을 함유한 배큠 개스 오일 스트림들(HGO-1 및 HGO-2)을 부가한 경우와 비교했다.
성분은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09
기본 연료는 32wt%의 C12+알칸을 함유했다.
다음의 혼합물을 제조했다 :
Figure kpo00010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해비 애트머스패릭 개스 오일(HGO) 대신 분해된 해비 개스 오일(HCO)을 사용하므로써 유동성 증진제에 대한 감응이 향상됨을 예시하며, 기본 연료 1은 연무점이 -1℃이고 기본 연료 2는 -2℃이다.
사용한 성분은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1
기본 연료 1은 22.8wt%의 C12+n-알칸 및 27.6wt%의 기본 연료 2를 함유했다.
다음의 혼합물을 제조했다 :
Figure kpo00012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언급한 기본 연료 2를 사용하여 다음의 혼합물을 제조했다 :
Figure kpo00013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부가제의 양은 중합체의 실제량이다.
판매되고 있는 다른 저온 유동성 증진제를 사용하여 효과를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igure kpo00014
[실시예 7]
본 실시예는 중국 원유로부터 얻은 연무점이 +5℃인 기본 유출 연료에 왁스를 부가했을때의 효과를 나타낸다. 증류물의 D-86 증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IBP 205
10% 223
20% 245
50% 278
90% 335
FBP 355
연료의 n-알칸 분포 및 부가된 왁스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5
기본 연료는 30.1wt%의 C12이상의 n-알칸을 함유한다.
다음의 혼합물을 제조했다 :
Figure kpo00016
주 : 본 실시예에서, 구가제 처리물은 중합체의 양이다.

Claims (11)

  1. 연무점 보다 10℃ 아래의 온도에서 4-10wt%의 왁스를 함유하고 n-트리아콘탄 보다 긴 파리핀을 거의 함유하지 않은 대부분의 유출 연료, 유출 연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2.0wt%되는 저온 유동성 증진제 및 C24이상의 알칼이 연료의 0.35wt% 보다 크게 되도록 만들기 위해 부가된 n-알칸으로 구성된 액체 연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유출 연료가 연무점 보다 10℃ 아래의 온도에서 8wt%의 왁스를 함유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동성 증진제의 양이 유출 연료의 중량의 0.005-0.2wt%인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가된 n-알칸이 20-40의 탄소수 분포를 갖는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출 연료에 부가된 C24이상의 n-알칸의 양이 유출 연료의 0.5wt% 이상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배큠 개스 오일 또는 해비 애트머스패릭 개스오일을 유출 연료와 섞으므로서 n-알칸이 부가된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5-10중량%의 배큠 개스 오일 또는 해비 애트머스패릭 개스 오일이 사용된 조성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배큠 개스 오일이 실질적으로 C25-35범위내의 n-알칸으로 구성된 조성물.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해비 애트머스패릭 개스 오일이 실질적으로 C14-37범위내의 n-알칸으로 구성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연료의 최종 비등점이 370℃ 미만인 조성물.
  11. 연무점보다 10℃ 아래의 온도에서 5-10wt%의 왁스를 함유하고 실질적으로 n-트리아콘탄 보다 긴 파라핀을 포함하지 않은 대부분의 유출 연료, 유출 연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2.0wt%의 에틸렌과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유출 연료와 공중합체의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5-10부피%의 배큠 개스 오일 또는 해비 애트머스패릭 개스 오일로 구성된 액체 연료 조성물.
KR1019870002443A 1986-03-18 1987-03-18 액체 연료 조성물 KR950009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6656 1986-03-18
GB868606656A GB8606656D0 (en) 1986-03-18 1986-03-18 Fuel oil compositions
GB8609293 1986-04-16
GB868609293A GB8609293D0 (en) 1986-03-18 1986-04-16 Liquid fuel compositions
GB9273 1986-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998A KR870008998A (ko) 1987-10-22
KR950009004B1 true KR950009004B1 (ko) 1995-08-10

Family

ID=2629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443A KR950009004B1 (ko) 1986-03-18 1987-03-18 액체 연료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239320B1 (ko)
JP (1) JP2514199B2 (ko)
KR (1) KR950009004B1 (ko)
CN (1) CN1024014C (ko)
AU (1) AU590827B2 (ko)
DE (1) DE3788585T2 (ko)
ES (1) ES2048157T3 (ko)
GB (1) GB8609293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18397D0 (en) * 1986-07-29 1986-09-03 Exxon Chemical Patents Inc Liquid fuel compositions
JPH01103699A (ja) * 1987-07-28 1989-04-20 Sumitomo Chem Co Ltd 燃料油組成物
JPH01103698A (ja) * 1987-07-28 1989-04-20 Sumitomo Chem Co Ltd 燃料油組成物
GB9504222D0 (en) * 1995-03-02 1995-04-19 Exxon Chemical Patents Inc Fuel oil compositions
GB9725581D0 (en) 1997-12-03 1998-02-04 Exxon Chemical Patents Inc Additives and oil compositions
GB9725579D0 (en) 1997-12-03 1998-02-04 Exxon Chemical Patents Inc Additives and oil compositions
GB9725578D0 (en) 1997-12-03 1998-02-04 Exxon Chemical Patents Inc Oil additives and compositions
US6136050A (en) * 1998-06-22 2000-10-24 Tonen Corporation Diesel fuel oil composition
US7998339B2 (en) 2005-12-12 2011-08-16 Neste Oil Oyj Process for producing a hydrocarbon component
US8053614B2 (en) 2005-12-12 2011-11-08 Neste Oil Oyj Base oil
EP2078743A1 (en) 2008-01-10 2009-07-15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Fuel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0696A (en) * 1968-09-17 1971-11-16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Fuel oil with improved flow properties
GB1264638A (ko) * 1968-09-17 1972-02-23
US3640691A (en) * 1968-09-17 1972-02-08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Enhancing low-temperature flow properties of fuel oil
US3733184A (en) * 1971-02-09 1973-05-15 Exxon Co Composition for improving air-fuel ratio distribution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153423A (en) * 1975-03-28 1979-05-08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Polymer combinations useful in distillate hydrocarbon oils to improve cold flow properties
US4464182A (en) * 1981-03-31 1984-08-07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Glycol ester flow improver additive for distillate fuels
JPS57207696A (en) * 1981-06-17 1982-12-20 Nippon Sekiyu Seisei Kk Diesel gas oil composition
JPS6035396A (ja) * 1984-06-15 1985-02-23 Nec Corp 半導体メモリ装置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39320A2 (en) 1987-09-30
GB8609293D0 (en) 1986-05-21
CN87102962A (zh) 1987-12-16
AU590827B2 (en) 1989-11-16
EP0239320A3 (en) 1988-01-13
CN1024014C (zh) 1994-03-16
EP0239320B1 (en) 1993-12-29
KR870008998A (ko) 1987-10-22
DE3788585T2 (de) 1994-04-28
DE3788585D1 (de) 1994-02-10
ES2048157T3 (es) 1994-03-16
JP2514199B2 (ja) 1996-07-10
AU7014187A (en) 1987-09-24
JPS62270687A (ja) 1987-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1916A (en) Middle distill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filterability and process therefor
US5045088A (en) Chemical compositions and use as fuel additives
US4464182A (en) Glycol ester flow improver additive for distillate fuels
US4210424A (en) Combination of ethylene polymer, normal paraffinic wax and nitrogen containing compound (stabilized, if desired, with one or more compatibility additives) to improve cold flow properties of distillate fuel oils
CA1123198A (en) Fuel flow improver from an ethylene polymer, a polymer having an alkyl chain, and a nitrogen compound
CA1282241C (en) Fuel oil with added polymer of alkyl ester
US4147520A (en) Combinations of oil-soluble aliphatic copolymers with nitrogen derivatives of hydrocarbon substituted succinic acids are flow improvers for middle distillate fuel oils
EP0214786B1 (en) Middle distill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perties
JPH0353355B2 (ko)
JPH0233756B2 (ko)
KR950009004B1 (ko) 액체 연료 조성물
KR960014926B1 (ko) 연료 조성물
US7067599B2 (en) Fuel oil additives and compositions
KR950014389B1 (ko) 액체 연료 조성물
RU2014347C1 (ru) Топливная композиция
JPS628477B2 (ko)
JPH0240110B2 (ja) Watsukusubunsanseinenryoyuyoryudoseikairyozai
JPS60195193A (ja) 低温特性改良用添加剤を含有する蒸留燃料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