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903Y1 -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 - Google Patents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903Y1
KR950008903Y1 KR2019930007275U KR930007275U KR950008903Y1 KR 950008903 Y1 KR950008903 Y1 KR 950008903Y1 KR 2019930007275 U KR2019930007275 U KR 2019930007275U KR 930007275 U KR930007275 U KR 930007275U KR 950008903 Y1 KR950008903 Y1 KR 9500089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ocket
nut
tightening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7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7137U (ko
Inventor
박계석
Original Assignee
박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계석 filed Critical 박계석
Priority to KR2019930007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903Y1/ko
Publication of KR9400271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71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9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06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colla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상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의 a,b는 본 고안에 있어 조임부시의 각기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a,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로서, a는 양파이프를 직선으로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b는 T자형 이음구에 대한 연결상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 10 : 연결소켓
20 : 너트 30 : 조임부시
본 고안은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공사시 양단에 나사부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이프들을 기밀이 유지되게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마칠수 있는 동시에 배관의 전체적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관등이 배관작업시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대체로 파이프 양단에 일정길이 만큼의 나사부를 절삭 가공하여 이에 넛트등과 같은 조인트구를 이용하면서 연결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배관작업에 있어서는 배관을 위해 파이프 양단에 나사부를 절삭가공하지 않으면 안되는 번거로움이 있을뿐만 아니라 배관공사 완료후 장시간 경과후에는 파이프 양단의 나사부가 부식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배관전체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배관작업도중 나사부가 마모될 경우에는 파이프를 연결시킬 수 없어 마모된 나사부를 절단시키고 다시 나사부를 절삭 가공하여야 하는등 소재의 낭비와 아울러 작업상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파이프 연결수단이 지닌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배관공사시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할때 파이프 양단에 혹은 일단에 일일이 나사부를 형성하지 않고서도 파이프 연결소켓으로서 간단히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의 연결작업공정을 간단히 하는 동시에 파이프 선단의 부식발생을 억제하여 배관의 전체적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개의 편들로 한조를 이루어 파이프(1)의 외주연을 감싸도록하되 일측단의 외면이 테이퍼면(31)으로 형성된 조임부시(30)와, 상기 조임부시(30)의 테이퍼면(31)과 밀접되는 테이퍼공(21)이 형성된 공지의 너트(20)와, 상기 너트(20)와 결합되는 연결소켓(10)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소켓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 조임부시(30)의 개수는 대체로 2-4개가 한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반드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은 서로 연결되는 파이프(1)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연결소켓(10) 내부의 파이프(1) 밀접부에 패킹(4)과 와셔(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소켓의 실시 사용상태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도 및 제5도의 a에 도시한바와 같이 파이프(1)를 연결시키기 위해 먼저 파이프(1) 선단에 공지의 너트(20)를 끼우고, 2~4개를 한조로 하여 형성되는 조임부시(30)를 파이프(1)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위치시키면서 일측단의 페이퍼면(31)을 너트(20)의 테이퍼공(21)에 삽입시킨 다음 연결소켓(10)내에 와셔(5)와 패킹(4)을 순차적으로 위치시킨후, 연결소켓(10)의 나사부에 너트(20)를 결합시키게 되면 너트(20)는 연결소켓(10)에 체결되면서 파이프(1)의 선단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너트(20)의 테이퍼공(21)이 조임부시(30)의 테이퍼면(31)을 타고 전진하면서 조임부시(30)를 연결소켓(10)측으로 전진시키며 조임부시(30)가 연결소켓(10)에 의해 더이상 전진이 되지 않으면 너트(20)의 테이퍼공(21)이 조임부시(30)의 테이퍼(31) 부위를 타고 너트(20)만 전진하여 최종적으로 조임부시(30)를 파이프(1)의 외변에 밀착시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파이프(1)의 연결은 파이프(1)의 일측단뿐만이 아니라 제5도에서와 같이 직선형, T자형 이외에 +자형이나 U자형등 파이프(1)와 파이프(1)가 서로 연결되는 어떠한 형태로든 연결소켓(10)을 적용 하여 파이프(1)를 연결시킬 수 있는등 그 사용범위는 매우 다양하다.
상술한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에 의하면, 파이프 선단에 나사를 형성하지 않고 조임부시와 파이프 연결부에 대한 기밀을 유지한채로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배관작업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파이프 선단에 나사가공으로 인한 부식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배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다수개의 한조를 이루면서 파이프(1)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일측단이 테이퍼면(31)으로 형성된 조임부시(30)와, 상기 조임부시(30)의 테이퍼면(31)에 끼워지는 테이퍼공(21)이 형성된 공지의 너트(20)와, 상기 너트(20)와 결합되는 연결소켓(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시(30)는 2~4개가 한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
KR2019930007275U 1993-05-03 1993-05-03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 KR950008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275U KR950008903Y1 (ko) 1993-05-03 1993-05-03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275U KR950008903Y1 (ko) 1993-05-03 1993-05-03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137U KR940027137U (ko) 1994-12-09
KR950008903Y1 true KR950008903Y1 (ko) 1995-10-16

Family

ID=1935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7275U KR950008903Y1 (ko) 1993-05-03 1993-05-03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9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673B1 (ko) 2020-06-23 2021-01-07 박형석 관수용 배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137U (ko) 199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8047A (ko) 관 연결기
US4822082A (en) Tube connector
KR950008903Y1 (ko)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
KR960006391Y1 (ko) 관 이음매
KR940011859B1 (ko) 분기 파이프 이음새
EP0127554B1 (fr) Membrures pour structure spatiale portante
US4399721A (en) Wrench
KR200218159Y1 (ko) 중, 대형 구경의 나사구조
KR200184226Y1 (ko) 관체의 연결장치
KR920004643Y1 (ko) 이음관
KR0114249Y1 (ko) 관이음구의 지지공구
KR930004986Y1 (ko) 관 연결구
KR200283874Y1 (ko) 관 이음구용 볼 가이드
FR2475684B1 (fr) Raccord demontable servant notamment a reunir deux tubes ou tuyaux
JPH021588Y2 (ko)
KR200198253Y1 (ko) 파이프 및 축 이음쇠 구조
KR910002747Y1 (ko) 플러그의 단자
KR200205110Y1 (ko) 파이프조인트
KR900004702Y1 (ko) 방열기용 연결관
KR200364072Y1 (ko) 수도관 금속내면에 이중파이프로 갖는 플라스틱관
KR200220138Y1 (ko) 배관 연결용 이음관
KR200288167Y1 (ko) 경첩볼트
KR0117564Y1 (ko) 세탁기의 급수호오스
KR800000605B1 (ko) 배관 연결기
KR200335359Y1 (ko) 배관 연결용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