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673B1 - 관수용 배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수용 배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673B1
KR102199673B1 KR1020200076113A KR20200076113A KR102199673B1 KR 102199673 B1 KR102199673 B1 KR 102199673B1 KR 1020200076113 A KR1020200076113 A KR 1020200076113A KR 20200076113 A KR20200076113 A KR 20200076113A KR 102199673 B1 KR102199673 B1 KR 102199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pipe
packing
hole
connection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석
Original Assignee
박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석 filed Critical 박형석
Priority to KR1020200076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6Apparatus or processes for fitting the drippers to the hoses or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16L41/06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making use of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관의 손상 없이 관수용 호스를 간편히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는 관수용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메인배관에 관수용 호수를 연결하는 관수용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관통되도록 숫나사를 갖는 관통관, 상기 관수용 호스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하는 연결소켓; 상기 연결소켓의 관통관 외경에 결합되어 유연히 휘어지면서 상기 메인배관의 관통공을 기밀히 밀폐하는 패킹부재; 상기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메인배관의 관통공을 기밀히 밀폐하도록 상기 연결소켓의 숫나사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소켓을 메인관의 관통공으로 관통시킨 후 가압너트를 회전시키는 과정에 의해 메인관에 관수용 호스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관수용 호스를 간편히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수용 배관 연결구{PIPING SOCKET MEMBER}
본 발명은 관수용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관의 손상 없이 관수용 호스를 간편히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는 관수용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관수호스는 농사를 짓는 데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호스로서, 메인관에 소켓 따위로 연결된다.
메인관에 관수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4-0027137호(공개일자 1994년12월09일)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5582호(등록일자 2001년08월27일) ‘배관 연결 소켓’,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7548호(등록일자 2006년05월24일) ‘원터치 배관연결소켓’,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2198호(공개일자 2008년06월26일) ‘배관연결용 소켓’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서로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관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소켓으로서, 서로 다른 직경의 관을 연결하거나 메인관에서 분기되는 형태로 연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서로 다른 직경의 관을 연결하기 위해, 그 사이에 다른 부품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부품을 이용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좋지 않고 부품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0001) 공개실용신안 제20-1994-0027137호(공개일자 1994년12월09일) (0002) 등록실용신안 제20-0245582호(등록일자 2001년08월27일) (0003) 등록실용신안 제20-0417548호(등록일자 2006년05월24일) (0004)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2198호(공개일자 2008년06월26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관의 손상 없이 관수용 호스를 간편히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는 관수용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배관에 관수용 호수를 연결하는 관수용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관통되도록 숫나사를 갖는 관통관, 상기 관수용 호스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하는 연결소켓; 상기 연결소켓의 관통관 외경에 결합되어 유연히 휘어지면서 상기 메인배관의 관통공을 기밀히 밀폐하는 패킹부재; 상기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메인배관의 관통공을 기밀히 밀폐하도록 상기 연결소켓의 숫나사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패킹부재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소켓의 관통관 외경에 결합되는 패킹튜브, 상기 패킹튜브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림, 상기 패킹튜브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배관의 관통공 외면을 지지하는 패킹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시 패킹튜브에는 벤딩슬릿이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유연히 휘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벤딩슬릿의 양 단부에는 크랙방지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벤딩슬릿은 패킹튜브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관통관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패킹부재의 결합림을 가압하는 가압보스, 상기 가압보스와 상기 숫나사 사이의 코너 외경에 형성되어 상기 패킹부재의 결합림이 결합되는 결합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소켓을 메인관의 관통공으로 관통시킨 후 가압너트를 회전시키는 과정에 의해 메인관에 관수용 호스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관수용 호스를 간편히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각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종 방향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수용 배관 연결구는, 메인배관(10)에 형성된 관통공(11)으로 관통되도록 숫나사(121)를 갖는 관통관(120)과, 관수용 호스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연결관(110)을 포함하는 연결소켓(100); 관통관(120)의 외경에 결합되어 유연히 휘어지면서 메인배관(10)의 관통공(11)을 기밀히 밀폐하는 패킹부재(200); 패킹부재(200)를 가압하여 메인배관(10)의 관통공(11)을 기밀히 밀폐하도록 연결소켓(100)의 숫나사(121)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너트(300);를 포함한다.
연결소켓(100)은 본 발명의 골조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이러한 연결소켓(100)은 내부가 빈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관(120) 및 연결관(11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소켓(100)은 작은 직경의 관통관(120), 관통관(120)의 외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큰 직경을 이루는 연결관(110)을 포함한다.
관통관(120)은 메인배관(10)의 관통공(11)으로 관통되는 관으로서, 이러한 관통관(120)의 외경에는 숫나사(121)가 형성되어 가압너트(300)가 나사결합되고, 내측 단부 외경에는 가압보스(122)가 두껍게 형성되어 패킹부재(200)의 내측 단부를 가압하며, 가압보스(122)와 숫나사(121) 사이의 코너 외경에는 결합슬롯(123)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패킹부재(200)의 결합림(220)이 결합된다.
연결관(110)의 내경에는 암나사(111)가 형성되어 관수용 호스에 밸브(V)를 통해 연결된다.
패킹부재(200)는 유연히 휘어지며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메인배관(10)의 관통공(11)을 기밀히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패킹부재(200)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소켓(100)의 관통관(120) 외경에 결합되는 패킹튜브(210), 패킹튜브(210)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관통관(120)의 결합슬롯(123)에 결합되는 결합림(220), 패킹튜브(21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메인배관(10)의 관통공(11) 외면을 지지하는 패킹플랜지(230)를 포함한다.
패킹튜브(210)에는 벤딩슬릿(211)이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패킹튜브(210)가 유연히 휘어지도록 유도한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벤딩슬릿(211)은 패킹튜브(21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는 복수로 형성되고, 벤딩슬릿(211)의 양 단부에는 크랙방지공(212)이 형성되어 패킹튜브(210)이 휘어질 때에 갈라지거나 찢어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결합림(220)과 패킹플랜지(230)는 패킹튜브(210) 성형 시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림(220)은 관통관(120)의 결합슬롯(123)에 결합되어 패킹튜브(210)가 휘어질 때에 관통관(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단속되고, 패킹플랜지(230)는 메인배관(10)의 관통공(11) 외면을 지지하는 기능과 가압너트(300)의 와셔(310)에 지지되는 기능을 겸한다.
가압너트(300)는 연결소켓(100)의 숫나사(121)에 나사결합되어 메인배관(10)의 관통공(11)을 기밀히 밀폐하도록 패킹부재(200)를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가압너트(300)는 관통관(120)의 숫나사(121)에 나사결합되고, 내측 단부에는 와셔(310)가 일체로 구비 패킹부재(200)의 패킹플랜지(230)를 가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할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관에 관통공(11)을 천공한 후 연결소켓(100)의 연결관(110)을 손으로 잡아서 패킹튜브(210)를 관통공(11)으로 관통시킨다.
계속해서, 패킹플랜지(230)가 메인관의 관통공(11) 외면에 밀착될 때까지 연결소켓(100)을 관통공(11)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너트(300)를 회전시켜서 패킹플랜지(230)에 와셔(310)가 밀착되도록 위치시킨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너트(300)를 회전시키면, 연결소켓(100)이 메인배관(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패킹튜브(210)가 벤딩슬롯(211)에 의해 유연히 휘어지면서 관통공(11)을 기밀히 밀폐시킨다.
이때, 가압보스(122)는 패킹튜브(210)를 관통공(11) 방향으로 가압하고, 결합림(220)은 결합슬롯(123)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관통관(12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의 관수용 호스를 밸브(V)에 의해 연결관(110)의 암나사(111)에 나사결합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관에 천공된 관통공(11)으로 연결소켓(100)을 관통시킨 후 패킹부재(200)에 의해 기밀히 밀폐하므로 메인관에 다양한 사이즈의 관수용 호스를 간편히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연결소켓(100)을 관통공(11)으로 관통시킨 후 가압너트(30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 의해 메인관에 관수용 호스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관수용 호스를 간편히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메인관은 그 사이즈와 재질에 상관없이 구현할 수 있다.
즉, 메인관은 딱딱한 종류인 농수관,수도관,pvc관 등 및 말랑하고 접히는 송수(소방호스), 천막호스 등에 모두 사용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메인관 11 : 관통공
100 : 연결소켓 110 : 연결관
120 : 관통관 121 : 숫나사
122 : 가압보스 123 : 결합슬롯
200 : 패킹부재 210 : 패킹튜브
211 : 벤딩슬릿 212 : 크랙방지공
220 : 결합림 230 : 패킹플랜지
300 : 가압너트 310 : 와셔
V : 밸브

Claims (6)

  1. 메인배관에 관수용 호스를 연결하는 관수용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관통되도록 숫나사를 갖는 관통관, 상기 관수용 호스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하는 연결소켓;
    상기 연결소켓의 관통관 외경에 결합되어 유연히 휘어지면서 상기 메인배관의 관통공을 기밀히 밀폐하는 패킹부재;
    상기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메인배관의 관통공을 기밀히 밀폐하도록 상기 연결소켓의 숫나사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재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소켓의 관통관 외경에 결합되는 패킹튜브, 상기 패킹튜브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림, 상기 패킹튜브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배관의 관통공 외면을 지지하는 패킹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용 배관 연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시 패킹튜브에는 벤딩슬릿이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유연히 휘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용 배관 연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벤딩슬릿의 양 단부에는 크랙방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용 배관 연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벤딩슬릿은 패킹튜브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복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용 배관 연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관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패킹부재의 결합림을 가압하는 가압보스, 상기 가압보스와 상기 숫나사 사이의 코너 외경에 형성되어 상기 패킹부재의 결합림이 결합되는 결합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용 배관 연결구.
KR1020200076113A 2020-06-23 2020-06-23 관수용 배관 연결구 KR102199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113A KR102199673B1 (ko) 2020-06-23 2020-06-23 관수용 배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113A KR102199673B1 (ko) 2020-06-23 2020-06-23 관수용 배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673B1 true KR102199673B1 (ko) 2021-01-07

Family

ID=7412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113A KR102199673B1 (ko) 2020-06-23 2020-06-23 관수용 배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6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710B1 (ko) * 2021-08-31 2022-03-14 주식회사 굿비 배관 연결 소켓
WO2024029955A1 (ko) * 2022-08-05 2024-02-08 주식회사 굿비 나사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137U (ko) 1993-05-03 1994-12-09 박계석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
KR200245582Y1 (ko) 2001-02-12 2001-09-25 윤범수 배관 연결 소켓
KR200287916Y1 (ko) * 2002-06-15 2002-09-09 정인열 농업용수 분기용 클램프 부재
KR200417548Y1 (ko) 2005-12-08 2006-05-30 한진호 원터치 배관연결소켓
KR20080002198U (ko) 2006-12-22 2008-06-26 전금진 배관연결용 소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137U (ko) 1993-05-03 1994-12-09 박계석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
KR200245582Y1 (ko) 2001-02-12 2001-09-25 윤범수 배관 연결 소켓
KR200287916Y1 (ko) * 2002-06-15 2002-09-09 정인열 농업용수 분기용 클램프 부재
KR200417548Y1 (ko) 2005-12-08 2006-05-30 한진호 원터치 배관연결소켓
KR20080002198U (ko) 2006-12-22 2008-06-26 전금진 배관연결용 소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710B1 (ko) * 2021-08-31 2022-03-14 주식회사 굿비 배관 연결 소켓
WO2023033279A1 (ko) * 2021-08-31 2023-03-09 주식회사 굿비 배관 연결 소켓
WO2024029955A1 (ko) * 2022-08-05 2024-02-08 주식회사 굿비 나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673B1 (ko) 관수용 배관 연결구
ES2913553T3 (es) Mangueras y adaptadores de mangueras
KR19990076954A (ko) 호스 연결 장치
KR200443803Y1 (ko) 파이프 접속용 그립링
US4934745A (en) Flexible hose coupling
US20080048435A1 (en) Pipe coupling and clamp and method of application
US8096590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piping
KR101114497B1 (ko) 멀티소켓관과 드레인호스의 결합구조
EP2547947B1 (en) Hose coupling
US3730564A (en) Tapered compression end fitting
KR20140044347A (ko)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
WO2002042672A3 (en) End fitting for high pressure hoses and method of mounting
KR200409053Y1 (ko) 파이프 이음구조
EP3078892B1 (en) Garden water supplying hoses
JP2006118551A (ja) 配管用接続装置
KR100308564B1 (ko) 관 연결구
US7841087B1 (en) Connector for use with inflatable tubing
KR20100077883A (ko) 오링 압착식 원터치 파이프 연결구의 조립구조
KR20130092207A (ko) 농업용 관체 연결구
JP4514053B2 (ja) ヘッダー及びヘッダーの止水方法
KR102417758B1 (ko) 스크류 결합구조를 갖는 호스 커넥팅 어셈블리
KR101441508B1 (ko) 패킹 삽입형 소켓관
CN217130661U (zh) 一种密封性好的宝塔式液压接头
KR200275929Y1 (ko) 연질비닐계 용수호스용 분기접속구
KR20010067996A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