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608Y1 - 자동차의 시이트와이어스프링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이트와이어스프링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608Y1
KR950008608Y1 KR2019900020886U KR900020886U KR950008608Y1 KR 950008608 Y1 KR950008608 Y1 KR 950008608Y1 KR 2019900020886 U KR2019900020886 U KR 2019900020886U KR 900020886 U KR900020886 U KR 900020886U KR 950008608 Y1 KR950008608 Y1 KR 950008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ire spring
seat
frame
sl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0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763U (ko
Inventor
정한범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0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608Y1/ko
Publication of KR9200117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7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6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23Coach-like constructions
    • B60N2/7035Cushions
    • B60N2/7041Fixation of covers a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시이트와이어스프링 결합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시이트를 부분절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시이트프레임과 시이트와이어스프링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시이트프레임과 시이트와이어스프링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쿠션 11 : 시이트프레임
11a : 슬로트 11b, 11c : 비이드
13 : 시이트와이어스프링 14 : 완충부재
20 : 등받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이트(seat) 내부에 장착되는 시이트와이어스프링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이트와이어스프링의 끝단부가 시이트프레임에 2중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승원의 착좌시 시이트와이어스프링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시이트와이어스프링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이트의 구조는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실내 바닥에 설치되는 쿠션(10)의 후단부에 상부로 연장되는 등받이(20)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쿠션(10) 및 등받이(20)는 각기 표피의 내부쪽의 외곽틀을 이루는 시이트프레임(11)이 장착되고, 시이트프레임(11)에 다중 벤딩된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이 일정 간격을 두고 탄력적으로 배열되며, 표피와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 사이에 스폰지와 같은 완충부재(14)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시이트의 구조는, 쿠션(10) 및 등받이(20)의 표피부에 승원의 신체 일부가 착좌하게 되고, 이때 완충부재(14)와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이 승원의 체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차체및 지면으로부터 승원에게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이 완화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시이트프레임과 시이트와이어스프링의 결합구조는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이트프레임(11)의 외곽부 상단면에 한기의 지지수단916)이 취부되고, 절곡 연장되는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의 끝단부가 지지수단(16)에 회동 가능하게 탄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시이트프레임과 시이트와이어스프링의 결합구조는, 다중으로 배열되는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의 양단부가 지지수단(16)에 의해 시이트프레임(11)의 상단부 외곡부에 탄지되고,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의 중간부가 탄력적으로 신축되도록 되어, 쿠션(10)의 상부에서 작용되는 하중에 따라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것에 의해 시이트에 착좌한 승원의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시이트프레임과 시이트와이어스프링의 결합구조는 승원이 쿠션(10)에 착좌하여 하중이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에 작용되면,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의 중간부가 하부로 탄성 변형되므로,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의 끝단부에는 회전력이 작용하게 되는 데,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의 끝단부가 한개의 지지수단(1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승원이 쿠션(10) 상부에 착좌할 때와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이 유동될 때마다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의 끝단부가 지지수단(16)의 내부면과 마찰되며 회동되어, 마찰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이트프레임의 외곽부 상단면에 2중의 비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비이드에 시이트와이어스프링의 끝단부가 2중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시이트와이어스프링의 유동시 끝단부가 회동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시이트와이어스프링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시이트 구조도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실내 바닥에 설치되는 쿠션(10)의 후단부에 상부로 연장되는 등받이(20)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쿠션(10) 및 등받이(20)는 각기 표피의 내부쪽에 외곽틀을 이루는 시이트프레임(11)이 장착되고, 시이트프레임(11)에 다중 벤딩된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이 일정 간격을 두고 탄력적으로 배열되며, 표피와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 사이에 스폰지와 같은 완충부재(14)가 내장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고안은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곽틀을 형성하는 시이트프레임(11)의 외곽부 상단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슬로트(slot)(11a)들이 절개 되고, 양 슬로트(11a)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기 상부로 돌출되는 비이드(bead),(11b),(11c)가 만곡되게 형성되며, 커어링(curling)된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의 끝단부가 양 비이드(11b),(11c)에 관통되어 2중으로 지지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은 시이트프레임(11)의 양 비이드(11b),(11c)를 관통하는 커어링부및 끝 단부가 양 슬로트(11a)를 횡단하여 시이트프레임(11)의 상단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승원이 쿠션(10)의 상부에 착좌하면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의 중간부가 하부로 탄성 변형되며 쳐지므로, 시이트프레임(11)의 일측 비이드(11b)를 관통한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에 회전력이 작용되는데, 이때 일측 비이드(11b)를 관통한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 끝단의 커어링부가 시이트프레임(11)에 밀착되고 연장부가 외측의 다른 비이드(11c)에 의해 지지되므로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 끝단부의 회동이 억제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의 끝단부와 시이트프레임(11) 지지면 사이의 회동이 억제되므로, 승원의 착좌시 시이트와이어스프링(13)의 유동에 의한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시이트와이어스프링의 끝단부가 시이트프레임에 형성되는 2중의 비이드에 지지되어, 시이트와이어스프링의 유동시 끝단부가 회동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승원의 착좌시 시이트와이어스프링의 유동에 의한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시이트 내부에 장착되는 시이트와이어스프링에 상기 시이트 내부에서 외곽틀을 이루는 시이트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프레임의 외곽부 상단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슬로트들이 절개되고, 상기 양 슬로트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기 상부로 돌출되는 비이드가 만곡되게 형성되어, 커어링된 상기 시이트와이어스프링의 끝단부가 상기 양 비이드에 연속 관통되고, 상기 양 비이드를 관통한 시이트와이어스프링의 커어링부및 끝단부가 상기 양 슬로트를 횡단하여 시이트프레임의 상단면에 밀착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이트와이어스프링 결합구조.
KR2019900020886U 1990-12-26 1990-12-26 자동차의 시이트와이어스프링 결합구조 KR950008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886U KR950008608Y1 (ko) 1990-12-26 1990-12-26 자동차의 시이트와이어스프링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886U KR950008608Y1 (ko) 1990-12-26 1990-12-26 자동차의 시이트와이어스프링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763U KR920011763U (ko) 1992-07-24
KR950008608Y1 true KR950008608Y1 (ko) 1995-10-12

Family

ID=1930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0886U KR950008608Y1 (ko) 1990-12-26 1990-12-26 자동차의 시이트와이어스프링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6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763U (ko) 199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1944B2 (ja) 車両用シート
KR102644560B1 (ko) 자동차용 시트백
JP2022167381A (ja) シート装置
US4890810A (en) Seat suspension device
JP7480741B2 (ja) シート装置
KR950008608Y1 (ko) 자동차의 시이트와이어스프링 결합구조
KR100403478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JP6394427B2 (ja) 乗物用シート
JP6627931B2 (ja) 乗物用シート
CN113085676A (zh) 一种车辆座椅和车辆
JP6398796B2 (ja) 乗物用シート
KR100889436B1 (ko) 차량시트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JP2000236985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JPH038119Y2 (ko)
US3475054A (en) Seat construction
US9802516B2 (en) Vehicle seat strap retaining assembly
JPS6410372B2 (ko)
JPS6116445B2 (ko)
KR0126079Y1 (ko) 자동차용 시트 쿠숀장치
KR200143059Y1 (ko) 시트의 아암 레스트
KR100587797B1 (ko) 다목적 차량용 리어시트
JPH0420676Y2 (ko)
JPS5837336Y2 (ja) 座席のサイドサポ−ト装置
JP2021000910A (ja) シートバック
KR0124456Y1 (ko) 차량용 시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