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407Y1 - 양복용 포켓의 안감천 끝단 자동제작기 - Google Patents

양복용 포켓의 안감천 끝단 자동제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407Y1
KR950008407Y1 KR2019930022069U KR930022069U KR950008407Y1 KR 950008407 Y1 KR950008407 Y1 KR 950008407Y1 KR 2019930022069 U KR2019930022069 U KR 2019930022069U KR 930022069 U KR930022069 U KR 930022069U KR 950008407 Y1 KR950008407 Y1 KR 950008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loth
moving
operating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636U (ko
Inventor
홍금만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신세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신세길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2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407Y1/ko
Publication of KR9500116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6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4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05B35/04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with movable too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복용 포켓의 안감천 끝단 자동제작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제작기로 만든 안감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제작기의 요부 확대 사시도.
제4도와 제4도는 제1, 3도에서 보인 회동식 협지기구의 작동상태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주름안내관 B : 회동식협지구
C : 이송기구 D : 배출기구
본 고안은 양복용 포켓을 이루는 안감중 한천과 다른 한천을 봉착함에 있어서 재봉기 전방 베드에 놓여지는 한천위에 다른 천을 접어서 덧대이는 것과 재봉기 바늘쪽으로의 이송 및 봉착완료된 안감천의 배출과정을 자동화한 양복용 포켓의 안감천 끝단 자동제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감천을 한 천조각과 접혀진 다른 천조각을 덧댄 상태로 봉착되어야 하는바, 종래에는 제작을 수작업으로 실시해 왔다.
그러나 원가절감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접혀진 부위가 작아야만 하므로 작게 접기가 어려웠을 뿐 아니라, 천들이 포개어진 선상을 따라서 매우 좁은 간격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곧 바르게 봉착하기가 숙련된 작업자라 하더라도 어려웠고, 또 생산성이 낮으며 불량이 많이 발생하여 균일한 품질관리가 어려운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한 것인바, 본 고안의 목적은 베드위에 놓여지는 한 천조각 위에 다른 천조각을 접어서 덧대이는 공정과 상기 천조각들이 덧대여진 상태로 재봉기 쪽으로 이송하는 공정 그리고 봉착이 완료된 안감천을 배출하는 공정을 자동화 함으로서 원단의 낭비를 막고, 봉착상태가 매우 균일하며, 높은 생산성을 갖고, 비숙련된 작업자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고품위의 품질관리가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복용 포켓의 안감천 자동제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통상의 재봉기(M)가 장착된 베드(1)의 전방 양쪽에는 포켓의 안감천을 이루는 한 천조각과 다른 천조각이 놓여지는 받침대(2)(2')가 위치되어 있고, 한 받침대(2)에는 한 천조각을 접을 수 있도록 주름을 부여하는데 이용되는 주름안내판(A)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대(2)(2') 사이에는 회동식 협지기구(B)와 이송기구(C)가 위치되어 있고, 재봉기(1)의 후방에는 배출기구(D)가 위치되어 있다.
주름안내판(A)은 제3, 4, 5도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고정판(3)과 작동판(4)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판(3)에는 가늘고 긴 돌기(5)가 고정되어 있고 작동판(4)에는 상기 돌기(5)가 출입할 수 있는 좁고 긴 슬리트(6)가 형성된 것으로서 고정판(3)과 작동판(4) 사이에는 코일스프링(7)이 끼워져 있어 작동판(4)이 눌려질 경우 고정판(3)의 돌기(5)가 작동판(4)의 슬리트(6)를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동식협지기구(B)는 제3도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부착판(8)의 한쪽에 핀(9)으로 연결된채 아래로 길게 연장된 회동판(10)과, 이 회동판(10)으로부터 상, 하로 움직일 수 있게 부착된 작동판(11)과, 이 작동판(11)의 하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협지판(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협지판(12)은 다시 고정협지판(12a)과 작동협지판(12b)으로 나누어져 있다.
회동판(10)은 제3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착판(8)의 아래부분에 지지된 에어실린더(13)에 의해서 핀(9)을 중심으로 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작동판(11)은 회동판(10)에 지지된 에어실린더(14)에 의해서 상, 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협지판(12)은 작동판(11)에 지지된 에어실린더(15)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협지판(12)의 작동협지판(12b)은 고정협지판(12a)에 지지된 에어실린더(16)에 의해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송기구(C)는 제3도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나중에 설명되는 안내레일에서 전,후진하는 고정판(17)과 이 고정판(17)으로 부터 상, 하로 움직일 수 있게 부착된 작동판(18)과 이 작동판(18)의 하단부로 부터 재봉기(M)쪽으로 경사진 연결구(19)와, 이 연결구(19) 끝에 부착된 누름판(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작동판(17)은 고정판(17)에 지지된 에어실린더(21)에 의해 상, 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출기구(D)는 상기 이송기구(C)와 마찬가지로 나중에 설명되는 안내레일에서 전, 후진하는 슬라이더(22)에 고정된 에어실린더(23)와 연결되어 있어 상, 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된 스폰지와 같이 부드러운 누름판(24)과, 이 누름판(24) 아래에서 상기 베드(1)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고 있다가 하강하면서 일측으로 왕복운동하는 배출안내판(25)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회동식협지기구(B), 이송기구(C) 그리고 배출기구(D)의 슬라이더(22)는 상기 한 받침대(2)가 고정되는 지지프레임(26)에서 전, 후방쪽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취하는 안내레일(27)상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이송기구(C)를 전, 후진 왕복운동시켜 주는 에어실린더의 표현을 생략되어 있으며, 안내레일(27)에는 회동식협지기구(B)의 부착판(8)과, 이송기구(C)의 고정판(17)과, 상기 배출기구(D)의 슬라이더(22)를 전, 후진 왕복운동시켜 주는 표현이 생략된 에어실린더 등이 지지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8은 메인프레임, 29는 조작패널, 30은 포켓용 안감천, 31은 접혀진 상태로 봉착되는 천조각, 32는 접혀진 천조각(31)과 함께 봉착되는 천조각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4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먼저 한 천조각(32)을 베드(1)에 표시한 지점에 올려놓고, 다른 천조각(31)을 주름안내판(A)의 작동핀(4)위에 올려놓은 다음 조작패널(29)의 전원공급스위치를 "ON"하면 회동식협지기구(B)가 작동된다.
회동식협지기구(B)의 에어실린더(14)가 동작하여 작동판(11)과 협지판(12)이 상승되면서 에어실린더(13)가 동작하여 상기 작동판(11)과 협지판(12)이 주름안내판(A) 위로 제4도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어서 에어실린더(15)가 동작하여 협지판(12)이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에어실린더(16)가 작동하여 협지판(12)의 고정협지판(12a)과 작동협지판(12b) 사이가 벌어진 상태로 되면서 에어실린더(14)가 동작하여 주름안내판(A)의 작동판(4) 위에 놓여진 천조각(31)과 작동판(4)을 누르게 되고 고정판(3)의 돌기(5)가 작동판(4)의 슬리트(6) 위로 노출되면서 천조각(31)은 주름이 지고, 이 주름을 상기 고정협지판(12a)과 작동협지판(12b)의 벌려진 틈새내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의 모습은 제5도의 좌측에 잘 표현되어 있다.
이어서 에어실린더(16)가 작동하여 고정협지판(12a)로 작동협지판(12b)이 오무려지면서 천조각(31)의 주름진 부위가 협지되면 다시 회동식협지기구(B)는 상술한 바와같은 동작의 역순으로 작동하여 제5도의 우측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베드(1)에 올려놓여져 있던 천조각(32)위에 주름잡힌 천조각(31)을 올려놓으면 이어서 제3도에 예시된 이송기구(C)가 상기 천조각(31)위로 전진 이동하면서 에어실린더(21)가 동작하여 상기 천조각(31)(32)을 누르고, 이렇게 천조각(31)(32)들을 누른 상태에서 다시 후진이동하면서 재봉기(M)쪽으로 이송한다.
이와같이 하여 봉착이 완료된 포켓용안감천(30)은 배출기구(D)의 누름판(24)의 상, 하운동에 의해 베드(1)와 밀착된 상태에서 누름판(24)의 전, 후진 운동에 의해서 배출안내판(25)쪽으로 옮겨지게 되고, 옮겨진 포켓용 안감천(30)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여 일측으로 왕복운동하는 배출안내판(25)에 의해서 표현이 생략된 제품 수거함으로 배출, 수거되어 한 동작을 완료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베드(2) 위에 놓여지는 천조각(32) 위에 다른 천조각(31)을 접어서 덧대이는 공정과, 덧대여진 천조각(31)(32)을 재봉기(1)의 바늘쪽으로 이송하는 공정 그리고 봉착완료된 천조각(31)(32)의 배출공정을 자동화한 것이기 때문에 비숙련된 작업자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고, 특히 천조각(31)을 원단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좁은 폭으로 균일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다른 천조각(32)과 재봉선이 울지 않도록 봉착하는 공정들을 자동화한 것이기 때문에 봉착상태가 매우 균일하여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제봉기(M)가 장착된 베드(1)의 전방 양쪽에 천받침대(2)(2')를 부착하고, 가늘고 긴 돌기(5)를 가진 고정판(3)과 상기 돌기(5)가 출입하는 슬리트(6)를 가진 작동판(4)을 코일스프링(7)으로 탄설시킨 주름안내판(A)을 한쪽 천 받침대(2)에 부착하여 부착판(8)에 핀(9)으로 연결된 회동판(10)으로 부터 상, 하로 움직이는 작동판(11)에 부착된체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작동하는 고정협지판(12a)과 작동협지판(12b)을 가진 협지판(12)으로 이루어진 회동식협지기구(B)와, 누름판(20)을 상, 하로 움직여주는 연결구(19) 및 작동판(18)과 고정판(17)으로 이루어진체 전, 후진 운동하는 이송기구(C)를 재봉기(1)의 전방쪽에 위치시키며, 전, 후진하면서 상, 하로 움직이는 누름판(24)과 상, 하로 움직이면서 일측으로 왕복운동하는 배출안내판(25)으로 이루어진 배출기구(D)는 재봉기(1)의 후방쪽에 위치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복용 포켓의 나감천 끝단 자동제작기.
KR2019930022069U 1993-10-26 1993-10-26 양복용 포켓의 안감천 끝단 자동제작기 KR950008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069U KR950008407Y1 (ko) 1993-10-26 1993-10-26 양복용 포켓의 안감천 끝단 자동제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069U KR950008407Y1 (ko) 1993-10-26 1993-10-26 양복용 포켓의 안감천 끝단 자동제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636U KR950011636U (ko) 1995-05-16
KR950008407Y1 true KR950008407Y1 (ko) 1995-10-09

Family

ID=1936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069U KR950008407Y1 (ko) 1993-10-26 1993-10-26 양복용 포켓의 안감천 끝단 자동제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4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979A (ko) * 2000-10-25 2002-05-03 이기오 재봉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636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87369A (zh) 一种服装多功能缝制机
GB2230542A (en) Workpiece folding device for a sewing machine
JPH049994Y2 (ko)
US4474637A (en) Labeling machine and label
KR950008407Y1 (ko) 양복용 포켓의 안감천 끝단 자동제작기
JPH02269805A (ja) スライドフアスナ部分を持つ布条片をズボン前部に取付け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縫い付け装置
US3930454A (en) Small cloth vise for a sewing machine
KR100577704B1 (ko) 직물 제품의 포켓 및 플랩(포켓의 위뚜껑)을 붙이기 위한 방법 및 재봉장치
US5333563A (en) Sewing method and apparatus
JPH0262273B2 (ko)
CN107687050B (zh) 一种裤子的制作方法
US5970896A (en) Process and sewing unit for sewing a flap and a pocket on a fabric part
US2726020A (en) Turning or creasing machine
JP2625545B2 (ja) ミシン
US4427139A (en) Collar pr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5570648A (en) Waist band-forming apparatus and method
CN218842550U (zh) 一种缝纫机上对裤子上腰折边机构
CN212375504U (zh) 一种面料自动折边缝合收纳机
KR960011087B1 (ko) 의류용 절첩포장 장치
CN110281584A (zh) 无纺布立体袋制袋机的新型折袋机
JP2736013B2 (ja) アイロン仕上機
JPH01502239A (ja) リンプファブリック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CN208685193U (zh) 一种用于贴袋机的布料融位装置
KR0140579B1 (ko) 의복에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S611483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