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1979A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1979A
KR20020031979A KR1020000062790A KR20000062790A KR20020031979A KR 20020031979 A KR20020031979 A KR 20020031979A KR 1020000062790 A KR1020000062790 A KR 1020000062790A KR 20000062790 A KR20000062790 A KR 20000062790A KR 20020031979 A KR20020031979 A KR 20020031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m
seam allowance
sewing machine
guid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오
Original Assignee
이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오 filed Critical 이기오
Priority to KR1020000062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1979A/ko
Publication of KR20020031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97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22Work-feeding means with means for setting length of stitch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개시된 재봉틀은, 전진하였을 때 옷감이 놓이는 평면으로부터 일정 갭이 형성되어, 갭 내에 상기 시접이 놓여지도록, 재봉틀의 침봉을 향하는 옷감의 이동방향에 대략 직각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하는 시접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공그르기하기 위한 옷감의 접혀진 단부 즉, 시접을 일정한 간격으로 재봉틀의 침봉으로 가이드함으로써, 시접의 간격이 불규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원단의 특성인 말림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그르기 작업중 시접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봉틀 {A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옷감의 시접 즉, 상의나 하의의 하단이 일정간격으로 접혀지는 부분을 재봉할 때, 시접을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은 가죽, 옷감 등을 바느질하는 기계로서, 용도에 따라가정용과 산업용으로 크게 나뉘고, 꿰매는 방법에 따라 본봉재봉틀, 환봉재봉틀로 나뉘고,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식,전동식,페달식으로 나뉜다.
한편, 산업용 재봉틀에는 보통 한정된 용도로 사용하는 단기능(單機能)의 재봉틀이 많이 있으며, 용도별로는 메리야스용, 시침질용, 자수용, 단추구멍제작용, 단추부착용, 보무라기용, 공그르기용 등이 있다.
이러한 것들은, 기구나 형태를 용도에 맞게 적용시킨 것으로 모두 전동식이며 매분 3000∼6000회전하는 고속재봉이 가능하다.
상기한 재봉틀 중 옷감의 시접(옷솔기의 속으로 접혀들어간 부분)을 공그르기 하기 위해서는 옷감의 시접이 일정한 폭으로 유지하여 상하 왕복 운동하는 침봉으로 들어가도록 작업자가 시접을 손으로 잡아서 가이드하고, 시접이 옷감의 밑으로 들어감으로, 작업자가 시접의 폭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시접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가이드하는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옷감을 공그르기 하기 위한 시접을 일정한 폭으로 가이드하여, 사용자가 시접을 붙잡지 않고도 일정한 폭으로 가이드 하도록 한 재봉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그르기 보조장치가 설치된 재봉틀을 보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공그르기 보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그르기 보조장치를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그르기 보조장치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공그르기 보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0b; 걸림홈
12; 스위치 14; 가이드홈
16; 경사부 20; 자
100; 시접가이드수단 110; 가이드부재
120; 고정부재 130; 이동바
140; 지지부재 210; 이동부재
211; 이동본체 211a; 탄성부
211b: 걸림턱 212; 지지바
213; 제1걸림부재 214; 제2걸림부재
215; 회동부재 216; 제3걸림부재
217; 제1위치설정부재 218; 제2위치설정부재
219; 탄력부재 220; 이탈방지부재
221; 스프링 230; 모터
231; 제1기어 240; 구동전달부재
241; 제2기어 242; 전달부
242a; 푸시돌기 250; 복귀수단
260; 레버부재 261; 걸림부
270; 크로스바 300; 지지수단
310; 탄력지지부재 320; 시접 지지부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은, 전진하였을 때 옷감이 놓이는 평면으로부터 일정 갭이 형성되어, 갭 내에 상기 시접이 놓여지도록, 재봉틀의 침봉을 향하는 옷감의 이동방향에 대략 직각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하는 시접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봉틀은, 상기 시접 가이드 수단을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상기 가이드수단의 대향하는 쪽에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시접의 일측단과 밑부분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시접 가이드수단을 전진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 옷감의 시접쪽으로 이동된 상기 가이드수단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시접 가이드수단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전진시키기 위한 구동전달부재와, 상기 구동전달부재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가이드수단에 가이드되는 옷감의 시접의 밑부분을 탄력 지지하는 탄력지지부재; 상기 탄력지지부재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옷감의 시접 측단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시접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력지지부재는, 옷감이 재봉틀의 침봉쪽으로 이동되는 반대방향에 시접의 걸림이 방지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접가이드수단은, 옷감의 시접 내부로 들어가 시접의 폭이 일정하게유지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밑부분으로 들어온 옷감의 시접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옷감이 재봉틀의 침봉으로 이동되는 반대방향에 옷감이 상기 가이드부재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개된 경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구르기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그르기 보조장치가 설치된 재봉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공그르기 보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그르기 보조장치를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그르기 보조장치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공그르기 보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1)은, 전진하였을 때 옷감이 놓이는 평면으로부터 일정 갭이 형성되어, 갭 내에 옷감의 시접이 놓여지도록, 재봉틀(1)의 침봉(2)을 향하는 옷감의 이동방향에 대략 직각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하는 시접 가이드 수단(100)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재봉틀(1)은 상기 시접 가이드 수단(100)을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시접가이드수단(100)의 대향하는 쪽에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시접의 일측단과 밑부분을 지지하는 지지수단(30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시접 가이드수단(100)은, 재봉틀(1)의 옷감이 놓여지는 면에 대하여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옷감의 시접 내부로 들어가 시접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10)와,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20)와, 상기 고정부재(120)에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이동바(130)와, 상기 이동바(130)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밑부분으로 들어온 옷감의 시접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10)는 옷감이 놓이는 면과 거의 비슷한 높이로 설치되며 상면(10a)을 가지는 본체(10)의 상면에서 왕복 이동되고, 상기 옷감의 단부에 접혀진 부분 즉, 시접의 내부로 들어가 시접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이 가이드 부재(110)는 본체(10)의 상면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10)에는 옷감이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방향 쪽에 시접이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바(130)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부재(120)의 내주에 맞물려 왕복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시접 가이드수단(100)을 전진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 옷감의 시접쪽으로 이동된 상기 시접 가이드수단(1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25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시접 가이드수단(100)과 함께 이동되는 이동부재(210)와, 상기 이동부재(210)를 전진시키기 위한 구동전달부재(240)와, 상기 구동전달부재(240)를 구동시키며 축에 제1기어(231)가 설치된 모터(23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210)는 사방의 단부가 일면으로 절곡형성된 이동본체(211)와, 이동본체(211)의 상단부의 양측에 가로질러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지지바(212)와, 상기 지지바(212)의 하측에 일정거리를 왕복이동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이동본체(211)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제1걸림부재(213)와, 이동본체(211)의 하단부에 일정거리를 왕복이동되고 그 타단부가 이동본체(211)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2걸림부재(214)와, 이동본체(211)의 전면에 중앙부가 힌지고정되고 일단은 제1걸림부재(213)에 걸림되고 타단은 제2걸림부재(214)에 걸림되도록 설치되는 회동부재(215)와, 이동본체(211)의 일측에 종으로 설치되고 일단부가 제1걸림부재(213)에 걸림되고 타단이 이동본체(211)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3걸림부재(216)와, 상기 이동본체(211)의 후면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측부에 걸림턱(217a,218a)이 형성된 제1 및 제2위치설정부재(217)(218)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본체(211)의 전면 상단부에는 본체(10)에 걸림되어 이동본체(211)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걸림턱(211b)을 가지는 탄성부(21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위치설정부재(217)(218)의 걸림턱(217a,218a) 사이에는 탄력부재(219)가 개재되고, 각 걸림턱(217a)(218a) 외측을 감싸며 탄력부재(219)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22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제1위치설정부재(217)의 걸림턱(217a)은 하방으로 일정경사로 돌출 형성되어 절곡형성되고, 제2위치설정부재(218)의 걸림턱(218a)은 상방으로 일정경사로 돌출 형성되어 절곡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바(212)는 그 단부를 사용자가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키면 이동본체(211)에서 그 위치에서 회동되도록 된 것으로, 외주에는 가이드부재(110)의 일측부가 결합되어 왕복이동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걸림부재(213)는 일단부에 스프링(221)이 끼워져 이동본체(211)의 일측에 탄력지지되며, 그 타단은 이동본체(211)의 타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타단부에는 홈(213a)이 형성되어 회동부재(215)의 상단이 걸림되도록 되어 있다.
제3걸림부재(216)의 상단에는 제1걸림부재(213)와 걸림되는 다단의 걸림홈(216a)이 형성되고, 상단의 밑부분에는 이동본체(211)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6b)가 형성되며, 하단은 이동본체(211)의 하단으로 노출되어 구동수단에 걸림되어 상기 이동부재(210)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전달부재(240)는 상기 모터(230)의 축에 연결된 제1기어(231)에 맞물리는 제2기어(241)가 그 일단에 고정되고, 그 타측에는 타단에서 일정거리까지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스크루 형상의 전달부(242)가 형성되어 있다. 전달부(242)는 이동부재(210)의 제3걸림부재(216)의 하단이 걸림되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이동수단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달부(242)의 일측에는 제3걸림부재(216)의 하단을 밀어내는 푸시돌기(242a)가 형성된다.
상기 복귀수단(250)은 옷감의 시접을 일정한 폭으로 가이드하는 시접 가이드수단(1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이동본체(211) 상단 일측에 힌지 고정되는 레버부재(260)와, 본체(10)의 전면에 횡으로 마련된 크로스바(270)에 끼워져 이동본체(211)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271)를 포함한다. 레버부재(260)는 이동본체(211)에 고정되어 이동본체(211)와 함께 이동되며 일단이 힌지 고정되어 일단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회동되고 그 타단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는 이동본체(211)의 탄성부(211a)에 걸림되는 걸림부(261)가 형성된다. 즉, 복귀수단(250)은 이동부재(210)를 본체(10)의 좌측으로 이동시켜 이동부재(210)의 제3걸림부재(216)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3걸림부재(216)의 하단이 구동전달부재(240)의 전달부(242) 좌측에 걸림되어, 상기 시접가이드수단(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초기 위치로 상기 이동부재(210)를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지지수단(300)은 옷감이 놓이는 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가이드부재(110)가 끼워지는 옷감의 시접의 밑부분을 탄력 지지하는 탄력지지부재(310)와, 탄력지지부재(31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옷감의 시접 측단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시접 지지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시접 지지부재(320)의 일단부는 옷감의 접혀진 부분이 그 단부에 걸림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일정한 경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력지지부재(310)는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상면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옷감의 두께에 상관없이 옷감의 밑부분에서 탄력지지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탄력지지부재(310)는 그 일단에는 옷감이 재봉틀의 침봉쪽으로 이동되는 반대방향에 시접의 끝이 말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진 상태로 절개된 경사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재봉틀에는 작업자가 구동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스위치(12)는 구동수단인 모터(23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재봉틀 이외의 별도의 샤시에 마련하여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12)는 사용자가 1회 누름에 따라 모터(230)를 일정시간동안만 작동되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본체(10)의 내측에는 이동수단이 이동을 가이드하고 가이드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홈(14)에는 일정경사를 이루는 경사부(1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10), 레버부재(260), 본체(10) 및 탄력지지부재(310)에는 옷감의 접혀진 부분, 즉 시접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눈금이 표기된 자(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자(20)는 시접의 폭을 보다 상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밀리미터(mm)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110)에 형성된 자(20)는 사용자가 이동바(130)를 공구로 회동시킴으로써 이동되는 지지부재(140)의 위치를 설정하는 기준이 되는 것이고, 상기 레버부재(260)에 형성된 자(20)는 사용자가 이동본체(211)의 상단에 가로질러 설치된 지지바(212)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동되는 시접가이드수단(100)을 위치를 설정하는 기준이 되는 것이며,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자(20)는 본체(10)에 고정되는 다른 지지바(미도시)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저지부(미도시)에 저지되는 이동수단의 위치를 설정하기 기준이 되는 것이다. 또한, 탄력지지부재(310)에 형성되는 자는 시접의 단에 밀착되는 시접지지수단(320)의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용 공그르기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재봉틀의 선단부에 공그르기 할 옷감을 끼우기 전에, 옷감의 단부를 어느정도의 간격으로 접어야 할지 결정한 다음, 가이드부재(110), 레버부재(260), 본체(10), 탄력지지부재(310)에 형성된 자(20)를 기준으로 지지부재(140), 시접가이드수단(100), 이동부재(210) 및 시접 지지부재(320)의 위치를 설정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옷감의 단부를 재봉틀의 선단부에 끼운 다음, 상기 옷담의 단부에 접혀진 부분 즉, 시접을 재봉틀의 침봉에 위치시킨 후에, 스위치(12)를 누름과 동시에 재봉틀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가이드부재(110)가 시접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옷감에 접혀진 부분 즉, 시접으로 들어가게 됨에 따라 옷감의 공그르기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 공그르기 장치에서 이동수단의 이동되는 작동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본체(10)의 스위치(12)를 누르면, 모터(230)는 작동되고 이에 따라 모터(230)의 축에 연결된 제1기어(231)가 회전되며, 이 제1기어(231)에 맞물린 제2기어(241)가 회전된다. 제2기어(241)가 고정된 구동전달부재(240)는 그 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전달부재(240)의 전달부(242)에 이동부재(210)의 제3걸림부재(216)의 하단이 걸림되어 이동된 후에, 제3걸림부재(216)는 전달부(242)의 푸시돌기(242a)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이동부재(210)는 본체(10)의 가이드홈(14)을 따라 이동되는데, 이동부재(210)가 가이드홈(14)의 경사부(16)를 지나는 중에 이동부재(210)의 제1위치설정부재(217)의 걸림턱(217a)이 상기 경사부(16)에 접촉됨에 따라 제1위치설정부재(217)가 상측으로 회동되어 그 단부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위치설정부재(217)의 걸림턱(217a)과 탄성부재(219)에 의해 지지되는 제2위치설정부재(218)의 걸림턱(218a)에 의해 제2위치설정부재(218)의 단부도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위치설정부재(217)(218)의 단부 사이에 있는 돌출부(216b)에 의해 제3걸림부재(216)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3걸림부재(216)의 걸림홈(216a) 상부에 걸림된 제1걸림부재(213)의 걸림홈(213a)이 제3걸림부재(216)의 걸림홈(216a) 하부에 걸림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걸림부재(214)는 이동본체(211)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본체(211)의 타측으로 돌출된 그 타단이 본체(10)에 접촉됨에 따라 좌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이 제2걸림부재(214)에 하단이 걸림된 회동부재(215)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회동된다. 그러면, 회동부재(215)의 상단에 걸림된 제1걸림부재(213)는 좌측으로 이동되어, 이동본체(211)의 일측으로 돌출된 일단이 이동본체(211)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동부재(210)가 우측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이동본체(211)에 형성된 탄성부(211a)가 복귀되고, 탄성부(211a)에 형성된 걸림턱(211b)이 본체(10)에 형성된 걸림홈(10a)에 걸림되어 이동부재(210)가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공그르기하기 위한 옷감의 시접을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옷감의 시접이 일정한 폭으로 가이드되어 재봉틀의 침봉으로 가이드되어 시접의 공그르기 작업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공그르기가 마무리되는 시접이 상기 가이드 부재(110)의 레버부재(260)를 툭 건드리게 된다. 그러면, 레버부재(260)는 이동본체(211)의 상단에 힌지 고정된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레버부재(260)의 걸림부(261)는 이동본체(211)의 탄성부(211a)를 당기게 된다. 본체(10)의 걸림홈(10b)에 걸림된 상기 탄성부(211a)의 걸림턱(211b)이 해제됨에 따라 이동부재(210)는 그 일측을 지지하는 복귀수단(250)의 탄성부재(271)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원상태로 이동된다. 그러면, 이동부재(210)의 제3걸림부재(216)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구동전달부재(240)의 전달부(242)에 걸림되어 원위치상태 즉, 상기 시접가이드수단(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수단이 이동되어 공그르기 되는 옷감의 접혀진 부분 즉, 시접이 일정한 간격으로 재봉틀의 침봉으로 들어가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시접의 간격을 공그르기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공그르기 작업의 어려움을 덜어 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시접이 시접 가이드 수단에 의해 재봉틀의 침봉으로 가이드 됨으로, 작업자의 피로를 줄일 수 있고,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보자도 조금의 연습만으로도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력 고용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7)

  1. 전진하였을 때 옷감이 놓이는 평면으로부터 일정 갭이 형성되어, 갭 내에 상기 시접이 놓여지도록, 재봉틀의 침봉을 향하는 옷감의 이동방향에 대략 직각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하는 시접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감을 공그르기 하기 위한 재봉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접 가이드 수단을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상기 시접 가이드수단의 대향하는 쪽에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시접의 일측단과 밑부분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시접 가이드수단을 전진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
    옷감의 시접쪽으로 이동된 상기 시접가이드수단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시접 가이드수단과 함께 이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전진시키기 위한 구동전달부재와,
    상기 구동전달부재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시접가이드수단에 가이드되는 옷감의 시접 밑부분을 탄력 지지하는 탄력지지부재;
    상기 탄력지지부재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옷감의 시접 측단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시접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지지부재에는, 옷감이 재봉틀의 침봉쪽으로 이동되는 반대방향에 시접의 끝이 말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진 상태로 절개된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접가이드수단은,
    옷감의 시접 내부로 들어가 시접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밑부분으로 들어온 옷감의 시접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20000062790A 2000-10-25 2000-10-25 재봉틀 KR20020031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790A KR20020031979A (ko) 2000-10-25 2000-10-25 재봉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790A KR20020031979A (ko) 2000-10-25 2000-10-25 재봉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979A true KR20020031979A (ko) 2002-05-03

Family

ID=1969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790A KR20020031979A (ko) 2000-10-25 2000-10-25 재봉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197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4171A (ko) * 1987-05-23 1988-12-23 김치중 가죽의류 봉재에 있어서 원단의 시접방법과 장치
KR910008206A (ko) * 1989-10-31 1991-05-30 야마오까 다테오 재봉틀의 바늘질감 자동공급장치
KR950011636U (ko) * 1993-10-26 1995-05-16 삼성물산 주식회사 양복용 포켓의 안감천 끝단 자동제작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4171A (ko) * 1987-05-23 1988-12-23 김치중 가죽의류 봉재에 있어서 원단의 시접방법과 장치
KR910008206A (ko) * 1989-10-31 1991-05-30 야마오까 다테오 재봉틀의 바늘질감 자동공급장치
KR950011636U (ko) * 1993-10-26 1995-05-16 삼성물산 주식회사 양복용 포켓의 안감천 끝단 자동제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45214B1 (en) Improved automatic machine for sewing different kinds of articles, especially articles made of leather
JPH0214867B2 (ko)
JPS6037210B2 (ja) 刺しゆう機械用の糸交換装置
CN110923966B (zh) 一种移料装置及袖叉机
US4459925A (en) Cycle sewing machine
KR20020031979A (ko) 재봉틀
KR101859880B1 (ko) 재봉기
US20120222595A1 (en) Punch needle and sewing machine
JPS627260Y2 (ko)
JPH088780Y2 (ja) 布ガイド付押えを備えたオーバロックミシン
WO2021106252A1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JPS6324873Y2 (ko)
JP3663739B2 (ja) ミシンの縫糸処理装置
JPH02133Y2 (ko)
JPS6231102Y2 (ko)
US2652014A (en) Sewing machine for stitching leather cases
JPS6237561Y2 (ko)
JPH0332693A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の空環巻込み装置
US3082716A (en) Sewing machines attachment for the sewing of resilient workpieces
JPH0418549Y2 (ko)
JPH0724715B2 (ja) 自動糸通し可能なミシン
JPH09294887A (ja) ミシンの被縫製物の縫いずれ防止装置
JPH0748228Y2 (ja) 縫着片折り曲げ装置
JP3961307B2 (ja) ボタン取付装置
JPS6026148Y2 (ja) 筒状乃至袋状繊維製品刺しゆう用枠の枠張り作業における被刺しゆう物めくり返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