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880B1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880B1
KR101859880B1 KR1020170113823A KR20170113823A KR101859880B1 KR 101859880 B1 KR101859880 B1 KR 101859880B1 KR 1020170113823 A KR1020170113823 A KR 1020170113823A KR 20170113823 A KR20170113823 A KR 20170113823A KR 101859880 B1 KR101859880 B1 KR 101859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sewing machine
fixed state
fabric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길
Original Assignee
조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길 filed Critical 조한길
Priority to KR102017011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서, 직물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미끄럼판 상에 노출되는 톱니와, 상기 톱니 상에서 직물을 펴주는 노루발과, 상기 노루발 사이로 바느질을 수행하는 바늘을 포함하는 재봉기 본체; 상기 재봉기 본체가 고정되는 재봉기 상판; 및 상기 재봉기 상판에 수용되는 제1 고정상태와, 상기 직물의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띠형 심지의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톱니와 노루발 사이로 공급하는 제2 고정상태로 구비되는 심지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심지제공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심지제공부 몸체;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 상에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상태에서 상기 띠형 심지를 경유시킴으로써 공급방향을 전환시키는 심지전환부;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의 하부로 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의 하부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단부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이부가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봉기 상판은, 상기 제1 고정상태에서 상기 재봉기 상판과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의 상부면이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에 형합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고정상태에서 상기 지지부를 수용가능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제1 고정상태에서 상기 삽입부를 수용가능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상태에서는,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가 제1 고정상태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제3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재봉기 상판의 상부면에 거치되고, 상기 제3 수용부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상의 연장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상태에서 걸이부가 수용 및 고정된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와 심지를 용이하게 재봉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재봉기는 재봉틀, 채본기라고도 한다. 1851년 미국의 I.M.싱어가 HA형(표준형) 가정용 재봉기를 개발한 이래 HL형(직진봉)?ZU형(지그재그봉)?프리암형(소매통 재봉이 쉬운 것)의 순으로 개발되었다. 의류생산의 공업화 진전에 따라 각종 공업용 재봉기가 개발되었고 전문화?자동화되어 무려 5,000 이상의 종류가 개발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봉기는 크랭크 지점에 힘을 가하면 사각(四角)의 원리에 의하여 각 부분품에 같은 힘이 전달되어 바늘대와 하축이 동시에 움직임으로써 바늘 끝부분에서 재봉이 이루어진다. 재봉기는 몸체,암샤프트,실채기계통,북,피드(feed) 등 150~200개의 부분품으로 구성되는데 그 하나하나에 100분의 1mm의 오차가 있더라도 재봉이 되지 않는다. 공업용 재봉기는 분당 5,000~1만 침 사이이고 구동축의 회전속도는 분당 1만~2만 회전하는 정밀기계이다. 재봉기는 사용자의 관리 여하에 따라 영구성 기계이다.
한편, 심지는 의복의 실루엣을 바로 잡고, 겉천을 매끄럽게 하면서 옷의 형태가 무너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옷 속에 넣는 감을 말한다. 심이 들어가는 곳에 따라서 앞심, 등심, 어깨심, 벨트심 등으로 구분되며, 또한 소재의 종류에 따라 모심, 면심 등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접착심지는 심지의 일종으로서 직물, 니트, 부직포 등의 기포(基布) 한쪽면이나 양면에 열가소성의 합성 수지계 접착제를 접착하고 가열, 압착하여 만들어낸 심지를 말한다.
이와 같은 심지 또는 접착심지를 의류와 함께 재봉하기 위해서는 의류 내 심지를 위치시키는 것뿐 아니라 재봉의 방향에 맞추어 심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야 한다. 심지의 초기 위치가 잘못되거나 심지가 정렬된 의류 내에 정방향으로 공급되지 못하고 삐뚤게 공급되는 경우에는 재봉선이 바르게 형성되지 못하고 불량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심지 재봉 작업 이외의 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불편함을 끼치지 않는 구졸르 구비하는 재봉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단과 함께 재봉 되는 심지를 일정하게 공급하면서도 사용자의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재봉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공되는 심지가 특정 방향으로 쏠리거나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구비하는 재봉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는 직물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미끄럼판 상에 노출되는 톱니와, 상기 톱니 상에서 직물을 펴주는 노루발과, 상기 노루발 사이로 바느질을 수행하는 바늘을 포함하는 재봉기 본체; 상기 재봉기 본체가 고정되는 재봉기 상판; 및 상기 재봉기 상판에 수용되는 제1 고정상태와, 상기 직물의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띠형 심지의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톱니와 노루발 사이로 공급하는 제2 고정상태로 구비되는 심지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심지제공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심지제공부 몸체;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 상에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상태에서 상기 띠형 심지를 경유시킴으로써 공급방향을 전환시키는 심지전환부;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의 하부로 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의 하부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단부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이부가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봉기 상판은, 상기 제1 고정상태에서 상기 재봉기 상판과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의 상부면이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에 형합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고정상태에서 상기 지지부를 수용가능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제1 고정상태에서 상기 삽입부를 수용가능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상태에서는,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가 제1 고정상태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제3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재봉기 상판의 상부면에 거치되고,
상기 제3 수용부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상의 연장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상태에서 걸이부가 수용 및 고정된다.
또한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는 상면에 상기 심지전환부가 수용 및 고정되는 심지전환부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지전환부 수용홈은 상기 제2 고정상태에서 상기 재봉기 본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지지부와 형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지전환부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관형의 마찰 저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저감부재는 상기 띠형 심지의 공급 시 상기 심지전환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여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재봉 대상인 2겹의 원단 중 하부의 원단은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의 원단은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겹친 상태에서 상기 방향이 전환된 심지와 함께 상기 노루발 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띠형 심지의 공급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지제공부를 통하여 원단과 함께 재봉되는 심지를 일정하게 공급하면서도 사용자의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특정 원단의 제공 후 심지를 절단하는 경우에도 심지가 심지제공부로부터 풀리어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는 심지제공부를 작업 여부에 따라 돌출시키거나 돌출되지 않도록 숨김으로써 다양한 종류에 따른 재봉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심지제공부의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제공되는 심지가 특정 방향으로 쏠리거나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또한 심지가 가이드 관을 통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도 심지가 이동 경로 내에서 걸리거나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의 심지 재봉상태에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의 타 재봉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에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제공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제공부의 고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를 이용하여 특정 원단에 심지를 이용하여 재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의 심지 재봉상태에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의 타 재봉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에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10)는 재봉기 본체(50), 재봉기 상판(60), 재봉기 지지부(65), 심지 제공부(100) 및 수용부(200)를 포함한다.
재봉기 상판(60)과 재봉기 지지부(65)는 재봉기 본체(50)를 지지하며, 재봉기 본체(50)와 함께 재봉기의 외형을 형성한다.
재봉기 상판(60)은 재봉 대상인 원단등이 거치된 상태에서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재봉기 지지부(65)는 재봉기 상판(60)과 재봉기 본체(50)를 지지하는 구성부이다. 다만, 재봉기 상판(60) 및 재봉기 지지부(65)는 그 형상에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재봉기 상판(60)과 재봉기 지지부(65)가 외형면에서 구분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반대로 재봉기 상판(60)과 재봉기 지지부(65)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외형면에서의 특징이 구분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봉기 본체(50)는 종래의 재봉기와 큰 차이가 없으며, 종래에 알려진 어떠한 방식의 재봉기 본체도 채용이 가능하다. 즉, 재봉기의 종류 및 방식에 따른 제한은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 본체(50)는 노루발(52)을 포함한다. 노루발(52)은 노루발 지지부(51)를 통하여 재봉기 본체(50)에 연결된다. 노루발(52)은 재봉을 하는 동안 직물을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노출되는 톱니 상에 직물을 편평하게 펴 주는 부분을 의미한다. 직물은 톱니 상에 노루발(52)을 통하여 편평하게 펴진 상태에서 바늘(53)을 이용하여 재봉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전후좌우 등 방향을 설명하는 용어들을 노루발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노루발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노루발을 기준으로 좌우측을 의미한다. '앞' 또는 '전' 등은 작업자와 노루발 사이 또는 노루발로부터 작업자를 향하는 방향을 위미하며, '뒤' 또는 '후' 등은 노루발을 기준으로 작업자의 반대측 또는 그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심지제공부(100)는 사용자의 타측으로부터 제공되는 띠형 심지(20)의 방향을 전환하고 재봉기 상판(60) 및/또는 미끄럼판(55)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구성부이다. 즉, 심지전환부(110)는 작업자의 반대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심지의 방향을 앞으로부터 뒤쪽으로 되돌림 전환하여 노루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부이다. 심지제공부(100)에 대하여는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재봉기 상판(60)에는 노루발(52)의 인근에 핑거가이드부(61)가 형성된다. 핑거가이드부(61)는 원단의 진행방향, 즉 재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원단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홈 또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핑거가이드부(61)는 원단과의 마찰 또는 간섭을 줄이도록 연속적인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재봉기 상판(60)에 원단이 놓여진 상태에서 원단을 정렬한 후 재봉 과정에서 원단을 일정한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원단을 재봉기 상판(60)에서 누르는 방식으로 파지한다. 이후 검지 또는 중지 등을 이용하여 원단이 개재된 상태에서 핑거가이드부(61)를 감지한 후 핑거가이드부(61)를 따라 원단을 밀어올리게 된다. 사용자가 핑거가이드부(61)를 따라 밀어올림으로써 원단이 잘못된 방향으로 밀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여지를 줄이게 된다. 또한 핑거가이드부(61)를 따라 밀어올리는 손의 타측 손을 이용하여 원단을 고르게 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심지를 이용한 원단의 재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재봉의 품질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10)는 두 가지의 상태로 이용이 가능하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 심지(20)를 이용하여 재봉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심지제공부(100)를 재봉기 상판(60)의 상부로 노출 및 돌출되도록 고정시키는 이용상태가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의 이용상태 또는 심지제공부(100)의 고정상태를 제2 고정상태라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를 이용한 재봉 작업 이외의 작업 또는 심지를 이용한 재봉 작업을 더 이상 하지 않는 경우의 재봉기(10) 이용상태에서는 심지 제공부(100)를 재봉기 상판(60)에 수용하여 심지 제공부(100)와 재봉기 상판(60)의 상부면이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 경우 심지제공부(100)가 재봉기 상판(60)의 상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타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러한 도 2의 이용상태 또는 심지제공부(100)의 수용상태를 제1 고정상태라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제공부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제공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지제공부(100)는 심지제공부 몸체(101), 심지전환부(111), 마찰저감부재(110), 지지부(103), 및 삽입부(105)를 포함한다.
심지제공부(100)는 재봉기 상판에 수용되는 제1 고정상태와, 직물의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띠형 심지의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톱니와 노루발 사이로 공급하는 제2 고정상태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심지제공부 몸체(10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심지제공부의 외형을 형성한다. 심지제공부 몸체(101)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에는 심지전환부 수용홈(115)가 형성된다. 심지전환부 수용홈(115)은 제2 고정상태에서 재봉기 본체측 방향 및 심지제공부 몸체(101)의 일측 단부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지전환부(111)는 심지제공부 몸체(101) 상에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심지전환부 수용홈(115) 내측에 구비된다. 심지전환부(111)가 심지전환부 수용홈(115) 내측에 구비되는 경우 띠형 심지를 이용한 재봉 작업 이외의 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재봉기 상판 위로 돌출되는 구성이 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심지전환부(111)는 심지제공부 몸체(101)의 폭방향, 구체적으로는 심지의 공급 방향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횡방향으로 구비된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된다. 심지전환부(111)는 제2 고정상태에서 띠형 심지를 경유시킴으로써 공급방향을 전환시킨다.
심지전환부(111)의 둘레에는 띠형 심지와의 마찰을 줄이도록 심지전환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마찰저감부재(110)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찰 저감부재(110)는 띠형 심지의 공급 시 심지전환부(11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여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지지부(103) 및 삽입부(105)는 심지제공부 몸체(101)의 하부로 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105)는 심지제공부 몸체(101)의 폭방향 모서리 부분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심지제공부 몸체(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105)의 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이부(105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1051)는 삽입부(105)의 단부로부터 심지제공부 몸체(10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다.
지지부(103)는 삽입부(105)에 비하여 심지제공부 몸체(101)의 중앙측으로 위치하며, 심지제공부 몸체(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갖는 돌출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103)와 삽입부(105)는 연속적으로 돌출된 일정 길이의 돌출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일정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제공부의 고정상태 및 심지제공부가 안착되는 대응 구조를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제공부의 고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 상판(60)에는 수용부(200)가 형성된다. 수용부(200)는 도 2에 도시된 제1 고정상태에서 심지제공부(100)를 수용하여 재봉기 상판(60)과 심지제공부 몸체(101)의 상부면이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심지제공부 몸체(101)에 형합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용부(200)는 제1 수용부(201), 제2 수용부(203) 및 제3 수용부(205)를 포함한다. 제1 수용부(201)는 심지제공부 몸체(10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심지제공부 몸체(101)와 형합하도록 형성되고, 제2 수용부(203)는 제1 고정상태에서 지지부(103)를 수용가능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수용부(203)는 지지부(103)와 형합하도록 형성될 필요는 없으나, 외관면에서 또는 제1 고정상태에서 임의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2 수용부(203)는 지지부(103)에 형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수용부(205)는 전술한 삽입부(105)를 수용할 수 있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수용부(205)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상의 연장홈(2051)이 형성되어, 제2 고정상태에서 삽입부(105)의 걸이부(1051)가 수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3 수용부(205) 및 삽입부(105)의 결합관계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심지를 이용한 재봉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2의 제1 고정상태로부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제공부(100)를 상향 들어올려 재봉기 상판(60)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며, 이후 도 7데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제공부 몸체(101)를 수평면 상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다. 이후 심지제공부(100)를 하강시켜 심지제공부(100)의 삽입부(105)가 제3 수용홈(205)에 수용 또는 삽입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고정상태에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05)와 걸이부(1051)가 제3 수용홈(205)에 수용된다. 이 후 제2 고정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05)가 상부로 들어올려진 후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을 바꾸어 재 삽입된다. 이 때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1051)가 연장홈(2051) 내로 삽입되도록 심지제공부를 이동시킨다.
한편, 제3 수용홈(205)의 저면의 높이와 연장홈(2051)의 저면의 높이의 차는 앞서 설명한 지지부(103)의 두께에 비하여 같거나 커야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를 이용한 심지 재봉작업과정을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를 이용하여 특정 원단에 심지를 이용하여 재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제공부(100)를 제2 고정상태로 고정시킨 후 심지(20)를 심지제공부(100) 또는 마찰저감부재(110)를 경유하여 재봉기 본체(50)의 노루발 측으로 공급한다. 이 때 심지(20)의 단부는 노루발의 하단부를 지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 대상인 원단(Fb)을 재봉작업을 위하여 위치시킨다. 이 때 2겹의 원단(Fb) 중 하부의 원단(Fba)은 심지전환부(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의 원단(Fbu)은 심지전환부(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겹친 상태에서 방향이 전환된 심지(20)와 함께 상기 노루발 측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작업자는 이 과정에서 원단 등을 손으로 펴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원단(Fb)과 심지(20)가 고르게 재봉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기 본체(50)를 작동시켜 재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원단(Fb) 상으로 핑거 가이드부(61)를 검지 또는 중지 등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밀어올림으로써 원단을 최대한 바른 방향으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후 재봉이 진행되어 원단(Fb) 끝까지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는 원단(Fb)과 노루발 사이의 심지(20)를 커팅함으로써 다음 재봉 작업을 준비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 재봉기
50: 재봉기 본체
60: 재봉기 상판
61: 핑거가이드부
100: 심지제공부
101: 심지제공부 몸체
103: 지지부
105: 삽입부
111: 심지전환부
110: 마찰 저감부재

Claims (8)

  1. 직물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미끄럼판 상에 노출되는 톱니와, 상기 톱니 상에서 직물을 펴주는 노루발과, 상기 노루발 사이로 바느질을 수행하는 바늘을 포함하는 재봉기 본체;
    상기 재봉기 본체가 고정되는 재봉기 상판; 및
    상기 재봉기 상판에 수용되는 제1 고정상태와, 상기 직물의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띠형 심지의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톱니와 노루발 사이로 공급하는 제2 고정상태로 구비되는 심지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심지제공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심지제공부 몸체;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 상에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상태에서 상기 띠형 심지를 경유시킴으로써 공급방향을 전환시키는 심지전환부;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의 하부로 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의 하부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단부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이부가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봉기 상판은,
    상기 제1 고정상태에서 상기 재봉기 상판과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의 상부면이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에 형합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고정상태에서 상기 지지부를 수용가능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수용부;
    상기 제1 고정상태에서 상기 삽입부를 수용가능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상태에서는,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가 제1 고정상태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제3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재봉기 상판의 상부면에 거치되고,
    상기 제3 수용부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상의 연장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상태에서 걸이부가 수용 및 고정되는 재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는 상면에 상기 심지전환부가 수용 및 고정되는 심지전환부 수용홈이 형성되는 재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전환부 수용홈은 상기 제2 고정상태에서 상기 재봉기 본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재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지지부와 형합하도록 형성되는 재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재봉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전환부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관형의 마찰 저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저감부재는 상기 띠형 심지의 공급 시 상기 심지전환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여 마찰을 감소시키는 재봉기.
  7. 제1항에 있어서,
    재봉 대상인 2겹의 원단 중 하부의 원단은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의 원단은 상기 심지제공부 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겹친 상태에서 상기 방향이 전환된 심지와 함께 상기 노루발 측으로 제공되는 재봉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띠형 심지의 공급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재봉기.
KR1020170113823A 2017-09-06 2017-09-06 재봉기 KR101859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23A KR101859880B1 (ko) 2017-09-06 2017-09-06 재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23A KR101859880B1 (ko) 2017-09-06 2017-09-06 재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880B1 true KR101859880B1 (ko) 2018-05-18

Family

ID=6245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823A KR101859880B1 (ko) 2017-09-06 2017-09-06 재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7402A (zh) * 2018-07-11 2018-10-19 吴江市震宇缝制设备有限公司 一种缝纫机用防尘吹风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101B1 (ko) 2016-08-09 2017-04-18 조한길 재봉기
KR101734961B1 (ko) 2016-08-09 2017-05-12 조한길 재봉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101B1 (ko) 2016-08-09 2017-04-18 조한길 재봉기
KR101734961B1 (ko) 2016-08-09 2017-05-12 조한길 재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7402A (zh) * 2018-07-11 2018-10-19 吴江市震宇缝制设备有限公司 一种缝纫机用防尘吹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9230B1 (en) Automatic multi-function multi-needle sewingmachine and relative sewing method
JPH078658A (ja) 重ね縫いを行うための装置、重ね縫いを行う機構を備えたミシン、並びに重ね縫いを行う方法
KR101734961B1 (ko) 재봉기
KR101859880B1 (ko) 재봉기
KR101859879B1 (ko) 재봉기
KR101724101B1 (ko) 재봉기
KR101987998B1 (ko) 옷감의 봉제 방법 및 더블 체인 스티치 재봉틀
JPS6115805Y2 (ko)
TWI703250B (zh) 縫紉機及縫製裝置、以及縫製方法
CN107700083B (zh) 一种缝纫装置及缝纫方法
JP5160030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及びボタン付け方法
US4393799A (en) Attachment of knitted fabric strip to a piece of fabric
KR101403225B1 (ko) 다양한 스티치들의 타입과 레이아웃 이용하여 직물을재봉하기 위한 다기능 재봉기
US4524707A (en) Device for feeding and sewing a trimming ribbon to a garment part
US44857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ing opposed garment edges simultaneously
US2346637A (en) Sewing machine
US2180424A (en) Cutting and hemming and stitching apparatus
CN215668477U (zh) 打皱拷边拼缝压脚及缝纫机
US2885986A (en) Sewing machine throat plates
JP6099378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US1855139A (en) Work-guiding device for sewing machines
JP2554126Y2 (ja) ゴム編み地の縫製治具
JPH0744312Y2 (ja) ミシンの落し縫い用具
JP2003111989A (ja) リブ地の縫合方法及びそのミシン
US2697994A (en) Attachment for sew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