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961B1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961B1
KR101734961B1 KR1020160101505A KR20160101505A KR101734961B1 KR 101734961 B1 KR101734961 B1 KR 101734961B1 KR 1020160101505 A KR1020160101505 A KR 1020160101505A KR 20160101505 A KR20160101505 A KR 20160101505A KR 101734961 B1 KR101734961 B1 KR 101734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fabric
sewing machine
sew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길
Original Assignee
조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길 filed Critical 조한길
Priority to KR102016010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는 직물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미끄럼판 상에 노출되는 톱니와, 상기 톱니 상에서 직물을 펴주는 노루발과, 상기 노루발 사이로 바느질을 수행하는 바늘을 포함하는 재봉기 본체; 및 상기 직물의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띠형 심지의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톱니와 노루발 사이로 공급하는 심지전환부와, 상기 띠형 심지를 상기 미끄럼판 및 상기 재봉기의 상판으로터 이격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심지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지제공부를 통하여 원단과 함께 재봉되는 심지를 일정하게 공급하면서도 사용자의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특정 원단의 제공 후 심지를 절단하는 경우에도 심지가 심지제공부로부터 풀리어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와 심지를 용이하게 재봉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재봉기는 재봉틀·채본기라고도 한다. 1851년 미국의 I.M.싱어가 HA형(표준형) 가정용 재봉기를 개발한 이래 HL형(직진봉)·ZU형(지그재그봉)·프리암형(소매통 재봉이 쉬운 것)의 순으로 개발되었다. 의류생산의 공업화 진전에 따라 각종 공업용 재봉기가 개발되었고 전문화·자동화되어 무려 5,000 이상의 종류가 개발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봉기는 크랭크 지점에 힘을 가하면 사각(四角)의 원리에 의하여 각 부분품에 같은 힘이 전달되어 바늘대와 하축이 동시에 움직임으로써 바늘 끝부분에서 재봉이 이루어진다. 재봉기는 몸체·암샤프트·실채기계통·북·피드(feed) 등 150~200개의 부분품으로 구성되는데 그 하나하나에 100분의 1mm의 오차가 있더라도 재봉이 되지 않는다. 공업용 재봉기는 분당 5,000~1만 침 사이이고 구동축의 회전속도는 분당 1만~2만 회전하는 정밀기계이다. 재봉기는 사용자의 관리 여하에 따라 영구성 기계이다.
이와 같은 재봉기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0366호 "재봉틀용 침판"을 들 수 있다.
한편, 심지는 의복의 실루엣을 바로 잡고, 겉천을 매끄럽게 하면서 옷의 형태가 무너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옷 속에 넣는 감을 말한다. 심이 들어가는 곳에 따라서 앞심·등심·어깨심·벨트심 등으로 구분되며, 또한 소재의 종류에 따라 모심·면심 등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접착심지는 심지의 일종으로서 직물, 니트, 부직포 등의 기포(基布) 한쪽면이나 양면에 열가소성의 합성 수지계 접착제를 접착하고 가열, 압착하여 만들어낸 심지를 말한다.
이와 같은 심지 또는 접착심지를 의류와 함께 재봉하기 위해서는 의류 내 심지를 위치시키는 것뿐 아니라 재봉의 방향에 맞추어 심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야 한다. 심지의 초기 위치가 잘못되거나 심지가 정렬된 의류 내에 정방향으로 공급되지 못하고 삐뚤게 공급되는 경우에는 재봉선이 바르게 형성되지 못하고 불량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원단과 함께 재봉 되는 심지를 일정하게 공급하면서도 사용자의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재봉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공되는 심지가 특정 방향으로 쏠리거나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구비하는 재봉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는 직물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미끄럼판 상에 노출되는 톱니와, 상기 톱니 상에서 직물을 펴주는 노루발과, 상기 노루발 사이로 바느질을 수행하는 바늘을 포함하는 재봉기 본체; 및 상기 직물의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띠형 심지의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톱니와 노루발 사이로 공급하는 심지전환부와, 상기 띠형 심지를 상기 미끄럼판 및 상기 재봉기의 상판으로 부터 이격 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심지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심지전환부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링부재; 상기 한 쌍의 링부재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한 쌍의 링부재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자체 하중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띠형 심지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는 사각의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심지의 공급 방향 및 상기 직물의 이동방향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직선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관형의 마찰 저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저감부재는 둘러 싸고 있는 상기 연결부재 또는 상기 가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종단면 기준으로 내측에 상기 심지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심지전환부로 공급되는 상기 심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의 상면 및 하면에는 횡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격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심지가 경유하는 장력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력유지부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링부재; 상기 한 쌍의 링부재 간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한 쌍의 링부재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는 제2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심지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심지전환부를 상기 미끄럼판 및 상기 재봉기 상판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재봉기 상판에 고정되는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심지전환부 측으로부터 상기 직물의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함께 절곡되어 동일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판에 인접하는 재봉기 상판에 상기 톱니에 의하여 직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돌출되거나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핑거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봉 대상인 2겹의 원단 중 하부의 원단은 상기 심지제공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의 원단은 상기 심지제공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겹친 상태에서 상기 방향이 전환된 심지와 함께 상기 노루발 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와 같은 재봉기를 이용하여 재봉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재봉방법은 재봉방향의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심지를 심지제공부에 경유시켜 방향을 전환시킨 후 노루발 측으로 공급되도록 준비하는 제1 단계; 하부 원단을 상기 심지제공부(100)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상부 원단을 상기 심지제공부(100)의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상부 원단 및 하부 원단을 편평하게 정렬하는 제2 단계; 재봉기 본체(50)를 작동시켜 재봉을 진행하는 제3 단계; 및 재봉이 완료된 후 상기 상부 원단 및 하부 원단에 재봉되고 잔존하는 심지를 절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심지 중 상기 봉재된 원단과 상기 노루발 사이의 위치에서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지제공부를 통하여 원단과 함께 재봉되는 심지를 일정하게 공급하면서도 사용자의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특정 원단의 제공 후 심지를 절단하는 경우에도 심지가 심지제공부로부터 풀리어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심지제공부의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제공되는 심지가 특정 방향으로 쏠리거나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또한 심지가 가이드 관을 통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도 심지가 이동 경로 내에서 걸리거나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 제공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초기 심지를 위치시키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심지 제공부가 형성하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지 제공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지 제공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재봉기의 심지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의 심지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포함되는 가이드관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관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 내지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를 이용하여 특정 원단에 심지를 이용하여 재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는 재봉기 본체(50), 재봉기 상판(60), 재봉기 지지부(65) 및 심지 제공부(100)를 포함한다.
재봉기 상판(60)과 재봉기 지지부(65)는 재봉기 본체(50)를 지지하며, 재봉기 본체(50)와 함께 재봉기의 외형을 형성한다.
재봉기 상판(60)은 재봉 대상인 원단등이 거치된 상태에서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재봉기 지지부(65)는 재봉기 상판(60)과 재봉기 본체(50)를 지지하는 구성부이다.
재봉기 본체(50)는 종래의 재봉기와 큰 차이가 없으며, 종래에 알려진 어떠한 방식의 재봉기 본체도 채용이 가능하다. 즉, 재봉기의 종류 및 방식에 따른 제한은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 본체(50)는 노루발(52)을 포함한다. 노루발(52)은 노루발 지지부(51)를 통하여 재봉기 본체(50)에 연결된다. 노루발(52)은 재봉을 하는 동안 직물을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노출되는 톱니 상에 직물을 편평하게 펴 주는 부분을 의미한다. 직물은 톱니 상에 노루발(52)을 통하여 편평하게 펴진 상태에서 바늘(53)을 이용하여 재봉된다.
심지제공부(100)는 사용자의 타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심지의 방향을 전환하고 재봉기 상판(60) 및/또는 미끄럼판(55)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구성부이다. 심지제공부(100)에 대하여는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재봉기 상판(60)에는 노루발(52)의 인근에 핑거가이드부(61)가 형성된다. 핑거가이드부(61)는 원단의 진행방향, 즉 재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원단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홈 또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핑거가이드부(61)는 원단과의 마찰 또는 간섭을 줄이도록 연속적인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재봉기 상판(60)에 원단이 놓여진 상태에서 원단을 정렬한 후 재봉 과정에서 원단을 일정한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원단을 재봉기 상판(60)에서 누르는 방식으로 파지한다. 이후 검지 또는 중지 등을 이용하여 원단이 개재된 상태에서 핑거가이드부(61)를 감지한 후 핑거가이드부(61)를 따라 원단을 밀어올리게 된다. 사용자가 핑거가이드부(61)를 따라 밀어올림으로써 원단이 잘못된 방향으로 밀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여지를 줄이게 된다. 또한 핑거가이드부(61)를 따라 밀어올리는 손의 타측 손을 이용하여 원단을 고르게 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심지를 이용한 원단의 재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재봉의 품질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제공부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 제공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초기 심지를 위치시키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8은 심지 제공부가 형성하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전후좌우 등 방향을 설명하는 용어들을 노루발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노루발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노루발을 기준으로 좌우측을 의미한다. '앞' 또는 '전' 등은 작업자와 노루발 사이 또는 노루발로부터 작업자를 향하는 방향을 위미하며, '뒤' 또는 '후' 등은 노루발을 기준으로 작업자의 반대측 또는 그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심지제공부(100)는 심지전환부(110)와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심지전환부(110)는 작업자의 반대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심지의 방향을 앞으로부터 뒤쪽으로 되돌림 전환하여 노루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심지전환부(110)는 수직사각링(111), 링부재(113) 및 연결부재(115)를 포함한다. 링부재(113)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중앙의 관통된 구멍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한 쌍의 링부재(113) 간은 바 형의 연결부재(115)로 연결된다.
수직사각링(111)은 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때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측면 부분은 가이드부재라 하고,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상부와 하부의 부분을 가압부재라 정의한다. 수직사각링(111)은 가이드부재가 상술한 링부재(113) 내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로 한 쌍의 링부재(113)와 결합한다.
즉, 수직사각링(111)은 측면의 가이드부재가 링부재(113)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나,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직사각링(111)은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아래로 힘을 받아 내려간 상태가 되며, 수직사각링(111) 중 상부의 가압부재가 연결부재(115)의 상단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 가압부재와 연결부재(115) 사이에 심지가 위치하는 경우 해당 심지를 수직사각링(111)의 하중으로 가압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부재와 가압부재는 위와 같이 수직사각링(111)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기능이 유지되는 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120)는 심지전환부(110)를 재봉기 상판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시키는 구성부이다. 따라서 지지부(120)는 심지전환부(110)와 심지전환부(110)로부터 공급되는 띠형 심지를 미끄럼판(55; 도 1 참조) 및 재봉기 상판(60)으로부터 이격시킨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20)는 연장부(121), 제3 절곡부(123) 및 부착부(125)를 포함한다. 부착부(125)는 재봉기 상판에 부착 고정이 가능 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 절곡부(123)는 수평방향으로는 작업자의 앞쪽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는 아래 방향으로 절곡되어 단차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제3 절곡부(123)는 지지부(120) 자체를 사용자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손이 왕복하는 데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심지전환부(110)를 재봉기 상판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재봉 대상인 원단의 일부가 심지전환부(110)의 아래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띠형으로 형성되는 심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15)와 수직사각링(111)의 하단의 가압부재 사이로 공급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15)와 수직사각링(111) 상단의 가압부재 사이로 진입하여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재봉기의 노루발 측으로 공급된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초기나 어느 한 원단의 재봉이 끝난 후 등 심지(20)의 단부가 절단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사각링(111)은 자체의 하중으로 연결부재(115)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심지(20)를 가압함으로써 심지(20)가 자체의 탄성이나 외부의 약한 충격에 의하여 수직사각링(11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심지제공부(110)의 방향을 설명한다. 도 8에서 a는 초기 심지의 공급방향을 의미하고, b는 방향전환된 심지가 노루발을 향하여 공급되는 방향(즉, 재봉 과정에서 직물의 이동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β는 방향 b에 대한 수직선분과 심지제공부(110)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을 의미한다. 즉, β는 작업자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부터 심지제공부(110)가 기울어진 각도를 의미한다.
이 때 작업자에 대한 수평 방향에 대하여 각도 β를 이루는 선분, 즉 심지제공부(110)의 길이방향(특히 연결부재(115))은 방향 a와 방향 b가 이루는 각(α)을 이등분하는 선분과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지제공부(110)의 길이 방향이 이와는 달리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심지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심지가 한측으로 몰리는 경향이 발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지제공부를 설명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지 제공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지제공부(110)는 연결부재(115)나 가압부재(특히 상부)에 외곽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마찰 저감부재(1151, 1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찰저감부재(1151)는 연결부재(115)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관형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찰저감부재(1151)는 연결부재(115)를 둘러싸는 상태에서 연결부재(115)를 중심으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비된다. 이 때 제1 마찰저감부재(1151)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115)와의 사이에 베어링 등의 부재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마찰저감부재(1111)는 수직사각링(111)의 상단 및/또는 하단의 가압부재를 둘러싸는 상태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비된다. 이외의 구성은 제1 마찰저감부재(1151)와 대동소이 하다.
제1 마찰저감부재(1151)와 제2 마찰저감부재(1111)는 심지(20)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지제공부를 설명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지 제공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지제공부(100a)는 지지부의 형상 면에서 앞서 설명한 심지제공부(100)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지제공부(100a)는 지지부가 제1 절곡부(122), 제2 절곡부(124) 및 부착부(12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절곡부(122)는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작업차의 앞쪽, 즉 재봉시 직물의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주요 특징이고, 제2 절곡부(124)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제1 절곡부(122)가 재봉기 상판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절곡부(122)는 재봉 대상인 원단의 파지 및 이동을 위하여 작업자의 손이 움직일 수 있는 작업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심지제공부(100a)의 경우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의 절곡된 부분이 개별적으로 구현되어 있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심지제공부(100)와는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지제공부(100a)의 경우 수평방향에서의 절곡부, 즉 제1 절곡부(122)가 심지제공부(110)에 인접하여 형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를 설명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재봉기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의 심지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포함되는 가이드관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관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10a)는 가이드관(20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관(200)은 종단면 형상이 사각인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관(200)을 관통하는 내측 공간부(210)로는 심지(20)가 관통한 상태로 이동하여 심지제공부(100) 측으로 이동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관(200)을 포함함으로써 심지(20)가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심지전환부(110)의 기울어진 방향이 일부 틀어지는 경우에도 심지(20)가 어느 한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관(200) 이외에도 장력유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력유지부(300)는 앞서 설명한 심지제공부(100)와 대동소이한 구성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장력유지부(300)는 제2 링부재(313), 제2 연결부재(315) 및 제2 수직사각링(311)을 포함한다.
제2 링부재(313)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중앙의 관통된 구멍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한 쌍의 제2 링부재(313) 간은 바 형의 제2 연결부재(315)로 연결된다.
제2 수직사각링(311)은 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때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측면 부분은 제2 가이드부재라 하고,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상부와 하부의 부분을 제2 가압부재라 정의한다. 제2 수직사각링(311)은 가이드부재가 상술한 제2 링부재(313) 내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로 한 쌍의 제2 링부재(313)와 결합한다.
즉, 제2 수직사각링(111)은 측면의 제2 가이드부재가 제2 링부재(313)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나,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수직사각링(311)은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아래로 힘을 받아 내려간 상태가 되며, 제2 수직사각링(311) 중 상부의 제2 가압부재가 제2 연결부재(315)의 상단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 제2 가압부재와 제2 연결부재(115) 사이에 심지가 위치하는 경우 해당 심지를 제2 수직사각링(111)의 하중으로 가압하게 된다. 제2 수직사각링(111)은 가이드관(200)을 통하여 공급되는 심지의 장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가이드관(200)의 상면 및 하면에는 도 1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돌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이격돌부(220)는 횡방향, 즉 가이드관(200)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갖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격돌부(220)는 재봉 대상인 원단과 가이드관(200)의 표면 전체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원단과 가이드관(200)과의 표면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이격돌부(220)가 위와 같이 가이드관(200)의 폭 방향(즉, 심지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돌출되거나, 재봉을 위하여 원단을 삽입하는 방향(작업자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원단의 초기 위치잡는 과정과 재봉 단계에서의 마찰력을 모두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격돌부(220)는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됨으로써 모서리를 최소화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를 이용하여 재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를 이용하여 특정 원단에 심지를 이용하여 재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20)를 심지제공부(100)를 경유하여 재봉기 본체(50)의 노루발 측으로 공급한다. 이 때 심지(20)의 단부는 노루발의 하단부를 지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 대상인 원단(Fb)을 재봉작업을 위하여 위치시킨다. 이 때 2겹의 원단(Fb) 중 하부의 원단(Fba)은 심지전환부(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의 원단(Fbu)은 심지전환부(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겹친 상태에서 방향이 전환된 심지(20)와 함께 상기 노루발 측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작업자는 이 과정에서 원단 등을 손으로 펴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원단(Fb)과 심지(20)가 고르게 재봉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기 본체(50)를 작동시켜 재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원단(Fb) 상으로 핑거 가이드부(61)를 검지 또는 중지 등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밀어올림으로써 원단을 최대한 바른 방향으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후 재봉이 진행되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Fb) 끝까지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는 원단(Fb)과 노루발 사이의 특정 심지(20) 부분(CL)을 커팅함으로써 다음 재봉 작업을 준비한다. 이 때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20)의 단부는 노루발의 뒤 편에 위치하게 되며, 노루발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도 심지제공부(100)가 심지(20)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심지제공부(100)를 이탈하지 않게 되며, 타 원단을 이용한 재봉 작업을 준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 재봉기
50: 재봉기 본체
60: 재봉기 상판
61: 핑거가이드부
100: 심지제공부
110: 심지전환부
111: 가압부재
120: 지지부
200: 가이드관

Claims (17)

  1. 직물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미끄럼판 상에 노출되는 톱니와, 상기 톱니 상에서 직물을 펴주는 노루발과, 상기 노루발 사이로 바느질을 수행하는 바늘을 포함하는 재봉기 본체; 및
    상기 직물의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띠형 심지의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톱니와 노루발 사이로 공급하는 심지전환부와, 상기 띠형 심지를 상기 미끄럼판 및 상기 재봉기의 상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심지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심지전환부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링부재;
    상기 한 쌍의 링부재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한 쌍의 링부재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재봉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자체 하중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띠형 심지를 가압하는 재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는 사각의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재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심지의 공급 방향 및 상기 직물의 이동방향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직선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는 재봉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관형의 마찰 저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저감부재는 둘러 싸고 있는 상기 연결부재 또는 상기 가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재봉기.
  7. 제1항에 있어서,
    종단면 기준으로 내측에 상기 심지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심지전환부로 공급되는 상기 심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을 구비하는 재봉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의 상면 및 하면에는 횡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격돌부가 형성되는 재봉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심지가 경유하는 장력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력유지부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링부재;
    상기 한 쌍의 링부재 간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한 쌍의 링부재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는 제2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재봉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심지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는 재봉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심지전환부를 상기 미끄럼판 및 상기 재봉기 상판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재봉기 상판에 고정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재봉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심지전환부 측으로부터 상기 직물의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는 재봉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함께 절곡되어 동일 영역에서 형성되는 재봉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판에 인접하는 재봉기 상판에 상기 톱니에 의하여 직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돌출되거나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핑거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재봉기.
  15. 제1항에 있어서,
    재봉 대상인 2겹의 원단 중 하부의 원단은 상기 심지제공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의 원단은 상기 심지제공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겹친 상태에서 상기 방향이 전환된 심지와 함께 상기 노루발 측으로 제공되는 재봉기.
  16. 제1항, 제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봉기를 이용하여 재봉하는 방법으로서,
    재봉방향의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심지를 심지제공부에 경유시켜 방향을 전환시킨 후 노루발 측으로 공급되도록 준비하는 제1 단계;
    하부 원단을 상기 심지제공부(100)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상부 원단을 상기 심지제공부(100)의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상부 원단 및 하부 원단을 편평하게 정렬하는 제2 단계;
    재봉기 본체(50)를 작동시켜 재봉을 진행하는 제3 단계; 및
    재봉이 완료된 후 상기 상부 원단 및 하부 원단에 재봉되고 잔존하는 심지를 절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재봉기를 이용한 재봉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심지 중 상기 재봉된 상부 및 하부 원단과 상기 노루발 사이의 위치에서 절단되는 재봉기를 이용한 재봉방법.
KR1020160101505A 2016-08-09 2016-08-09 재봉기 KR101734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505A KR101734961B1 (ko) 2016-08-09 2016-08-09 재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505A KR101734961B1 (ko) 2016-08-09 2016-08-09 재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961B1 true KR101734961B1 (ko) 2017-05-12

Family

ID=5874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505A KR101734961B1 (ko) 2016-08-09 2016-08-09 재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9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880B1 (ko) 2017-09-06 2018-05-18 조한길 재봉기
KR101859879B1 (ko) 2017-09-06 2018-05-18 조한길 재봉기
KR101968168B1 (ko) 2018-03-06 2019-08-1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봉제선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9718A (en) 1986-08-26 1988-04-26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sewing a waistband and applying it to a garment
JP2008086561A (ja) 2006-10-02 2008-04-17 Barudan Co Ltd 刺繍ミシン及び平テープの千鳥縫付け方法
KR101575700B1 (ko) 2015-08-06 2015-12-08 (주)성원아이엔지 원단 형상 변형 보조구와 다리미 장치와 재봉 유닛을 구비한 재봉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9718A (en) 1986-08-26 1988-04-26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sewing a waistband and applying it to a garment
JP2008086561A (ja) 2006-10-02 2008-04-17 Barudan Co Ltd 刺繍ミシン及び平テープの千鳥縫付け方法
KR101575700B1 (ko) 2015-08-06 2015-12-08 (주)성원아이엔지 원단 형상 변형 보조구와 다리미 장치와 재봉 유닛을 구비한 재봉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880B1 (ko) 2017-09-06 2018-05-18 조한길 재봉기
KR101859879B1 (ko) 2017-09-06 2018-05-18 조한길 재봉기
KR101968168B1 (ko) 2018-03-06 2019-08-1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봉제선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961B1 (ko) 재봉기
US10309046B2 (en) Seam structure for fabric
US20080245283A1 (en) Automatic Multi-Function Multi-Needle Sewing Machine, and Relative Sewing Method
JPH07108353B2 (ja) 種々の製品,特に皮革製品を縫製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自動機械
KR101724101B1 (ko) 재봉기
US2011512A (en) Method of binding the edges of knitted fabrics
KR101859880B1 (ko) 재봉기
KR101859879B1 (ko) 재봉기
JPH0323887A (ja) 多針ループステッチ縫ミシンの糸ループ形成装置
US6167825B1 (en) Equipment for sewing machines for obtaining a flat seam when joining pieces of sheer knit fabric
KR101777091B1 (ko) 와이셔츠 재봉용 선택적 가이드장치를 가지는 재봉틀
US4271768A (en) Assembly for forming piped-edge openings in a fabric workpiece
US4524707A (en) Device for feeding and sewing a trimming ribbon to a garment part
US45261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ntyhose
US2208992A (en) Sewing machine and attachment therefor
KR101360013B1 (ko) 탄성밴드 부착용 미싱
US2180424A (en) Cutting and hemming and stitching apparatus
JP2010051429A (ja) ミシンの押え及びブラインドステッチ縫い目用の縫製方法
SK78097A3 (en) Device for decorative sewing of different kinds of articles, especially articles made of leather
RU2584108C2 (ru) Швей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сшива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указанной швейной машины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ух перекрывающихся отворотов тексти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SK77997A3 (en) Improved device for sewing two articles, in particular leather articles, with overlapped edges
JPH08103583A (ja) ニット製品縫製用ミシン装置
JPH0616605Y2 (ja) トップフィードミシン用押さえ装置
CN214032921U (zh) 一种缝纫机构
CN210916552U (zh) 一种包缝机辅助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