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168B1 - 봉제선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장치 - Google Patents

봉제선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168B1
KR101968168B1 KR1020180026532A KR20180026532A KR101968168B1 KR 101968168 B1 KR101968168 B1 KR 101968168B1 KR 1020180026532 A KR1020180026532 A KR 1020180026532A KR 20180026532 A KR20180026532 A KR 20180026532A KR 101968168 B1 KR101968168 B1 KR 101968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seam
sewing
need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묵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6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제선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재봉장치의 노루발과 바늘판 사이에서 배출되는 원피의 봉제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영상부, 그리고 추출된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고 결함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봉제선을 검사하고 결함 여부를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린다.

Description

봉제선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장치{Inspection Apparatus for sewingline and sew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봉제선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봉틀(Sewing machine)(이하, 재봉장치라 함)은 바늘에 실을 꿰어 천, 가죽, 종이 등을 짓거나 의류, 신발, 완구 등 생활용품을 만들기 위한 기계이며 대량생산방식의 봉제 산업을 태동시켰고 인간의 생활, 관습, 문화를 변화시키는 데 일등 공신이 되었으며 인간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재봉장치는 원피에 봉제선을 형성하는 바늘을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배치된 재봉본체, 바늘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원피를 지지하고 바늘이 통과하는 바늘판, 바늘판과 마주하는 재봉본체 부분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봉제선을 형성할 원피 주변을 눌러주는 노루발을 포함한다.
노루발이 원피를 누른 상태에서 실이 꿰어진 바늘이 노루발, 원피 및 바늘판을 통과하여 바늘판 아래에 배치된 밑실과 만나 원피에 봉제선을 형성하게 된다. 원피의 연속적인 유입으로 봉제선이 형성된 원피는 노루발과 바늘판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된다. 봉제선은 그 위치에 따라 원피 내부에 위치하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봉제선은 원피 품질에 있어 중요하므로 봉제 시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봉제 작업 시 봉제선 상태를 확인하기에는 작업성, 생산성 및 검사효과가 떨어지므로 대다수 최종 완제품 상태에서 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이에 LOT성 대량 불량이 발생하면 완제품 형태로 인한 수정이 불가하여 폐기해야 하므로 폐기에 따른 손실 비용으로 인한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등록특허 제10-1734961호 (2017.05.04.) 등록특허 제10-1737349호 (2017.05.12.)
본 발명은 원피에 봉제선을 형성하면서 실시간으로 봉제 상태를 검사하고, 결함 발생 시 작업자에게 즉시 알려줌으로 초기에 불량 발생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봉제선 검사장치는 재봉장치의 노루발과 바늘판 사이에서 배출되는 원피의 봉제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영상부, 그리고 추출된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고 결함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봉제선을 검사하고 결함 여부를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린다.
상기 봉제선 검사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결함 발생 시 작업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 음향 출력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봉제선 검사장치는 상기 영상부가 설치된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함 여부는, 추출된 상기 이미지에서 봉제선의 바늘땀 간격을 측정하고, 상기 바늘땀 간격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결함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결함 여부는 추출된 상기 이미지에서 봉제선이 기설정된 기준선 범위를 벗어나면 결함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장치는, 일측에 원피를 지지하는 바늘판이 배치된 테이블, 상기 테이블 위에 위치하여 일측이 상기 바늘판과 마주하고 타측이 상기 테이블 상측과 연결된 재봉본체, 상기 재봉본체 일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원피를 관통할 수 있는 바늘이 결합되는 바늘대, 상기 재봉본체 일측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바늘이 통과하는 상기 원피 주변을 누르는 누름부 및 전술한 봉제선 검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재봉본체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바늘판을 향해 돌출된 누름대, 상기 누름대에서 상기 원피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늘이 통과하여 봉제선이 형성되는 상기 원피 주변을 누르는 전방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대에서 상기 원피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늘 통과로 봉제선이 형성된 원피 주변을 누르는 후방 누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누름부재는, 상기 누름대와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된 전방 결합부, 상기 전방 결합부에서 상기 원피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바늘이 통과하는 상기 원피 주변을 눌러주는 제1 내지 제3 전방 누름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바늘은 상기 제1 및 제2 전방 누름바 사이 또는 상기 제2 전방 누름바 및 제3 전방 누름바 사이를 통해 상기 원피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누름부재는, 상기 누름대와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된 후방 결합부, 상기 후방 결합부에서 상기 원피가 배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및 제2 후방 누름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봉제선은 상기 제1 및 제2 후방 누름바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봉제선 검사장치의 영상부는 상기 후방 누름부재 주변을 촬영하여 상기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누름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누름바 사이에 위치하여 후방 결합부재와 연결된 제3 후방 누름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봉제선은 상기 제1 및 제3 후방 누름바 사이 또는 상기 제2 후방 누름바 및 제3 후방 누름바 사이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재봉장치는 상기 원피가 배출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원피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에 의해 상기 누름부를 통과한 상기 원피는 휘어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봉제선 검사장치의 영상부가 촬영하는 상기 원피 부분이 왜곡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봉제선 검사장치를 통해 봉제선 결함 여부를 판별하고 결함 여부를 작업자에게 바로 알리므로 작업자는 결합에 바로 대처할 수 있다. 이에 초기에 불량 발생을 인지하고 대처하므로 불량 발생에 따른 비용을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가 제1 내지 제3 전방 누름바를 이용하여 봉제선을 형성할 원피 부분이 바늘 방향으로 반듯하게 유입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봉제선 위치 오류에 따른 결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결함 발생에 따른 비용과 작업에 대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누름대에 고정된 제2 고정부는 후방 결합부와 결합된다. 이에 제2 고정부의 결합으로 후방 누름부재는 누름대 상에서 핀을 기준으로 까닥거리지 않으므로 제1 및 제2 후방 누름바는 봉제선이 형성된 원피 부분을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다. 이에 봉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누름부재가 봉제선 주변의 원피를 누르고 있으므로 봉제선은 왜곡되지 않고 촬영되므로 봉제선에 대한 이미지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부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결함 판별 시 결함으로 판단되면 작업자에게 알린다. 알림부는 발광부와 음향 출력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를 통해 결함 발생을 숙지한 작업자는 실시간으로 봉제 위치를 보정하므로 결함을 즉각 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봉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4은 도 3의 누름부와 바늘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는 도 4의 누름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3의 후방 누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봉제선의 바늘땀 검사에 있어 정상 바늘땀과 불량 바늘땀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제선 검사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재봉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봉제선 검사장치가 적용된 재봉장치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봉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4은 도 3의 누름부와 바늘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는 도 4의 누름부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재봉장치(1)는 테이블(10), 재봉본체(20), 바늘대(30), 누름부(40) 및 봉제선 검사장치(60)를 포함하며 실시간으로 원피(100)의 봉제 상태를 검사하고, 결함 발생 시 작업자에게 즉시 알려줌으로 초기에 불량 발생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테이블(10)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일측에는 바늘이 통과하는 구멍과 톱니 부분이 튀어나오는 2개의 틈이 있는 바늘판(11)이 배치되어 있다. 바늘판(11)은 테이블(10)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바늘판(11)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바늘판(11) 내부에는 밑실이 감긴 실토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재봉본체(20)는 기둥과 암과 머리를 포함하며 기둥은 테이블(10) 타측 상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암은 기둥에서 테이블(10)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머리는 바늘판(11) 마주하며 암과 연결되어 있다. 기둥에는 땀 길이 조절기, 스위치, 밑실감개, 실패꽂이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암에는 땀 폭 조절기, 땀 모양 조절기, 바늘 위치 조절기 등이 배치되어 있고, 머리에는 실잡이, 실채기, 압력 조절 나사, 실 조절장치, 바늘(31)이 결합된 바늘대(30)가 배치되어 있다.
머리는 바늘판(11)과 이격되어 있으며 머리와 바늘판(11) 사이로 원피가 통과할 수 있다. 바늘대(30)에는 바늘(31)이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바늘대(30) 구동으로 바늘(31)은 승강하며 원피를 관통하여 바늘판(11)을 통과할 수 있다. 바늘(31)이 원피를 관통하여 밑실과 만나며 원피에 봉제선(10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테이블(10), 재봉본체(20) 및 바늘대(30)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 재봉틀(sewing machine)의 테이블, 재봉본체, 바늘구동부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6을 더 참고하면, 누름부(40)는 누름대(41), 전방 누름부재(42) 및 후방 누름부재(43)를 포함하며 재봉본체(20)의 머리에 배치되어 바늘 구동부와 이웃하며 승강 동작을 할 수 있으며 하강 시 바늘(31)이 통과하는 원피 주변을 눌러준다.
누름대(4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머리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이 바늘판(11)을 향해 노출되어 있다. 누름대(41)의 하단 중앙에는 원피(100)의 배출방향을 따라 관통된 결합홀(4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대(41)의 하단 중앙에는 원피(100)의 배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한 핀홀(41b)이 형성되어 있다. 핀홀(41b)과 결합홀(41a)은 연결되어 있다. 핀홀(41b)과 결합홀(41a)은 핀(411)이 관통한다.
누름대(41)는 승강할 수 있다. 누름대(41)의 승강 동작에 따른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 재봉틀의 바늘대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방 누름부재(42)는 전방 결합부(421), 제1 내지 제3 전방 누름바(422, 423, 424)를 포함하며 누름대(41) 하강 시 바늘이 통과하여 봉제선이 형성되는 원피(100) 주변을 눌러준다.
전방 결합부(421)는 결합홀(41a)에 분리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으며 핀홀(41b)과 중첩되는 부분에는 핀(411)이 관통하는 핀 관통홀(421a)이 형성되어 있다. 핀(411)의 관통으로 전방 누름부재(42)는 누름대(41)에 고정될 수 있다. 전방 결합부(421)의 일단과 타단은 결합홀(41a)을 벗어나 누름대(41)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전방 결합부(421)의 상면 중 결합홀(41a)을 벗어난 부분은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부(421b)는 누름대(41)의 외부둘레와 접하고 있다. 돌출부(421b)의 내부둘레가 누름대(41)의 외부둘레와 접하여 걸리므로 전방 누름부재(42) 핀(411)을 기준으로 까닥거리지 않는다.
제1 내지 제3 전방 누름바(422, 423, 424)는 전방 결합부(421) 하부와 연결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전방 누름바(422, 423, 424)는 원피(100)가 바늘판(11)과 누름부(40) 사이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전방 누름바(422, 423, 424)는 원피(100)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누름대(41) 하강으로 제1 내지 제3 전방 누름바(422, 423, 424) 하면은 봉제선(101) 형성을 위해 유입되는 원피(100)를 바늘판(11) 방향으로 누를 수 있다. 봉제선(101)을 형성할 원피(100) 부분은 제1 전방 누름바(422)와 제2 전방 누름바(423) 사이 또는 제2 전방 누름바(423)와 제3 전방 누름바(424) 사이를 통해 바늘(31) 아래로 유입되고 바늘(31)은 봉제선(101)을 형성할 원피(100) 부분을 관통한다. 이에 바늘(31)은 제1 전방 누름바(422)와 제2 전방 누름바(423) 사이 또는 제2 전방 누름바(423)와 제3 전방 누름바(424) 사이를 통과며 밑실과 만나며 원피(100)에 봉제선(101)을 형성한다.
작업자는 제1 내지 제3 전방 누름바(422, 423, 424)를 이용하여 봉제선(101)을 형성할 원피(100) 부분이 바늘(31) 방향으로 반듯하게 유입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봉제선(101) 위치 오류에 따른 결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후방 누름부재(43)는 후방 결합부(431), 제1 및 제2 후방 누름바(432, 433)를 포함하며 봉제선(101)이 형성되어 전방 누름부재(42)와 바늘판(11) 사이에서 배출되는 원피(100) 부분을 눌러준다.
후방 결합부(431)의 중앙 부분에는 원피(100)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관통된 누름대 공간(431a)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대 공간(431a)에는 누름대(41)의 하단이 위치하며 핀홀(41b)과 중첩된 부분에는 핀(411)이 관통하는 핀 관통홀(431b)이 형성되어 있다. 핀(411)의 관통으로 후방 누름부재(43)는 누름대(41) 하단에 고정된다.
한편, 후방 결합부(431) 하부측과 전방 결합부(421) 하부측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제1 및 제2 후방 누름바(432, 433)는 후방 결합부(431) 하부와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후방 누름바(432, 433)는 원피(100)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및 제2 후방 누름바(432, 433)는 원피(100)가 배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누름대(41) 하강으로 제1 및 제2 후방 누름바(432, 433) 하면은 봉제선(101) 주변의 원피(100)를 바늘판(11) 방향으로 눌러 들뜨지 않도록 한다. 원피(100)에 형성된 봉제선(101) 부분은 제1 및 제2 후방 누름바(432, 433) 사이로 배출된다.
한편, 도면 [도 7]을 더 참고하면 후방 누름부재(43)는 제3 후방 누름바(4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후방 누름바(434)는 제1 및 제2 후방 누름바(432, 433) 사이에 배치되어 후방 결합부(431)와 연결되어 있다. 제3 후방 누름바(434) 저면은 봉제선(101)이 형성된 원피(100) 주변을 눌러주어 들뜨지 않도록 한다. 원피(100)의 봉제선(101) 부분은 제1 및 제3 후방 누름바(432, 434) 사이 또는 제2 및 제3 후방 누름바(433, 434) 사이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면 [도 4], [도 6]을 다시 참고하면, 누름부(40)는 제1 및 제2 고정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44)는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 결합부(431)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제2 고정부(45)는 블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결합부(421)와 후방 결합부(431)의 상면에 걸쳐 놓여 있다. 제2 고정부(45) 중앙에는 누름대(41)가 관통하는 누름대 관통홀(451)이 상하 관통되어 있다. 누름대 관통홀(451)의 지름은 누름대(41)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 고정부(45)의 움직임 용이하다. 제2 고정부(45)에는 절개홀(4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홀(452)은 누름대 관통홀(451)과 연결되어 있다. 절개홀(452)의 간격은 조임수단(453)의 조임으로 좁혀질 수 있다. 절개홀(452) 조임 시 누름대 관통홀(451) 지름 또한 좁혀지게 되어 누름대 관통홀(451) 내부둘레는 누름대(41) 외부둘레와 밀착되며 제2 고정부(45)는 누름대(41)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고정부(45)에는 체결수단(454)이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관통하며 체결수단(454)은 후방 결합부(431)에 체결된다. 이에 누름대(41)에 고정된 제2 고정부(45)는 후방 결합부(431)와 결합된다. 제2 고정부(45)의 결합으로 후방 누름부재(43)는 누름대(41) 상에서 핀(411)을 기준으로 까닥거리지 않으므로 제1 및 제2 후방 누름바(432, 433)는 봉제선(101)이 형성된 원피(100) 부분을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다.
봉제선 검사장치(60)는 거치대(61), 영상부(62) 및 제어부(63)를 포함하며 원피(100)에 형성된 봉제선(101) 결함 여부를 판별하여 작업자에게 알려 작업자가 결함에 따른 보정을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거치대(6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프레임이 관절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거치대(61)의 프레임은 관절부분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어 각도 변경이 자유롭다. 거치대(61)의 일측은 재봉장치(1)가 설치된 작업대(200) 또는 재봉장치(1)에 연결될 수 있다. 거치대(61)는 클램프, 자석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거치대(61)의 타측은 재봉본체(20)의 머리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 [도 1], [도 2] 및 [도 5]를 다시 참고하면, 영상부(62)는 거치대(6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후방 누름부재(43) 주변 및 후방 누름부재(43)를 통과한 원피(100)에 대한 봉제선 이미지를 추출하며 송출한다. 후방 누름부재(43)가 봉제선(101) 주변의 원피(100)를 누르고 있으므로 봉제선(101)은 왜곡되지 않고 촬영되므로 봉제선(101)에 대한 이미지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영상부(62)는 원피(100)를 촬영하는 카메라, 추출된 이미지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제어부(63)는 영상부(62)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송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봉제선(101)의 결함 여부를 판별한다. 결함 여부는 추출되어 전송된 이미지에서 봉제선의 바늘땀 간격을 측정하고, 바늘땀 간격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결함으로 판별하며, 기분 범위 내에 위치하며 정상으로 판단한다. 예컨대 이웃한 바늘땀 간격이 1mm 미만이면 정상으로 판별하고 1mm를 초과하면 결함으로 판별할 수 있다. 바늘땀 간격은 디자인 및 기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결합 여부는 추출되어 전송된 이미지에서 봉제선이 기설정된 기준선 범위를 벗어나면 결함으로 판별하고 기준선 내에 위치하며 정상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선은 제1 내지 제3 후방 누름바(432, 433, 434)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제어부(53)에서 형성하는 가상의 직선일 수 있다. 기준선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기준선과 봉제선 간격이 1mm 미만 또는 2mm를 초과하면 결함으로 판별하고, 기준선과 봉제선 간격이 1mm 내지 2mm 사이에 위치하면 정상으로 판별할 수 있다. 기준선과 봉제선의 간격은 디자인 및 기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봉제선의 바늘땀이 (a)와 같이 바늘땀이 반듯하고 이웃한 바늘땀이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면 정상으로 판별하고, 바늘땀에 땀뜸발생(b), 땀 굴곡발생(c), 땀수이상(d), 이탈발생(e), 끊어짐발생(f) 및 장력이상(g)이 발생하면 불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봉제선 검사장치(60)는 알림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64)는 제어부(63)와 연결되어 있으며 결함 판별 시 결함으로 판단되면 작업자에게 알린다. 알림부(64)는 발광부 또는 음향 출력부일 수 있다. 그러나 알림부(64)는 발광부와 음향 출력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64)를 통해 결함 발생을 숙지한 작업자는 실시간으로 제봉 위치를 보정하여 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면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고하면 재봉장치(1)는 지지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봉제선이 형성되어 바늘판을 벗어난 원피는 재봉장치(1)가 놓인 작업대 위로 떨어진다. 이때 봉제선이 형성된 원피 부분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직선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떨어지면 영상부(62)가 봉제선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없으며 촬영 하더라도 이미지가 왜곡될 수 있다. 이에 봉제선이 형성된 원피 부분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직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바늘판(11) 상면을 연장하는 지지대(50)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대(50)는 바늘판(11)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지지대(50)에 의해 봉제선이 형성된 원피 부분이 지지되어 바늘판(11)에서 바로 떨어지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반듯하게 이동한 후 떨어지므로 영상부(62)는 왜곡되지 않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봉제선 결함 판별에 대한 오류가 최소화될 수 있다.
그러나 바늘판(11) 상면이 테이블(10) 상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 경우 지지대(50)는 원피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테이블(10)에 결합되어 테이블(10)의 상면을 연장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재봉장치(1)는 봉제선 검사장치(60)를 통해 바늘땀 간격을 관리하고 제어부의 저장 공간 내에 결합(오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에는 원피(제품) 재질 및 실 색상에 분석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고 저장된 알고리즘을 통해 원피의 결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영상 보정을 통한 원피와 유사한 색상의 실(봉사) 분석 및 검출이 가능하며, 지지대를 통해 원피 촬영이 용이하며 실시간 촬영으로 빠른 봉제 작업 중에도 결합 여부 판별이 가능하다. 원피를 촬영하는 영상부가 거치대의 지지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빠른 봉제 작업 중에 발생된 떨림 잔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알림부를 통해 결합 발생시 즉각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어 결합 발생에 따른 후속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원피 101: 봉제선
1: 재봉장치 10: 테이블
11: 바늘판 20: 재봉본체
30: 바늘대 31: 바늘
40: 누름부 41: 누름대
41a: 결합홀 41b: 핀홀
411: 핀 42: 전방 누름부재
421: 전방 결합부 421a, 431b: 핀 관통홀
421b: 돌출부 422: 제1 전방 누름바
423: 제2 전방 누름바 424: 제3 전방 누름바
43: 후방 누름부재 431: 후방 결합부
431a: 누름대 공간 432: 제1 후방 누름바
433: 제2 후방 누름바 434: 제3 후방 누름바
44: 제1 고정부 45: 제2 고정부
451: 누름대 관통홀 452: 절개홀
453: 조임수단 454: 체결수단
50: 지지대 60: 봉제선 검사장치
61: 거치대 62: 영상부
63: 제어부 64: 알림부

Claims (12)

  1. 재봉장치의 노루발과 바늘판 사이에서 배출되는 원피의 봉제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영상부,
    추출된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고 결함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결함으로 판단되면 작업자에게 알리는 알림부 및
    상기 재봉장치가 설치된 작업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영상부가 설치된 거치대
    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의 일측은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고, 상기 영상부가 설치된 타측은 상기 재봉장치의 머리 주변에 위치하여 재봉본체의 머리와 떨어져 있고, 상기 알림부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 음향 출력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인
    봉제선 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거치대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프레임이 관절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의 프레임은 관절부분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어 각도 변경이 가능한 봉제선 검사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결함 여부는, 추출된 상기 이미지에서 봉제선의 바늘땀 간격을 측정하고, 상기 바늘땀 간격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결함으로 판별하는 봉제선 검사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결함 여부는 추출된 상기 이미지에서 봉제선이 기설정된 기준선 범위를 벗어나면 결함으로 판별하는 봉제선 검사장치.
  7. 일측에 원피를 지지하는 바늘판이 배치된 테이블,
    상기 테이블 위에 위치하여 일측이 상기 바늘판과 마주하고 타측이 상기 테이블 상측과 연결된 재봉본체,
    상기 재봉본체 일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원피를 관통할 수 있는 바늘이 결합되는 바늘대,
    상기 재봉본체 일측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바늘이 통과하는 상기 원피 주변을 누르는 누름부 및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봉제선 검사장치
    를 포함하는
    재봉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재봉본체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바늘판을 향해 돌출된 누름대,
    상기 누름대에서 상기 원피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늘이 통과하여 봉제선이 형성되는 상기 원피 주변을 누르는 전방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대에서 상기 원피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늘 통과로 봉제선이 형성된 원피 주변을 누르는 후방 누름부재
    를 포함하는
    재봉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전방 누름부재는,
    상기 누름대와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된 전방 결합부,
    상기 전방 결합부에서 상기 원피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상기 바늘이 통과하는 상기 원피 주변을 눌러주는 제1 내지 제3 전방 누름바
    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은 상기 제1 및 제2 전방 누름바 사이 또는 상기 제2 전방 누름바 및 제3 전방 누름바 사이를 통해 상기 원피를 관통하는 재봉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후방 누름부재는,
    상기 누름대와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된 후방 결합부,
    상기 후방 결합부에서 상기 원피가 배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및 제2 후방 누름바
    를 포함하고,
    상기 봉제선은 상기 제1 및 제2 후방 누름바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봉제선 검사장치의 영상부는 상기 후방 누름부재 주변을 촬영하여 상기 이미지를 추출하는
    재봉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후방 누름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누름바 사이에 위치하여 후방 결합부재와 연결된 제3 후방 누름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봉제선은 상기 제1 및 제3 후방 누름바 사이 또는 상기 제2 후방 누름바 및 제3 후방 누름바 사이를 통해 노출되는
    재봉장치.
  12. 제7항에서,
    상기 원피가 배출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원피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에 의해 상기 누름부를 통과한 상기 원피는 휘어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봉제선 검사장치의 영상부가 촬영하는 상기 원피 부분이 왜곡되지 않는
    재봉장치.
KR1020180026532A 2018-03-06 2018-03-06 봉제선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장치 KR101968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532A KR101968168B1 (ko) 2018-03-06 2018-03-06 봉제선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532A KR101968168B1 (ko) 2018-03-06 2018-03-06 봉제선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168B1 true KR101968168B1 (ko) 2019-08-13

Family

ID=67624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532A KR101968168B1 (ko) 2018-03-06 2018-03-06 봉제선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1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546B1 (ko) 2020-11-13 2021-11-09 호전실업 주식회사 봉제 스티칭 불량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98439A (ko) 2021-01-04 2022-07-12 (주) 엠엔비젼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
KR102470422B1 (ko) 2021-11-26 2022-11-25 호전실업 주식회사 합성곱 신경망 특징맵 기반 봉제 스티치 불량 자동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2587918B1 (ko) 2022-07-29 2023-10-12 호전실업 주식회사 봉제 불량 자동 검출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0482U (ko) * 1979-10-17 1981-05-22
JPS56125179U (ko) * 1980-02-25 1981-09-24
JPH0716376A (ja) * 1993-06-30 1995-01-20 Mitsubishi Rayon Co Ltd ミシン目目飛び検査装置
KR101734961B1 (ko) 2016-08-09 2017-05-12 조한길 재봉기
KR101737349B1 (ko) 2016-09-12 2017-05-18 정인순 재봉틀용 노루발
JP2017124023A (ja) * 2016-01-14 2017-07-20 Juki株式会社 ミシ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0482U (ko) * 1979-10-17 1981-05-22
JPS56125179U (ko) * 1980-02-25 1981-09-24
JPH0716376A (ja) * 1993-06-30 1995-01-20 Mitsubishi Rayon Co Ltd ミシン目目飛び検査装置
JP2017124023A (ja) * 2016-01-14 2017-07-20 Juki株式会社 ミシン
KR101734961B1 (ko) 2016-08-09 2017-05-12 조한길 재봉기
KR101737349B1 (ko) 2016-09-12 2017-05-18 정인순 재봉틀용 노루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546B1 (ko) 2020-11-13 2021-11-09 호전실업 주식회사 봉제 스티칭 불량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98439A (ko) 2021-01-04 2022-07-12 (주) 엠엔비젼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
KR102470422B1 (ko) 2021-11-26 2022-11-25 호전실업 주식회사 합성곱 신경망 특징맵 기반 봉제 스티치 불량 자동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2587918B1 (ko) 2022-07-29 2023-10-12 호전실업 주식회사 봉제 불량 자동 검출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168B1 (ko) 봉제선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장치
KR102406238B1 (ko) 재봉틀에 있어서의 박음질 품질 관리
US20190353476A1 (en) Sewing system and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device
CN109416327B (zh) 用于监控制造过程的机器视觉方法和系统
US20100186646A1 (en) Stitch quality monitoring system
US10626534B2 (en) Sewing machin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Gries et al. Automation in quality monitoring of fabrics and garment seams
JP3420367B2 (ja) ニードル針自動検査装置
CN107144570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簇绒机排纱错误检测方法
US6308647B1 (en) Interlock stitch sewing machine for blindstitch hemming with slippage preventing device
JP2019050914A (ja) 縫製装置、及び縫製検査方法
JP2009106643A (ja) 玉縁縫いミシン及びその縫い基準位置特定方法
JP2002058889A (ja) ミシンの縫外れ検出装置
US5261463A (en) Computer apparatus for checking the correctness of a loom adjustment
JP2013074970A (ja) ミシン
JP2008054965A (ja) 玉縁縫いミシン
CN113640313B (zh) 基于机器视觉的整经机色丝检测装置
EP3986818B1 (en) Device and related method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color tone of a reel of thread
US6095071A (en) Faulty sewing detector
KR20120074691A (ko) 자수기의 실 장력 조절 방법 및 장치
KR200348561Y1 (ko) 자수기에서 스팡글필름의 절단감지장치
JP2009189551A (ja) ミシン
JPH085564A (ja) 布帛の表裏面検知装置
JP4769502B2 (ja) 玉縁縫いミシン
JP6220715B2 (ja) 欠陥検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