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579B1 - 의복에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의복에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579B1
KR0140579B1 KR1019950020620A KR19950020620A KR0140579B1 KR 0140579 B1 KR0140579 B1 KR 0140579B1 KR 1019950020620 A KR1019950020620 A KR 1019950020620A KR 19950020620 A KR19950020620 A KR 19950020620A KR 0140579 B1 KR0140579 B1 KR 0140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air cylinder
sewing machine
pocket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141A (ko
Inventor
문명성
Original Assignee
문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명성 filed Critical 문명성
Priority to KR101995002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579B1/ko
Publication of KR970005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579B1/ko

Links

Landscapes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단된 주머니감을 주머니형태로 접어서 셋팅하고 셋팅된 주머니를 재봉기에 공급시켜서 각종 의복에 봉착하는 의복에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임.
종래에는 수작업으로 해왔었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고 주머니를 의복에 매끄럽게 봉착시킬수 없었음.
본 발명은 자동화를 통한 높은 생산성과 정확하면서도 균일한 봉착상태를 얻기 위해서 주머니감의 테두리를 접는 공정과 테두리가 접혀진 주머니감을 주머니형태로 스팀셋팅하는 공정과 셋팅된 주머니를 재봉기로 공급해주는 공정과 의복위로 공급된 주머니를 재봉기로 봉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주머니감을 접어서 셋팅시켜주는 장치(10), 셋팅된 주머니를 봉착할 위치로 이용시켜주는 주머니공급장치(12) 및 재봉기(14)와 적재장치(16)로 이루어진 것임.

Description

의복에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서 보인 장치의 확대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서 보인 주머니 셋팅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A - A선 확대 단면도.
제6도는 (a),(b),(c)는 본 발명에 의한 주머니의 셋팅 및 봉착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머니감을 접어서 셋팅시켜주는 장치12 : 셋팅된 주머니 공급장치
14 : 재봉기16 : 적재장치
본 발명은 재단된 주머니감을 주머니형태로 즉, 테두리를 U자형 형태로 접어서 셋팅하고, 셋팅된 주머니를 재봉기에 공급시켜서 각종 의복에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의복에 주머니를 다는 것을 주로 수작업에 의존해 왔었다. 즉, 손으로 재단된 주머니감의 테두리를 여러차례에 나누어서 접고, 다림질을 반복하여서 주머니 형태로 만든 다음 이것을 재봉기쪽으로 운반하여서 의복에 대고 작업자가 손으로 주머니감을 돌려가면서 봉착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인건비가 많이들었고, 생산성이 매우 낮았었을 뿐아니라 의복에 주머니를 울지않게 매끈하게 봉착하는 것이 매우 까다로운 까닭에 숙련된 작업자라 하더라도 봉착상태가 균일한 제품을 만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봉착대상물이 편물지와 같이 뼛뼛한 감이 없는 것일 경우 편물지 특유 질감에 의해서 정확한 봉착이 매우 여려웠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한 것인바,
본 발명의 목적은 주머니감을 주머니 형태로 접어서 셋팅하는 것과 셋팅된 주머니를 재봉기로 이송시켜주는 것과 의복에 주머니를 봉착하는 것을 자동화한 의복의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주머니감의 테두리를 접는 공정과 테두리가 접혀진 주머니감을 주머니형태로 스팀셋팅하는 공정과, 셋팅된 주머니를 재봉기로 공급해주는 공정과, 의복 위로 공급된 주머니를 봉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의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방법이다.
제2-5도에는 이와같은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데 적합한 장치의 한 실시형태가 예시되어있다.
제2-5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재단된 주머니감의 양쪽과 아래쪽테두리를 접어두고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스팀셋팅시켜주는 장치(10)와 이 장치(10)에 의해서 셋팅된 주머니를 봉착할 위치로 이송시켜주는 셋팅된 주머니공급장치(12)와 이 공급장치(12)에 의해서 봉착대상의복 위로 이송된 셋팅된 주머니를 상기 공급장치(12)의 안내를 받으면서 봉착시켜주는 재봉기(14)와 주머니가 봉착된 의복을 재봉기(14)으로부터 이탈시켜 쌓아주는 적재장치(16)로 이루어진 것이다.
주머니감을 접어서 셋팅시켜주는 장치(10)는 메인프래임(18)과 고정된 기판(20)아래에서 주머니용 주머니감 받침판(22)을 승,하강시켜주는 에어실린더(24)와, 이 에어실린더(22)에 의해서 승,하강되는 주머니감 받침판(22)을 전,후진시켜주는 에어실린더(26)와, 주머니감의 양쪽과 아래쪽 테두리를 접어주고 접혀진 부위를 스팀셋팅해주는 셋팅뭉치(28)를 메인프래임(18)과 고정된 수직프래임(30)에서 승,하강시켜주는 에어실린더(32)와 상기 셋팅뭉치(28)를 주머니감이 놓여지는 쪽으로 스윙시켜주는 에어실린더(34)와, 메인프래임(18)의 베드(36)에서 상기 주머니감 받침판(22)을 향하여 승,하강시켜주는 에어실린더(40)와, 상기 셋팅뭉치(28)에서 분사되는 스팀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를 흡인하면서 제거해주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통상의 습기제거장치(42)로 이루어져있다.
셋팅뭉치(28)는 제4도와 제5도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고정판(44)의 아래에서 에어실린더(46)에 의해서 상,하로 가동하는 제1작동판(48)과 고정판(44)의 테두리 쪽에서 벌려졌다가 오무려드는 동작을 하는 제2작동판(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작동판(48)은 2매의 상,하판(48-1),(48-2)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판(48-1),(48-2)의 테두리 내측에는 온수 순환관(52)과 스팀분사관(54)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온수 순환관(52)과 스팀분사관(54) 상부에는 전기발열체(56)가 배선되어 있으며, 하판(48-2)에는 스팀분사공(58)이 형성되어 있고, 주연부에는 턱(60)이 형성되어있다.
제2작동판(50)은 고정판(44)에 고정된 핀(62)이 끼워지는 고정판(44)상의 작동안내판(64)에 있는 슬로트(66)가 허용하는 범위안에서 에어실린더(68)에 의해서 운동하는 것으로서 링크(70)로 고정판(44)과 작동안내판(64)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저면 내측에는 상기 주머니감 받침판(22)위에 올려 놓여지는 주머니감의 테두리를 접어주는 톱날형 날개(72)가 고정되어 있는데 이 날개(72)가 톱날형 요입부(74)를 가진 이유는 제3도와 제5도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에어실린더(40)에 승,하강하는 이탈방지판(38)의 돌기(76)가 통과하여 주머니감(a)의 접혀진 부위(b)를 물어서 주머니감(a)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팅된 주머니 공급장치(12)는 제2도와 제3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메인프래임(18)의 베드(36)뒤에서 상기 주머니감을 접어서 셋팅시켜주는 장치(10)와 재봉기(14) 사이를 왕복운동하는 것으로서, 가로방향으로 운동시켜주는 제1구동수단(78)과 세로방향으로 운동시켜주는 제2구동수단(80)에 의해서 구동되는데 예시도면에는 상기 제1, 제2구동수단(78)(80)이 스탭핑모터(82)에 의해서 정,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타이핑 벨트(84)로 이루어진 것이 표현되어 있으나 타이밍 벨트(84) 대신에 볼스크류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셋팅된 주머니공급장치(12)는 가로, 세로방향으로 운동하는 고정뭉치(86) 아래에서 에어실린더(88)에 의해서 베드(36)를 향하여 승, 하강하는 셋팅된 주머니감 누름판 겸 봉착안내판(90)이 장착되어 있는데 이 안내판(90)에는 재봉기(14)의 바늘(92)이 안내되는 U자형 안내홈(94)이 형성되어 있고 안내홈(94)의 양쪽끝부분에는 가동판(96),(96')이 마련되어 있고, 이 가동판(96),(96')은 상기 안내판(90)위에 있는 에어실린더(98),(98')에 의해서 상기 안내홈(94)의 양쪽끝부분에서 전, 후진하도록 되어있다.
적재장치(16)는 제2도에 잘 예시된 바와같이 메인프래임(18)에 고정된 수직막대(100) 끝에 가로방향으로 고정된 고정챤넬(102)에 한쪽끝이 핀(104)으로 피봇팅된 링크(106)의 다른한쪽에 가로방향으로 가동막대(108)를 고정시키고, 상기 링크(106)를 에어실린더(110)로 스윙시켜줄 수 있도록 하여, 메인프래임(18)의 베드(36)아래에서 상기 고정챤넬(102)쪽으로 압축공기를 분사시켜주는 압축공기분사도관(112)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머니감을 접어서 셋팅시켜주는 장치(10)의 에어실린더(24)의 피스턴로드가 신장하는 것에 의해서 주머니감 받침판(22)과 에어실린더(26)가 하강하고, 에어실린더(26)의 피스턴 로드가 수축하는 것에 의해서 주머니감 받침판(22)이 전진하여 베드(36)의 이탈방지판(38)위에서 정지한 후 주머니감을 주머니감 받침판(22)위에 올려놓으면 에어실린더(34)에 의해서 셋팅뭉치(28)가 수평상태로 스윙하게 되고, 에어실린더(32)에 의해서 셋팅뭉치(28)가 주머니감 받침판(22)위에 올려 놓여진 주머니감을 향해서 하강한다.
이어서 에어실린더(68)에 의해서 제2작동판(50)이 후진하면서 고정판(44)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작동판(50)에 달린 날개(72)들에 의해서 주먼니감(a)의 테두리(b)가 제5도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접혀진다.
이때 에어실린더(40)에 의해서 이탈방지판(38)이 상승하여 돌기(76)가 상기 날개(72)들의 요입부(74)를 지나서 접혀진 테두리(b)를 잡아준다.
그리고 주머니감 받침판(22)이 본래의 위치로 후진한다.
이어서 상기 제2작동판(50)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면 가열되는 제1작동판(48)에 스팀이 공급, 분사되고 에어실린더(46)에 의해서 제1작동판(48)이 하강하여 주머니감을 접혀진 상태에서 눌러서 셋팅한다.
이때 제1작동판(48)이 하강함과 동시에 이탈방지판(58)은 본래의 위치로 하강한다.
이어서 습기제거장치(42)가 작동하여 주머니감(a)으로 분사되었던 스팀속에 포함된 습기를 흡인하여서 제거하고, 에어실린더(32),(34)에 의해서 셋팅뭉치(28)가 복귀하면 셋팅된 주머니공급장치(12)가 상기 셋팅뭉치(28)가 하강하였었던 자리로 이동하며, 에어실린더(88)에 의해서 안내판(90)이 하강하여 셋팅된 주머니를 누르게 된다.
이와같이 셋팅된 주머니를 누른 상태에서 봉착할 의복이 놓여지는 재봉기(14)쪽으로 이동한다.
재봉기(14)쪽으로 주머니가 공급되면 재봉기(14)의 바늘(92)은 상기 안내판(90)의 안내홈(94)의 한쪽끝부분에서부터 봉착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주머니 공급장치(12)가 제1,2구동수단(78)(80)에 의해서 U자형으로 운동하게 되어서 제6도(c)에 예시한 바와같이 봉착을 하는 것이다.
이때 주머니의 입구쪽은 에어실린더(98),(98')에 의해서 움직이는 가동판(96),(96')의 안내를 받아서 견고하게 봉착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의복에 주머니를 다는 것을 자동화 함으로서 생산상이 높고, 인건비를 대폭절감할 수 있으며 봉착상태를 균일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어 주머니의 봉착상태가 정확하고 매끄러운 고품위의 의복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주머니감의 테두리를 접는 공정과, 테두리가 접혀진 주머니감을 주머니형태로 스팀셋팅하는 공정과, 셋팅된 주머니를 재봉기로 공급해 주는 공정과, 의복위에 공급된 주머니를 재봉기로 봉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의복에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방법
  2. 메인프래임(18)의 베드(36)위로 주머니감 받침판(22)을 승,하강시켜주는 에어실린더(24), 주머니감 받침판(22)을 전,후진시켜주는 에어실린더(26), 고정판(44)의 아래에서 에어실린더(46)에 의해서 상,하로 가동하며 온수순환관(52), 스팀분사관(54) 및 전기발열체(56)가 내장되고 스팀분사공(58)을 가진 제1작동판(48)과, 톱날형 날개(72)를 갖고 있으며 상기 고정판(44)쪽을 향하여서 에어실린더(68)에 의해서 운동하면서 셋팅뭉치(28)를 승,하강시켜주고 스윙시켜주는 에어실린더(32),(34)를 포함하고 베드(36)에서 출몰하는 주머니감 이탈방지판(38)을 포함하는 주머니감을 접어서 셋팅시켜주는 장치(10)와 재봉기 사이를 가로, 세로방향으로 운동시켜주는 제1구동수단(78)과 제2구동수단(80)을 포함하고 에어실린더(88)에 의해서 승,하강하여 U자형 안내홈(94)을 가진 셋팅된 주머니공급장치(12)로 이루어진 의복에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셋팅된 주머니 공급장치(12)의 제1, 제2구동수단(78),(80)이 스탭핑모터(82)와 타이핑벨트(84)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에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재봉기(14)의 전방쪽 메인프래임(18)에 고정되는 수직막대(100) 끝에 고정되는 고정챤넬(102)에 링크(106)의 한쪽끝을 피붓팅시키고 링크(106)의 다른 한쪽 끝에는 가로방향으로 가로막대(108)를 고정시키며, 에어실린더(110)로 링크(106)를 스윙시켜줄 수 있도록 하고, 베드(36)아래에서 고정챤넬(102)쪽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도관(112)을 포함하는 적재장치(16)_를 장착시켜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에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장치.
KR1019950020620A 1995-07-13 1995-07-13 의복에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0140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620A KR0140579B1 (ko) 1995-07-13 1995-07-13 의복에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620A KR0140579B1 (ko) 1995-07-13 1995-07-13 의복에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141A KR970005141A (ko) 1997-02-19
KR0140579B1 true KR0140579B1 (ko) 1998-07-01

Family

ID=6652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620A KR0140579B1 (ko) 1995-07-13 1995-07-13 의복에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610A (ko) * 2001-05-18 2002-11-29 최광택 자동 주머니 장착장치의 공용화된 밴딩지그
KR200333390Y1 (ko) 2003-07-14 2003-11-15 주식회사 코우 어린이 휴대용 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141A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97729A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draw cord bags
US4068603A (en) Apparatus for feeding material for forming a double tuck on the cut edges thereof
JPH0484989A (ja) 筒状物製造装置
EP0288815B2 (en) Sealing sytem for a converyor table with vacuum clamping for cutting machines
KR0140579B1 (ko) 의복에 주머니를 접어서 봉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A1272947A (en) Ironing machine
US446416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hem in fabric flat goods
ITTO960434A1 (it) Dispositivo automatico per una macchina per cucire automatica.
JPH057153B2 (ko)
US2260191A (en)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gs
US4519531A (en) Pleating machine for pleating cloth with mutually converging folds
CN212375504U (zh) 一种面料自动折边缝合收纳机
JPH0639166A (ja) 自動縫い装置
US5181333A (en) Height adjustable pants presser with top finishing
US4911091A (en) Sewing apparatus for attaching a strip of cloth with a zip-fastener component to a trouser forepart
KR960011087B1 (ko) 의류용 절첩포장 장치
EP0494052B1 (en) Industrial sewing machine for simultaneously making different seaming patterns
US1942254A (en) Shirt pressing machine
EP0807705B1 (en) Improved industrial-use sewing machine adapted to perform two sequential seams, and to vary either leftwardly or rightwardly the stitch felling direction
US3434438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osing the ends of tubular fabric articles
CN111056079A (zh) 一种烟包小盒透明纸侧封烫烙整形装置及包含该装置的小盒透明纸包装机
EP0294450A4 (en) IMPROVEMENTS IN HANDLING FLEXIBLE FABRICS.
JPS6114837B2 (ko)
CN218842550U (zh) 一种缝纫机上对裤子上腰折边机构
CN217601050U (zh) 一种服装加工用熨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