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903B1 - Tv수상기의 고우스트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Tv수상기의 고우스트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903B1
KR950007903B1 KR1019920002783A KR920002783A KR950007903B1 KR 950007903 B1 KR950007903 B1 KR 950007903B1 KR 1019920002783 A KR1019920002783 A KR 1019920002783A KR 920002783 A KR920002783 A KR 920002783A KR 950007903 B1 KR950007903 B1 KR 950007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ghost
tap gain
add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959A (ko
Inventor
허재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2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903B1/ko
Publication of KR930018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04N5/211Ghost signal cance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TV수상기의 고우스트 제거장치
제1도는 종래의 고우스트 제거장치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고우스트 제거장치 블록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고우스트 제거장치의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의 실시예 블록구성도.
제4도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 동작 타이밍도.
제5도의 (a), (b), (c)는 본 발명에 대한 탭계수 수렴시의 동작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D변환기 2 : 가산기
3 : D/A변환기 4 : 지연기
5 : 계수승산부 6 : 가산기
7 : 탭이득 메모리 8 : 탭이득 수정회로
9 : 기준파형 메모리 10 : 감산기
11 : 고우스트 검출회로 13 :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
14 : 탭이득 수렴판별수단
본 발명은 TV수상기의 고우스트(Ghost)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우스트 성분이 집중되는 영역과 소원한 영역을 시간상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므로서 고우스트 제거속도를 높일수 있도록 한 고우스트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TV수상기에서 고우스트 제거장치는 제1도에서와 같이 입력 비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는 A/D변환기(1)와, 디지탈 변환된 비디오 신호에서 고우스트 성분을 제거시키는 가산기(2)와, 상기 가산기(2) 출력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변환기(3)와, 상기 A/D변환기(1)의 출력 비디오 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기(4)와, 상기 지연기(4)의 탭이득 계수를 조정하는 계수승산부(multiplier)(5)와, 상기 계수승산부(5) 출력을 가산하여 가산기(2)에 고우스트 제거신호로 공급하는 가산기(6)와, 상기 계수승산부(5)를 이루는 각각의 계수승산기(51 내지 5n)의 계수를 공급하는 탭이득 메모리(7)와, 상기 탭이득 메모리(7)의 탭이득을 수정시키는 탭이득 수정회로(8)와, 고우스트 제거의 기준파형을 발생시키는 기준파형 메모리(9)와, 상기 가산기(2)의 출력 비디오 신호에서 기준파형을 감산하여 오차파형을 출력하는 감산기(10)와, 상기 감산기(10)의 오차파형을 근거로 하여 고우스트 크기와 위치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탭이득 수정회로(8)에 공급하는 고우스트 검출회로(11)와, 타이밍 발생기(12)로 구성되며 그 동작은 다음과 같다.
TV수상기에 수신되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Vi)는 A/D변환기(1)를 통해 디지탈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 후 가산기(2) 및 지연기(4)에 입력된다. 지연기(4)에는 입력 디지탈 비디오 신호의 클록단위로 탭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탭의 출력은 각각의 계수승산기(51 내지 5n)에 입력되는데, 이때 계수승산기(51 내지 5n)에는 탭이득 메모리(7)로부터 공급되는 탭이득 계수(Cl 내지 Cn)가 인가되어 입력신호에 계수(Cl 내지 Cn)를 곱셈한 연산결과를 출력한다.
이 연산결과는 가산기(6)에서 합산되어 고우스트를 모의한 신호로서 가산기(2)에 공급되므로써 가산기(2)에서는 입력 비디오 신호(Vi)에서 고우스트 성분을 상쇄시킨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출력 비디오 신호는 D/A변환기(3)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Vo)됨과 함께 감산기(10)에 공급된다.
감산기(10)는 기준파형 메모리(9)에서 공급되는 기준파형과 상기 가산기(2)에서 공급되는 비디오 신호를 비교(감산처리)하며 그 결과로서 오차파형을 출력하며, 이 오차파형은 고우스트 검출회로(11)에서 고우스트가 존재하는 위치를 검출한 신호로 출력되어 탭이득 수정회로(8)에 공급한다. 탭이득 수정회로(8)는 고우스트가 존재하는 위치의 이득을 증가시키도록 계수를 계산하여 계산된 새로운 계수를 탭이득 메모리(7)에 공급하며, 탭이득 메모리(7)는 이와 같이 갱신된 텝이득 계수(Cl 내지 Cn)를 계수승산기(51 내지 5n)에 공급하므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 비디오 신호(Vi)중의 고우스트를 상쇄시킬 수 있는 신호를 모의해서 가산기(6)에서는 새로운 고우스트 제거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이 입력 비디오 신호(Vi)의 고우스트 성분에 추종하여 반복 수행되므로서 고우스트를 상쇄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우스트 제거장치에 의하면 고우스트를 제거하고자 하는 모든 시간영역에 대하여 탭이득 계수를 동시에 산출하기 때문에 탭이득 수정회로에서 탭이득을 계산하여 최종적인 탭이득 계수로 수렴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고, 이로 인하여 고우스트 제거의 속도가 저하되었으며, 특히 변동 고우스트가 심한 지역의 TV수상기나 차량 탑재용 TV수상기와 같이 고우스트 변동이 심한 경우에는 고우스트 제거속도가 낮은데 기인하여 고우스트 제거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이로인한 화질저하를 감수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고우스트 제거과정을 시간상으로 분할하여 고우스트의 영향이 집중적으로 분포되는 근접 고우스트를 먼저 제거한후 나머지 고우스트 영역에 대한 제거동작을 수행하므로서 고우스트 제거속도의 향상과 화질향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한 TV수상기의 고우스트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고우스트 제거장치는 입력 비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는 A/D변환기(1)와, 디지탈 변환된 비디오 신호에서 고우스트 성분을 제거시키는 가산기(2)와, 상기 가산기(2) 출력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변환기(3)와, 상기 A/D/변환기(1)의 출력 비디오 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기(4)와, 상기 지연기(4)의 탭이득 계수를 조정하는 계수승산부(multiplier)(5)와, 상기 계수 승산부(5) 출력을 가산하여 가산기(2)에 고우스트 제거신호로 공급하는 가산기(6)와, 상기 계수승산부(5)를 이루는 각각의 계수승산기(51 내지 5n)의 계수를 공급하는 탭이득 메모리(7)와, 상기 탭이득 메모리(7)의 탭이득을 수정시키는 탭이득 수정회로(8)와, 상기 가산기(2)의 출력 비디오 신호에서 고우스트가 집중되는 영역과 나머지 영역의 비디오 신호를 시간상으로 구분하여 탭이득의 수렴여부에 따라 출력하는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13)과, 상기 탭이득 수정회로(8)의 출력으로부터 탭이득의 수렴여부를 판별하여 판별신호(Tg)(탭수렴신호)를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13)에 공급하는 탭이득 수렴판별수단(14)과, 고우스트 제거의 기준파형을 발생시키는 기준파형 메모리(9)와, 상기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13)의 출력 비디오 신호에서 기준파형을 감산하여 오차파형을 출력하는 감산기(10)와, 상기 감산기(10)의 오차파형을 근거로 하여 고우스트의 크기와 위치를 검출한 신호를 탭이득 수정회로(8)에 공급하는 고우스트 검출회로(11)와, 각 회로부의 동작타이밍 일치를 위한 제반 클록과 펄스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 발생기(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우스트 제거장치에 의한 고우스트 제거동작은 제2도를 참조하면 TV수상기에 수신되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Vi)는 A/D변환기(1)를 통해 디지탈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후 가산기(2)에 입력되고 또한 지연기(4)에도 입력된다.
지연기(4)에는 입력 디지탈 비디오 신호의 클록단위로 탭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탭의 출력이 계수승산기(51 내지 5n)에 입력되는데, 이때 계수승산기(51 내지 5n)에는 탭이득 메모리(7)로부터 공급되는 탭이득 계수(Cl 내지 Cn)가 인가되어 입력신호에 계수(Cl 내지 Cn)를 곱셈한 연산결과를 출력한다.
이 연산결과는 가산기(6)에서 합산되어 고우스트를 모의한 신호로서 가산기(2)에 공급되므로서 가산기(2)에서는 입력 비디오 신호(Vi)에서 고우스트 성분을 상쇄시킨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출력 비디오 신호는 D/A변환기(3)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Vo)됨과 함께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13)에 공급된다.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13)은 입력된 비디오 신호를 시간상으로 구분하게 되는데 이는 고우스트 성분이 주화상에 근접한 부분, 즉 전반부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후반부에는 미약한 고우스트 성분이 존재하므로 고우스트 성분이 집중되는 영역과 소원한 영역을 미리 설정한 기준 타이밍을 근거로 분할하여 주화상에 근접한 전반부의 비디오 신호를 먼저 감산기(10)에 공급한다. 감산기(10)는 입력된 비디오 신호(전반부)를 기준파형 메모리(9)에서 공급되는 기준파형과 비교(감산)하여 그 결과로서 오차파형을 출력하며, 이 오차파형은 고우스트 검출회로(11)에서 고우스트의 크기와 위치를 검출한 신호로 출력되어 탭이득 수정회로(8)에 공급한다. 탭이득 수정회로(8)는 고우스트가 존재하는 위치의 이득을 증가시키도록 계수를 계산하여 계산된 새로운 계수를 탭이득 메모리(7)에 공급하며, 탭이득 메모리(7)는 이와 같이 갱신된 탭이득 계수(Cl 내지 Cn)를 계수승산기(51 내지 5n)에 공급하므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 비디오 신호(Vi)중의 고우스트를 상쇄시킬 수 있는 신호를 모의해서 가산기(6)에서는 새로운 고우스트 제거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주화상의 전반부에 나타나는 고우스트 성분부터 제거하게 되면 탭이득 수정회로(8)에서 전반부의 계수가 먼저 수렴되고, 계수가 수렴되는 것은 탭이득 수렴판별수단(14)에서 탭이득 수정회로(8)의 출력 계수치를 카운트하여 계수치의 변동이 소정의 기준치()(계수 수렴 종료로 판정하기 위해 미리 결정해 놓은 값)이하가 되면 계수치가 수렴된 것으로 판정하여 탭수렴신호(Tg)를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13)에 공급한다.
탭수렴신호(Tg)가 공급되면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13)은 주화상 후반부에 대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감산기(1)에 공급하며 이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동작과정에 의하여 후반부 화상에 대한 고우스트 제거동작이 수행되므로서 나머지 고우스트 성분을 제거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13)에 의한 시간영역의 분할은 n(=2, 3, 4,…)개의 영역으로 분할 처리하는데, 예로서 n=2 즉, 주화상의 전반부와 후반부 2개 영역으로 구분하는 경우를 실시예로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13)의 구성과 동작을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13)은 제3도를 참조하면, 입력 비디오 신호를 전반부 및 후반부 비디오 신호로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는 제1라인 메모리(132) 및 제2라인 메모리(133)와, 상기 제1라인 메모리(132) 및 제2라인 메모리(133)의 리드/라이트 제어신호(R1, R2, W1, W2)를 공급하여 비디오 신호 분할처리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발생기(131)로 구성되며 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제4도의 (a)와 같은 클록(CLK)(타이밍 발생기(12)에 의함)에 따라 (b)와 같은 디지탈 비디오 신호(d1, d2, …)(Vi)가 입력단(IN)을 통해 라인 메모리(132, 133)에 공급되면 제1라인 메모리(132)에 전반부의 비디오 신호(d1 내지 d100)가 먼저 저장되고 이어서 제2라인 메모리(133)에 후반부의 비디오신호(d101 내지 d200)가 저장된다.
이는 타이밍 발생기(131)로부터 제4도의 (c) 및 (d)와 같이 제1라인 메모리(132)의 라이트 제어신호(W1)가 먼저 공급되고 제2라인 메모리(133)의 라이트 제어신호(W2)가 후에 공급되는데 따른다.
또한 타이밍 발생기(131)에서 제4도의 (e) 및 (f)와 같은 타이밍으로 제1라인 메모리(132)의 라드 제어신호(R1)가 먼저 공급되고 제2라인 메모리(133)의 리드 제어신호(R2)가 나중에 공급되므로서 그 출력단(OUT)에서는 주화상의 전반부의 비디오 신호와 후반부의 비디오 신호가 차례로 구분되어 출력된다.
즉, 제5도의 (a)와 같이 제1라인 메모리(132)의 리드 제어신호(R1)가 공급되어 주화상 전반부의 고우스트에 대한 제거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후에 상기한 바와 같이 탭이득 수렴 판별수단(14)으로부터 제5도의 (b)와 같이 탭수렴신호(Tg)가 공급되면 타이밍 발생기(131)에서 제5도의 (c)와 같이 제2라인 메모리(133)의 리드 제어신호(R2)가 공급되어 주화상 후반부의 고우스트에 대한 제거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우스트가 집중되는 영역에 대한 제거동작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므로 고우스트 제거속도의 향상이 가능하고 이에따른 화질향상과 TV수상기의 품질향상이 가능하며 특히 변동 고우스트가 심한 난시청 지역과 차량탑재용 TV수상기에서 신속한 고우스트 제거를 통항 안정된 화면의 시청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입력 디지탈 비디오 신호를 지연기(4)에서 순차 지연시키고, 상기 지연기(4)의 지연값은 계수승산부(5)에서 탭이득 메모리(7)로부터의 탭이득에 맞춰 갱신 제어하고, 가산기(2)가 상기 입력 디지탈 비디오 신호에서 계수승산부(5)의 출력값을 가산기(6)로 더한 값만큼 감산하여 고우스트를 제거한 비디오 신호를 가산기(2) 출력에서 얻고, 상기 가산기(2)의 출력은 다시 감산기(10)에 인가하고, 여기서 기준파형값을 감산하여 고우스트 성분을 검출한 값을 탭이득 수정회로(8)에 인가하여 탭이득을 수정, 이를 상기 탭이득 메모리(7)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고우스트 영상을 제어해나가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가산기(2)에서 출려고디는 디지탈 비디오 신호에서 주화상을 중심으로 고우스트가 집중되는 영역(주화상에 근접하는 신호)과 소원한 영역의 비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한 기준 타이밍을 근거로 하여 시간상으로 구분하고, 탭이득 수렴 판별수단(14)에서 탭이득 수렴 이전에는 상기 고우스트가 집중되는 영역의 비디오 신호를 먼저 상기 감산기(10)에 가해주고, 탭이득 수렴 이후에는 상기 나머지 소원한 영역의 비디오 신호를 상기 감산기(10)에 가해주도록 시분할 제어하는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13)과 ; 상기 탭이득 수정회로(8)의 출력 계수치를 카운트하여 제수치의 변동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치 이하인가 또는 이상인가를 비교하여 탭이득의 수렴 여부를 판별하고, 이 판별결과를 상기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13)에 공급하여 상기한 시분할 제어를 실행하도록 하는 탭이득 수렴판별수단(14) ;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TV수상기의 고우스트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영역 분할처리수단(13)은, 상기 가산기(2)의 출력 비디오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타이밍 발생기(131)의 제어를 방아 고우스트가 집중되는 영역의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거나 이 저장된 신호를 상기 감산기(10)로 공급하는 제1라인 메모리(132)와 ; 상기 가산기(2)의 출력 비디오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타이밍 발생기(131)의 제어를 받아 고우스트가 소원한 영역의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거나 이 저장된 신호를 상기 감산기(10)로 공급하는 제2라인 메모리(133)와 ; 상기 탭이득 수렴 판별수단(14)의 판별결과를 입력받아, 탭이득 수렴 이전에는 상기 제1라인 메모리(132)에 저장된 디지탈 비디오 신호를 상기 감산기(10)로 공급하게 하고, 탭이득 수렴 이후에는 상기 제2라인 메모리(133)에 저장된 디지탈 비디오 신호를 상기 감산기(10)로 공급하게 제어하는 타이밍 발생기(131) ;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수상기의 고우스트 제거 장치.
KR1019920002783A 1992-02-24 1992-02-24 Tv수상기의 고우스트 제거장치 KR950007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2783A KR950007903B1 (ko) 1992-02-24 1992-02-24 Tv수상기의 고우스트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2783A KR950007903B1 (ko) 1992-02-24 1992-02-24 Tv수상기의 고우스트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959A KR930018959A (ko) 1993-09-22
KR950007903B1 true KR950007903B1 (ko) 1995-07-21

Family

ID=1932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2783A KR950007903B1 (ko) 1992-02-24 1992-02-24 Tv수상기의 고우스트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9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959A (ko) 199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307B1 (ko) 고스트 제거회로
EP0040801B1 (en) Automatic equalizer
KR930003567B1 (ko) 고스트 제거장치 및 그 제거 방법
KR960013223B1 (ko) 텔레비젼 신호용 고스트제거장치
US4583120A (en) Ghost canceller
KR960015390B1 (ko) 고스트제거방법 및 장치
JP2843690B2 (ja) 波形等化回路
US4250472A (en) Undesired signal canceller
KR950007903B1 (ko) Tv수상기의 고우스트 제거장치
KR950013627B1 (ko) 고스트 제거 회로
JPH0468673A (ja) 波形歪みの除去回路
EP0103355A2 (en) Analog to digital converting system for a video signal
JPS62181579A (ja) ゴ−スト除去装置
JPH0348579A (ja) ゴースト除去装置
JPS59224985A (ja) ゴ−スト除去装置
JPH0199378A (ja) ゴースト除去装置
JPS60201776A (ja) 自動等化器
KR850000840B1 (ko) 고우스트(ghost)제거장치
KR100283888B1 (ko) 고스트 제거 장치의 필터 계수 산출 방법
KR930006182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다중상 제거장치
JPS63189055A (ja) ゴ−スト除去装置
JPS58117780A (ja) ゴ−スト除去装置
KR100283887B1 (ko) 고스트 제거 장치의 필터 계수 산출 방법
JPH07131814A (ja) 輪郭改善回路
JPS61142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