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840B1 - 고우스트(ghost)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고우스트(ghost)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840B1
KR850000840B1 KR1019810000483A KR810000483A KR850000840B1 KR 850000840 B1 KR850000840 B1 KR 850000840B1 KR 1019810000483 A KR1019810000483 A KR 1019810000483A KR 810000483 A KR810000483 A KR 810000483A KR 850000840 B1 KR850000840 B1 KR 850000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host
circuit
signal
supplie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792A (ko
Inventor
기미다께 우쓰노미야
히사후미 야마다
죠오에이 구리끼
Original Assignee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1000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840B1/ko
Publication of KR830005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9Arrangements or assemblies in supply circuits for the purpose of withstanding high vol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우스트(ghost)제거장치
제1도~제5도는 고우스트제거의 설명을 위한 도면.
제6도는 본원발명의 일레의 구성도.
제7도, 제8도는 다른 예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단자 (2) : 합성기
(3) : 출력단자 (5) : 중량부여계수회로
(8) : 검출회로 (21)(22) : 출력회로
(23) : 동기분리회로 (24)(25)(26) :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
본원 발명은 고우스트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수신채널절환시등에 고우스트제거동작이 발산될 염려가 없이, 고우스트가 확실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우스트발생원을 포함하는 신호전반로는 제1도와 같이 표시된다. 도면에 있어서 원신호 S (W)가 가산회로(11)에 공급되는 동시에, 신호 S(W)가 특성 G(W)의 고우스발생원(12)을 통해서 가산회로(11)에 공급된다. 따라서 가산회로(11)로 부터는
S(W)(1+G(W))
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같은 고우스트를 제거하는데는 상술한 고우스트발생원(12)을 모의하는 회로를 설치하고, 비데오신호에서 고우스트를 모의하여 취소용신호를 형성하여, 이 취소용신호와 비데오신호를 합성하여 고우스트를 제거한다. 그것을 위한 회로로서 제2a도, 제2b도와 같은 두가지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제2a도는 피이드백형으로 구성한 경우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데오 신호가 차합성기(差合成器)(13)를 통해 출력되는 동시에, 차합성기(13)의 출력신호의 일부가 모의 회로(14)에 공급되어서 취소용 신호가 형성되고, 이 취소용신호가 차합성기(13)에 피이드백 되어서 비데오신호에서 감산된다.
또 제2b도는 피이드워어드형으로 구성한 경우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데오신호가 차합성기(13)를 통해서 출력되는 동시에, 이 비데오신호가 모의회로(14)에 공급되어서 취소용신호가 형성되고, 이 취소용신호가 차합성기(13)에 피이드포워어드 되어서 비데오신호에서 감산된다.
이와같은 회로에 있어서, b에 나타낸 피이드포워어드형회로는 일반적으로 고우스트제거과정에서 2차고우스트가 형성되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종래의 고우스트제거장치에 있어서는 피이드백형의 회로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제3도는 그와같은 피이드백형의 고우스트제거 장치의 구체회로예를 나타낸다.
즉, 제3도에 나타낸 고우스트제거장치는 동기검파후의 비데오단에 있어서의 고우스트의 전달함수를 트랜스 버어설필터로 실현하도록 한 것이다. (1)로 포시되는 입력단자에 고우스트를 포함한 비데오신호가 공급되고, 합성기(2)에 공급된다. 합성기(2)에는 트랜스 버어설필터에서 고우스트에 모의된 취소용신호가 공급되고, 합성기(2)의 출력에는 고우스트가 취소된 비데오신호가 얻어져서, 출력단자(3)에 꺼내진다. 이 합성기(2)의 출력에 나타나는 비데오신호가 지연회로(4)에 공급된다. 지연회로(4)는 샘플링주기(예를들어 100 [ns]를 단위로 하는 지연요소가 복수단(예를들어 15개)접속되고, 각 단사이에서 개의 탭이 도출된 것이다. 지연회로(4)의 각 탭의 출력이 승산기(乘算器)의 구성의 중량부여계수회로(5)에 공급되는 것으로 중량부여계수가 급해지며, 모든 출력이 가산기(6)에 공급되고, 이 가산기(6)의 출력에 취소용신호가 발생한다.
상술한 중량부여계수회로(5)에 대한 중량부여계수는 아날로그 누산기(累算器)에서 발생한다. 고우스트 성분의 검출은 합성기(2)의 출력신호를 검출회로(8)에 공급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검출측정용의 신호로서는 표준텔레비전신호에 포함되어 있으며, 더구나 되도록 오랜동안 다른 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 예를들어 수직동기신호가 사용된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수직동기신호의 전연(前緣) VE와 그 뒤의
Figure kpo00001
(H는 수평구간)정도를 미분한 파형을 기초로 이것에 비례한 중량부여를 주는 중량부여계수가 형성된다. 예를들면 지연시간 γ에서 비데오신호와의 위상차 ψ(=Wcγ, 단 Wc는 고주파단에서의 영상반송각주파수)가 45°의 고우스트가 포함될 경우에는 제5a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파형의 비데오신호가 나타난다. 이 신호가 미분되고, 극성반전됨으로써 제5b도에 나타낸 미분파형이 생긴다. 이 미분파형은 근사적으로 고우스트의 인펄스응답으로 간주되므로, 이 미분파형에 비례한 중량부여계수를 형성하게끔된다. 이 때문에 검출회로(8)에서 나타나는 미분파형의 신호가 디멀티플랙서(9)에 공급된다. 디멀티플랙서(9)는 지연회로(4)와 마찬가지로 샘플링주기를 단위로하는 지연요소가 복수단 접속되며, 각 단 사이로부터 n개의 탭이 도출된 것으로, 이 각 탭의 출력이 아날로그누산기(7)에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지연회로(4), 중량부여계수회로(5) 및 가산기(6)로 구성되는 트랜스 버어설필터가 피이드백루우프중앙에 삽입되므로써 역필터가 구성되고, 고우스트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떤 수직동기신호의 전연과 그 뒤의
Figure kpo00002
구간의 파형의 변형을 검출하여 중량부여계수를 정한 다음, 그것으로 고우스트를 지운 나머지가 나오면 다시 상술한 검출을 하고, 지운 나머지를 감소시키기 위해 아날로그누산기(7)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피이드백형의 고우스트제거장치는 수신채널절환시등의 고우스트제거과정에 있어서 고우트스제거동작이 발산될 염려가 있다.
즉, 예를들어 수신채널을 절환했을 경우에, 이전에 수신하고 있었던 채널에 관한 중량부여계수가 아날로그 누산기(7)에 남아 있으면, 그 중량부여계수는 영상반송각주파수 Wc의 상이에 의해서 새로운 수신채널에 대해서는 전혀 무의미하다. 이때문에 합성기(2)로부터는 본래의 고우스트와는 다른 의사(擬似)고우스트를 포함한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의사고우스트는 본래의 고우스트와는 경향이 다르기 때문에, 고우스트제거과정에 있어서 고우스트제거동작이 발산될 염려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수신채널절환시등에 있어서, 아날로그누산기(7)에 유지되어 있는 중량부여계수를 기준치로 리세트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그와같은 리세트를 행하기 위해서는 중량부여 계수회로의 각 탭마다에 리세트회로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며, 회로가 매우 복잡해진다. 또 수신채널절환시가 아니더라도 연속된 이그니션노이즈등의 고우스트와는 다른 노이즈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도 무의미한 중량부여가 이루어져 고우스트제거동작이 발산될 염려가 있다.
본원 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상술한 바와같은 발산이 생기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고우스트제거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피이드포워어드형의 회로는 발산의 염려가 전혀 없다. 또 피이드포워어드형의 중량부여계수와 피이드백형의 중량부여계수와는 근사하다.
본원 발명은 이와같은 점에 착안한 것이다. 다음에 도면에 의거하여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6도에 있어서, 입력단자(1)로부터 비데오신호와, 합성기(2)의 출력 신호가 스위치회로(21)에 공급되고, 이 스위치회로(21)에서 선택된 신호가 지연회로(4)에 공급된다. 또 입력단자(1)로 부터의 비데오신호와, 합성기(2)의 출력신호가 스위치회로(22)에 공급되고, 이 스위치회로(22)에서 선택된 신호가 출력단자(3)에 출력된다. 다른 중량부여계수회로(5), 가산회로(6), 누산기(7), 검출회로(8), 디멀티플랙서(9)등은 제3도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또한 입력단자(1)로부터의 신호가 동기분리회로(23)에 공급되어서 수평동기신호가 분리되며, 이 수평동기신호가 1수평기간의 길이(약 64㎲)보다 긴, 예를들어 1ms의 시정수를 갖는 리트리거블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24)에 공급된다. 이 멀티바이브레이터(24)의 출력이 피이드포워어드형의 고우스트제거장치가 수속(收束)하는데 충분한 시간, 예를들어 1초간의 시정수를 갖는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25)에 공급된다. 이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25)의 출력이 스위치회로(21)의 제어단자에 공급되고,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25)가 반전하고 있는 기간에 스위치(21)가 입력단자(1)측으로 절환된다.
또 멀티바이브레이터(24)의 출력이 상술한 피이드포워어드형의 고우스트제거장치가 수속하는 시간에, 피이드포워어드형의 중량부여계수를 피이드백형의 중량부여계수로 정정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가한 시간, 예를들어 2초간의 시정수를 갖는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26)에 공급된다. 이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26)의 출력이 스위치회로(22)의 제어단자에 공급되고,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26)가 반전하고 있는 기간에 스위체(22)가 입력단자(1)측으로 절환된다.
또한 전원 B+가 저항기(27), 콘덴서(28)의 미분회로에 공급되고, 이 미분출력이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25),(26)에 공급된다.
이 회로에 있어서 수신채널절환시에 비데오신호중의 수평동기신호가 결락하면 멀티바이브레이터(24)의 출력이 하강하고, 이것에 의해서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25),(26)가 반전한다. 이때문에 입력단자(1)로부터의 신호가 지연회로(4)에 공급되고, 이것에 의해서 형성된 취소용신호가 합성기(2)에 공급된다. 즉 피이드포워어드형의 구성에 의해서 고우스트제거가 행해진다.
또한 피이드포워어드형의 고우스트제거동작이 수속되면, 스위치회로(21)가 절환되고, 합성기(2)의 출력신호가 지연회로(4)에 공급되게끔 된다. 이 때문에 피이드백형의 구성에 의해서 고우스트제거동작이 행해지며, 중량부여계수의 정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피이드백형의 고우스트제거동작이 수속하면 스위치(22)가 절환되고, 합성기(2)의 출력신호가 출력단자(3)에 출력된다.
즉 이 회회로에 있어서, 수신채널절환시에는 먼저 피이드포워어드형의 고우스트제거를 행하고, 이어서 피이드백형의 고우스트제거를 행한다. 따라서 피이드포워어드형의 고우스트제거과정에 있어서 고우스트제거동작이 발산될 염려는 전혀 없으며, 또한 피이드백형의 고우스트제거가 개시되는 시점에서 고우스트의 레벨이 충분히 작으므로, 피이드백형의 고우스트제거과정에 있어서도 고우스트제거동작의 발산의 염려가 없다. 그리고 피이드백형의 고우스트제거가 수속하면, 2차고우스트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렇게해서 고우스트제거가 행해지는 것이지만, 본원 발명에 의하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고우스트제거동작의 발산염려가 없는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상술한 회로에 있어서, 전원 ON시에도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25),(26)가 반전되고,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고우스트제거가 행해진다. 이 경우에도 고우스트제거동작이 발산될 염려는 없다.
또한, 상술한 예는 수신채널절환시 및 전원 ON시를 검출한 것이지만, 중량부여계수의 레벨을 측정하고, 제거동작의 발산을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즉 제7도에 있어서, 아날로그누산기(7)의 각 출력을 각기 원도콤퍼레이터(31)에 공급하고, 중량부여계수가 소정의 범위밖으로 나왔을 때에 그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출력을 오어회로(32)를 통해서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25),(26)에 공급한다. 기타는 제6도와 마찬가지로 한다.
따라서 이 회로에 있어서, 연속적인 이그니션노이즈 등에 의해서 무의미한 중량부여가 이루어졌을 경우에도, 고우스트제거동작이 발산에 가까와지면 중량부여계수가 소정의 범위 밖으로 나오므로, 회로가 피이드포워어드형으로 되어, 발산이 방지된다. 또한 이 회로에 의하면 수신채널절환시나 전원 ON시에도 고우스트제거동작이 발산에 가까와지면 회로가 피이드포워어드형으로 된다.
또 제8도는 본원 발명을 앞고우스트의 제거회로를 포함하는 고우스트제거장치에 적용했을 경우이다. 도면에 있어서 입력단자(1)로부터의 신호가 지연회로(41)를 통해서 합성기(2)에 공급되는 동시에, 지연회로(41)의 각 탭의 신호가 중량부여계수회로(42)를 통해서 가산회로(6)에 공급된다. 이 중량부여계수회로(42)가 아날로그누산기(7)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기타는 제6도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이 회로에 있어서, 앞고우스트제거회로는 피이드포워어드형이므로 제거동작이 발산될 염려는 없다. 따라서 이 회로에 있어서도 발산염려가 없는 고우스트제거를 할 수 있다.

Claims (1)

  1. 고우스트성분을 포함하는 비데오신호가 공급되는 입력단자(1)와, 상기입력단자(1)에 접속된 고우스트제거회로와, 상기 고우스트제거회로에 접속되어, 고우스트성분이 실질적으로 억압된 비데오신호를 도출하기 위한 출력단자(3)와, 상기 고우스트제거회로에 포함되어 있어, 상기 고우스트제거회로를 피이드포워어드형 및 피이드백형의 어느 하나로 절환하는 스위칭수단을 가지며, 수신채널절환시 및 고우스트제거과정에서 고우스트의 발산검출시 최소한 어느 한쪽일 때에 소정기간 상기 스위칭수단을 동작시키는 제어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기간에 상기 고우스트제거회로를 피이드포워어드형으로 함과 함께 그후는 상기 고우스트제거회로를 피이드백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우스트제거장치.
KR1019810000483A 1981-02-17 1981-02-17 고우스트(ghost)제거장치 KR85000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483A KR850000840B1 (ko) 1981-02-17 1981-02-17 고우스트(ghost)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483A KR850000840B1 (ko) 1981-02-17 1981-02-17 고우스트(ghost)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792A KR830005792A (ko) 1983-09-09
KR850000840B1 true KR850000840B1 (ko) 1985-06-15

Family

ID=1922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483A KR850000840B1 (ko) 1981-02-17 1981-02-17 고우스트(ghost)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8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792A (ko) 198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16071B2 (ko)
KR880001556B1 (ko) 다중상 반송파 위상 보상 장치를 가진 텔레비젼 다중상 삭제 시스템
JPH02223869A (ja) 雑音測定装置
KR870001725A (ko) 비데오신호 처리장치
US5293234A (en) Ghost cancelling apparatus having transversal filter for generating ghost cancelling signal and method thereof
EP0125647B1 (en) Ghost canceller
KR850000840B1 (ko) 고우스트(ghost)제거장치
JPH0374074B2 (ko)
EP0091492A1 (en) Reference time-detecting circuit
KR950007903B1 (ko) Tv수상기의 고우스트 제거장치
KR100303730B1 (ko) 시퀀스검출기를사용하는텔레비젼디고스트제거장치
JPH0153545B2 (ko)
JPS6114229Y2 (ko)
JPH0342778Y2 (ko)
JP2670879B2 (ja) ゴースト除去装置
JPH01286679A (ja) ゴースト除去装置
JPH0348579A (ja) ゴースト除去装置
KR950006818A (ko) 디지탈 자동주파수조정(afc) 방법 및 장치
JPS63189055A (ja) ゴ−スト除去装置
JPH03167968A (ja) ゴーストリデューサ
JPH0461586A (ja) ディスパーサル除去装置
JPH0219075A (ja) ゴースト除去装置
JPS6147029B2 (ko)
JPH03101380A (ja) ゴースト除去装置
JPH01175370A (ja) ゴースト除去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