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627B1 - 고스트 제거 회로 - Google Patents

고스트 제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627B1
KR950013627B1 KR1019910012200A KR910012200A KR950013627B1 KR 950013627 B1 KR950013627 B1 KR 950013627B1 KR 1019910012200 A KR1019910012200 A KR 1019910012200A KR 910012200 A KR910012200 A KR 910012200A KR 950013627 B1 KR950013627 B1 KR 950013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host
filter
gain
signa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745A (ko
Inventor
미쯔히로 마쯔나가
Original Assignee
니뽄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1995년11월13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1995년11월13일 filed Critical 니뽄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3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04N5/211Ghost signal cance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Filters That Use Time-Delay Element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스트 제거 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고스트 제거 회로에서 구한 시간 영역에서 두 탭 이득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시간 영역에서 두 탭 이득을 직교 변환하여 구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탭 이득을 나타낸 도면.
제 3 도는 본원에 따른 고스트 소거 회로의 제 1 실시예의 블록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도시한 고스트 제거 회로에 포함된 트랜스버셜 필터의 통상예의 블록도.
제 5 도는 제 3 도에 도시한 고스트 제거 회로에 포함된 이득 제한 (리미팅)블럭의 입/출력 특성도.
제 6 도는 제 3 도에 도시한 고스트 제거 회로에 포함된 이득 제한 블록에 의해 달성되는 이득/주파수 특성도.
제 7 도는 본원에 따른 고스트 제거 회로의 제 2 실시예의 블록도.
제 8 도는 제 7 도에 도시된 고스트 제거 회로에 포함된 이득 제한 블록의 입/출력 특성도.
제 9 도는 제 7 도에 도시된 고스트 제거 회로에 포함된 이득 제한 블록에 의해 실현된 이득/주파수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A/D컨버터 14 : 파형 이퀄라이저
22 : 가산기 24 : 트랜스버셜 필터 블록
26 : 가변기 지연기 44, 48 : 이득 리미터.
[발명분야]
본 발명은 텔레비젼 신호의 전파중에 발생된 그룹 지연 왜곡, 주파수 특성 왜곡, 고스트 및 다른 것들을 제거시키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종래의 고스트 제거 회로의 전형적인 회로는 텔레비젼 신호(일반적인 경우, 합성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아나로그/디지탈 컨버터와, 아나로그/디지탈 컨버터로부터 디지탈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특성에서 텔레비젼 신호의 파형을 이퀄라이징하는 파형 이퀄라이징 필터를 포함한다.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은 파형 이퀄라이징 필터를 출력에 접속되며, 디지탈/아나로그 컨버터는 보상된 아나로그 텔레비젼 신호를 출력시키는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의 출력을 수신한다.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은 파형 이퀄라이징 필터의 출력에 접속된 제 1 입력과, 텔레비젼 필터에 의해 발생된 의사 고스트 신호(artificial ghost signal)를 수신하도록 접속된 제 2 입력을 가진 가산기를 구비한다. 상기 가산기의 출력은 또한 디지탈/아나로그 컨버터의 입력에 접속된다. 가산기의 출력은 또한 가변 지연 회로의 입력에 접속되며, 가변 지연 회로의 출력은 텔레비젼 신호상에 중첩된 고스트 신호의 위치와 일치하는 트랜스버셜 필터에 의해 생성된 의사 고스트 신호의 위치를 만들기 위하여 트랜스버셜 필터에 접속된다. 이처럼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트랜스버셜 필터에 의해 생성된 의사 고스트 신호가 가산기에 의해 고스트 신호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신호에 부가됨으로 트랜스버셜 필터(transversal filter)에 의해 생성된 의사 고스트 신호가 텔레비젼 신호에 포함된 고스트 신호의 특성과 반대 특성을 가지면 텔레비젼 신호에 포함된 고스트 신호는 트랜스버셜 필터에 의해 생성된 의사 고스트 신호에 의해 제거된다. 그러므로 고스트 신호가 없는 텔레비젼 신호가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으로부터 출력된다.
기본적으로 트랜스버셜 필터는 다수의 종속 접속된 지연 회로(cascaded delay circuit)를 포함하며, 상기 종속 접속된 지연 회로중 제 1 회로는 입력 신호 즉, 가변 지연 회로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접속된다. 종속 접속된 지연 회로의 모든 출력("탭 출력"으로 불리움)은 대응하는 멀티플라이어(곱셈기)에 병렬로 접속되며 각각의 멀티플라이어는 대응 탭 이득만큼 수신된 신호를 증배한다. 모든 멀티플라이어의 출력은 합산 회로에 의해 결합되며 그 결과 합산 회로로부터 의사 고스트 신호가 발생된다.
멀티플라이어의 수에 대응하는 상기 언급된 탭 이득 수는 필터 제어 블록에 의해 주어지며, 상기 제어 블록은 아나로그/디지탈 컨버터의 출력에 접속된 입력을 가지며 텔레비젼 신호에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검출하도록 동작하는 기준 신호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 기준 신호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되어 출력되는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는 퓨리에 변환 블록에 제공되며, 그 결과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는 주파수 영역으로 직교 변환된다. 이와 같이 얻어진 퓨리에­변환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는 필터 계수 발생 블록에 공급되며, 상기 계수 발생 블록은 기준 파형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기준 파형을 수신한다. 퓨리에­변환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와 기준 파형 사이의 차에 의거하여, 필터 계수 발생 블록은 파형 이퀄라이징 필터를 제어하는 필터 계수와, 고스트 신호를 제거하는 순환(반복) 계수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발생된 필터 계수 및 순환 계수는 역퓨리에 변환 회로에 공급되며, 이들 계수는 시간 영역으로 변환한다.
트랜스버셜 필터의 탭 이득 입력에 분배되며 역퓨리에 변환 회로로부터 출력된 순환 계수는 이득 리미터를 통해 이득 제어기에 제공된다. 이득 제어기는 0dB 보다 작은 탭 이득으로, 즉 가능한한 0dB 보다 작은 범위의 최대 값으로 탭 이득을 한정하도록 동작한다. 이득 제어기는 0dB 아래로 제한된 탭 이득을 수신하며, 트랜스버셜 필터의 탭 이득 입력을 대응의 수신탭 이득으로 설정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이득 제어기는 역 퓨리에 변환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필터 계수로 파형 이퀄라이징 필터를 설정하여 가변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이처럼, 탭을 설정한 결과, 고스트 제거 필터 클럭으로부터 출력된 텔레비젼 신호는 억압된 고스트 신호 성분을 가지며 아나로그/디지탈 컨버터에 의해 아나로그 텔레비젼 신호로 변환 또는 리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스트 제거 회로는 역 퓨리에 변환 회로로부터 출력된 탭 이득의 제한이 오직 하나의 탭 이득 제한을 가진다. 즉, 탭 이득은 시간 영역에서만 제한된다.
따라서, 종래의 고스트 제거 필터는 자주 발진하며, 고스트 제거 필터를 통해 통과된 텔레비젼 신호가 손상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역 퓨리에 변환 회로로부터 출력된 탭 이득을 추가로 제한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시간 영역에서의 이득 제한은 주파수 대역의 전체 범위를 걸쳐 이득을 제한하기 때문에 시간 영역에서의 큰 이득 제한은 텔레비젼 신호에 포함된 고스트 신호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결과를 가져온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한 고스트 제거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스트 제거 필터가 발진하지 않고 텔레비젼 신호에 포함된 고스트 신호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고스트 제거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고스트 제거 회로로서 달성되며, 본 발명의 고스트 제거 회로는, 주파수 영역에서 0dB 보다 작은 레벨로 고스트 제거 필터용 순환 계수를 제한하는 리미터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리미터 수단은 임의의 입력 신호가 0dB 보다 작은 레벨로 제한되는 다수의 다른 레벨­제한 입력/출력 특성을 가진다. 리미터 수단은 각 입력 신호의 레벨에 따른 다수의 레벨 제한 입/출력 특성중의 한 특성을 선택하도록 동작함으로써 입력 신호는 선택된 레벨 제한 입/출력 특성에 따라 0dB 보다 작은 레벨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장점에 관하여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제 1 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스트 제거 회로에서 구해진 시간 영역에서의 탭 이득에 관한 2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면 부호 G1은 시간 영역 t1시점에서의 탭 이득을, G2는 시간 영역 t2 시점에서의 탭 이득을 표시한다. 여기서 t1〈 t2 이다. 각각의 탭 이득 G1 및 G2는 0dB 이하로 제한된다.
제 2 도에서는 제 1 도에 도시한 시간 영역에서의 두 탭 이득 G1, G2를 주파수 영역에서 직교 변환하여 구한 이득들을 도시하고 있다. 점선 G3는 탭 이득 G1을 직교 변환한 탭 이득을 표시하며, 실선 G4는 G3 이득과, G2 이득을 직교 변환한 탭 이득을 결합하여 구한 탭 이득을 나타낸다.
G4 탭 이득은 다음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gain G4|×exp(-jw)=|gain G1|×exp(-jw)+|gain G2|×exp(-jw)
따라서 이득이 |gain G1|〈0dB와 |gain G2|〈0dB의 영향으로만 제한될 경우에, |gain G4|이≥0dB일 가능성이 내재한다.
제 3 도에서는 본원에 따른 고스트 제거 회로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고스트 제거 회로는 입력 노드(12)를 통해 텔레비젼 신호(일반적으로는 합성 비디오 신호)를 수신 하는 A/D컨버터(10)를 갖고 있다. A/D컨버터(10)에서 출력된 디지탈 텔레비젼 신호는 파형 이퀄라이징 필터(14)에 공급되어서, 주파수 특성내에서 이퀄라이징된다. 이퀄라이징 필터(14)의 출력은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16)의 입출력에 접속되며, 블록(16)의 출력측은 보상 아나로그 텔레비젼 신호를 출력단자(20)에 출력하는 D/A컨버터(18)에 접속된다.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16)은 가산기(22)를 가지며, 이 가산기(22)는 파형 이퀄라이징 필터(14)의 출력측에 접속된 제 1 입력과, 트랜스버셜 피터(24)에 의해 발생한 의사 고스트 신호를 수신하도록 접속된 제 2 입력을 가진다. 가산기(22)의 출력은 D/A컨버터(18)의 입력에 접속된다. 또한 가산기(22)의 출력은 가변 지연 회로(26)의 입력측에 접속되며, 상기 회로(26)의 출력측은 텔레비젼 신호에 중첩된 고스트 신호의 위치와 일치하는 트랜스버셜 필터(24)에 의해 발생된 의사 고스트 신호의 위치를 만들기 위해 트랜스버셜 필터(24)에 접속된다. 따라서, 트랜스버셜 필터(24) 발생의 의사 고스트 신호는 가산기의 동작에 의해 고스트 신호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신호에 가산되기 때문에, 상기 의사 고스트 신호의 특성이 텔레비젼 신호에 포함된 고스트 신호의 특성과 반대일 경우에, 텔레비젼 신호에 포함된 고스트 신호는 트랜스버셜 필터(24)에 의해서 발생한 의사 고스트 신호에 의해 제거되어서 고스트 신호 성분이 없는 텔레비젼 신호가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10)에서 D/A 컨버터(18)로 출력케 된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버셜 필터에는 여러개의 종속 접속된 지연 회로(28A, 28B, 28C…28M, 28N)를 가지며, 각 지연 회로는 수신 신호를 한 클럭씩 지연시킨다. 상기 한 클럭은 텔레비젼 신호의 서브 캐리어 신호 주파수의 n배 주파수 신호로서, 텔레비젼 신호의 버스트 신호(burst signal)와 동기한다. 종속 접속된 지연 회로의 첫번째 28A는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 즉 가변 지연 회로(26)의 출력을 받도록 접속되어 있다.
모든 종속 접속된 지연 회로(28A, 28B, 28C…28M, 28N)의 출력을 "탭 출력"이라고 하며, 이들 출력은 이에 대응하는 갯수의 멀티플라이어(30A, 30B, 30C…30M, 30N)에 각각 병렬 접속되다. 각 멀티플라이어는 각각 대응하는 탭 이득을 받아서, 대응하는 지연 회로에서 수신한 신호와 탭 이득을 승산하는 동작을 한다. 각 멀티플라이어의 출력은 합성 회로(32)에 공급되어서, 의사 고스트 신호가 이 회로(32)에서 발생한다.
제 3 도에서, 멀티플라이어(30A, 30B, 30C…30M, 30N)수에 대응하는 탭 이득수는 필터 제어 블록(34)에 의해서 주어진다. 필터 제어 블록(34)은 A/D 컨버터(10)의 출력에 접속된 입력을 갖고, 텔레비젼 신호로 부터의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검출하도록 동작하는 기준 신호 검출 회로(36)를 가진다. 기준 신호 검출 회로(36)에 의해 검출되고 출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가 퓨리에 변환 블록(38)에 제공되며, 그결과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는 주파수 영역으로 직겨 변환된다. 그에 따라 얻어진 퓨리에-변환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가 필터 계수 발생 블록(40)에 공급되고, 블록은 또한 기준 파형 메모리(42)로부터 출력된 기준 파형을 수신한다. 퓨리에-변환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와 기준 파형 사이의 차이에 의거하여, 필터 계수 발생 블록(40)은 파형 이퀄라이징 필터(14)를 제어하기 위한 필터 계수 및 고스트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순환 계수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발생한 순환 계수는 이득 라이팅 블록(44)에 공급되고 이에 블록(44)에 의해 0dB 미만의 레벨로 이득 제한된다. 이처럼 주파수 영역에서 이득-제한된 수환 계수는 역 퓨리에 변환 회로(46)에 제공되고, 이대 상기 순환 계수는 시간 영역으로 변환된다. 한편, 필터 계수 발생 블록(40)에 의해 발생된 필터 계수는 이득이 제한되지 않는 상태로 역 퓨리에 변환회로(46)에 제공되며, 그에 따라 필터 계수는 시간 영역으로 변환된다.
역 뷰리에 변환 회로(46)로부터 출력된 순환 계수는 이득 리미터(48)를 통해 이득 제어기(50)에 제공된다. 이득 리미터(48)는 적어도 0dB인 탭 이득(시간 영역에서)을 0dB 미만의 범위에서 가능한 최대값으로 제한되도록 동작한다. 이득 제어기(50)는 이득 리미터(48)로부터 공급된 탭 이득(0dB 아래로 제한된)을 수신하여 수신된 대응 탭 이득으로 트랜스버셜 필터(24)의 탭 이득 입력을 셋트시키도록 동작한다. 또한, 이득 제어기(50)는 역 퓨리에 변환 회로(46)로부터 출력된 필터 계수로 파형 이퀄라이징 필터(14)를 셋트시키고 가변 지연 회로(26)의 지연 시간을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제 5 도에 있어서, 이 도면에는 이득 리미팅 블록(44)의 입력/출력 특성이 도시된다.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득 리미팅 블록(44)은 발진하기 쉬운 영역 보다 낮은 최대 레벨로 주파수 영역상의 순환 계수를 제한하도록 동작한다. 이득이 0dB 보다 높을 경우, 발진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득이 0dB 보다 작을 지라도, 이득이 0dB에 가깝다면, 발진하기 쉽다. 그러므로, 발진하기 쉬운 이득 영역보다 작게 이득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 도에 있어서, 제 6 도에는 이득 리미팅 블록(44)의 효과가 도시된다. 직선(52)은 이득 리미터(48)가 제공되지만 이득 리미팅 블록(44)이 제공되지 않을 때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16)에 주어진 순환 계수를 나타낸다. 순환 계수(52)는 가끔 발진하기 쉬운 레벨을 초과한다. 한편, 점선(54)은 이득 리미터(48)와 이득 리미팅 블록(44)이 모두 제공될 때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16)에 주어진 순환 계수를 나타낸다. 이득 리미팅 블록(44) 및 이득 리미터(48)를 통과한 순환 계수(54)는 시간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주파수 영역에서 0dB를 초과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16)은 결코 발진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고스트 성분이 제거되는 텔레비젼 신호는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에 대한 순환 계수가 시간 영역에서의 이득-제한되기 전에 주파수 영역에서 이득이 제한되기 때문에, 시간 영역에서의 이득-제한의 량은 작아진다. 한편, 주파수 영역에서의 이득-제한은 제한된 주파수 안에서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텔레비젼 신호에서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고스트 신호는 탭 이득이 단지 시간 영역안에서만 제한되는 종래의 고스트 제거 회로와 비교해서 미소한 정도로 남아있게 된다.
제 7 도에 있어서, 이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고스트 제거 회로의 제 2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제 7 도에서, 제 3 도에 도시된 소자에 상응하는 소자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주어지며, 그에 따라 각 소자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 2 실시예는 필터 제어 블록(34)과는 상이한 필터 제어 블록(56)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 제어 블록(56)은 필터 계수 발생 블록(58), 기준 파형 메모리(60), 및 이득 리미팅 블록(62)을 포함하며, 이것은 제 1 실시예에서의 필터 제어 블록(34) 중 대응 블록과는 상이한 것이다.
기준 파형 메모리(60)는 기준 파형을 시간 영역안에 저장하며, 필터 계수 발생 블록(58)은 시간 영역 안에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의 전파 왜곡량을 얻어 파형 이퀄라이징 필터(14)에 대한 필터 계수와 고스트 제거 필터 블럭(16)에 대한 순환 계수를 발생하기 위해 기준 파형 검출 회로(36)로부터 검출되고 출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기준 파형 메모리(60)로부터 제공된 기준 파형과 비교한다.
파형 이퀄라이징 필터(14)에 대한 필터 계수는 시간 영역에서 발생되며, 그에 따라 수정 및 변화 없이 이특 제어 회로(50)에 제공된다. 한편, 순환 계수가 주파수 영역으로 변형되도록 순환 계수가 퓨리에 변환 회로(38)에 제공된다. 주파수 영역안의 순환 계수가 이득 리미팅 블록(62)에 제공되고, 이득 리미팅 블록(62)은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이 발진하기 시작하는 임계 레벨쪽으로 이득 제한의 정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분할된 입/출력 특성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제한하도록 동작한다. 이득 리미팅 블록(62)에 의해 이득이 제한된 주파수 영역안의 순환 계수는 역 퓨리에 변환 회로(46)에 제공되고, 그에 따라 주파수 영역에서 이득 제한된 순환 계수는 시간 영역으로 변환된다.
제 8 도는 이득 리미팅 블록(62)의 입/출력 특성을 도시한다. 주파수 영역안에서의 순환 계수의 이득이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이 발진하기 쉽게 되는 임계 레벨에 도달하거나 초과하지 않게 하기 위해, 이득 리미팅이 블록(62)은 네 개의 서로 다른 기울기 D1,D2,D3,및 D4를 가진 입/출력 특성을 갖는다. 예컨대, 입력레벨이 레벨 A보다 크지 않을 때, 이득 리미팅 블록(62)은 제 1 기울기의 입/출력 특성을 갖는다. 입력 레벨이 A보다 크지만 레벨 B보다 크지 않을 때, 이득 리미팅 블록(62)은 제 1 기울기 D1보다 작은 제 2 기울기 D2의 입력/출력 특성을 갖는다. 입력 레벨이 레벨 B보다 크지만 레벨 C보다 작지 않을 때, 이득 리미팅 블록(62)은 제 2 경사 D2보다 작은 제 3 기울기, D2의 입/출력 특성을 갖는다. 입력 레벨이 레벨 C보다 큰 경우에는, 이득 제한 블록(62)은 입력 신호 레벨과 무관하게 발진이 일어나기 쉬운 레벨 보다 다소 작은 일정 레벨로 이득 리미팅 블록(62)이 출력하도록 제 4 기울기 D4의 입/출력 특성을 가진다.
제 9 도에 있어서, 제 9 도는 이득 제한 블록(62)의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 실선(64)은 이득 리미터(48)가 제공되나 이득 제한 블록(62)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의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16)에 주어진 순환 계수(16)를 도시한다. 순환 계수(64)는 때때로 발진이 일어나기 쉬운 레벨을 초과한다. 한편 점선(66)은 이득 리미터(48)와 이득 제한 블록(62)이 제공되는 경우의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16)에 주어진 순환 계수를 가르킨다. 이득 제한 블록(62)과 이득 리미터(48)를 통과하는 순환 계수(66)는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 0dB를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16)은 결코 발진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 영역에서 순환 계수의 이득은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이 발진하기 시작하는 임계 레벨쪽으로 이득 한계 정도를 점증적으로 증가하는 4개의 연속 분할된 입/출력 특성에 따라서 제한된다. 그러므로, 시간 영역상에서 변환된 순환 계수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감손된 불연속점수를 가질 수 있다. 이득 제한 블럭(62)이 제 1 실시예에 결합되면, 유사 효과가 얻어진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예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스트 제거 필터는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에서 순환 계수의 이득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고스트 제거 필터는 결코 발진하지 않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탭 이득이 시간 영역에서만 제한된다면, 그 이득은 주파수 대역의 전체 범위에 걸쳐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스트 제거 회로에 있어서, 순환 계수는 시간 영역에서 이득 제한되기 전에 주파수 영역에서 이득 제한된다. 그러므로 시간 영역에서 이득 제한량은 작아진다.
또한, 주파수 영역에서 이득 제한은 제한된 주파수에서만 행해진다. 따라서, 텔레비젼 신호에서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고스트 신호는 탭 신호가 시간 영역에서만 제한되는 종래의 고스트 제거 회로와 비교하여 미세한 정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의 사상내에서 변화 및 수정이 행해지면 예증된 구조의 설명으로 제한되는 방법이 아니다.

Claims (5)

  1. 고스트 제거 회로에 있어서,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와, 상기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 디지탈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텔레비젼 신호의 파형을 이퀄라이징하기 위한 파형 이퀄라이저와, 상기 파형 이퀄라이저의 출력에 접속된 제 1 입력을 가진 가산기, 상기 가산기의 출력에 접속된 입력을 가진 가변 지연 회로, 및 상기 가변 지연 회로의 출력에 접속되고, 제어 블록에 의해 제어되 입력을 가지며 의사 고스트 신호가 상기 가산기에 의해 고스트 신호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신호에 가산될 때 텔레비젼 신호에 포함된 상기 고스트 신호를 제거한 의사 고스트 신호를 상기 가산기의 제 2 입력에 출력케하는 트랜스버셜 필터로 구성된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과, 상기 고스트 제거 필터 블록의 가산기의 출력에 접속되어 보상된 아나로그 텔레비젼 신호를 출력시키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 제어 블록은, 상기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의 출력에 접속된 입력을 구비하여 텔레비젼 신호로부터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 신호 검출 회로와, 퓨리에 변환 기능이 있고 기준 신호 검출 회로로부터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수신하여, 고스트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주파수 영역에서 순환 계수를 발생하는 필터 계수 발생 수단과, 상기 주파수 영역에서 순환 계수를 수신하여 상기 주파수 영역에서 이득-제한된 순환 계수를 출력하는 제 1 이득 리미터 수단과, 상기 주파수 영역에서 이득-제한된 순환 계수를 수신하여 시간 영역에서 변환된 순환 계수를 발생시키는 역 퓨리에 변환 회로와, 시간 영역에서 변환된 순환 계수를 수신하여 시간 영역에서 이득-제한된 순환 계수를 출력하는 제 2 리미터 수단과, 제 2 리미터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순환 계수를 수신하여 상기 트랜스버셜 필터의 대응 탭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 제거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게수 발생 수단은 기준 신호 검출 회로로부터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주파수 영역에서 직교 변환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퓨리에 변환 회로와, 기준 파형을 저장하는 기준 파형 메모리와, 주파수 영역에서 직교 변환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와, 기준 파형을 수신하여 기준 신호와 퓨리에 변환 회로로부터의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와의 차이에 의거하여 고스트 신호를 제거하는 순환 계수를 발생하는 필터 계수 발생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고스트 제거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 발생 블럭은 또한 상기 파형 이퀄라이저를 제어하는 필터 계수를 발생시켜 발생된 필터 계수를 상기 역 퓨리에 변환 회로 및 상기 이득 제어기를 통해 상기 파형 이퀄라이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 제거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 발생 수단은 기준 파형을 저장하는 기준 파형 메모리와,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와 기준 파형 사이의 차에 의거하여 상기 기준 파형과 상기 기준 신호 검출 회로로부터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수신하여 고스트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시간 영역에서 순환 계수를 발생시키는 필터 계수 발생 블록과, 시간 영역에서 순환 계수를 수신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직교 변환된 순환 계수를 발생시키는 퓨리에 변환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 제거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 발생 블록은 또한 상기 파형 이퀄라이저를 제어하는 필터 계수를 발생시켜 발생된 필터 계수를 상기 이득 제어기를 통해 상기 파형 이퀄라어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 제거 회로.
KR1019910012200A 1990-07-17 1991-07-18 고스트 제거 회로 KR950013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88549 1990-07-17
JP2188549A JPH0477180A (ja) 1990-07-17 1990-07-17 ゴースト除去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745A KR920003745A (ko) 1992-02-29
KR950013627B1 true KR950013627B1 (ko) 1995-11-13

Family

ID=1622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200A KR950013627B1 (ko) 1990-07-17 1991-07-18 고스트 제거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67041A (ko)
EP (1) EP0467338B1 (ko)
JP (1) JPH0477180A (ko)
KR (1) KR950013627B1 (ko)
DE (1) DE6911624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8761A (en) * 1992-08-19 1993-12-07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Automatic gain control system for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signal receiver including an adaptive equalizer
WO1994008426A1 (en) * 1992-10-01 1994-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tape recorder with tv receiver front end and ghost-suppression circuitry
DE69427415T2 (de) * 1993-02-08 2002-05-2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OFDM-Empfänger mit Ausgleichung von differenziellen Verzögerungen
US5335020A (en) * 1993-03-03 1994-08-02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IIR ghost cancelling system with reduction of filter instability
JP3119584B2 (ja) * 1996-06-20 2000-12-25 日本電気株式会社 ゴースト除去装置
KR100269130B1 (ko) * 1997-11-21 2000-10-16 윤종용 단일고스트제거기를갖는디지털/아날로그tv방송공용수신기와고스트제거방법
US6490914B1 (en) 1998-03-25 2002-12-1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sensing crankshaft position in a hybrid electric vehicle
KR100497373B1 (ko) * 2002-12-13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등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6910A (en) * 1980-10-29 1982-05-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host rejecting device
EP0285931B1 (en) * 1987-03-31 1993-08-04 Nippon Steel Corporation Corrosion resistant plated steel strip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614633B2 (ja) * 1988-03-11 1997-05-28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ゴースト除去装置
JP2525463B2 (ja) * 1988-06-29 1996-08-21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ゴ―スト除去装置
JPH02135877A (ja) * 1988-11-16 1990-05-24 Hitachi Ltd ゴースト除去装置
US5025317A (en) * 1989-04-13 1991-06-1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Ghost canceler using reference signals to generate updated criterion functions on which tap gains are determi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67041A (en) 1993-11-30
EP0467338B1 (en) 1996-01-10
KR920003745A (ko) 1992-02-29
EP0467338A2 (en) 1992-01-22
EP0467338A3 (en) 1992-05-27
DE69116248D1 (de) 1996-02-22
JPH0477180A (ja) 1992-03-11
DE69116248T2 (de) 1996-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576B1 (ko) 고스트제거 필터회로
KR0145307B1 (ko) 고스트 제거회로
KR860007828A (ko) 비데오신호 순환필터
KR950013627B1 (ko) 고스트 제거 회로
US5524022A (en) Digital graphic equalizer
US4916542A (en) Picture quality adjusting circuit with fir filter for digital processing
JPS63174419A (ja) デジタル信号補償装置
US4393407A (en) Contour correcting apparatus for video signals
JPS58170291A (ja) クロマ信号利得制御方式
KR950007310B1 (ko) 디지탈 비선형 프리-엠퍼시스/디-엠퍼시스
US5257292A (en) Circuit arrangement for influencing the frequency response of a digital audio signal
KR910008922B1 (ko) 디지탈 비디오 신호처리 회로
US5448303A (en) Apparatus including amplitude limiter and associated method for generating a modified video signal
US6920471B2 (en) Compensation scheme for reducing delay in a digital impedance matching circuit to improve return loss
JP2871323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US5299003A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chang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n input signal
US4617588A (en) Feedback type comb filter
JP2538627B2 (ja) ゴ―スト除去装置
JP3021194B2 (ja) 映像機器におけるクシ型フィルタ
KR950007903B1 (ko) Tv수상기의 고우스트 제거장치
KR0120589B1 (ko) 디지탈 잡음 감쇠기
JP2848987B2 (ja) 波形等化回路
JPH04196771A (ja) 波形等化装置
KR950026173A (ko) 윤곽보상 노이즈 감쇄회로 및 방법
KR0164780B1 (ko) 디지탈 비선형 프리-엠피시스/디-엠퍼시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