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641A - 피추리나 헤파티카의 자실체 생육방법 - Google Patents

피추리나 헤파티카의 자실체 생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641A
KR950007641A KR1019940024568A KR19940024568A KR950007641A KR 950007641 A KR950007641 A KR 950007641A KR 1019940024568 A KR1019940024568 A KR 1019940024568A KR 19940024568 A KR19940024568 A KR 19940024568A KR 950007641 A KR950007641 A KR 950007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ing body
mycelium
medium
fistulina hepatica
fru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36838B1 (ko
Inventor
류이치 하토리
히사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스기사와 고
하우스 쇼쿠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241476A external-priority patent/JP27594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241474A external-priority patent/JP28082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241475A external-priority patent/JP2759409B2/ja
Application filed by 스기사와 고, 하우스 쇼쿠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기사와 고
Publication of KR95000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Fistulina hepatica의 자실체 생육방법에서, 적어도 저부 및 측벽을 갖는 용기내에 포함된 고체배지에서 자실체 원기-형성부에 가까운 배양용기의 측벽일부를 절단하여 측벽에 절개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그 절개부를 통해서 용기의 외부쪽으로 자실체를 성장하게 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이 방법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단기간에 큰 성숙 자실체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피추리나 헤파티카의 자실체 생육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17)

  1. Fistulina hepatica의 자실체 생육방법에서, 이방법은 적어도 저부 및 측벽을 갖는 용기내에 포함된 고체배지에서 자실체 원기-형성부에 가까운 배양용기의 측벽의 일부를 절단하여 배양용기의 벽면에 절개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그 절개부를 통해서 용기의 외부쪽으로 자실체를 성장하게 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배양용기가 기체는 통과할 수 있지만 포자는 통과할 수 없는 필터가 부착된 밀폐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배양용기가 플라스틱 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배양용기가 투명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배양용기를 구성하는 필름의 두께가 10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이 방법은 (1)Fistulina hepatica의 균사가 배지중에 만연되어 배지가 완전히 균사체로 채워지고 균사체는 자실체를 형성할 만큼 충분히 성축한 후에, 완전히 균사체로 채워지고 균사체는 자실체를 형성할 만큼 충분히 성축한 자실체 발생기를 10내지 30℃에서 1내지 30일간 배양하여, 성숙 균사체로부터 자실체 원기를 생성하는 공정 및 (2)자실체 원기에 가까운 용기의 부분을 절단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3)자실체 원기를 10내지 30℃에서 10내지 40일간 배양하여 절개부를 통해서 용기의 외부쪽으로 성숙 자실체를 발생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자실체 원기를 암 조건에서 배양하여 얻은 후에 온도 15내지 20℃, 상대습도 70%이상, 조도 50내지 1,0001x으로 이루어지는 조건하에서 Fistulina hepatica의 자실체를 용기 외부쪽으로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Fistulina hepatica의 자실체 생육방법에서, 기체는 통과할 수 있지만 포자는 통과 할수 없는 필터가 부착된 밀폐된 투명 플라스틱 용기에서 고체배지중에 Fistulina hepatica의 균사를 만연시켜서, 완전히 균사체로 채워지고 균사체는 자실체가 형성될 만큼 충분히 성축한 자실체 발생기를 얻는 공정, 그 자실체 발생기를 10내지 30℃에서 1내지 30일간 암조건에서 배양하여 성숙 균사체로부터 자실체 원기를 생성하는 공정, Fistulina hepatica의 자실체 원기 부근의 용기부분을 절단하는 공정, 및 그것을 10내지 30℃에서 10내지 40일간 50내지 1,0001x의 명조건하에 배양하여 절개부를 통해서 용기의 외부쪽으로 Fistulina hepatica의 성숙 자실체로 발생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a)목질원료 및 (b)당류와 유기체 질소를 함유하는 영양물질을 포함하며 pH는 3.5내지 5.5의 범위내인 고체 배양배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자실체 생성방법에서, (1)Fistulina hepatica의 균사가 배지중에 만연하여 그것이 완전히 균사체로 채워지고 균사체는 자실체를 형성할 만큼 충분히 성숙한 후에, 완전히 균사체로 채워지고 균사체는 자실체를 형성할 만큼 충분히 성숙한 배지를 10내지 30℃에서 1내지 30일간 배양하여 성숙 균사체로 부터 자실체 원기를 생성하는 공정 및 (2)자실체 원기를 10내지 30℃에서 10내지 40일간 배양하여 성숙 자실체로 발생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성숙 균사체를 암 조건에서 배양하여 얻은 다음, 그것을 15내지 20℃, 상대습도 70%이상의 명조건(50내지 1,0001x)에서 배양하여 Fistulina hepatica의 자실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a)목질원료 및 (b)당류와 유기체 질소를 함유하는 영양물질을 포함하며 pH는 3.5내지 5.5의 범위내인 고체 배양배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멸균한 Fistulina hepatica용 고체 배양배지와 Fistulina hepatica의 종균을 혼합하고 종균을 배지 전체에 분산시킴으로서 Fistulina hepatica의 종균을 고체배지중에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고체배지가 50내지 70중량%의 수분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Fistulina hepatica의 접종방법에서, Fistulina hepatica의 종균을 멸균한 Fistulina hepatica용 고체 배양배지와 혼합하고 종균을 배지 전체에 분산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a)목질원료 및 (b)당류와 유기체 질소를 함유하는 영양물질을 포함하며 pH는 3.5내지 5.5의 범위내인 고체 배양배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고체 배양배지가 50내지 70중량%의 수분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24568A 1993-09-28 1994-09-28 소 혀 버섯의 자실체 생육방법 KR0136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41476A JP2759410B2 (ja) 1993-09-28 1993-09-28 カンゾウタケの子実体生育方法
JP5241474A JP2808227B2 (ja) 1993-09-28 1993-09-28 カンゾウタケの接種方法
JP93-241476 1993-09-28
JP5241475A JP2759409B2 (ja) 1993-09-28 1993-09-28 カンゾウタケの栽培方法
JP93-241475 1993-09-28
JP93-241474 1993-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641A true KR950007641A (ko) 1995-04-15
KR0136838B1 KR0136838B1 (ko) 1998-04-24

Family

ID=27332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568A KR0136838B1 (ko) 1993-09-28 1994-09-28 소 혀 버섯의 자실체 생육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36838B1 (ko)
TW (1) TW28362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721A (ko) * 2002-06-18 2004-01-14 황승민 반사경(41)을 이용한 조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947B1 (ko) * 2002-05-03 2004-09-24 농업회사법인 하나바이오텍(주) 꽃송이버섯(하나비라다케, 학명: Sparassis CripsaWulf.:Fr. )의 인공재배법
CN103858661A (zh) * 2012-12-07 2014-06-18 徐世江 美味牛肝菌的半人工栽培方法
CN105961029A (zh) * 2016-06-02 2016-09-28 蚌埠市蚌山区海上明珠家庭农场 一种牛排菇仿野生栽培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721A (ko) * 2002-06-18 2004-01-14 황승민 반사경(41)을 이용한 조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6838B1 (ko) 1998-04-24
TW283622B (ko) 199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999B1 (ko) 생물육성장치
US4757640A (en) Cultivation of morchella
Hsiao et al. Environmental control of gametogenesis in Laminaria saccharina. I. The effects of light and culture media
US4866878A (en) Cultivation of morchella
Kuek Shake-flask culture of Laccaria laccata, an ectomycorrhizal basidiomycete
KR950007641A (ko) 피추리나 헤파티카의 자실체 생육방법
CN1125035A (zh) 平菇“丰八”菌种与其培养方法及栽培技术
KR890014024A (ko) 향상된 생물적 효과를 갖는 조류의 제조방법
Jang et al. Characterization of fruitbody morphology on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in Pleurotus ostreatus
US5349121A (en) Biologically pure mushroom culture and method for mushroom cultivation
Mason et al. Procedure for establishing sheathing mycorrhizas on tree seedlings
KR910019492A (ko) 낙면을 주제로한 배지를 이용하여 느타리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
KR970027297A (ko) 상황버섯 조성물의 배양방법
KR960036902A (ko) 버섯재배용 종균의 제조방법
BE903802A (nl) Werkwijze voor het kweken van paddestoelen, en heirbij gebruikt apparaat.
AU634148B2 (en) Use of cellulase preparations in the cultivation and use of cellulose-producing microorganisms
Stott et al. Improved fruiting of Coprinus atramentarius using cold-shock treatment during growth
KR100226632B1 (ko) 상황버섯의 재배방법
KR950014295A (ko) 나무절편을 주재료로하여 목재부후진균의 배양및 자실체 발생방법
KR950026337A (ko) 부숙시킨 나무절편을 주재료로한 버섯종균 배양방법
Robi et al. Experimental of Enokitake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cultivation in vitro as the center for entrepreneurship learning at the biology greenhouse of FMIPA UM
JPH01157316A (ja) 食用きのこ類の人工栽培法
KR20020048336A (ko) 꽃송이버섯(하나비라타케, 학명:스파라시스 크리스파) 및상황버섯(휄리너스 린테우스)의 원목을 이용한 단기재배방법
JP3134976B2 (ja) ハタケシメジの無機質繊維製粒状成型物覆土法による人工栽培法
JPS63109724A (ja) シイタケの栽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