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334Y1 - 자동차용 안전밸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안전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334Y1
KR950007334Y1 KR2019930014878U KR930014878U KR950007334Y1 KR 950007334 Y1 KR950007334 Y1 KR 950007334Y1 KR 2019930014878 U KR2019930014878 U KR 2019930014878U KR 930014878 U KR930014878 U KR 930014878U KR 950007334 Y1 KR950007334 Y1 KR 950007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ain
auxiliary
control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4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167U (ko
Inventor
최기용
Original Assignee
최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용 filed Critical 최기용
Priority to KR2019930014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334Y1/ko
Publication of KR9500061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1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2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fluids or vico-elas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밸트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요부의 작동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벨트 2 : 권취통
5 : 보조완충기 7 : 탄동고리
8 : 제어구 11 : 제어롤러
16 : 주완충기 20 : 권취축
21 : 판스프링 22 : 보조벨트
24 : 클리크
본 고안은 주행중인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마련된 자동차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안전벨트는 벨트가 권회된 권취통의 내부에 제어핀을 설치하여 벨트가 급격히 빠지려고 할 경우 제어핀이 출구의 간격을 좁혀 벨트의 빠짐을 저지하도록 하므로서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된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어핀의 작동불량으로 벨트가 아무 저항없이 빠지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런 경우 벨트를 착용한 효과를 얻지 못하게되며, 또는 제어핀의 작동이 기민할 경우 그 작동폭이 좁아 착용된 벨트가 여유분이 없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차량의 돌발사고시나 급정차할때 관성에 의하여 탑승자가 앞쪽으로 쏠려 앞가슴과 어깨에 강한 압박과 충격을 받게되므로, 이런 경우 부상을 당항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충동시 탑승자의 몸은 안전벨트에 의해서 갑자기 정지되나, 머리부분은 계속 앞쪽으로 움직이려 하기 때문에 목부분이 부상을 입을 경우도 빈번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탑승자의 몸에 가해지는 충격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일시에 충격을 받게 되는 것을 막으므로써 부상을 방지하는 완충과 제어기능을 부여한 자동차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에 맞추어 기재된 목적을 제공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는 착용하게 되는 주벨트 이외에 보조벨트를 마련하여 주벨트는 스프링으로 탄동되는 탄동고리와, 랙크 및 유동핀으로 구성된 제어구가 구비되고, 보조벨트는 양단 또는 그 일단에 다수의 판스프링을 구비한 권취봉에 권취시켜 보조벨트가 풀릴때 회전되는 권취봉의 판스프링이 클리크에 제어를 받아 권취봉이 회전 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벨트의 타단은 상기한 제어구에 연결하여서 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구조를 나타낸 보인 종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 중 완충수단의 일부 작동예시도로서 이하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벨트(1)의 일단은 권취통(2)내에서 권취스프링(4)에 의해 회동되는 축(3)에 결착하여 권치되게 하고, 주벨트(1)의 중간부는 주완충기(16)내부와 주완충기몸체(17)에 고정된 지지고리(17')와 보조완충기(5)내에서 코일스프링(6)에 의해 탄동되는 탄동고리(7)를 통과시킨후 주완충기(16)와 보조벨트(22)로 연결된 제어구(8)를 통과시키되, 주벨트(1)는 상기 제어구(8)양측벽에 경사지고 길게 뚫려있는 제어공(10)에 양단측이 끼워 설치된 제어롤러(11)와 그 하부의 랙크(9)사이에 끼워져 주벨트(1)가 급격히 당겨질때 제어되도록 하며, 상기 주벨트(1)타단의 체결고리(13)는 공지의 고정연결구(14)에 끼워 해지버튼(15)으로 착탈되게 한다.
상기에서 주벨트(1)가 통과한 주완충기(16)는 완충실(18)내에 권취스프링(19)으로 회동되는 권취축(20)을 설치하여, 이에 상기한 보조벨트(22)를 권취하고, 그 타단은 상기제어구(8)의 고리(12)에 고정시켜 연동되게 하며, 상기 판스프링(21)측 완충실(18)내면에 편심축(23)의 지점으로 회동되는 클리크(24)와 걸림턱(25)을 다수 장설하며, 상기 클리크(24)는 편심축(23)에 의하여 권취축(20)과 간격이 조절되도록 장지름부(24a)와 단지름부(24b)를 마련하여 제어구(8)에 의해 급격히 정지되는 주벨트(1)의 정지동작이 완충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승차자의 허리 또는 가슴을 지나가는 주벨트(1) 선단의 체결고리(13)를 종래와 같이 고정연결구(14)에 끼워 결착한 상태로 착용하게 되는데 차량충돌이 발생하며 착용자의 관성에 따라 인체가 앞으로 쏠릴때 주벨트(1)가 당겨진다.
이때 주벨트(1)는 급격히 당겨짐에 따라 제어구(8)의 제어롤러(11)를 끌어 이동시킴에 따라 끌려가면서 랙크(9)와의 간격이 좁혀져 결국 주벨트(1)는 제어롤러(11)와 랙크(9)사이에 물려 있는 상태가 되므로 더이상 주벨트(1)가 풀려지지 않게되나 이때, 계속적인 관성에 의하여 주벨트(1)를 물고있는 제어구(8)는 인체에 따라 앞쪽으로 당겨지는 힘에 의해 보조벨트(22)가 약간 풀리게 된다.
이때 보조벨트(22)의 풀림에 따라 권취축(20)이 회전하게 되는데 권취축(20)의 회전은 판스프링(21)이 편심축(23)을 지점으로 회동되는 클리크(24)를 밀어 지나게 되는 장지름부(24a)를 통과함에 따라 제어되면서 회전되어 완충의 효력을 얻게되는 것이다.
이때, 보조벨트가 풀려지는 과정에서 주벨트가 탄동고리(7)를 아래로 잡아 당기므로써 주벨트가 늘어나야 하는 여유길이를 제공함과 동시에 보조완충기(5)의 코일스프링(6)은 보조완충작용도 겸하게 된다.
이후 보조벨트(22)가 원상태로 되어 권취스프링(19)의 탄성으로 권취축(20)이 회전되어 감기게되나, 이때에는 상기 판스프링(21)이 역회전되는 관계로 클리크(24) 단지름부(24b)를 밀어 권취축(20)과의 간격이 넓은 상태에서 지나게 되므로 클리크(24)를 지나는 판스프링(21)의 제어력이 약화되어 권취축(20)이 원활하게 회전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주벨트(1)가 보조완충기(5)와 제어구(8)로 되는 제어수단에 의하여 어느정도 완충되면서 풀림이 제어되고, 권취축(20)과 판스프링(21) 및 클리크(24)로 되는 완충수단에 감긴 보조벨트(22)에 의하여 주벨트(1)가 완충되므로 인체에 주는 압박감과 충격이 완화되며, 주벨트(1)의 안정적인 풀림과 제어력을 주는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권취통(2)에 권취되는 주벨트(1)를 차체에 고정된 고리를 거쳐 고정연결구(14)에 끼워 해지버튼(15)으로 착탈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주벨트(1)는 주완충기(16)와 그 몸체(17)에 고정된 지지고리(17')와 보조완충기(5)의 탄동고리(7)를 통과한후 주완충기(16)와 보조벨트(22)로 연결된 제어구(8)내의 제어롤러(11)와 랙크(9)사이에 물려 제동되게 하고, 상기 보조벨트(22)는 방사형으로 판스프링(21)을 구비한 권취축(20)에 권취되고 판스프링(21)은 편심축(23)을 지점으로 회동하는 클리크(24)와 걸림턱(25)에 제동되어 보조벨트(22)의 풀림이 제어됨으로서 주벨트(1)의 정지시 완충작용을 하게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KR2019930014878U 1993-08-03 1993-08-03 자동차용 안전밸트 KR950007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878U KR950007334Y1 (ko) 1993-08-03 1993-08-03 자동차용 안전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878U KR950007334Y1 (ko) 1993-08-03 1993-08-03 자동차용 안전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167U KR950006167U (ko) 1995-03-20
KR950007334Y1 true KR950007334Y1 (ko) 1995-09-07

Family

ID=1936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4878U KR950007334Y1 (ko) 1993-08-03 1993-08-03 자동차용 안전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3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167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1739A (en) Retractor having a single sided energy absorbing spool
US56672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ccupant injury in frontal collisions
EP1149743B1 (en) Webbing take-up device and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device
US7147251B2 (en) Seat belt pretensioner
JP2539954B2 (ja) シ―トベルトウエブガイド装置
US7137650B2 (en) Seat belt pretensioner
CN101172476B (zh) 安全带卷收器和具有该卷收器的安全带装置
US5626306A (en) Multiple level load limiter for primary and secondary collisions
MX2007000078A (es) Retractor de cinturon de asiento de limitacion de carga.
US20110133439A1 (en) Restraint system load limiter
WO1997013661A1 (en) Chain driven pretensioner and retractor
US6659505B1 (en) Adaptive variable load limited for primary occupant safety restraint
WO2018129694A1 (zh) 交通运输工具用智能安全带、限力器及卷收器
JP3608769B2 (ja)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装置
JPH04126665A (ja) 車両乗員保護装置
JP2001163179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950007334Y1 (ko) 자동차용 안전밸트
CA2574891C (en) Seat belt pretensioner
EP0878348B1 (en) Active control of occupant's body with a limited force restraint system in a head-on collision
US4597545A (en) Seat belt tensioning system
JP2007196881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US3027131A (en) Safety shock absorbing yielding seat
CA2574586C (en) Seat belt pretensioner
KR0124516Y1 (ko) 안전벨트의 완충 장치
JPS62348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