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516Y1 - 안전벨트의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벨트의 완충 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4516Y1 KR0124516Y1 KR2019950040118U KR19950040118U KR0124516Y1 KR 0124516 Y1 KR0124516 Y1 KR 0124516Y1 KR 2019950040118 U KR2019950040118 U KR 2019950040118U KR 19950040118 U KR19950040118 U KR 19950040118U KR 0124516 Y1 KR0124516 Y1 KR 012451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fixed
- human body
- seat belt
- releas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71—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spring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 벨트의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안전 벨트는 인체의 하복부를 경유하여 상체를 가로지르면서 착용되어 자동차가 급정지하거나 충돌하면서 관성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신체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체와 하복부를 거의 완전하게 잡아주므로 관성에 의하여 머리 부분만 급작스럽고 과도하게 앞으로 숙여지므로 경추 골절과 경부 인대 및 근육 이완 등의 심각한 부상을 입게 되고, 하복부에 엄청난 힘의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관성에 의하여 이동하는 인체를 서서히 감속시키면서 잡아줄 수 있게 하여 인체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완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권취 기구(4)와 고정 기구(5)를 스파이어럴 스프링(13)(14)이 설치된 고정축(10)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여 벨트(1)가 풀릴 때에 고정 기구(4)가 함께 회전하면서 벨트(1)가 풀리게 하여 스파이어럴 스프링(13)(14)의 저항에 의하여 인체를 서서히 정지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자동차 또는 항공기 등과 같이 안전 벨트를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주요부를 예시한 정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주요부를 예시한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자동차 운전석의 일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벨트 4 : 권취기구
5 : 고정 기구 7 : 고정용 브라켓
10, 10a : 고정축 13, 13a, 14, 14a : 탄발스프링
본 고안은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행하는 자동차가 급정지할때에 관성에 의하여 움직이는 인체를 고정시키는 안전벨트를 서서히 늘어나게 하면서 인체를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인체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는 안전벨트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벨트는 인체의 하복부를 경유하여 상체를 가로지르면서 착용되어 자동차가 급정지하거나 충돌시에 관성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신체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체와 하복부를 잡아주므로 관성에 의하여 머리 부분만 순간적으로 앞으로 숙여지므로 경추 골절과 경부인대 및 근육 이완 등의 심각한 부상을 입게되고, 하복부에 엄청난 힘의 압력이 적용하여 복부 장기의 파열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관성에 의하여 급속하게 앞으로 이동하는 인체를 서서히 감속시키면서 잡아줄 수 있게 하여 인체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안전벨트의 완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안전벨트 기구의 벨트가 풀리고 감길 수 있게 하는 권취기구와, 안전벨트 기구의 벨트가 급격히 풀릴 때에 일정한 범위 내에서 풀림을 정지시키는 고정기구를 구비하는 안젠벨트를 형성함에 있어서,
권취기구와 고정기구를 회전 가능한 고정축으로 고정하면서 고정축이 회전할 때 감기고 풀리는 탄발스프링을 설치하여 벨트가 급격하게 풀릴 때에 벨트를 고정시킨 고정기구가 함께 회전되면서 탄발스프링의 감기는 저항으로 벨트가 서서히 풀리게 되는 것을 구조적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급정지할 때에 인체가 앞으로 밀리면서 당겨지는 벨트의 인장력에 의하여 고정기구가 벨트를 고정시킨 다음, 권취기구와 고정기구가 탄발스프링의 탄성범위 만큼 회전하므로서 고정기구가 벨트를 고정하고 있어도 인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탄발스프링은 벨트가 풀리면서 권취기구 및 고정기구가 회전하는 회전력에 반력을 작용시키면서 서서히 감기게 되어 벨트가 급속하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탄발스프링에 의한 회전과 벨트의 풀림은 인체의 하복부를 경유하는 부위와 상체를 가로지르는 부위에 공통적으로 작용하며, 인체가 운전석의 핸들이나 시이트 등에 닿기 직전까지 작용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도록 설계하므로서 부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관성에 의하여 인체가 급격하게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인체가 완전히 정지하는 시점에서는 경추 부위와 하복부에 작용하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탄발스프링의 탄성은 풀려진 벨트를 더욱 신속하게 복귀시키게 되므로서 운전자세의 신속한 교정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안전벨트가 적용되는 범위는 자동차와 항공기 등을 비롯하여 좌석에 안전벨트를 설치하는 곳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전벨트 기구는 제1도 및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벨트(1), 제1하우징(2), 벨트(1)가 제1하우징(2) 내에 감겨질 수 있도록 하는 권취기구(4), 벨트(1)가 급속하게 풀릴 때에 인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벨트(1)를 고정시키는 고정기구(5), 그리고 자동차의 차체(6)에 고정되는 안전벨트 기구 고정용 브라켓(7), 그리고 벨트(1)가 연결되는 고정편(20)과 이 고정편(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21)를 포함하는 것이다.
권취기구(4)와 고정기구(5)는 제1하우징(2)의 양쪽 측면에 고정되는 제2하우징(8)과 제3하우징(9) 내에 설치한다.
권취기구(4)는 벨트(1)가 당겨짐에 다라 제1하우징(2) 내에 감겨진 상태로부터 인출가능하게 되고, 벨트(1)를 당기는 힘을 제거하였을 때에 다시 제1하우징(2) 내로 감겨질 수 있게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공지의 구조로 되는 것이다.
고정기구(5)는 권취기구(4)에서 풀려 나오는 벨트(1)의 풀림을 제한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돌발적인 사태에 의하여 자동차가 급정지할 때에 탑승자의 신체가 관성에 의하여 급속히 앞으로 쏠리게 되면서 이와 함께 급속히 풀리는 벨트(1)의 풀림을 순간적으로 정지시키는 공지의 기구로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하우징(2)과 권취기구(4)를 포함하는 고정기구(5)가 고정용 브라켓(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고정용 브라켓이 제1하우징의 유동없이 고정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구조와 상반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구조로 제1하우징(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벨트(1)를 감고 있는 고정축(10)의 양쪽 단부가 제2하우징(8)과 제3하우징(9)의 측면을 관통하며 연장되어 고정용 브라켓(7)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벨트(1)가 권취기구(4)에서 풀려나올 때 벨트(1)가 당기는 힘에 의하여 급정지시에 벨트(1)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기구(5)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고정용 브라켓(7)에 고정되는 고정축(10)의 한쪽 단부와 제2하우징(8) 사이에는 제4하우징(11)이 형성되고, 고정축(10)의 다른 한쪽의 단부와 제3하우징(9) 사이에는 제5하우징(12)이 형성되어 있다.
제4하우징(11)과 제5하우징(12)은 제2하우징(8)과 제3하우징(9)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고정축(1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파이어럴 스프링(13)(14)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탄발스프링(13)(14)은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벨트(1)가 풀려나올 때에 감길 수 있도록 안쪽의 단부가 고정축(10)에 고정되고, 바깥쪽의 단부는 제4하우징(11)과 제5하우징(12)의 내측 벽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탄발스프링(13)(14)은 균형적인 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정축(10)의 양쪽에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축(10)의 어느 한쪽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자동차가 급정지하면서 관성에 의하여 앞으로 밀려나가는 인체에 의하여 벨트(1)가 당겨지면 공지의 고정기구(5)에 의하여 권취기구(4)가 고정되어 더이상 벨트(1)가 풀려나오지 않게 되는데, 이순간에 벨트(1)가 당겨지는 힘에 의하여 고정축(10)을 중심으로 권취기구(4)와 고정기구(5)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는 고정축(10)이 탄발스프링(13)(14)을 감으면서 탄성을 축적시키게 된다.
따라서 탄발스프링(13)(14)이 서서히 감기면서 권취저항이 점차 증가하게 되므로 관성에 의하여 움직이는 인체를 서서히 정지시킬 수 있게 되어 경추 골절, 쇄골 골절, 경부 인대 및 근육의 이완, 복부 장기의 파열, 장골 골절 등의 각종 신체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체의 이동이 정지한 시점에서는 탄발스프링(13)(14)의 복원력으로 안전벨트 착용자의 상체가 처음의 위치로 자연스럽게 복귀하게 되므로 운전자의 경우에는 운전을 계속할 수 있는 위치로 신속하게 신체를 교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자동차 또는 항공기 등과 같은 안전벨트를 필요로 하는 좌석에 설치하여 자동차나 항공기가 급정지시 작용하는 관성으로 벨트에 의한 인체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변경실시 할 수도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탄발스프링(13)(14)이 설치된 고정축(10)이 권취기구(4)와 고정기구(5)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3도와 같이 권취기구(4) 및 고정기구(5)의 반대편 쪽의 차체에 고정되어 벨트(1)가 연결되는 고정편(20)이 고정되는 고정구(21)의 고정단부(22)가 회전가능한 고정축(10a)에 탄발스프링(13a)(14a)을 설치하여도 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적용을 하게 되는데, 자동차가 급정지하면서 관성에 의하여 전방으로 움직이는 인체가 벨트(1)를 당기게 되며 고정단부(22)가 권취된 고정축(10a)은 탄발스프링(13a)(14a)이 감기고 풀리는 만큼 회전하게 되므로 인체가 급속히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자동차 충돌시에 발생하는 인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 안전벨트 기구의 벨트(1)가 풀리고 감길 수 있게 하는 권취기구(4)와, 안전벨트 기구의 벨트(1)가 급격히 풀릴 때에 일정한 범위 내에서 풀림을 정지시키는 고정기구(5)를 구비하는 안전벨트에 있어서, 권취기구(4)와 고정기구(5)를 고정축(10)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고정축(10)에는 탄발스프링(13)(14)을 설치하여 급정지시 고정기구(5)가 벨트(1)를 고정한 상태에서 탄발스프링(13)(14)에 의하여 벨트(1)가 서서히 풀리면서 정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의 완충장치.
- 안전벨트 기구의 벨트(1)가 풀리고 감길 수 있게 하는 권취기구(4)와, 안전벨트 기구의 벨트(1)가 급격히 풀릴 때에 일정한 범위 내에서 풀림을 정지시키는 고정기구(5)를 구비하는 안전벨트에 있어서, 권취기구(4) 및 고정기구(5)의 반대편쪽의 차체에 고정되어 벨트(1)가 연결되는 고정편(20)이 고정되는 고정구(21)의 고정단부(22)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고정축(10a)에 탄발스프링(13a)(14a)을 설치하여 급정지시 고정기구(5)가 벨트(1)를 고정한 상태에서 탄발스프링(13a)(14a)에 의하여 벨트(1)가 서서히 풀려서 정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의 완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40118U KR0124516Y1 (ko) | 1995-12-08 | 1995-12-08 | 안전벨트의 완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40118U KR0124516Y1 (ko) | 1995-12-08 | 1995-12-08 | 안전벨트의 완충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35699U KR970035699U (ko) | 1997-07-26 |
KR0124516Y1 true KR0124516Y1 (ko) | 1998-10-15 |
Family
ID=1943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40118U KR0124516Y1 (ko) | 1995-12-08 | 1995-12-08 | 안전벨트의 완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4516Y1 (ko) |
-
1995
- 1995-12-08 KR KR2019950040118U patent/KR012451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35699U (ko) | 1997-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482872A (en) | Seat belt assembly | |
US6381758B1 (en) | Head restraint system for racecar drivers | |
US7155747B2 (en) | Head stabilizing system | |
JP2006507167A (ja) | 多レベル荷重制限付き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
JPH07172254A (ja) | 自走車両の乗員室用安全装置 | |
US3774937A (en) | Safety seat belt | |
US4099743A (en) | Passive restraint system with head and knee restraint | |
KR0124516Y1 (ko) | 안전벨트의 완충 장치 | |
US3829122A (en) | Safety apparatus for a vehicle | |
US3446533A (en) | Wire-pulling means for absorbing the kinetic energy of a moving body | |
RU2319625C2 (ru) | Устройство поглощения энергии с ограничением перемещения туловища пассажира | |
DE19614594A1 (de) | Kopf-Sicherheitsgurt-System | |
WO1998024652A1 (en) |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 |
KR0150904B1 (ko) |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 |
KR100226982B1 (ko) | 차량용 시이트 벨트의 압박력 저감장치 | |
KR950007334Y1 (ko) | 자동차용 안전밸트 | |
JPS6020520Y2 (ja) | シ−トベルト装置における緩衝装置 | |
RU2239573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ыш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пользователя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 |
KR930012100B1 (ko) | 원심력에 의한 충격완화 시이트 장치 | |
WO2003042009A1 (fr) | Dispositif permettant de renforcer la securite des usagers de moyens de transport | |
KR960012099B1 (ko) | 자동차의 시트벨트 | |
JPH0512136Y2 (ko) | ||
KR0130165B1 (ko) |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 |
JPS61166750A (ja) | 緩衝装置付安全ベルト | |
CA2524296A1 (en) | Energy absorption device and passenger safety crossbar system incorporat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