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000Y1 - 자동차의 전자식 속도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자식 속도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000Y1
KR950007000Y1 KR2019930019425U KR930019425U KR950007000Y1 KR 950007000 Y1 KR950007000 Y1 KR 950007000Y1 KR 2019930019425 U KR2019930019425 U KR 2019930019425U KR 930019425 U KR930019425 U KR 930019425U KR 950007000 Y1 KR950007000 Y1 KR 9500070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voltage
driver
alarm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9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583U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filed Critical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9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000Y1/ko
Publication of KR9500085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5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0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18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a device to audibly, visibly, or otherwise signal the existence of unusual or unintended spe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자식 속도 경보 장치
제1도는 종래의 기계식 속도 경보 장치의 구조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자식 속도 경보 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그네트 20 : 리드스위치
30 : 전압 변환부 40 : 비교부
50 : 경보부 VR1,VR2 : 가변저항
본 고안은 자동차의 속도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식 스피도미터(SPEEDO METER)의 위험속도를 전기적인 방식으로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도록 한 자동차의 전자식 속도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된 기계식 스피도 미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적인 기구물에 의하여 속도 경보를 하였다.
즉, 기계식 스피도 미터의 유도부재(1)에 속도 설정 부재(2)가 부착되고, 속도 설정 부재(2)의 일측에는 속도 설정부(3)가 있어 자동차의 주행속도 변화에 따라 속도 설정 부재(2)가 회전하였다.
통상 속도 설정부(3)는 112-120㎞/h에서 스위치와 같은 역활을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주행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속도 설정부(3)가 움직여 설정된 경고속도가 되면, 속도 설정부(3)의 판넬과 접점(4)이 접촉하게 되고, 이로인해 부저(5)에 전원(BA)이 공급되므로 부저(5)가 울려 운전자에게 위험속도임을 경고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속도 설정부의 판넬과 접점의 접촉으로 인해 경보 장치가 작동하므로 오래 사용하면 마모로 인해 경보 정치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자에게 경고할 위험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부의 형상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운전자가 경고 속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피도 미터의 기계적인 회전력을 디스위치(REED SWITCH)를 이용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위험속도가 되었을때 경보함으로써 마모에 의한 경보 장치의 불안정을 없앨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전자식 속도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현재의 속도값과 비교할 경고 속도값을 가변저항이난 선택스위치로 설정할 수 있게 하여 경고할 위험속도를 운전자의 취향이나 각국 자동차 SPEC에 맞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전자식 속도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제2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자식 속도 경보 장치의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스피도 미터내에 부착되어 전달된 기계적인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마그네트(magnet;10)와, 마그네트(10)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자장의 변화에 따라 온/오프되는 리드스위치(20)와, 리드스위치(20)에 의해 발생된 펄스를 그 주파수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30)와, 전압 변환부(30)의 출력 전압을 경고 속도로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비교부(40)와, 비교부(40)의 출력전압에 따라 구동되어 운전자가 설정한 위험속도가 되었을때 이를 경보하는 경보부(5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압 변환부(30)는 입력된 펄스 신호를 그 주파수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주파수/전압 변환기(31)와, 상기 주파수/전압변환기(31)에 연결되어 조건을 설정하는 제1 내지 제3저항(R1-R3), 제1가변 저항(VR1), 제1 콘덴서(C1)로 구성된다.
상기 비교부(40)는 전압 변환부(30)에서 출력된 전압을 강하시키는 제4, 제5저항(R4)(R5)과, 강하된 전압을 평활시키는 제2콘덴서(C2)와, 평활된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비교기(41)와, 비교기(41)의, 비반전(+)입력단에 연결되어 기준전압을 설정하는 제2가변저항(VR2)으로 구성된다.
또한 미설명 부호인 51은 부저이고, BAT는 직류전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속도 경보 장치는 자동차가 주행하게 되면, 케이블을 통해 기계적인 회전력이 스피도 미터로 전달되고, 이 회전력에 의해 스피도 모터내의 마그네트(1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마그네트(10)가 회전함에 따라 자장이 변화되고, 이로인해 생성되는 자장의 변화를 인접한 리드스위치(20)가 감지하여 상기 리드스위치(20)가 계속적으로 온/오프되면서 펄스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 펄스신호는 전압 변환부(30)로 인가되고, 전압 변환부(30)는 입력된 펄스신호를 그 주파수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바꾸어 출력하므로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전압변환부(30)에서 출력되는 전압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전압 변환부(30)에서 출력된 전압은 저항(R4)(R5)에 의해 분배되어 낮아지고, 이 전압은 다시 콘덴서(C2)에 의해 평활되어 직류전압이 비교기(41)의 반전(-)입력단으로 입력된다.
비교기(41)는 상기 반전 입력 신호를 비반전(+) 입력단에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는데, 이때 기준전압은 운전자가 경고할 위험 속도를 임의로 정하여 가변저항(VR2)값을 변화시키거나 선택 스위치를 조작하여 설정한 값이다.
상기 비교기(41)의 반전 입력 신호, 즉 속도값이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작을 경우 비교기(41)는 고전위 신호를 출력하므로 경보부(50)의 부저(51)는 울리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속도값이 증가하여 설정된 기준전압과 같아지거나 커지게 되면, 비교기(41)는 저전위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로인해 경보부(50)의 부저(51)에 직류전원(BAT)이 공급되므로 부저(51)가 울려 운전자에게 위험 속도임을 경고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스피도 미터의 기계적인 회전력을 리드스위치를 이용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위험속도가 되었을때 경보하므로 종래의 마모에 의한 경보 장치의 불안정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속도값과 비교할 경고 속도값을 가변저항이나 선택스위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경고할 위험속도를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주행 속도를 스피도미터에서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위험속도를 경고하는 속도 경보 장치에 있어서, 스피도 미터내에 부착되어 전달된 기계적인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유도부재와; 유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자장의 변화에 따라 온/오프되는 리드스위치와; 리드스위치에 의해 발생된 펄스 신호를 그 주파수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와; 전압 변환부의 출력전압을 경고할 위험속도로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비교부와; 비교부의 출력전압에 따라 구동되어 운전자가 설정한 위험속도가 되었을 때 이를 경보하는 경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식 속도 경보 장치.
KR2019930019425U 1993-09-24 1993-09-24 자동차의 전자식 속도 경보 장치 KR950007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425U KR950007000Y1 (ko) 1993-09-24 1993-09-24 자동차의 전자식 속도 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425U KR950007000Y1 (ko) 1993-09-24 1993-09-24 자동차의 전자식 속도 경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583U KR950008583U (ko) 1995-04-17
KR950007000Y1 true KR950007000Y1 (ko) 1995-08-23

Family

ID=1936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9425U KR950007000Y1 (ko) 1993-09-24 1993-09-24 자동차의 전자식 속도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0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583U (ko) 199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12426A (ko) 동력조타(power steering)장치용의 조타센터의 자동세팅장치
KR960040771A (ko) 홀 효과 디지털 톱니 센서용 진단 검출 장치 및 방법
US4509040A (en) Alarm system for preventing an automotive vehicle driver from dozing at the wheel
EP0060306B1 (en) Sleeping driver warning device for vehicle
KR950007000Y1 (ko) 자동차의 전자식 속도 경보 장치
US3566386A (en) Crane angle indicating system
KR860003700A (ko) 가변속 기어모터의 제어방법 및 장치
US4673913A (en) Zigzag running war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JP2850379B2 (ja) 電子スイッチ
KR0128477Y1 (ko) 자동차의 과속시 경고장치
KR0178909B1 (ko) 자동차의 속도 경보 장치
KR19980045269A (ko) 자동차용 타코메터의 회로 단선 및 쇼트 감지장치
KR100218597B1 (ko) 자동차의 속도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출력 조절장치
KR0136436Y1 (ko) 조향 휠 악력 감지를 통한 비상등 작동장치
KR100273551B1 (ko) 타이어 이물질 삽입 검출장치
KR0135618Y1 (ko) 차량 속도 센서 단선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KR20030082338A (ko) 차량용 속도초과 경고장치
JPH09171031A (ja) 自動車の運転速度オーバー警報装置
KR200182056Y1 (ko) 가변 차량속도 경보장치
SU1362676A1 (ru) Устройство сигнализации оптимальных оборотов двигат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S637898Y2 (ko)
KR0125281Y1 (ko) 자동차 주행속도 초과 경고 표시장치
KR19980047950A (ko) 엔코더를 이용한 속도 표시장치
KR100223458B1 (ko) 스티어링 휠의 장력 측정장치
KR0166292B1 (ko) 차속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8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