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924Y1 - 액정 표시소자의 회로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소자의 회로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924Y1
KR950006924Y1 KR92027427U KR920027427U KR950006924Y1 KR 950006924 Y1 KR950006924 Y1 KR 950006924Y1 KR 92027427 U KR92027427 U KR 92027427U KR 920027427 U KR920027427 U KR 920027427U KR 950006924 Y1 KR950006924 Y1 KR 950006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stage
circuit boar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7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880U (ko
Inventor
예용수
Original Assignee
석진철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92027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924Y1/ko
Publication of KR9400168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8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9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정 표시소자의 회로검사장치
제1도는 본 고안 검사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검사장치의 분해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블록(base block) L : 액정 표시소자
10 : 제1 스테이지(stage) Z : 제브라 커넥터(zebra connector)
11 : 제2 스테이지 P : 회로기판
2 : 커버(cover)
본 고안은 액정 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액정 표시소자의 회로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소자는 상, 하기판에 각각 전극패턴과 배향막(配向膜)등을 형성하여 양 기판을 접합한 뒤 액정을 주입 및 봉합하고, 기판 양측에 각각 편광판(偏光板)을 부착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소자는 그 구동회로의 회로기판에 일체로 결합된 조립체로서 표시장치를 구성하게 되는데, 그 결합에 앞서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액정 표시소자에는 다수의 전극 접속이 필요하므로 통상 소자외부로 노출된 전극패드에 제브라 커넥터(zebra connector)에 의해 접속을 하게 된다. 제브라 커넥터는 다수의 미소한 도전셀(導電 cell)을 상호 절연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열한 길고 유연한 띠(band)형의 접속부품이다.
그러므로 액정 표시소자의 전극패드와 회로기판간을 이 제브라 커넥터로 접속시키는 것은 양자를 상호 고정시킨 상태가 아니면 접속이 상당히 어렵게 된다. 또한 소자와 기판을 가조립한 상태로 접속시키는 지그(jig)를 구성하고자 하여도 다종다양한 각종 규격의 액정 표시소자 및 회로기판에 각각 전용의 지그를 구성하는 것은 그 제작 및 관리에 많은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액정 표시소자를 구동회로의 회로기판에 조립시킨 상태에서 소자의 회로검사를 수행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조립된 소자-기판 조립체의 불량률이 대단히 높을 뿐 아니라, 이 불량이 액정 표시소자 자체의 회로불량인지 소자와 기판간의 접속불량인지 판단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규격의 액정 표시소자의 회로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액정 표시소자의 회로검사장치는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제1스테이지와, 제1스테이지의 양측에 소정높이만큼 상향돌출되며 제브라 커넥터가 설치되는 제2 스테이지를 구비하는 베이스 블록과, 제2 스테이지의 제브라 커넥터에 검사될 액정 표시소자가 얹혔을 때 이를 눌러주어 제브라 커넥터를 통해 액정 표시소자와 회로기판간의 접속이 이뤄지도록 하는 누름바를 구비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 본 고안 검사장치는 검사될 액정 표시소자와 회로기판이 지지되는 베이스 블록(base block;1)과, 액정표시소자와 회로기판을 눌러 접속시키는 커버(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블록(1)의 중앙의 제1 스테이지(10)에는 기판 안내홈(10a)이 형성되어 베이스 블록(1)에 브라켓(bracket;13)을 통해 결합된 로크볼트(lock bolt;12)의 헤드(12a)가 기판 안내홈(10a)의 후측에 결합된 스토퍼(stopper;14)와의 사이에 검사용의 회로기판을 고정시키도록 되어있다.
한편 베이스 블록(1)의 양측은 대략 회로기판의 두께만큼 상측으로 단차가 지게 돌출되어 제2 스테이지(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는 각각 십자 안내홈(15)이 형성되어 두 제브라 가이드(zebra guide;16)가 볼트(B1) 및 너트(N1)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되어있다. 이 제브라 가이드(16)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it;16a)이 형성되어 이 슬릿(16a)에 제브라 커넥터를 삽입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베이스 블록(1)의 일측에는 브라켓(18)을 통해, 검사될 소자의 위치를 결정해 주는 소자 스토퍼(stopper;17)가 세트나사(set screw;B2)로 결합되어 있다. 베이스 블록(1)의 나머지 부호 19는 검사될 소자가 일시 적재되는 받침대이다.
한편 커버(2)는 그 일단이 베이스 블록(1)에 힌지 브라켓(22, 23)을 통해 힌지결합되어 있고 중앙이 개방된 채 두 레그(leg;21)가 연장되어 대략 C형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힌지 브라켓(22, 23) 중 도면의 후측에 보이는 힌지브라켓(23)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에 핸들기구(handle mechanism;24)가 결합되어 있다. 핸들기구(24)는 힌지브라켓(23)과 커버(2)의 한 레그(21) 선단에 각각 절점(節點)을 가지는 레버링크(lever-link)기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필요에 따라 개방 및 폐쇄상태에서 로킹(locking)되도록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커버(2)의 두 레그(21)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21a)이 형성되어 소자를 제브라 커넥터를 통해 회로기판과 접속되도록 눌러주는 두 누름바(push bar;25)가 양 레그(21)의 슬릿(21a)에 걸쳐 볼트(B3)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 검사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 먼저 회로기판(P)을 제1 스테이지(10) 상에 얹어놓고 로크볼트(12)를 회전시키면, 회로기판(P)은 로크볼트(12)의 헤드(12a)와 스토퍼(14) 사이에 고정된다. 그러면 회로기판(P)의 커넥터(C)를 도시되지 않은 검사회로에 연결한다.
다음 제2 스테이지(11) 상의 두 제브라 가이드(16)의 슬릿(16a)에 제브라 커넥터(Z)를 각각 삽입한 뒤, 양 제브라 가이드(16)의 상대위치를 십자 안내홈(15)을 따라 이동시켜 조정한 뒤 고정시킨다. 다음 양 제브라 가이드(16) 사이에 반사판(R)을 얹은 뒤 그 상면에 액정 표시소자(L)를 얹는다. 다음 소자 스토퍼(17)를 조정하여 액정 표시소자(L)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세팅(setting)이 완료되면 핸들기구(24)를 잡고 커버(2)를 덮으면 그 레그(21)에 결합된 두 누름바(25)가 액정 표시소자(L)의 전극패드 후면을 눌러 제브라 커넥터(Z)를 통해 액정표시소자(L)와 회로기판(P)의 접속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검사회로를 통해 액정표시소자(L)를 구동시키고 이에 표시되는 화상을 커버(2)의 양 레그(21) 사이로 관찰하여 소자의 양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 소자의 검사가 완료되면 커버(2)를 올린 뒤 검사가 완료된 소자를 반출한 뒤 다음 소자를 동일위치에 거치시켜 커버(2)를 덮어 동일한 검사를 수행한다. 이러한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다량의 소자를 연속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규격의 소자를 검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치의 세팅을 변경하면 동일한 방식으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소자 규격에 무관하게 다량의 소자를 신속 정확하게 회로검사할 수 있게 되므로 액정 표시소자 제조의 불량률을 저감시키고 그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회로기판(P)이 설치되는 제1 스테이지(10)와, 상기 제1 스테이지(10)의 양측에 소정 높이만큼 상향돌출되며 제브라 커넥터(Z)가 설치되는 제2 스테이지(11)를 구비하는 베이스 블록(1)과; 상기 제2 스테이지(11)의 제브라 커넥터(Z)에 검사될 액정 표시소자(L)가 얹혔을 때 이를 눌러주어 상기 제브라 커넥터(Z)를 통해 상기 액정 표시소자(L)와 상기 회로기판(P)간의 접속이 이뤄지도록 하는 누름바(25)를 구비하는 커버(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소자의 회로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10)에 기판 안내홈(10a)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 스토퍼(14)가 설치되어, 상기 기판 안내홈(10a)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로크볼트(12)의 헤드(12a)와 상기 스토퍼(14) 사이에 상기 회로기판(P)이 고정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소자의 회로 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지(11)에 각각 십자 안내홈(15)이 형성되어, 각각 제브라 커넥터(Z)가 삽입되는 슬립(16a)을 구비하는 두 제브라 가이드(16)가 양 십자 안내홈(15a)에 걸쳐 그 상대위치의 조정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소자의 회로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P)에 커넥터(C)를 통해 검사회로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소자의 회로 검사장치.
KR92027427U 1992-12-30 1992-12-30 액정 표시소자의 회로검사장치 KR950006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7427U KR950006924Y1 (ko) 1992-12-30 1992-12-30 액정 표시소자의 회로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7427U KR950006924Y1 (ko) 1992-12-30 1992-12-30 액정 표시소자의 회로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880U KR940016880U (ko) 1994-07-25
KR950006924Y1 true KR950006924Y1 (ko) 1995-08-23

Family

ID=1934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7427U KR950006924Y1 (ko) 1992-12-30 1992-12-30 액정 표시소자의 회로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9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536B1 (ko) * 1994-10-25 2001-12-01 김순택 고집적 미소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647494B1 (ko) * 2006-03-29 2006-11-23 주식회사 엠디플렉스 전자회로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880U (ko) 199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8232B2 (en) Bump structure for tes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20036694A (ko) 검사용 프로브 블록의 병렬탑재 유닛
JPH09229965A (ja) プローブユニット及びその調節方法
KR950006924Y1 (ko) 액정 표시소자의 회로검사장치
US4943768A (en) Testing device for electrical circuit boards
JPH0934375A (ja) 表示パネル検査用ソケット
KR100856865B1 (ko) 패턴 글라스를 구비하는 프로브 조립체
KR100729198B1 (ko) 표시패널 검사용 소켓
JP3346936B2 (ja) 表示パネル検査用ソケット
KR100604416B1 (ko) 평판형 디스플레이 검사용 장치
US7068337B2 (en) Apparatus for inspecting liquid crystal panel
KR20100090747A (ko) 탭 아이씨 직접 컨텍 타입 프로브 유니트의 텐션 플레이트
KR20050068653A (ko) 멀티글라스 지지유닛
KR950006926Y1 (ko) 3패드형 액정표시소자(lcd)의 회로검사장치
KR100657768B1 (ko) 회로기판 연결 유닛 및 그것을 갖는 평판표시패널 검사장치
KR200372710Y1 (ko) 소형의 평판표시소자 검사용 프로브
JP5193506B2 (ja) プローブユニット及び検査装置
KR200444681Y1 (ko) 프로브유닛
US4887030A (en) Testing device for electrical circuit boards
US7408189B2 (en) Method of testing FPC bonding yield and FPC having testing pads thereon
KR100273000B1 (ko) 튜너의 수상 검사용 지그
JPH09321392A (ja) プリント回路基板
JPS62112044A (ja) フラツトマトリツクスデイスプレイパネル用検査装置
KR100460056B1 (ko) 심플 패널 테스트 지그
US6873176B1 (en) Die-level pro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