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778Y1 -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778Y1
KR950006778Y1 KR92023661U KR920023661U KR950006778Y1 KR 950006778 Y1 KR950006778 Y1 KR 950006778Y1 KR 92023661 U KR92023661 U KR 92023661U KR 920023661 U KR920023661 U KR 920023661U KR 950006778 Y1 KR950006778 Y1 KR 950006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frame
frame structure
vertical
prefabricat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3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747U (ko
Inventor
최윤철
Original Assignee
박원배
한양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배, 한양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원배
Priority to KR92023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778Y1/ko
Publication of KR940012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7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69Elements for special technical purposes, e.g. with a sanitar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16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locking means on later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벽판넬의 결합단면도.
제3도는 종래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 벽판네 12 : 수평프레임
13 : 수직 프레임 13a : 탄성판
13b : 측면판 14 : 접착제
본 고안은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조립식 벽판넬의 배면에 부착되는 프레임의 부착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된 조립식 벽판넬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기의 영향을 많이 받게되는 욕실들에는 벽면의 내측에 타일을 부착시켜 습기가 벽면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욕실의 벽면에 타일을 일일이 시공하기에는 시간과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고, 필요시에 보수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합성수지제로서 욕실의 벽판넬 욕조 및 세면대등을 하나의 셋트로 제작하여 조립시공하게 되는 조립식 욕실(Unit Bath Room)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욕실의 내부 구조물을 각기 별도로 제작하여 시공현장에서 이들 각 구조물을 서로 조립함으로써 욕실을 완성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각 구조물의 색상, 디자인등을 수요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조립식 벽판넬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판넬(1)의 배면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수평 및 수직프레임(2) (3)이 부착되어 이루어지며, 조립시에는 서로 대응하는 수직프레임(3)(3')의 일측에서 볼트(4)를 관통시킨후 타측에서 너트(5)를 체결하여 조립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은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욕실내에서 벽판넬에 충격력이 가해지면 그 충격력이 프레임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프레임의 부착강도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 프레임으로 부터 벽판넬의 유동되거나 심하면 이탈되어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벽판넬에 부착되는 프레임의 내측에 탄성판을 절곡형성시켜 부착강도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 구조는 배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수평 및 수직프레임을 갖춘 조립식 벽판넬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벽판넬에 접착되는 탄성판이 절곡형성됨과 동시에 그 일측에는 상기 벽판넬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판을 연장형성시킨 것으로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력을 완화시킴으로써 프레임의 결합 및 부착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부호(10), (11)은 석고보드 또는 합성수지제의 벽판넬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벽판넬(10), (11)의 배면에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수평 및 수직프레임(12), (13)이 부착되어지며,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3)은 제2도에 결합단면도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벽판넬(10), (11)배면에 실리콘계의 접착제(14)로서 접착되는 탄성판(13a)이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상기 벽판넬(10), (11)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는 측면판(13a)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직프레임(13)의 소정위치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15)내에는 볼트(16)가 관통되어 너트(17)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벽판넬(10), (11)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구조는 벽판넬(10), (11)의 배면에 접착제(14)로서 수평 및 수직프레임(12), (13)을 부착시키고, 상기 수직 프레임(13)에 형성된 관통공(15)내에 볼트(16)를 삽입시킨후 너트(17)로 체결하면 벽판넬(10), (11)의 조립이 완료되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13)은 내측에 탄성판(13a)이 절곡형성됨에 따라 조립후 벽판넬(10), (11)에 충격력이 가해져도 상기 탄성판(13a)에 의해 그 충격력이 흡수되어져 수직프레임(13)의 부착강도는 저하되지 않게 되며, 또 일측에 연장형성한 측면판(13b)이 벽판넬(10), (11)의 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됨과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13)의 결합 및 부착강도는 더욱 증대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수직프레임의 내면에 탄성판이 절곡형성됨과 동시에 그 일측에 측면판이 연장형성됨에 따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에도 프레임이 변형되지 않고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프레임의 결합 및 부착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배면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수평 및 수직프레임(12), (13)을 갖춘 조립식 벽판넬(10), (11)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3)은 상기 벽판넬(10), (11)에 집착되는 탄성판(13a)이 절곡형성됨과 동시에 그 일측에는 상기 벽판넬(10), (11)의 측면에 측면판(13b)이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13a)은 벽판넬(10), (11)에 도표된 실리콘계의 접착제(14)에 의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 구조.
KR92023661U 1992-11-27 1992-11-27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구조 KR950006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3661U KR950006778Y1 (ko) 1992-11-27 1992-11-27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3661U KR950006778Y1 (ko) 1992-11-27 1992-11-27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747U KR940012747U (ko) 1994-06-22
KR950006778Y1 true KR950006778Y1 (ko) 1995-08-21

Family

ID=1934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3661U KR950006778Y1 (ko) 1992-11-27 1992-11-27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7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747U (ko) 1994-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778Y1 (ko) 조립식 벽판넬의 프레임구조
KR960023557A (ko)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H10131366A (ja) Alcパネルの取付構造。
JPH11171444A (ja) エレベーターの扉
KR100470679B1 (ko) 욕실용 천장 패널과 그 시공방법
JP255190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
JPH0617816Y2 (ja) エレベ−タ用機器
JPH1061033A (ja) 縦張外壁板の接合水切金具
KR960009411Y1 (ko) 벽판넬의 코너부 조립구조
JPH0446637Y2 (ko)
KR950006779Y1 (ko) 벽판넬의 조립구조
CN215160052U (zh) 一种电梯外召显示器及电梯外召显示器的安装结构
KR960000509Y1 (ko) 벽판넬의 연결프레임
JP2823981B2 (ja) 外壁用制振壁
CN211998312U (zh) 电梯召唤盒
JPS60208533A (ja) ベランダの支持構造
JP2831525B2 (ja) 両面外壁
CN212053567U (zh) 一种墙板
CN210530220U (zh) 一种新型墙板
JPH0627688Y2 (ja) ユニットバスの壁パネル接続構造
JP2660637B2 (ja) 胴水切外壁面材の取付構造
KR950006768Y1 (ko) 벽판넬의 코너부 조립구조
JP3141228B2 (ja) 出窓の下部構造
KR960005911Y1 (ko) 조립식 욕실의 천정판 조립구조
JPS632653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