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773B1 -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773B1
KR950006773B1 KR1019920020618A KR920020618A KR950006773B1 KR 950006773 B1 KR950006773 B1 KR 950006773B1 KR 1019920020618 A KR1019920020618 A KR 1019920020618A KR 920020618 A KR920020618 A KR 920020618A KR 950006773 B1 KR950006773 B1 KR 950006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icture
data
frame
en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723A (ko
Inventor
토요히꼬 마쯔다
마사카즈 니시노
시게루 아와모또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1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04N9/7925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for more than one stand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5/926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제2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제어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3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제어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입력화상데이터의 개념도.
제4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제어회로의 출력으로서 부호화데이터의 배열을 도시한 개념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6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분할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입력화상데이터의 개념도.
제7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제어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0,31 : 입력단자 3,4,12,34,36 : 연동스위치
4 : 부호화기 6,37,42 : 지연회로
7 : 복호화기 8,39,44 : 감산기
9,33,40 : 스위치 10,45 : 프레임동기발생기
11,46 : 클록발생기 13,47 : 데이터제어회로
14,48 : 출력단자 23,52 : 선택기
32 : 분할회로 35 : 제1부호화기
38 : 제1복호화기 41 : 제2부호화기
43 : 제2복호화기
본 발명은 고능률부호화 방법을 이용해서 영상신호를 부호화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신호는 정보량이 매우 많기 때문에 기록 혹은 전송을 행할때, 고능률부호화에 의해서 화질의 열화가 시각적으로 드러나지 않을 정도로 정보량을 감축하는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예를들면, M. 요네다 등에 의한 새로운 DCT(이산적 코사인 변환)에 의거한 비트레이트감축시스템을 지닌 실험적인 디지틀 VCR(IEEE Transactions on Conusmer Electronics, 제37권, 제3호, 1991년 8월, 275∼282페이지)에 있는, 고능률부호화 방법과 같이 직교변환을 이용해서 표준화상신호와 고선명화상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VCR이 개시되어 있다.
이 VCR은, 화소수가 다른, 즉 종횡비가 4 : 3인 표준화상신호와 종횡비가 16 : 9인 넓은 판의 화상신호와 같이 표준화 주파수가 서로 다른 상이한 종류의 영상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VCR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화소가 서로 상이한 영상신호를 부호화하는데 있어서 압축율을 동일하게 하면, 부호화데이터량은 각각의 화소수에 대응한다. 그 결과,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기록가능한 시간이 달라지거나, 기록매체상의 기록밀도를 증가시켜야만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화소수가 다른 영상신호의 부호화데이터량을 동일하게 하려고 하면, 화소수가 많은 화상의 화질을 열화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화소수가 많은 화상에 대해서, 표준화상신호와는 다른 부호화 수단을 필요로 하므로, 회로구성 및 기록포맷의 복잡화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화면의 종횡비가 4 : 3인 표준영상신호와 종횡비가 16 : 9인 넓은 판의 영상신호와 같이 화소수가 서로 다른 영상신호의 부호화시, 화소수가 보다 많은 영상신호의 부호화데이터량을 증가시킴 없이 또 각각의 영상신호에 대해서 회로를 공용화하여 회로규모의 점에서도 유리한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는, 화상 A 또는 화상 A보다 화소수가 많은 화상 B를 입력하여, 화상 A가 입력된 경우 각 프레임마다 부호화데이터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고능률부호화를 행하고, 화상 B가 입력된 경우 2프레임마다 부호화데이터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고능률부호화를 행하는 부호화수단과, 화상 B가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부호화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부호화데이터의 배열을 제어하는 데이터제어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장치는, 화소수가 적은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매프레임마다 프레임내 부호화를 행하고, 화소수가 많은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2프레임마다 프레임간 부호화를 행하므로, 화소수가 많은 화상에 대해서도 부호화데이터량은 증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부호화수단은, 그의 입력화상을 매프레임마다 고능률로 프레임내 부호화는 부호화기와, 상기 부호화기의 출력을 지연하는 지연회로와, 상기 지연회로의 출력을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와, 상기 입력화상이 화상 B인 경우의 입력화상과 복호화기의 출력사이의 프레임간 차이분을 얻는 감산기와, 입력화상 B와 감산기의 출력을 프레임마다 절환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프레임간 부호화수단을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입력화상이 화상 A인 경우, 부호화기의 출력은 부호화수단의 출력으로서 사용되므로, 부호화기는, 다른 입력화상에 대해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는, 화면의 종횡비가 4 : 3인 표준화상인 화상 A를 입력하는 입력단자(1)와, 화면의 종횡비가 16 : 9인 넓은판의 화상신호인 화상 B를 입력하는 입력단자(2)와, 부호화될 입력화상 A와 화상 B를 수동으로 절환(또는 자동절환도 가능함)하는 연동스위치(3), (5), (12)와, 그의 입력화상을 2차원직교변환에 의해서 프레임단위로 부호화하는 부호화기(4)와, 상기 부호화기(4)로부터 출력된 부호화데이터를 지연하는 지연회로(6)와, 상기 지연회로(6)의 출력을 복호화하는 복호화기(7)와, 입력단자(2)로부터 입력된 화상 B와 복호화기(7)의 출력사이의 프레임간 차이분을 얻는 감산기(8)와, 입력단자(2)로부터 입력된 화상 B로부터 프레임간격으로 절환신호를 발생하는 프레임동기발생기(10)와, 상기 프레임동기발생기(10)로부터의 출력에 응해서,감산기(8)의 출력과 입력화상 B를 프레임마다 교호로 절환하는 스위치(9)와, 입력신호가 화상 B인 경우 상기 부호화기(4)로부터의 부호화데이터의 배열을 제어하는 데이터제어회로(13)와, 입력신호가 화상A인 경우에는 클록신호 C1을, 입력신호가 화상 B인 경우에는, 클록신호 C2를 발생하는 클록발생기(11)와, 부호화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자(14)로 구성되어 있다.
동도에 있어서, 화상 A는 화면의 종횡비가 4 : 3인 표준화상신호로서, 휘도신호의 표본화주파수가 13.5MHZ이고, 2개의 색차신호의 표본화주파수가 휘도신호의 표본화주파수의 절반 즉 6.75MHZ인 디지틀영상신호이다. 또, 화상 B는 화면의 종횡비가 16 : 9인 넓은 판의 화상신호로서, 화상 A와는 수직방향의 라인수는 동일하나,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화상 A이 4/3배의 화소수를 지니며, 표본화주파수도, 화상 A의 4/3배, 즉, 휘도신호는 18MHZ, 2개의 색차신호는 9MHZ인 디지틀신호이다.
화상 A를 부호화할때, 상기 스위치(3), (5), (12)는 각각, 그의 단자 a에 접속되므로, 화상 A가 입력단자(1)로부터 부호화기(4)로 출력된다. 이 부호화기(4)에서는, 화상 A가 매프레임마다 프레임내 부호화된다. 이 부호화과정은, 2차원직교변환과, 양자화 및 부호화처리를 포함하므로, 화상 A의 각 프레임에 있어서의 부호화데이터량은 항상 일정한 데이터량으로 된다. 여기에서, 화상 A의 1프레임의 부호화데이터량을 Q라하면, 화상 A가 입력된 경우 부호화데이터출력의 개념도는 제4c도와 같이 된다.
한편, 화상 B를 부호화할 때에는, 스위치(3), (5), (12)가 각각 그의 단자 b에 접속된다. 입력단자(2)로부터 입력된 화상 B로부터, 프레임동기발생기(10)는 프레임간격으로 절환신호를 발생하고, 이에 응하는 스위치(9)는 프레임단위로 절환된다. 우선, 스위치(9)의 단자 a로 공급된 홀수 프레임의 화상데이터는, 스위치(3)를 통해서 부호화기(4)로 입력되어 2차원직교변환에 의해 프레임내 부호화된다. 홀수 프레임의 부호화데이터는, 스위치(5)를 통해서 데이터제어회로(13)로 입력되고, 또한 지연회로(6)로 입력된다. 지연회로(6)에서는, 부호화데이터가 복호화기(7)의 출력점에서 1프레임기간동안 지연되도록 복호화기(7)로 공급된다.
복호화기(7)에서는, 부호화기(5)의 부호화처리와 반대인 복호화처리가 수행되고, 이와 같이 복호화된 데이터는 감산기(8)로 출력된다. 복호화기(7)의 출력인 감산기(8)이 하나의 입력은, 1프레임기간동안 지연되어 있으므로, 감산기(8)의 다른 입력은 짝수프레임의 화상데이터이다. 따라서, 감산기(8)의 출력은 부호화된 홀수프레임데이터와 입력된 짝수프레임데이터 사이의 프레임간 차이분 데이터로 된다.
스위치(9)는 프레임동기발생기(10)의 출력에 응해서 감산기(8)의 출력과 입력화상 B가 교대로 되도록 매프레임마다 그의 출력을 절환한다. 따라서, 부호화기(4)에 있어서, 프레임간 차이분신호는 화상 B의 짝수 프레임의 입력기간동안 프레임내 부호화된다.
여기에서, 부호화데이터량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A의 1프레임의 부호화데이터량을 Q로 한다. 화상 B는 2프레임마다 프레임간 부호화되므로, 데이터량은 2프레임마다 동일하다. 따라서, 2프레임분의 부호화데이터량은 2Q이다. 또 화상 B내에서 화상 A의 화소수에 상당하는 홀수프레임의 프레임내 부호화에 의한 부호화데이터를 Da, 상기 부호화데이터 Da 이외의 부호화데이터를 Db, 화상 B내에서 화상 A의 화소수에 상당하는 짝수프레임의 프레임간 차이분의 프레임내 부호화에 의한 부호화데이터를 Dc, 부호화데이터 Dc 이외의 부호화데이터를 Dd라 할때, 각종 부호화데이터의 개념도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각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이후의 데이터량을 함수 q( )로서 표시하면, 이하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부호화된다.
q(Da)+q(Db)+q(Dc)+q(Dd)=2Q [1]
또, 홀수프레임과 짝수프레임에 있어서의 부호화데이터량의 관계는,
q(Da)+q(Dc)=(3/2)ㆍQ [2]
이다. 화상 B는 화상 A의 4/3배의 화소수를 지니므로, 이하의 관계로 된다.
q(Da)=3ㆍq(Db) [3]
q(Dc)=3ㆍq(Dd) [4]
또한, 부호화데이터 Da의 부호화데이터량 q(Da)는, 프레임간의 상관의 크기에 따라 변동하므로, 상기 식[2]의 관계를 유지하고,
Q≥q(Da)≥(2/3)ㆍQ [5]
로 된다. 따라서, 식[2] 및 식[5]로부터, 부호화데이터 Dc의 데이터량 q(Dc)는,
(5/6)ㆍQ≥q(Dc)≥(1/2)ㆍQ [6]
으로 된다.
데이터제어회로(13)의 입력부호화데이터는, 상기 부호화데이터 Da, Db, Dc 및 Dd로 이루어지고, Da와 Db 및 Dc와 Dd가 혼재된 상태에서 입력된다. 또, 데이터제어회로(13)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회로(20), 메모리(21), (22) 및 선택기(23)으로 구성된다. 분할회로에 있어서는, Da와 Db가 서로 분할되어 메모리(21)및 메모리(22)로 각각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Dc와 Dd도 서로 분할되어 메모리(21) 및 메모리(22)로 각각 출력된다. 메모리(21), (22)의 출력은 선택기(23)에 의해 Da, Db, Dc, Dd의 순서로 되도록 제어된다. 이 순서는 Da, Dc, Db, Dd로 되어도 된다. 이때 화상 B의 입력에 의해 출력된 부호화데이터의 개념도는 제4a, b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에서, Da가 프레임내 부호화에 의해 화상 A에 상당하는 부호화데이터이므로 부호화데이터가 선두로 되고, 화상 B중에서 화상 A에 상당하는 부분이 2프레임마다 Da만 복호화해서 용이하게 재생되도록 제어된다.
부호화기(4)는, 화상 A와 화상 B간의 화소수의 차에 의해 각 화상에 대응하는 클록주파수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클록발생기(11)는 화상 A의 부호화시에는 클록신호 C1을, 화상 B의 부호화시에는 클록 C2를 발생한다. 이들 두 클록신호는 스위치(12)에 의해 선택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소수가 적은 화상 A에 대해서는 매프레임마다 부호화를 행하고, 화소수가 많은 화상 B에 대해서는 2프레임마다 부호화를 행하므로, 화상 B는 화질열화를 증가시킴 없이 화상 A와 동일한 데이터량으로 변환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부호화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비해서, 화상 B를 미리 화상 A에 상당하는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으로 분할한 것이다.
제5도에 있어서, (30)은 화면의 종횡비가 4 : 3인 화상 A를 입력하는 입력단자와, (31)은 화면의 종횡비가 16 : 9인 화상 B를 입력하는 입력단자, (32)는 화상 B를 화상 A에 상당하는 부분(화상 C)과 그 이외이 부분(화상 D)으로 분할하는 분할회로, (33)은 프레임동기발생기(45)의 출력에 응해서 매프레임마다 그의 출력을 절환하는 스위치, (34), (36)은 부호화될 입력신호가 화상 A인 경우에는 단자 a로, 화상 B인 경우에는 단자 b로 각각 수동으로(또는 자동으로) 절환하는 연동스위치, (35)는 그의 입력화상을 매프레임마다 2차원직교변환에 의해 프레임내 부호화하는 제1부호화기, (37)은 제1부호화기(35)로부터의 부호화데이터를 지연하는 지연회로, (38)은 상기 지연회로(37)의 출력을 복호화하는 제1복호화기, (39)는 화상 C와 제1복호화기의 출력사이의 프레임간 차이분을 얻는 감산기, (40)은 스위치(33)와의 상관에 있어서 그의 출력을 매프레임마다 절환하는 스위치, (41)은 그의 입력화상을 매프레임마다 2차원직교변환에 의해 프레임내 부호화하는 제2부호화기, (42)는 제2부호화기(41)로부터의 부호화데이터를 지연하는 지연회로, (43)은 지연회로(42)의 출력을 복호화하는 제2복호화기, (44)는 화상 D와 제2복호화기(43)의 출력사이의 프레임간 차이분을 얻는 감산기, (46)은 제1부호화기(35)와 제1복호화기(38)를 동작시키기 위한 클록신호 C1및 제2부호화기(41)와 제2복호화기(43)을 동작시키기 위한 클록신호 C2를 발생하는 클록발생기, (47)은 제1부호화기(35)와 제2부호화기(41)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여 부호화데이터의 배열을 제어하는 데이터제어회로, (48)은 부호화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자이다.
제6도는 화상 B의 입력을 분할회로(32)에 의해 화상 C와 화상 D로 분할하는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부호화기(35), 지연회로(37), 제1복호화기(38), 감산기(39) 및 스위치(33)로 이루어진 루프에 의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상 C의 홀수프레임은 프레임내 부호화되고, 짝수프레임은 프레임간 차이분에 대해 프레임내 부호화된다. 이 루프는, 입력신호가 화상 C이어도, 화상 A와 동일한 화소수로 처리되므로, 화상 A를 처리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클록신호 C1에 의해 동작된다.
마찬가지로, 제2부호화기(41), 지연회로(42), 제2복호화기(43), 감산기(44) 및 스위치(40)로 이루어진 루프에 의해, 화상 D의 홀수프레임은 프레임내 부호화되고, 짝수프레임은 프레임간 차이분에 대해 프레임내 부호화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부호화기(35)의 출력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부호화데이터 Da 및 Dc에 상당하며, 제2부호화기(41)의 출력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부호화데이터 Db 및 Dd에 상당한다. 또 부호화데이터의 데이터량의 관계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데이터제어회로(47)는, 제1부호화기(35)와 제2부호화기(41)의 출력을 수신해서, 각 데이터를 Da, Db, Dc, Dd 또는 Da, Dc, Db, Dd의 순서로 배열한다. 이 데이터제어회로(47)의 구성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메모리(50)는 제1부호화기(35)의 출력을 입력하고, 메모리(51)는 제2부호화기(41)의 출력을 입력하고, 선택기(52)에서는 데이터배열을 제어한다. 그 결과, 데이터는 제4a도 또는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열된다. 한편, 화상 B가 부호화되더라도, 화상 A의 복호화기술에 의해 부호화데이터 Da만이 2프레임마다 복호화될 경우, 화상 B내의 화상 A에 상당하는 부분(화상 C)을 쉽게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소수가 적은 화상 A는 매프레임마다 부호화되고, 화소수가 많은 화상 B는 2프레임마다 부호화되므로, 화상 B는 화질열화를 증가시킴이 없이 화상 A와 동일한 데이터량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지연회로는 감산기의 입력시점에서 1프레임기간동안 지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관계를 충족하는 한, 지연회로의 삽입위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2)

  1. 화상 A 또는 화상 A보다 화소수가 많은 화상 B를 입력하고, 상기 화상 A를 매프레임마다의 부호화 데이터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프레임내 부호화하고, 상기 화상 B를 2프레임마다의 부화화데이터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2프레임내 부호화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B의 홀수프레임을 화상 A와 동일하게 프레임내 부호화하고 짝수프레임을 복호화된 홀수프레임으로부터의 프레임간 차이분에 대해 프레임내 부호화하는 부호화수단과, 화상 B의 부호화시 상기 부호화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부호화데이터의 순서를 제어하는 데이터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화상 A의 수직화소수와 화상 B의 수직화소수가 서로 동일하고, 화상 B의 수평화소수가 화상 A의 수평화소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은 2차원직교변환을 이용한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어회로의 출력은, 화상 B의 홀수프레임의 부호화데이터중 화상 A의 화소에 상당하는 부호화데이터와 화상 A의 부호화데이터가 2프레임마다 동일한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화상 A의 2프레임분의 부호화데이터량과 화상 B의 2프레임분의 부호화데이터량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화상 B중의 화상 A의 화소수에 상당하는 부분의 부호화데이터량을 q(Da), 1프레임기간에 있어서 출력되는 부호화데이터량을 Q라 할 경우, Q〉q(Da)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7. 화상 A 또는 화상 B보다 화소수가 많은 화상 B를 수신해서, 부호화될 입력화상을 선택하기 위하여 연동하는 복수개의 스위치를 지닌 선택수단과, 화상 A를 부호화할 경우에는 데이터량이 매프레임마다 일정하게 되도록 고능률부호화를 행하고, 화상 B를 부호화할 경우에는 데이터량이 2프레임마다 일정하게 되도록 고능률부호화를 행하는 부호화기와, 화상 B를 부호화할 경우 사용되는 구성소자로서 상기 부호화기의 출력을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와, 상기 화상 B와 상기 복호화기의 출력사이의 프레임간 차이분을 얻는 감산기와, 상기 화상 B와 상기 감산기의 출력을 매프레임마다 절환하여 상기 부호화기로 공급하는 스위치와, 상기 화상 B의 부호화시 상기 부호화기로부터의 부호화데이터의 배열을 제어하는 데이터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A와 화상 B의 표본화주파수는 다르며, 상기 부호화기 및 복호화기는 입력화상의 표본화주파수에 따른 클록주파수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화상 A의 수직화소수와 화상 B의 수직화소수가 서로 동일하고, 화상 B의 수평화소수가 화상 A의 수평화소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기는 2차원직교변환을 이용한 부호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어회로는 화상 B중의 화상 A에 상당하는 화소의 부호화데이터를 2프레임기간의 선두에 재배열하기 위한 선택기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어회로의 출력은, 화상 B이 홀수프레임의 부호화데이터중 화상 A에 상당하는 부호화데이터와 화상 A의 부호화데이터가 2프레임마다 동일한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화상 A의 2프레임분의 부호화데이터량과 화상 B의 2프레임분의 부호화데이터량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화상 B중의 화상 A의 화소수에 상당하는 부분의 부호화데이터량을 q(Da), 1프레임기간에 있어서 출력되는 부호화데이터량을 Q라 할 경우, Q〉q(Da)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15. 화상 A 또는 화상 A보다 화소수가 많은 화상 B를 수신해서, 화상 B를 화상 A와 같은 크기의 화상 C와 그 이외의 부분인 화상 D로 분할하는 분할회로와, 부호화될 입력화상으로서 상기 화상 A 또는 화상 C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연동하는 복수개의 스위치를 지닌 선택기와, 화상 A를 부호화할 경우에는 데이터량이 매프레임마다 일정하게 되도록 고능률부호화를 행하고, 화상 C를 부호화할 경우에는 데이터량이 2프레임마다 일정하게 되도록 고능률부호화를 행하는 제1부호화기와, 화상 B를 부호화할 경우 구성소자로서 화상 C를 부호화하는 상기 제1부호화기의 출력을 복호화하는 제1복호화기와, 화상 C와 상기 제1복호화기의 출력사이의 프레임간 차이분을 얻는 감산기와, 상기 화상 C와 상기 감산기의 출력을 매프레임 마다 절환하여 상기 부호화기로 공급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화상 D를 수신해서 2프레임마다 데이터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고능률부호화를 행하는 제2부호화기와, 상기 제2부호화기의 출력을 복호화하는 제2복호화기와, 상기 화상 D와 상기 제2복호화기의 출력사이의 프레임간 차이분을 얻는 감산기와, 상기 제1스위치와 연동해서 상기 화상 D와 상기 감산기의 출력을 매프레임마다 절환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화상 B를 부호화하는 상기 제1부호화기의 출력과 상기 제2부호화기의 출력을 수신해서, 부호화데이터를 배열을 제어하는 데이터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호화기 및 제1복호화기는 입력화상에 관계없이 동일한 클록주파수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화상 A이 수직화소수와 화상 B의 수직화소수가 서로 동일하고, 화상 B의 수평화소수가 화상 A의 수평화소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기는 2차원직교변환을 이용한 부호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어회로는 화상 B중 화상 A에 상당하는 화소의 부호화데이터를 2프레임기간의 선두에 재배열하기 위한 선택기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어회로의 출력은, 화상 B의 홀수프레임의 부호화데이터중 화상 A에 상당하는 부호화데이터와 화상 A의 부호화데이터가 2프레임마다 동일한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화상 A의 2프레임의 부호화데이터량과 화상 B의 2프레임분이 부호화데이터량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화상 B중의 화상 A의 화소수에 상당하는 부분의 부호화데이터량을 q(Da), 1프레임기간에 있어서 출력되는 부호화데이터량을 Q라 할 경우, Q〉q(Da)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KR1019920020618A 1991-11-05 1992-11-04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KR950006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88335 1991-11-05
JP28833591A JPH05130593A (ja) 1991-11-05 1991-11-05 符号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723A KR930011723A (ko) 1993-06-24
KR950006773B1 true KR950006773B1 (ko) 1995-06-22

Family

ID=1772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618A KR950006773B1 (ko) 1991-11-05 1992-11-04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45268A (ko)
EP (1) EP0541313B1 (ko)
JP (1) JPH05130593A (ko)
KR (1) KR950006773B1 (ko)
DE (1) DE6922577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7397A (en) * 1993-02-23 1995-12-19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Digital high definition television receiver with features that facilitate trick-play modes on a digital VCR
KR100323669B1 (ko) * 1994-08-06 2002-05-13 구자홍 와이드스크린티브이의사이드레벨부가회로
DE19531847A1 (de) * 1995-08-29 1997-03-06 Sel Alcatel Ag Vorrichtung zur Speicherung von Videobilddaten
US6067071A (en) * 1996-06-27 2000-05-23 Cirrus Log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panding graphics images for LCD panels
JP3617498B2 (ja) * 2001-10-31 2005-02-02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駆動用画像処理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ならびに画像処理方法
JP3594589B2 (ja) * 2003-03-27 2004-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駆動用画像処理回路、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駆動用画像処理方法
JP4190551B2 (ja) * 2006-07-18 2008-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20110D0 (en) * 1986-08-19 1986-10-01 British Broadcasting Corp Video transmission system
US4901148A (en) * 1987-01-19 1990-02-13 Canon Kabushiki Kaisha Data processing device
EP0408600A1 (en) * 1988-02-29 1991-01-23 General Electric Company Widescreen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system with center and side panel image resolution uniformity
JP2570384B2 (ja) * 1988-05-30 1997-01-08 日本電気株式会社 動画像信号の符号化・復号化方式
JPH07109990B2 (ja) * 1989-04-27 1995-11-2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適応型フレーム間予測符号化方法及び復号方法
US5185819A (en) * 1991-04-29 1993-02-09 General Electric Company Video signal compression apparatus for independently compressing odd and even fields
US5367334A (en) * 1991-05-20 1994-11-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25770T2 (de) 1998-11-05
KR930011723A (ko) 1993-06-24
EP0541313A3 (en) 1993-06-09
DE69225770D1 (de) 1998-07-09
EP0541313A2 (en) 1993-05-12
US5345268A (en) 1994-09-06
EP0541313B1 (en) 1998-06-03
JPH05130593A (ja) 199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3248A (en) Moving image compressing and recording medium and moving image data encoder and decoder
KR100285175B1 (ko) 예측엔코딩을 위해 기준프레임으로 기능을 하는 프레임을 점진적으로 주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선택된 필드를 변환함으로써엔코딩의 고효율을 제공하는 비월 비디오신호 엔코딩 및 디코딩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엔코딩장치 및 디코딩장치
KR100767557B1 (ko)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 장치
US6366615B2 (en) Moving picture coding method, moving picture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H07123447A (ja) 画像信号記録方法および画像信号記録装置、画像信号再生方法および画像信号再生装置、画像信号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信号符号化装置、画像信号復号化方法および画像信号復号化装置、ならびに画像信号記録媒体
US5191414A (en) Interfield predictive encoder and decoder for reproducing a signal subjected to predictive encoding by encoder into an image signal
KR100364312B1 (ko) 블록간예측부호화복호화장치및그방법
KR100332258B1 (ko) 동화상부호화장치및동화상복호화장치
US5291283A (en) Decoding apparatus of a compressed digital video signal
KR950006773B1 (ko) 영상신호의 부호화장치
JPH0937243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復号装置
JP2898413B2 (ja) 所要メモリ容量の低減化を伴う圧縮ビデオデータ流の復号化及び符号化のための方法
KR100312083B1 (ko) 텔레비젼화상들을전송하는장치,그화상들을수신하는장치및기억매체
JP2820630B2 (ja) 画像復号装置
US5710859A (en) Image data recorder wherein compressed data recording is stopped/started at a different time than commanded
US6490321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encoding/decoding moving picture using second encoder/decoder to transform predictive error signal for each field
JP5742049B2 (ja) カラー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カラー動画像符号化装置
JPH07107464A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装置
JP3147636B2 (ja) ビデオデータ配列方法並びにその符号化装置及び復号化装置
JP3687458B2 (ja) 圧縮復号化方法及び圧縮復号化装置
JPH10126749A (ja) 順次走査変換装置
JP3572819B2 (ja) ディジタル画像圧縮符号化装置
JP3500340B2 (ja) コーディング装置及び方法
JPH08265759A (ja) 圧縮信号切換装置
JP2007049520A (ja) 画像信号の高能率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