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266B1 - 플루오로카본 탄성체 및 비닐리덴 불화물로 구성된 압출 가공 조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루오로카본 탄성체 및 비닐리덴 불화물로 구성된 압출 가공 조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266B1
KR950006266B1 KR1019910700377A KR910700377A KR950006266B1 KR 950006266 B1 KR950006266 B1 KR 950006266B1 KR 1019910700377 A KR1019910700377 A KR 1019910700377A KR 910700377 A KR910700377 A KR 910700377A KR 950006266 B1 KR950006266 B1 KR 950006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weight
vinylidene fluoride
melt
ex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348A (ko
Inventor
리챠드 채프만 쥬니어 조오지
에드윈 프리스터 도난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제임즈 제이 플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제임즈 제이 플린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920701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vinylidene flu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플루오로카본 탄성체 및 비닐리덴 불화물로 구성된 압출 가공 조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플루오로중합체 가공 조제를 사용하여 용융가공성이 어려운 중합체를 압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고 분자량 중합체, 예컨대, 탄화수소 중합체를 관재료, 파이프, 전선 코우팅 또는 필름과 같은 조형 구조물로 용융 압출시키는 것은 공지된 과정에 의해 수행되며, 여기서 회전 스크루우는 가열되고, 용융되고 점성인 중합체 용융물을 압출기 배럴을 통해 중합체가 원하는 형태로 조형되는 다이로 밀어넣고 연속적으로, 다양한 수단에 의해, 다이의 일반적인 형상으로 냉각되고 재응고된다.
적은 생산 비용이 들도록, 높은 속도에서 압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량이 압출기 스크루우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쉽게 증가될 지라도, 중합체의 점탄성 때문에 이러한 증가에 대해 기계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이 한계 이상의 속도에서 중합체는 열 분해가 일어날 수 있는 온도까지 기계적으로 가열될 수 있거나, 또는 거친 표면을 갖는 압출물이 얻어진다. 후자의 현상은 압출물의 표면상에 바람직하지 않은 패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생을 피하기 위한 한가지 방안은 보다 높은 온도에서 압출시키는 것이나, 이것은 가공 비용을 늘리고 압출물의 냉각을 보다 어렵게 만든다. 보다 심각하게, 많은 폴리올레핀은 이들의 분해 온도가까이의 온도에서 이미 압출되며, 더 이상의 증가는 가능하지 않다.
그러므로, 용융 온도를 높이지 않고서, 압출량을 증가시키면서, 부드러운 표면을 갖는 생산품을 생산하는 매우 효과적인 수단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기 및 다이 배치에 있어서의 변화는 용융 흐름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항상 실행적 또는 경제적으로 가능한 것은 아니다. 또다른 접근은 용적(bulk) 점도를 감소시키고 몇몇 경우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통상적인 왁스-형 가공 조제의 첨가를 수반한다. 그러나 이 효율은 최저이고 요구되는 첨가제의 높은 수준은 종종 다른 성질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친다. Blatz, 미합중국 제3,125,547호에서는, 플루오로 탄성체와 같이, 가공온도에서 유체 상태로 있는 플루오로카본 중합체 0.01-2.0중량%의 사용이 다이 압력을 감소시키고 고 및 저 밀도 폴리에틸렌 및 다른 폴리올레핀에 대해 용융파양(meltfracture)이 일어나는 압출량을 상당히 증가시킬 것임이 공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토쿠코 45-30574(1970, 심사됨)에서, 카미야와 이누이는 다이 빌드-업(build up)을 제거하기위해 이들의 융점이하의 온도에서 결정성 플루오로카본 중합체의 사용을 이용하고 있으나 다른 압출 개선점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없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코카이 62-64847에서, 니시다, 타떼 및 키따니는 0.2-200g/10분의 MER, 0.850-0.945g/㎤의 밀도, 및 적어도 1 : 2의 F/C비를 갖는 불화 탄화 수소 중합체 0.001-1중량%를 갖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로 구성된 사출 성형 조성물을 공개하고 있다.
미합중국 제4,740,341호에서, 쿠(Chu)는 적어도 1 : 2의 F/C비를 갖고 120-300℃에서 유체인, 조성물을 기준으로 0.01-0.5중량%의 플루오로카본 중합체, 및 조성물을 기준으로, 0.01-0.5중량%의 폴리실옥산을 그안에 혼입한 에틸렌의 선형 중합체로 구성되고 개선된 압출 직경을 갖는 블렌드를 공개하고 있다.
미합중국 제3,334,157호에서, 라센(Larsen)은 혼합물을 기준으로, 0.015 내지 1.7중량% 이상의 미분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그안에 혼입시킴으로써 그의 광학적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개질된 폴리에틸렌을 공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개선된 압출 특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하나의 목적은 높은 표면 질을 갖는 압출물을 제공하기 위해 높은 속도에서 압출될 수 있는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목적은 낮은 다이 압력에서 및 낮은 용융 온도에서 압출될 수 있는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진전된 목적은 상기 논의된 유형의 용융 가공 난이성에 영향받기 쉬운 고 분자량 탄화수소 중합체에 특별한 중점을 두면서 상기 모든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들은 이후에 명백해질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을 가공성을 갖고. (a) 용융 가공성이 어려운 탄화수소 중합체의 주 부분, 및 (b)(1)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한 탄성 플루오로 카본 공중합체 및 (2)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한, 결정성 비닐리덴 불화물 중합체의 부 부분으로 구성되는 중합체 블렌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a) 2-95중량부의 탄성 플루오로카본 공중합체 및 (2) 98-5중량부의 결정성 비닐리덴 불화물 중합체로 구성된 가공조제를, 총 100부로,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그안에 혼입한 용융 가공성이 어려운 탄화수소 중합체를 용융 압출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압출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놀랍게도, 용융 가공성이 어려운 탄화수소 수지의 압출 특성이, 지금까지 알려진 특정의 플루오로 중합체 압출조제가 상승 작용적으로 함께 사용될때 매우 훨씬 개선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용어 "압출 특성"은 압출중에 도달되는 다이 압력, 조작 용융 온도 및 용융 안정도 및 우수한 압출물 표면 질을 유지하면서 얻어질 수 있는 최대 압출량과 같은 매개변수를 포함하도륵 의도된다. 그러므로 여기에 공개된 용융 가공성이 어려운 탄화수소 중합체는 상당히 낮추어진 다이 압력에서, 높은 압출량 및 압출품의 향상된 표면 평활성, 및 또한, 갈색 필름의 경우, 개선된 명도의 유지시키면서 압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융 가공성이 어려운 중합체는 190℃에서 5.0 또는 그 이하, 바람직하게 2.0 또는 그 이하의 용융지수(ASTM-D1238)를 갖는 탄화수소 중합체로, 에틸렌 및 프로필렌, 및 임의로 비-공역 디엔 단량체(예컨대 1,4-헥사디엔)의 탄성 공중합체 또는 일반적으로, R이 H 또는 보통 8개 이하의 탄소원자의 알킬 라디칼인, 일반식 CH2=CHR를 갖는 모노올레핀의 단독 중합 또는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임의의 열가소성 탄화수소 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예컨대, 0.89-0.97범위내의 밀도를 갖는, 고 밀도유형 및 저 밀도유형 둘다의 폴리에틸렌 ; 폴리프로필렌 ; 폴리부텐-1 ; 폴리(3-메틸부텐) ; 폴리(메틸펜텐) ; 및 프로필렌, 부텐-1, 옥텐-1, 데센-1, 옥타데센등과 같은 알파-올레핀 및 에틸렌의 선형 저밀도 공중합체에 적용가능하다.
언급된 서로다른 탄호수소 중합체의 서로 다른 용융 특성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는 다른 것에서보다 몇몇 탄화수소 중합체에 있어서 보다 큰 유용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고 분자량이 아닌 폴리프로필렌 및 분지형 폴리에틸렌과 같은 탄화수소 중합체는 보다 낮은 온도에서 조차 우수한 용융 흐름 특성을 가지며, 그결과 표면 거칠기 및 다른 표면 결점들이 압출 조건의 조정에 의해 피해질 수 있고, 이들 탄화수소 중합체는, 불리한 압출 조건하에서, 본 발명의 방법 및 플루오로카본 중합체 압출 조제의 사용을 단지 필요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올레핀, 특히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들과의 고분자량, 고 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및 고분자량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다른 중합체는 압출 조건의 변화에 있어서 이러한 자유도를 갖지 않으며, 특히, 이들 수지를 사용하여 압출된 생산품의 표면 질에 있어서의 개선 및 압출 압력에 있어서의 감소가 본 발명의 조성물과 함께 얻어진다.
유형(1)의 탄성 플루오로카본 중합체는 보통 실온 및 그 이상에서 유체상태로 있는 것으로, 즉, 이들은 실온이하의 Tg를 갖고, 실온에서 결정도를 거의 또는 전혀 갖지 않는다. 이들의 화학 조성물에 관하여, 적어도 1 : 1.5의 불소대 수소비를 갖는 플루오로카본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유형(1)의 상기 플루오로카본 중합체는 조성물의 0.001-0.5중량부, 바람직하게 0.002-0.08중량부로 구성될 것이다. 적합한 중합체를 야기시키는 불화 단량체는 비닐리덴불화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퍼플루오로알킬 퍼플루오로비닐 에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유형(1)의 플루오로카본 중합체의 특이예는 헥사플루오로 프로필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1-히드로펜타플루오로 프로필렌 및 2-히드로펜타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 및 비닐리덴 불화물의 공중합체 ; 비닐리덴 불화물, 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또는 1- 또는 2-히드로펜타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프로필렌 및, 임의로, 비닐리덴 불화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몇몇 경우 이들 고중합체는 또한 Apotheker와 Krusic, 미합중국 제4,035,565호에서 지침된 바와 같은 브로모-함유 단량체, 또는 미합중국 제4,243,770호에서 지침된 바와 같은, 말단 요오도-기를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특허는 또한 요오도 기-함율 플루오로올레핀 공단량체의 사용을 공개하고 있다. 단량체의 특정 몰비가 이들 공중합체에서 사용될 때, 유리 전이 온도는 0℃ 근처 또는 그 이하이고, 이들 중합체는 쉽게 이용가능한 상업용 제품인 유용한 탄성체들이다.
유형(2)의 플루오로카본 중합체는 예컨대, 120℃-300℃ 범위내 및 바람직하게 150℃-250℃ 범위내의 용융 또는 연화점 이상인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비닐리덴 불화물의 공중합체 및 비닐리덴 불화물의 결정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비닐리덴 불화물 단독중합체는 보통 열분석방법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165-170℃ 범위의 결정성 융점 최대를 갖는다.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비닐리덴 불화물의 유용한 공중합체는 공중합체된 비닐리덴 불화물의 양에 따라 130°-l60℃ 범위내에서 용융 최대를 갖는다. 상기 플루오로수지는 조성물의 0.001-0.5중량부, 바람직하게 0.01-0.1중량부로 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 압출 조제의 상승작용적 조합은 (1) 플루오로탄성체 및 (2) 결정성 비닐리덴 불화물 중합체로 구성될 것이다. 이 둘다는 이들의 가공 온도에서 탄화수소 중합체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인, 충분히 높은 분자량을 가져야 한다.
1중량% 초과량은 필요치않다. 일반적으로, 플루오로카본 중합체는 용융 가공성이 어려운 중합체와 상용성이 아니며, 즉, 그러한 중합체에 용해되지 않으며, 보다 높은 수준의 첨가는 어떠한 유용한 목적을 제공하지 않는다. 비상용성 부분이 너무 커지면, 그것은 압출물의 광학성에 불리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용융 가공성이 어려운 중합체가 탄화수소 중합체일때가 그러한 경우이다. 유형(1) 대 (2) 또는 유형 (2) 대 (1)의 심지어 매우 낮은 비에서의 이로운 효과를 쉽게 명백하게 알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유형 (1) 및 (2)의 임의의 특별한 조합에 대해 실험적으로 측정될 수 있는 유형 (1) 대 (2)의 최적 비가 존재할 것이다. 플루오로카본 중합체 유형(1) 대 플루오로카본 중합체 유형 (2)의 중량비는 10/90-90/10, 바람직하게 20/80-80/20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유형(1) 및 (2)의 주어진 농도에서 최대한 개선된 표면질, 감소된 다이압력, 및 증가된 처리량을 얻은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인식할 것이다. 그러므로, 한 매개변수에 있어서 최대 개선을 얻고, 특히, 다른 매개변수에 있어서 상응하는 개선을 희생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고질 표면 특성을 갖는 압출물의 증가된 산출량이 반드시 감소된 다이 압력을 수반할 수는 없다.
최상의 조건설정은 압출의 특히 요구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플루오로카본 중합체 개질제를 용융 가공성이 어려운 중합체에 첨가하는 것은 개질제를 그러한 중합체에 첨가하기 위한 지금까지 개발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플루오로카본 중합체(1) 및 (2)는 고무 배합 분쇄기상에서 또는 밴버리 또는 다른 밀폐식 혼합기내에서 또는 혼합 압출기내에서, 예컨대, 탄화수소 중합체에 독립적으로 첨가될 수 있고, 이 모든 것내에서 플루오로파본 중합체는 호스트(host) 중합체 전반에 거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또한, 고체상태에서 호스트 중합체와 함께 두 플루오로중합체를 건조-블렌딩시키고, 그다음 우수한 혼합 용량을 갖는 압출기 스크루우를 사용함으로써 이차가공에 사용되는 응용 압출기내에서 플루오로중합체의 균일한 분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희석제 중합체내 유형(1) 및 (2)의 매스터배치 분석액(혼합물)은, 함께 또는 따로따로, 적절한 장치에 의해 압축기의 공급부에 개량될 수 있다. 희석제 중합체는 용융가공성이 어려운 중합체일 수 있고 또는 이것은 본 발명의 이로운 효과를 얻는데 있어서 중합체 조성물에 실질적으로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융 가공성의 중합체일 수 있다. 예컨대, 희석제 중합체는, R이 H 또는 보통 8개 탄소원자 이하의 알킬 라디칼인 일반식 RCH=CH2의 모노올레핀(들)의 단독중합에 또는 공중합체와 같은 용융-가공성 탄화수소 중합체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그러한 탄화수소 중합체는 190℃에서 20.0 또는 그이하, 바람직하게 5.0 또는 그 이하의 용융 지수(ASTM D-1238)를 가질 것이다. 그러한 매스터배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플루오로탄소 중합체 유형(1) 및 (2)의 양은 보통 이들이 매스터 배치의 1-25중량%, 바람직하게 1-10중량%를 제공하는 정도일 것이다. 매스터 배츠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이로운 효과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하기 위한 필요성을 상기 고려하는 것외에, 희석제 중합체 뿐만 아니라, 유형(1) 및 (2)의 농도는 모든 성분들의 우수한 혼합물 얻기위해 선택될 것이다.
상기 임의의 과정에 있어서, 플루오로카본 중합체 유형 (2)과 플루오로카본 중합체 유형(1)의 미리 제조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있어서, 유리한 효과는 반드시 압출 개시시 즉시 관찰되는 것은 아니며, 개질제의 총 농도에 의존하여, 안정한 압출량 및 다이 압력에 도달하는데 10분 내지 8시간이 소요될 수 있음이 밝혀질 것이다. 보다 긴 시간은 유형(1) 및 (2)의 낮은 농도에서 요구된다. 개질제의 매우 낮은 수준에서 조작하고 평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0.1-1중량%의 플루오로카본 중합체 유형(1) 및 (2)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신속하게 압출기를 우선 "조건화"한 다음, 유형(1) 및 (2)의 원하는 농도까지 바꾸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이로운 효과가 즉시 관찰되지 않을 수 있음을 관찰한 바와 같이, 유형(1) 및 (2)의 플루오로카본 중합체의 첨가가 중지된 후 이로운 효과가 계속 관찰될 수 있음이 또한 관찰되었다. 이러한 관찰에 일치하여, 안정한 압출량 및 다이압력이 얻어진 후, 본 발명의 이로운 효과는 용융 가공성이 어려운 중합체 및 본 발명의 가공조제를 함유하는 것의 공급량을 바꿈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
하기 보고된 평가는 25/1 길이/직경 비를 갖는 19.1㎜(3/4in.) 직경의 압출기를 갖춘 씨이 더블유 브라벤더 컴퓨터 처리된 플라스티-코오더(C.W.Brabender Computeried Plasti Corder)를 사용했다. 스크루우는 10개의 공급날개, 3 : 1의 압축비를 갖는 10개의 압축날개, 및 5개의 계기 날개를 가졌다. 조작 매개변수는 5개의 독립적 가열 구획(번호 5가 다이에 가장 가까움), 4개의 압력 변환기 및 1-120rpm용량을 갖는 토오크-측정 추진 유니트에 의해 조절되었다. 이 기구는 압출 시험을 위해 소프트웨어가 장치되었다. #416 스테인레스 강으로부터 제조된, 모세관 다이는 2㎜의 직경 및 40㎜의 길이를 가졌다.
조작시, 요구되는 기계 조건을 설정했고 그 다음 중합체 수지를, 평형(일정한 처리량 및 일정한 다이 압력)이 도달될때까지, 보통 40rpm에서, 압출시켰다. 190℃에서 용융지수 1을 갖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경우, 40rpm에서 압출은 약 19-20g/분의 처리량 및 약 28MPa의 다이압력을 산출시켰다.
공급 조성물을 변화시킴으로써, 차례차례로 수행된 실험의 경우, 초기 산출량 매개변수는 이전의 평형과 상응했고, 그 다음 점차적으로 새로운 평형으로 변했다. 평형이 이루어졌을때 그 다음 스크루우 속도의 범위는 처리량 및 다이 압력의 새로운 평형 수치를 산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량 및 다이 압력간의 관계는 자료의 플롯으로부터 결정되었고, 특정한 고정 생산속도에서 다이 압력 자료는 그 다음 실험간의 자료비교를 위해 평가되었다.
압출물의 표면질은 육안 검사에 의해 판단되었다. 비교목적을 위해, "용융파양"은 압출물의 표면상에서 헤링보운같은 거칠기로서 정의된다.
각 실시예 후 압출기를 완전히 세척했다. 장치를 먼저 매우 충진된 연마제 조성물(VCC-UCC-0964)로 퍼징하였다.
이를 분해하고 각부-스트루우, 배럴, 다이 조립체, 및 변환기를 먼저 와이어 브러쉬로, 및 그 다음 메틸 에틸 케톤 용매로 세척하였다. 모세관 다이를 제거하고 이것이 중합체가 없고 적색 글로우에 도달할때까지 프로판 토오치로 가열했다.
변환기의 재조립 및 보정후 개질되어 않은 탄화수소 수지를 먼저 평형상태를 이루고, 신뢰할 만한 산출량이 얻어졌음을 확신하기 위해 수행했다. 이 목적을 위해 40rpm에서 평형 수치를 단지, 때때로 사용하였다. 개질되지 않은 수지에, 대해 미리 설정된 평형 수치가 얻어지지 않은 경우, 세척과정을 반복했다.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고 분자량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에틸렌 및 부텐-1의 구입가능한 공중합체이고 0.918의 밀도 및 1.0의 용융지수(ASTM D-1238, 조건 E)를 가졌다. 플루오로탄성체는 60중량% 비닐리덴 불화물 및 40중량% 헥사플루오로 프로필렌의 반복단위를 갖는 구입가능한 공중합체이고, 100℃에서 60의 무니(Mooney)점도, ML-4를 가졌다. 이것은 폴리에틸렌내 2중량% 농축물 형태로 사용되었다. 폴리비닐리덴 불화물 수지는 165℃-l70℃의 융점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 구입가능한 단독 중합체였다.
압출성의 평가를 위한 조성물은 플루오로탄성체 농축물 및/또는 폴리비닐리덴 불화물 분말 및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의 건조 블렌딩에 의해 제조되었다.
[비교 실시예 1]
40rpm에서 작동하는 스크루우 및 각각, 150,180,200,200 및 204℃의 공칭 온도 세팅에서 조절되는 가열구획 번호 1,2,3,4 및 5를 가진 브라벤더 압출기에 LLDPE를 도입시켰다. (구획번호 5가 다이에 가장 가깝다.) 처리량 및 다이압력이 일정할때, 평형 압출상태는 15분의 기간후 도달되었다.
스크루우 rpm은 그다음 체계적으로 12rpm에서 60rpm으로 변했다. 다양한 스크루우 속도에서 압출량을 측정한후, 자료를 다이 압력 대 처리량의 곡선을 산출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입력시켰고 이로부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작성된, 선택된 자료를 컴퓨터 처리시켰다. 이 실시예에서 압출물 표면은 무디었고, 4g/분 이상의 모든 처리량에서 용융파양을 가졌다.
[비교실시예 2]
비교실시예 1에서와 같이 선형 저 밀도 폴리 에틸렌을 사용하여 압출기 워밍업을 수행하여,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건조 블렌드로서 0.02중량%의 플루오로 탄성체를 그안에 균질하게 분산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랜을 그 다음 같은 온도 세팅에서 및 40rpm의 스크루우 속도에서 압출기에 도입시켰다. 정상 상태는 60분후 얻어졌고 추후 60분후 변하지 않았다. 다이압력 및 처리량에 관련된 자료는 비교실시예 1에서와 같이 얻어졌다.
다이 압력은,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개질되지 않은 LLDPE에 대해서 보다 낮았고, 용융파양은 처리량이 30g/분을 초과했을때 일어났다.
[비교실시예 3]
비교실시예 1에서와 같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압출기 워밍업을 수행하여,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건조 블렌드로서 0.02중량%의 폴리비닐리덴 불화물을 그안에 균질하게 분산한,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을 그 다음 온도 세팅에서 및 40rpm의 스크루우 속도에서 압출기에 도입시켰다. 정상 상태는 60분후 얻어졌고 추후 60분후 변하지 않았다. 다이 압력 및 처리량에 관련된 자료는 비교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얻어졌다. 다이압력은,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개질되지 않은 LLDPE에 대해서 보다 낮았다. 용융파양은 처리량이 30g/분을 초과했을때 일어났다.
[실시예 1]
비교실시예 1에서와 같이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압출기 워밍업을 수행하여,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건조 블렌드로서 0.001중량%의 폴리비닐리덴 불화물 및 0.001중량%의 플루오로탄성체를 그안에 균일하게 분산한,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을 그 다음 같은 온도 세팅에서 및 40rpm의 스크루우 속도에서 압출기에 도입시켰다. 정상상태는 60분후 얻어졌고 추후 60분후 변하지 않았다. 다이압력 및 처리량에 관련된 자료는 비교실시예 1에서와 같이 얻어졌다. 다이압력은,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실시예에 대해서보다 상당히 낮았고, 용융파양은 처리량이 30g/분을 초과할때까지 일어나지 않았다.
[표 1]

Claims (4)

  1. (a) 용융 가공성이 어려운 탄화수소 중합체의 주 부분 ; 및 (b) (1)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한 탄성 플루오로카본 공중합체 및 (2)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한 결정성 비닐리덴 불화물 중합체의 부 부분으로 구성되고, 개선된 가공성을 갖는 중합체 블렌드 조성물.
  2. (a) 10-90중량부의 탄성 플루오로카본 중합체 및 (b) 90-10중량부의 결정성 비닐리덴 불화물 중합체로 구성된 가공 조제를, 총 100부로,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그안에 혼입한 용융 가공성이 어려운 탄화수소 중합체를 용융압출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압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성분(b)(1) 및 (2)의 최소량은 조성물을 기준으로 각각 0.001중량%이고 성분(b) (1)+(2)의 최대량은 1중량%인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성분(b)(1) 및 (2)의 최소량은 조성물을 기준으로 각각 0.001중량%이고 성분(b) (1)+(2)의 최대량은 1중량%인 방법.
KR1019910700377A 1989-10-06 1990-09-20 플루오로카본 탄성체 및 비닐리덴 불화물로 구성된 압출 가공 조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 KR950006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800689A 1989-10-06 1989-10-06
US418006 1989-10-06
US418,006 1989-10-06
PCT/US1990/005247 WO1991005009A1 (en) 1989-10-06 1990-09-20 A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usion processing aid comprising a fluorocarbon elastomer and vinylidene fluor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348A KR920701348A (ko) 1992-08-11
KR950006266B1 true KR950006266B1 (ko) 1995-06-13

Family

ID=2365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377A KR950006266B1 (ko) 1989-10-06 1990-09-20 플루오로카본 탄성체 및 비닐리덴 불화물로 구성된 압출 가공 조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447512B1 (ko)
JP (1) JPH03505346A (ko)
KR (1) KR950006266B1 (ko)
AT (1) ATE144271T1 (ko)
AU (1) AU622050B2 (ko)
BR (1) BR9006939A (ko)
CA (1) CA2027099C (ko)
DE (1) DE69028915T2 (ko)
WO (1) WO1991005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3030B2 (en) 1998-06-16 2004-03-09 Marvin E. Klein Amino fruit acid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kin
US20020132074A1 (en) * 2001-01-30 2002-09-19 Gervasi David J. Chlorofluoro elastomer compositions for use in electrophotoraphic fusing applications
US6599982B2 (en) * 2001-11-08 2003-07-29 Dupont Dow Elastomers L.L.C. Process aid for melt processable polymers
CA2924818A1 (en) 2013-09-20 2015-03-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mer processing addi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EP3124541A1 (en) * 2015-07-31 2017-02-01 Solvay Specialty Polymers Italy S.p.A. Fluoropolymer composition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CN112812421B (zh) * 2021-02-02 2022-10-21 浙江中聚材料有限公司 一种改性聚烯烃复合物及其制备工艺与应用
CN113150424B (zh) * 2021-04-22 2022-12-06 长春联塑实业有限公司 一种低熔垂高光洁度聚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7384423B (zh) * 2023-11-07 2024-04-16 稷昶新材料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新型氟弹性体加工助剂及制备工艺
CN117586572B (zh) * 2024-01-16 2024-04-16 新疆独山子石油化工有限公司 一种低黄色指数茂金属聚乙烯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12074C (ko) * 1957-12-10 1900-01-01
US3125547A (en) * 1961-02-09 1964-03-17 Extrudable composition consisting of
US3334157A (en) * 1963-12-03 1967-08-01 Union Carbide Canada Ltd Polyethylene blends containing trace amounts of polytetrafluoroethylene
JPS59193940A (ja) * 1983-04-18 1984-11-02 Mitsubishi Petrochem Co Ltd 結晶性オレフイン重合体樹脂組成物
JPS6264847A (ja) * 1985-09-18 1987-03-23 Mitsubishi Petrochem Co Ltd 射出成形用ポリエチレン組成物
US4740341A (en) * 1986-08-29 1988-04-26 Mobil Oil Corporation Linear polyethylene, fluorocarbon polymer and polyalkylsiloxane compositions, and improved method of film extrusion using same
US4753995A (en) * 1986-08-29 1988-06-28 Mobil Oil Corporation Compositions of linear polyethylene and polyvinylidene fluoride for film extrusion, and films thereof
US4837074A (en) * 1987-08-06 1989-06-06 The Dow Chemical Company Thermoformed polyolefin articles having improved gloss
JPS6474247A (en) * 1987-09-16 1989-03-20 Tosoh Corp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US4855360A (en) * 1988-04-15 1989-08-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xtrudable thermoplastic hydrocarbon polymer composition
US4904735A (en) * 1988-07-08 1990-02-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ing aid for poly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47512B1 (en) 1996-10-16
WO1991005009A1 (en) 1991-04-18
ATE144271T1 (de) 1996-11-15
BR9006939A (pt) 1991-12-17
CA2027099C (en) 2001-02-27
CA2027099A1 (en) 1991-04-07
JPH03505346A (ja) 1991-11-21
KR920701348A (ko) 1992-08-11
AU622050B2 (en) 1992-03-26
EP0447512A4 (en) 1992-10-07
DE69028915D1 (de) 1996-11-21
EP0447512A1 (en) 1991-09-25
AU6419390A (en) 1991-04-28
DE69028915T2 (de) 199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6911A (en) Process and processing aid for extruding a hydrocarbon polymer
US4904735A (en) Processing aid for polymers
US5010130A (en) High melt viscosity fluoropolymer process aid
US6048939A (en) Process aid for melt processible polymers
AU646647B2 (en) Processing aid for polymers
US6599982B2 (en) Process aid for melt processable polymers
KR0154115B1 (ko) 압출성 열가소성 탄화수소 중합체 조성물
CA2027004C (en) Fluoropolymer process aids containing functional groups
US5051479A (en) Melt processable TFE copolymers with improved processability
JP4436753B2 (ja) 押出し成形可能な熱可塑性組成物
KR950006266B1 (ko) 플루오로카본 탄성체 및 비닐리덴 불화물로 구성된 압출 가공 조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
EP0447535B1 (en) Processing aid for polymers
US5057575A (en) Processing aid for polymers
US20060025504A1 (en) Process aid for melt processable polymers that contain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JP5228054B2 (ja) 溶融押出可能なポリマー用加工助剤
KR100188479B1 (ko) 중합체 가공 첨가제 조성물
CA1338727C (en) Processing aid for polymers
CA2027003A1 (en) Processing aid for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