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932B1 - 포지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지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932B1
KR950005932B1 KR1019920011293A KR920011293A KR950005932B1 KR 950005932 B1 KR950005932 B1 KR 950005932B1 KR 1019920011293 A KR1019920011293 A KR 1019920011293A KR 920011293 A KR920011293 A KR 920011293A KR 950005932 B1 KR950005932 B1 KR 950005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henol
photoresist composition
novolak resin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917A (ko
Inventor
서동철
김성주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주식회사
김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주식회사, 김흥기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1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932B1/ko
Publication of KR94000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2Quinonediazides
    • G03F7/023Macromolecular quinonediazides; Macromolecular additives, e.g. b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지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포지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포지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중 잔막율, 내밀성이 향상된 노볼락 수지를 함유하는 포지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그것은 광식각법 공정을 포함하는 다양한 반도체 소자 및 전자부품 제조시에 유용하다.
최근의 반도체 산업은 대단히 빠른속도로 급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반도체 집적회로 소자분야에서도 고밀도화, 고집적화가 진행됨에 따라 레지스트 재료의 고성능화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 동향에 따라 광식각 기술에 의해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작업은 서브미크론 이하의 극치 미세한 가공기술이 당연히 필수적으로 된다.
알려진 바대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노광에 의해 유도되는 용해도 변화에 따라서 네거티브형과 포지티브형으로 분류된다. 일찌기 반도체 산업에 있어서, 광식각법에 사용되는 감광성 조성물의 주류는 네거티브형 이었으나 서브미크론 이하의 미세한 패턴제조에는 포지티브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대부분의 포지티브형 레지스트는 알카리 용해성 수지와 감광성 화합물(감광제 또는 광증감제라 칭함) 및 용매 시스텀의 혼합물로써 제조된다. 감광제는 현상액 내에서 용해되지 않고 남아있는 그의 용해도를 레지스트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광원에 노출되면, 감광제 자체가 화학적으로 현상액에 용해성 물질로 변환된다. 결과적으로 순수효과는 감광영역의 용해도가 매우 크게 증가된다는 것이다.
종래 대부분의 포지티브형 레지수트의 주성분들은 막 형성 성분으로서의 알카리 가용성 노볼락 수지와 광분해성 또는 감광성 성분으로서의 퀴논디아지드 혼합물의 형태이다. 전형적인 쿼논디아지드계의 감광성 화합물류로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3,402,044호에 기재되어 있는 나프토퀴논 디아지드술폰산과 1개 이상의 페놀성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간에 생성되는 술폰산 에스테르류와 미합중국 특허 제3,046,118호, 제3,106,465호 및 제3,148,983호에 기재되어 있는 기타 에스테르류가 있다.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중의 막 형성 성분으로서 전형적인 것으로서는 알카리 가용성 노볼락 수지가 있으며,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3,402,044호에 기재된 페놀-포름알데히드 노볼락 수지와 크레졸 노볼락 수지를 비롯한 각종의 노볼락 수지들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허출원 공개번호 소64-13541호에는 크레졸 노볼락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크레졸 이성체물의 비율을 적당히 선택하므로서 막 형성 성분으로서의 크레졸 노볼락 수지로 구성되는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인 레지스트의 특성은 감도, 잔막율, 내열성으로 표현되며 이들중 해상도 즉, 패턴과 관련이 깊은 것은 잔막율로 비노광부에서의 잔막율과 노광부에서의 용해속도가 패턴형상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종래의 포토레지스트의 경우 내열성, 내드라이 엣칭성의 면에서 거의 만족할 수 있는 것이라도 레지스트선폭이 서브미크론 이하로 내려가면서 패턴 끝부분의 현상성이 나빠져 해상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0.5미크론 이하의 패턴을 형성시에는 이러한 점이 큰 장해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해상도 저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0.5미크론 이하의 패턴 형성시에도 현상성이 우수한 포지티브형 포토레지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레지스트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노볼락 수지의 인자는 분자량, 페놀 이성체의 비, 메틸렌 결합의 위치등이며, 비노광부의 막 두께 유지, 즉 잔막율이 높을수록 해상도가 향상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현재까지 제시된 방법으로는 분자내 결합중 파라 결합보다 올소 결합의 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는 메타크레졸과 파라크레졸의 투입비를 조절하므로서 노볼락 수지내의 올소 결합의 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올소 결합이 증가될 경우 분자내 수소결합이 증가하여 알카리 현상액에 잘 용해되지 않으므로 비노광부의 잔막율은 증가하지만 노광부의 용해도도 따라서 감소하고, 이에 따라 노광부와 비노광부의 용해도 차가 작아지므로 현상성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파라크레졸을 메타크레졸의 70중량% 이상 사용할 경우 분자량이 증가하지 않아 내열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메다크레졸과 파라크레졸의 양을 적당히 혼합한후 디메탈페놀, 트리메틸페놀과 같은 페놀 유도체를 첨가하여 노볼락 수지를 합성하므로서 비노광부의 잔막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노광부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내열성 향상을 도모하였다.
본 발명가들은 메타크레졸과 파라크레졸을 주성분으로 하고 일반식(I)로 표현되는 페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페놀류를 포름알데히드와 축합반응에 의하여 알카리 가용 노볼락 수지를 얻었으며, 이 노볼락 수지와 히드록시 벤조페논을 함유하는 디아지드계 광증감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레지스트 조성물에서 비노광부의 잔막율이 매우 우수할 뿐반 아니라 노광부와 비노광부의 용해도 차이도 커서 끝부분의 현상성이 향상된 패턴 결과를 얻었다. 특히 2,6-디메탈페놀과 2,4-디메틸페놀을 사용하여 대단히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여기에서, Rl, R2는 C1∼C6인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된 노볼락 수지는 메타크레졸과 파라크레졸 95∼70중량%, 일반식(I)로 나타내어지는 페놀류 5∼30중량%를 투입하고, 유기산을 사용하여 합성한 것이다. 반응온도는 80∼110℃이고, 반응시간은 2∼12시간이며, 반응종료후 수분과 미반응물은 감압증류하여 제거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노볼락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80,000의 범위에 있으며, 이중 바람직한 분자량 범위는 2,000∼20,000이다.
일반식(I)로 표시되어지는 페놀류를 투입하므로서 종래의 메타크레졸과 파라크레졸을 주성분으로 하여 합성한 노볼락 수지보다 작은 분자량에서도 동등 이상의 내열성을 나타냈을 뿐반 아니라 투입하는 폐놀류의 투입량을 5∼30중량%로 조절함에 의해 잔막율이 우수한 노볼락 수지를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노볼락 수지와 트리 또는 테트라히드록시 벤조페논을 함유하는 디아지드계의 광증감제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레지스트 조성물에서 잔막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측면과 끝부분의 현상성이 향상된 단면형상의 레지스트 패턴을 얻었다.
[실시예 l]
500ml의 4구 플라스크에 메타크레졸과 파라크레졸의 비가 6 : 4인 크레졸 혼합물 95중량%와 2,4-디메틸페놀 5중량%를 투입하고, 옥살산을 투입된 페놀 이성체의 2중량% 첨가하여 80℃에서 용해시킨후 포름알데히드의 몰비가 페놀 이성체의 0.73이 되게 첨가하여 110℃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그 결과 중량평균 분자량이 9,500인 노블락 수지를 얻었다.
[실시 예 2]
메타크레졸과 마라크레졸의 비가 6 : 4인 크레졸 혼합물 90중량%와 2,4-디메틸페놀과 2,6-디메틸페놀의 비가 9 : 1인 디메틸페놀 혼합물 10중량%를 투입하고, 포름알데히드를 몰비로 크레졸 혼합물의 0.73이 되게 첨가하여 3시간 반응시킨 결과 중량펑균 분자량이 6,700인 노볼락 수지를 얻었다.
[실시예 3]
메타크레졸과 파라크레졸의 비가 6 : 4인 크레졸 혼합물 85중량%와 2,4-디메틸페놀과 2,6-디메틸페놀의 비가 9 : 1인 디메틸페놀 혼합물 15중량%를 투입하고, 포름알데히드를 몰비로 그레졸 혼합물의 0.73이 되게 첨가하여 3시간 반응시킨 결과 중량평균 분자량이 5,l00인 노볼락 수지를 얻었다.
[비교예 1]
1ι의 4구 플라스크에 메타크레졸 60중량%, 파라크레졸 40중량%의 크레졸 혼합물과 촉매로 옥살산을 크레졸에 대해 2중량% 첨가한후, 80℃에서 옥살산을 용해시키고, 37% 포르말린 수용액을 크레졸에 대해 포름알데히드 몰비가 0.7l이 되게 첨가하여 110℃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용액을 180℃까지 승온하며 감압증류하여 부생성물과 미반응물을 제거하고, 겔 퍼메이션 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중량평균 분자량이 11,000인 노볼락 수지를 얻었다.
[비교예 2]
메타크레졸 50중량%와 파라크레졸 50중량%의 크레졸 혼합물을 투입하고 포름알데히드를 몰비로 크레졸 혼합물의 0.71이 되게 첨가하여 4시간 반응시킨 결과 중량평균 분자량이 19,000인 노볼락 수지를 얻었다.
[레지스트 조제예]
노볼락 수지를 3배의 2-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에 녹인후 2,3,4,4'-테트라 히드록시 벤조페논을 함유하는 디아지드계 용해억제제를 노볼락 수지에 대해 20중량% 첨가하여 레지스트 용액을 제조하고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노볼락 수지의 레지스트의 현상은 2.38중량%의 테트라메틸 수산화암모늄 용액을 사용하였다.
[표 1]
주) ※ m : 메타크레졸 p : 파라크레졸
C : 메타 및 파라크레졸의 혼합물 X : 디메틸페놀 이성체의 혼합물
** 침적법 사용, 용해도 단위 nm/min

Claims (5)

  1. 노볼박 수지와 광증감제로 조성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있어서, 메타크레졸과 파라크레졸의 혼합물70∼95중량%와 일반식(I)의 페놀 유도체 5∼30중량%를 포름알데히드와의 축합반응하여 얻어진 평균 분자량 2,000∼20,000의 노볼락 수지 60∼85중량%와 나프토퀴논디아지드 술폰산에스테르 15∼40중량%로 조성된 포지형 포토레지스 조성물.
    여기에서, R1, R2는 C1∼C6인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메타크레졸과 파라크레졸의 혼합물이 메타크레졸 30∼60중량%, 파라크레졸 70∼40중량%인 포지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3. 제1항에있어서, 페놀 유도체가 2,6-디메틸페놀, 2,4-디메틸페놀,3,5-디메틸페놀, 2,3,5-트리메틸페놀, 2,3,6-트리메틸페놀인 포지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나프토퀴논디아지드 술폰산에스테르가 나프토퀴논디아지드 술폰산과 페놀성 수산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과의 에스테르인 포지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페놀 유도체가 단일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인 포지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1019920011293A 1992-06-26 1992-06-26 포지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950005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1293A KR950005932B1 (ko) 1992-06-26 1992-06-26 포지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1293A KR950005932B1 (ko) 1992-06-26 1992-06-26 포지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917A KR940000917A (ko) 1994-01-10
KR950005932B1 true KR950005932B1 (ko) 1995-06-07

Family

ID=1933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293A KR950005932B1 (ko) 1992-06-26 1992-06-26 포지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9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84648A1 (en) * 1997-06-11 1998-12-16 JSR Corporation Radiation-sensitive resin composition
KR200487707Y1 (ko) 2018-06-27 2018-10-23 이경진 휴대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뜰채형 어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1554A (ja) * 2003-06-03 2004-12-24 Tokyo Ohka Kogyo Co Ltd 1つの基板上に集積回路と液晶ディスプレイ部分が形成された基板製造用ポジ型ホトレジスト組成物および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84648A1 (en) * 1997-06-11 1998-12-16 JSR Corporation Radiation-sensitive resin composition
KR200487707Y1 (ko) 2018-06-27 2018-10-23 이경진 휴대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뜰채형 어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917A (ko) 199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0640B2 (ja) 熱安定性フエノ―ル系樹脂組成物及び感光性組成物中でのそれらの使用
JP2552891B2 (ja) ポジ型フオトレジスト組成物
KR0170399B1 (ko) 양성 감광조성물
US5561194A (en) Photoresist composition including polyalkylmethacrylate co-polymer of polyhydroxystyrene
EP0451170A4 (en) Selected trinuclear novolak oligomers and their use in photoactive compounds and radiation sensitive mixtures
KR100255880B1 (ko) 포지티브형 레지스트 조성물
US5266440A (en) Photoresist composition with aromatic novolak binder having a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in excess of 1500 Daltons
JP2568827B2 (ja) ポジ型フオトレジスト組成物
US5447825A (en) Method for forming a pattern us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alkali-soluble resin made from a phenolic compound and at least two different aldehydes
JPS62260147A (ja) ポジ型ホトレジスト組成物
KR910004844B1 (ko) 포지티브-워킹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100395581B1 (ko) 테트라페놀화합물및이의제조방법
KR950005932B1 (ko) 포지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100305333B1 (ko) 감광성수지조성물및이를사용한패턴의형성방법
KR100323831B1 (ko)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KR20040106336A (ko) 노볼락 수지 혼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EP1042381B1 (en) Fractionated novolak resin and photoresist composition therefrom
US4985333A (en) Positive-work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 with three difference 1,2-naphthoquinone diazide sulfonic acid esters to include the ester of curcumin
US5635329A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forming a pattern using the composition
US4992356A (en) Process of developing a radiation imaged product with trinuclear novolak oligomer having o-naphthoquinone diazide sulfonyl group
KR100490763B1 (ko) 노볼락 수지, 그 제조방법 및 이것을 사용한 포지티브형포토레지스트 조성물
US5312720A (en) Process of developing a positive image utilizing o-naphthoquinone diazide radiation-sensitive esters of phenolic derivatives of 4-(4-hydroxyphenyl)cyclohexanone
US5151340A (en) Selected photoactive methylolated cyclohexanol compounds and their use in radiation-sensitive mixtures
US4970287A (en) Thermally stable phenolic resin compositions with ortho, ortho methylene linkage
US5821345A (en) Thermodynamically stable photoactive comp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O063 Decision on refusal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6201000737;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