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905Y1 - 간이건축물의 지붕지지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간이건축물의 지붕지지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905Y1
KR950005905Y1 KR92005225U KR920005225U KR950005905Y1 KR 950005905 Y1 KR950005905 Y1 KR 950005905Y1 KR 92005225 U KR92005225 U KR 92005225U KR 920005225 U KR920005225 U KR 920005225U KR 950005905 Y1 KR950005905 Y1 KR 950005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oof
members
inclin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5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807U (ko
Inventor
허현
Original Assignee
허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현 filed Critical 허현
Priority to KR92005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905Y1/ko
Publication of KR9300218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8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9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간이건축물의 지붕지지용 구조물
제 1 도는 본 고안의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절첩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부 11,12 :주경사부재
13 : 중심핀 20 : 절첩부
21 : 연결부재 22 : 핀
30 : 위치결정수단 31 : 판재
33 : 볼트
본 고안은 주로 간이로 건축되는 건물의 지붕을 보다 간단하고 신속히 지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건물을 건축하는 과정중 주로 중앙이 상부로 돌출되는 삼각형의 지붕을 세워지게 하는 경우, 이를 지지하기 위해 받침틀이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설계취향에 따라, 고층의 비교적 규모가 큰 건물일 경우 평편한 스라브로 지붕을 콘크리트로 형성하나, 비교적 작은 규모의 건축물과, 조립식 판재를 이용하여 간이로 세워지게 하는 건물, 그리고 텐트를 세우는 경우에도 빗물의 유도를 위해 지붕을 삼각형상을 갖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에 상기와 같은 간이 건축물의 삼각 지붕을 형성하는 방법은 그 규모가 큰 경우에 우선 벽면을 세워지게 건축한 다음 상부로 빔을 양측에서 경사지게 위치시키고, 지붕형성을 위한 받침대를 구성하게 된다.
이 경우 양측에 대칭되는 구조로 동일 경사각과 길이로 무거운 빔을 제조하고 들어올린 상태에서 정상적인 위치를 갖도록 경사를 미세히 조절하는데 많은 인력과 숙련이 요구되어, 시공시간 지체에 따른 공정비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텐트나 조립식 판재들을 이용하는 간이 건축물의 경우도 삼각지붕을 형성하기 위한 지주등을 일일이 조립하고 세워지게 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불편함과 시간의 낭비를 갖게 하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감안하여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119757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위치되는 포스트의 안내로 대략 "X"자 상태로 교차되는 링크부재를 이용해 지붕의 경사각도등을 자유롭게 한 상태로 간단히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 의하면 링크의 변위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포스트를 지면에 세워 고정하는 것에 의해 설치가 이루어지므로, 여러 작업인력이 동시에 동원되어야 그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못하고, 특히 원하는 경사각도등을 미세한 변위한 상태로 임시 고정하는 것이 어려워 고도의 숙련을 가진 작업자들이 동시에 수곳에서 함께 힘든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간이 건축물의 지붕 받침대를 세워지게 하므로서, 작업자로 하여금 편리함과 시간의 낭비를 없애도록 된 지붕지지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신속한 작업으로 항시 대칭되는 지지각을 유지하며 어떠한 건축물에도 자유롭게 위치조절하며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지붕지지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그 변위된 각도에서 임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인력을 줄이고 편리하게 그 작업이 신속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지붕지지용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그 상단이 중심핀(13)으로 유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건축되는 지붕의 경사면을 감안한 길이로 양측에 주경사부재(11)(12)들이 연장되는 받침부(10)와; 상기 주경사부재(11)(12)들에 평행사변형의 형상으로 그 쪽지점에 핀(22)을 설치하여 연결부재(21)들이 절첩토록 하는 절첩부(20)로 구성되는 것은 이미 알려진 구성과 동일하다.
즉, 상기 받침부(10)는 주로 경사지게 세워지는 지붕판(1)을 지지토록 하는 구조부로써, 지붕판(1)의 경사면 길이과 각도에 상응하는 크기 및 각도로 그저면에 위치되어 양 끝단이 고정되는데, 콘크리트 또는 간이용 조립식 판재로 벽체를 세워지게 하는 경우 상기 주경사부재(11)(12)의 양 끝단부를 브라켓트를 이용한 볼트나 용접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시키게 된다.
상기 주경사부재(11)(12)들은 그 재질과 향상은 본 고안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상이한 것을 선택하게 되며, 지붕의 하중이 비교적 무거운 커다란 건축물의 경우 금속재의 빔중에는 단면이 "ㄷ"형의 것을 선택하여 일측 수직면에서 연결부재(21)들이 면접촉되며 상호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게 된다.
그리고, 텐트와 같이 그 지지하중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사각이나 원형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형상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절첩부(20)는 상기 받침부(10)와 상호 핀(22)들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연결부재(21)들로 링크결합하여 상기 주경사부재(11)(12)및 연결부재(21)들이 각각 회동될 때, 상기 주경사부재(11)(12)들의 경사각도를 변하도록 하는 구조부이다.
상기 연결부재(21)들은 상기 주경사부재(11)(12)들과 평행하게 좌, 우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각각의 연결부재(21)와 주경사부재(11)(12)들이 상호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유지하며, 그 꼭지점에 핀(22)을 이용하여 유동가능게 힌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21) 및 주경사부재(11)(12)들로 이루어지는 사이각도 상하, 좌우 대칭되는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그중 한개의 부재를 이동시키는 경우 모든 부재들이 연동하여 동일한 형상과 대칭된 모양으로 변하는 결과로 상기 주경사부재(11)(12)들이 경사된 위치를 가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 2 도는 실선과 가상선으로 상기 주경사부재(11)(12) 내지는 연결부재(21)가 위치이동되며 지붕이 얹혀지는 주경사부재(11)(12)의 경사각도를 작시키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주경사부재(11)(12)의 경사각 위치 조작은 양측으로 위치되는 주경사부재(11)(12)를 이용하여 벌어지게 하거나 내측으로 좁혀지게 하는 조작과, 상기 연결부재(21)들중 어느 부위에서나 2개의 부재를 이용하여 그 사이각이 변하도록 힘을 가하는 방법으로도 상기 주경사부재(11)(12)들의 경사각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경사부재(11)(12)들은 항시 대칭된 구조로 변형되어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대칭되고 안전된 상태로 자유롭게 지붕의 설치를 위한 받침대 역활로 상기 주경사부재(11)(12)를 조작할 수가 있게 된다.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1)의 중앙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지주(23)는 상기 주경사부재(11)(12) 내지는 연결부재(21)의 유동을 보다 원활하고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지주(23)의 상단을 연결부재(21)의 중앙 힌지결합한 핀(22)과 함께 연결하고, 그 하부의 연결부재(21)에는 가이드(24)를 상기 지주(23)의 외측으로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24)를 상부로 들어올려지게하는 방법으로 연결부재(21) 및 이에 힌지 결합된 상기 주경사부재(11)(12)들이 펼쳐지며 그 경사각도를 완만히 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가시 상기 가이드(24)를 하강시키면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상의 특징은 위 구성에 의해 그 각도등을 변위하여 조절된 상태를 고정함과 아울러, 간단히 미세 조정하여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위치결정수단(30)을 설치하는데 있다.
즉, 상기 주경사부재(11)(12)들이 설계된 지붕의 경사위치와 동일하게 조절된 상태에서 그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30)이 상기 주경사부재(11)(12)와 연결부재(21)의 힌지결합 위치 사이로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 1 도에서는 상기 위치결정수단(30)으로 판재(31)에 조립구멍(32)들을 다수개 뚫어지게 하여 핀(22)들의 사이로 끼워지게 하면 유동을 방지하는 결과로 임의의 각도로 상기 주경사부재(11)(12)를 위치시킨 후, 그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판재(31)에 뚫어지는 조립구멍(32)들의 간격은 지붕을 완성한 상태에서 그 경사각이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길이를 감안하여 뚫어지게 되는데, 오차와 설계의 변형에 따라 주경사부재(11)(12)가 위치 이동될 수 있는 허용범위로 설치되도록 다수개의 조립구멍(32)들을 뚫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판재(31)를 이용한 위치결정수단(30)은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에서 대칭되게 각각 설치하는 것이 보다 견고하게 되는 것이며,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트(33)의 사이로 너트체(34)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위치결정수단(30)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게 되는데, 이는 미세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각각 나선부가 형성된 볼트(33)를 상기 주경사부재(1)(12)의 양측에 유동가능하게 핀(22)의 위치에서 결합시키고, 그 사이로 너트체(34)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너트체(34)를 회동시킬 경우 대칭된 거리로 상기 볼트(33)가 벌어지거나 오므라 지면서 상기 주경사부재(11)(12)의 경사각을 미세히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텐트의 양측부에 세워져 틀을 형성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주경사부재(11)(12)들이 텐트의 지붕경사면을 지지한 상태로 펼쳐지게 세워진 설치예를 도시한다.
이경우 텐트의 중앙에 지면으로 부터 고정되도록 하는 지주(23)가 세워진 상태를 항시 유지토록 하고 별도의 보조 폴대로 주경사부재(11)(12)의 양단에서 지면과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 필요로 하게 된다.
또, 본 고안이 조립식 벽재 내지는 콘크리트로 세워지는 벽체위로 설치되는 경우 별도의 받침을 위한 지주(23)나 폴대가 불필요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와 방법으로 자유롭게 지붕 설치를 위한 주경사부재의 경사각도를 조작할 수 있으며, 그 설치된 상태가 견고하여 간이 건축물은 물론 임시적으로 세워지는 텐트등의 설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또, 대칭된 각도로 변위된 상태를 위치 고정하는 것에 의해 많은 인력이 필요 없이도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그 상단이 중심핀(13)으로 유동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건축되는 지붕의 경사면을 감안한 길이로 양측에 주경사부재(11)(12)들이 연장되는 받침부(10)와; 상기 주경사부재(11)(12)들에 평행사변형의 형상으로 그 꼭지점에 피(22)을 설치하여 연결부재(21)들이 절첩토록 하는 절첩부(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주경사부재(11)(12)들과 연결부재(21)의 힌지 결합위치에 위치결정수단(3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건축물의 지붕지지용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30)은 조립구멍(32)들이 뚫어진 판재(31)에 주경사부재(11)(12)와 연결부재(21)의 연결부를 히지 결합시키는 핀(22)을 끼워서 위치고정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건축물의 지붕지지용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30)은 양측에 각각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대칭되게 나선부가 형성되어 중앙에 위치되는 너트체(34)와 나사 결합되는 볼트(33)를 양측의 주경사부재(11)(12)에 결합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건축물의 지붕지지용 구조물.
KR92005225U 1992-03-31 1992-03-31 간이건축물의 지붕지지용 구조물 KR950005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225U KR950005905Y1 (ko) 1992-03-31 1992-03-31 간이건축물의 지붕지지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225U KR950005905Y1 (ko) 1992-03-31 1992-03-31 간이건축물의 지붕지지용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807U KR930021807U (ko) 1993-10-16
KR950005905Y1 true KR950005905Y1 (ko) 1995-07-26

Family

ID=1933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5225U KR950005905Y1 (ko) 1992-03-31 1992-03-31 간이건축물의 지붕지지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9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807U (ko) 199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1359A (en) Shoring
US4083156A (en) Apparatus for bracing a tilt-up wall panel
US4630627A (en) Collapsible frame structure
US5461832A (en) Transportable foldable building and method of erecting a transportable foldable building
US5156235A (en) Set-up bracket for scaffolding
US5159790A (en) Frame structure
NZ220869A (en) Elevated floor assembly with adjustable foundation posts
CA1296153C (en) Folding building structure
KR20010071447A (ko) 조립식 빌딩 시스템
WO2004003312A1 (en) Modular platform, walkway or ramp
US2804950A (en) Tv antenna mast
KR102558279B1 (ko) 지주식 인도교 및 데크로드 시공용 안전 작업구조물
KR950005905Y1 (ko) 간이건축물의 지붕지지용 구조물
JP3514887B2 (ja) 支保工システム
JPS61290164A (ja) 梁及びスラブの支持方法及び装置
JP3564411B2 (ja) Pc階段からなる傾斜構造物の設置工法
TWM632913U (zh) 用於高架地板之支撐裝置
JPH0332571Y2 (ko)
JP2878589B2 (ja) 仮設構造物
JPH0913505A (ja) 片持屋根の先端高さ調整方法
JPH08312160A (ja) 建物移動時の土台枠の補強構造
JP2575571B2 (ja) 仮設機械の荷重を受ける梁の自動補強装置
JP3128178B2 (ja) テントの躯体構築方法
JPH07317331A (ja) 梁型枠支持装置及びその組立解体方法
KR102505107B1 (ko) 건축물 구조체 시공 방법 및 건축물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