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496Y1 - 관체접속용 개량 플렌지(flange) - Google Patents

관체접속용 개량 플렌지(fla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496Y1
KR950005496Y1 KR92025842U KR920025842U KR950005496Y1 KR 950005496 Y1 KR950005496 Y1 KR 950005496Y1 KR 92025842 U KR92025842 U KR 92025842U KR 920025842 U KR920025842 U KR 920025842U KR 950005496 Y1 KR950005496 Y1 KR 950005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ipe
flanges
flan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5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467U (ko
Inventor
최병걸
Original Assignee
최병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걸 filed Critical 최병걸
Priority to KR92025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496Y1/ko
Publication of KR940016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4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4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체접속용 개량 플렌지(flange)
제 1 도 (a)도는 종래의 관체접속용 플렌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b)도는 결합상태 단면도.
제 2 도 (a)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b)도는 결합상태 단면도.
제 3 도 (a)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b)도는 결합상태 단면도.
제 4 도 (a)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b)도는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관체 2, 2' : (결합용)플렌지
3, 3' : 플렌지 4, 4' : 이음관체
5, 5' : 요입부
본 고안은 배관용 강관, 스테인레스관등을 배관함에 있어서, 각각의 관체를 접속시에 사용되는 플렌지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강관, 스테인레스등의 재질로 성형되는 관체를 상호 접속할시에는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두개의 접속코져 하는 관체(101, 101')의 이음단부상에는 다수개의 결합공(102, 102')이 형성된 플렌지(103, 103')를 용접 결합한 후 팩킹(104)을 양 플렌지(103, 103')상간에 개재시켜 볼트(105)와 너트(106)로서 결합하는 접속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하기와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플렌지(103, 103')상에 관체(101, 101')를 각기 용접한후 양 플렌지(103,103')의 결합공(102, 102')을 일치시켜 볼트(105)와 너트(106)를 나사결합하여야 하므로, 상기 결합공(102, 102')을 일치시키기에는 작업상에 상당히 번거로움과 난점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배관부위가 지상에서 높은곳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또는 협소한 공간내에 배관이 되어 있는 경우, 또는 이동이 극히 어려운 장치와 연결되는 배관부위등은 결합공을 일치시킨 후 볼팅작업을 하려면 상당히 장애가 따르고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난해한 작업으로 인정되고 있다.
또한 볼팅작업시에 작업자의 미숙으로 인하여 볼팅을 너무강하게 하거나 느슨하게 할 경우 관체접속불량 요인이 흔히 발생하게 된다. 즉 필요이상 강하게 볼팅되어 관체에 균열 또는 파손이 일어나는가 하면 필요이하로 느슨하게 볼팅함으로서 접속부에 누수가 생기는등의 폐단이 빈번히 발생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배관용 관체접속 작업시에 야기되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도록 통상의 플렌지에 끼움결합되는 또 하나의 소형플렌지를 구비하여 볼팅을 위한 결합공 일치작업이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며, 관체 접속시에 볼팅의 미숙으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접속불량 요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한 것으로서, 이하의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 2a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본고안은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통상의 접속코져 하는 양 관체(1, 1') 및 결합용 플렌지(2, 2')상간에 소형의 플렌지(3, 3')부를 가진 이음관체(4, 4')를 각기 구비한다.
즉, 상기 이음관체(4, 4')상의 플렌지(3, 3')외경은 결합용 플렌지(2, 2')상에 요입형성된 결합용 요입부(5, 5')의 내경과 거의 일치하도록 한다. 요입부(5, 5')의 깊이(t')는 결합용 플렌지(2, 2')의 두께(t)에 비하여 ½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 이음관체(4, 4')의 단부에는 접속코져 하는 각각의 관체(1, 1')가 용접결합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제 3,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암수나사의 결합으로 접속을 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 3a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속코져 하는 관체(1,1')의 단부에 암나사(1a,1a')가 형성된 경우에는 이음관체(4,4')의 단부외연에 숫나사(4a,4a')를 형성하여 상호 암수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제 4a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속코져 하는 관체(1, 1')상에 숫나사(1b, 1b')가 형성된 경우에는 이음관체(4, 4')의 단부내연에 암나사(4b, 4b')를 형성하여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도면중의 6은 팩킹을 도시한 것이며, 7, 7'는 결합용 플렌지(2, 2')의 결합공, 8, 8'는 결합용 볼트 9, 9'는 결합용 너트를 도시한 것이며, 10은 용접부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가 제 2, 3, 4 도의 (b)도에서 개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각종의 배관부위에 있어서 양 관체(1, 1')를 접속코져 할시에는 결합용 플렌지(2, 2')를 이음관체(4, 4')의 플렌지(3, 3')와 연접되게 끼움한 후 이음관체(4, 4')의 타단부와 접속코져 하는 관체(1, 1')의 단부를 용접결합 또는 암수나사 결합으로 1차 결합한 후 결합용 플렌지(2, 2')상의 결합공(7, 7')을 상호 일치시키는 작업, 즉 결합용 플렌지(2, 2')는 이음관체(4, 4')외연과 플렌지(3, 3')의 외연에 거의 반반씩 엽접끼움되어 있으므로 회동조절이 가능한 상태에서 접속코져 하는 좌우 플랜지(2, 2')의 결합공(7, 7')이 상호 일치하지 않을시에는 간단히 회동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플랜지(2, 2')의 결합공(7, 7')의 일치조절작업이 완려되면 결합공(7, 7')상간으로 결합용 볼트(8, 8')를 끼움하여 너트(9, 9')로서 나사결속을 행하면 접속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고로 종래와 같이 1차로 관체상에 플랜지를 용접고정한 후 결합공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관체전체를 회동조절함으로서 야기되는 작업상의 난점 및 번거로움이 일소되는 것이며, 제 3, 4 도와 같이 이음관체(4, 4')의 타단에 암수나사(4a, 4a', 4b, 4b')를 형성하여 나사결합 및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면 용접을 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의 신속도를 배가할 수 있음은 물론, 볼트(8, 8')를 너무 견고히 또는 너무 느슨히 나사결합함으로서 부품이 파손 또는 균열이 일어나거나 부실작업이 행하여 질 수 있는 폐단을 간단히 예방할 수 있어 배관상의 접속불량 요인을 간단히 일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각종의 강관 또는 스테인레스관등의 관체(1, 1') 접속부위의 결합용 플렌지(2, 2')결합공(7, 7') 일치작업을 극히 간단히 행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도 및 정확성을 배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접속작업의 불량요인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본 고안에서 보호받고져 하는 기술의 보호범위가 기재될 것이지만, 본 고안과 그 구성을 같이하는 유사한 실시태양 역시 본 고안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각종의 관체(1, 1')를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플렌지(2, 2')에 있어서 ; 상기 플렌지(2, 2')에는 요입부(5, 5')를 형성하여 요입부(5, 5')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이음관체(4, 4')의 플랜지(3, 3')가 끼움결합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접속용 개량플랜지(Flange).
KR92025842U 1992-12-27 1992-12-27 관체접속용 개량 플렌지(flange) KR950005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842U KR950005496Y1 (ko) 1992-12-27 1992-12-27 관체접속용 개량 플렌지(fl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842U KR950005496Y1 (ko) 1992-12-27 1992-12-27 관체접속용 개량 플렌지(flan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467U KR940016467U (ko) 1994-07-25
KR950005496Y1 true KR950005496Y1 (ko) 1995-07-12

Family

ID=1934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5842U KR950005496Y1 (ko) 1992-12-27 1992-12-27 관체접속용 개량 플렌지(flan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4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08Y1 (ko) * 2017-03-17 2017-10-26 이창환 조립식 테이블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08Y1 (ko) * 2017-03-17 2017-10-26 이창환 조립식 테이블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467U (ko) 199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9785A (en) Mechanical pipe outlet
US4779900A (en) Segmented pipe joint retainer glands
EP0764251B1 (en) Friction sealed coupling for pipe
US4896903A (en) Segmented pipe joint retainer glands
JPS6014692A (ja) 高圧流路連結部
US5288108A (en) Bell joint repair clamp
KR950005496Y1 (ko) 관체접속용 개량 플렌지(flange)
JPH05272670A (ja) 合成樹脂管用の配管継手構造
US6019398A (en) Tapping sleeve with a gland
JPS6344998B2 (ko)
JP2605078Y2 (ja) 管材の接続構造
JP2961288B2 (ja) 管継手
JP3328415B2 (ja) ネジ込式管継手
KR19990069482A (ko) 파이프 연결장치
US931914A (en) Pipe-coupling.
GB2129897A (en) Joining pipes
US2913553A (en) Offset swivel tube coupling connector body
JPH0648233Y2 (ja) 管の三方調整継手
JPH0996387A (ja) 管接続構造
JPH0577688U (ja) 鋼管接続用のメカニカル継手装置
KR200182962Y1 (ko) 호오스 조인트
JP3475040B2 (ja) 管継手
KR200310138Y1 (ko) 배관용연결구
JPH01203789A (ja) 管継手
JPH01145493A (ja) 自在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