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325B1 - 베인 재료 베인 및 베인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베인 재료 베인 및 베인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325B1
KR950005325B1 KR1019920011412A KR920011412A KR950005325B1 KR 950005325 B1 KR950005325 B1 KR 950005325B1 KR 1019920011412 A KR1019920011412 A KR 1019920011412A KR 920011412 A KR920011412 A KR 920011412A KR 950005325 B1 KR950005325 B1 KR 950005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vane
carbide
carbides
matr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702A (ko
Inventor
노리마사 우찌다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긴조꾸 가부시끼가이샤
마쯔노 고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긴조꾸 가부시끼가이샤, 마쯔노 고오지 filed Critical 히다찌 긴조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0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3/00Making ferrous alloys
    • C22C33/02Making 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33/0257Making 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characterised by the range of the alloying elements
    • C22C33/0278Making 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characterised by the range of the alloying elements with at least one alloying element having a minimum content above 5%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7% by weight of 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베인 재료 베인 및 베인 생산 방법
제1도는 공지의 회전식 압축기의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인 2 : 회전기
3 : 실린더 4 : 압축 코일 스프링
본 발명은 예로서 회전식 압축기 또는 베인펌프에 사용될 압축기의 베인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베인을 가진 공지된 압축기의 실시예이다. 베인(1)은 헬러컬 압축 코이 스프링(4)에 의해 계속적으로 회전기(2)를 압축하고, 회전기(2)와 실린더(3)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의 가스는 회전기(2)의 동심 회전으로 인한 부피의 변화로 압축된다. 프레온 가스는 냉각 매체로서 작용하는 가스로 사용된다. 회전기(2)는 속이찬 둥근봉(a solid round bar)이며, 회전기는 원통형 실린더(3)를 중심으로 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회전기의 외주에는 베인(1)의 1개의 단부(도면에서 하단부)가 접촉한다. 베인은 전체로서 직사각형의 판재이고, 상기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압축 코일 스프링(4)으로 누르고 있으므로 그의 가압력으로 상기 한쪽의 단부가 항상 회전기에 눌려져 있다(맞닿아 있다). 상기 단부는 회전기와 접촉을 용이하기 위해 단면으로 보아서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회전기의 회전에 따라서, 베인은 전진 후진한다.
베인의 단부와 베인의 측부 표면은 제각기 회전기 및 실린더에 미끄럼-접촉된다. 따라서, 베인의 요구되는 특성은 베인이 마모되지 않을 뿐더러 회전기와 실린더의 마모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다. 종래의 베인은 용융 주조 공정에 의해 JIS SKH51에 해당되는 고속강으로부터 제조된다. 어떤 경우에는 그렇게 제작된 베인은 옥시나이트라이딩(oxynitriding)에 의해 표면 처리된다. 또한, 베인을 위한 재료 조성물의 개량과, 마모 저항과 자체-윤활 성능의 개량이 제안되어 왔으며, 이들은 JP-A-56-47550, JP-A-59-20446, JP-A-61-48556, JP-A-64-35091 및 JP-A-2-102392에 기술된 바와 같다.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이하 CFC로 칭한다) 형태의 프레온은 상기 압축기의 냉각 매체로 사용된다. 그러나 CFC는 성층권에 확산된 후에 자외선 방사에 의해 분해되고, 그것은 오존층을 파괴하는 염소를 방출한다. 이러한 이유로, 2000년에 가서는 CFC를 완전히 금지하는 것이 계획되었으며, 이것을 대체할 냉각 매체의 개발이 진전되고 있다.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이하 HFC라 칭한다) 형태의 프레온은 염소를 포함하지 않으며 대체 냉각 매체로서 가장 가망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프레온은 환경에 덜 해롭다.
그러나, 종래의 CFC 형태의 프레온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서, HFC형 프레온을 사용하는 베인 펌프 또는 회전식 압축기는 다음의 단점을 갖는다.
(1) 냉각 매체의 윤활 능력이 저조하다.
(2) 보다 높은 압축비가 필요하여, 베인에 적용될 하중이 높아진다.
(3) 냉각 매체의 흡습성이 높다.
(4) 윤활유의 윤활 능력이 저조하다.
(5) 윤활유의 흡습성이 더욱 높다.
상기한 이유로, 종래의 베인이 사용된 경우에, 회전기와의 미끄럼-접촉으로 발생되는 마모는 크게 가속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미끄럼-접촉으로 인해 스케팅(scatting)이 발생될수도 있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압축기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 매체로서 HFC형 프레온을 사용하는 압축기에 사용될 수 있는 신규의 베인 재료, 베인 및 베인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라, 중량비로 1.0-2.5%의 C, 1.5% 미만의 Si, 1.0% 미만의 Mn, 3-6%의 Cr, 20% 미만의 W와 12% 미만의 Mo의 양으로 W와 Mo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15-28%의 W+2 Mo, 3.5-10%의 V와 Nb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그리고 나머지는 Fe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베인 재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라, 중량비로 1.0-2.5%의 C, 1.5% 미만의 Si, 1.0% 미만의 Mn, 3-6%의 Cr, 20% 미만의 W와 12% 미만의 Mo의 양으로 W와 Mo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5-25%의 W+2 Mo, 3.5~10%의 V와 Nb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1-15%의 Co와 Ni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그리고 나머지는 Fe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베인 재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라 중량비로 2.0-2.5%의 C, 0.1-0.6%의 Si, 0.1-0.6 %의 Mn, 3-6%의 Cr, 20% 미만의 W와 12% 미만의 Mo의 양으로 W와 Mo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17-26%의 W+2 Mo, 6-10%의 V와 Nb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7-12%의 Co와 Ni로부터 선택된 7-12%의 1종 또는 1종 그리고 나머지는 Fe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베인 재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특징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특징중의 하나를 따르되, M은 금속 원소(s)의 기호이고 C는 매트릭스내에 분산된 탄소의 기호인데 MC 탄화물의 면적비에서 15% 이상을 갖는 베인 재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특징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4특징중의 하나의 조성을 갖는 베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특징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4특징에 따르고 베인 표면은 경화 처리되는 베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특징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4특징에 따르고 베인 표면은 하드 코팅으로 코팅되는 베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8특징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4특징중의 한 조성을 갖는 분무된 분말이 컴팩트화되고 다음에는 열가공되거나 열간 가공 및 후속 냉간 가공되는, 기공(pore)이 없는 베인의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탄소의 동시 첨가된 W, Mo, V 등과 결합되어 베인 재료내에 하드 탄화물을 형성하고, 베인의 마모 저항증가와, 짝을 이루는 부재와의 미끄럼 접촉으로 인한 베인의 스케팅(scatting)의 감소의 이점을 이점을 갖는다. 그것은 또한 매트릭스 내에서 고용체로 부분적으로 형성하여 매트릭스의 경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마모 저항을 개량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탄소의 적정 함량은 W, Mo 및 V와 같은 탄화물 형성 원소의 첨가된 양과 관련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탄소가 1%미만이면, 탄화물의 형성량이 크지 않아, 매트릭스의 충분한 경도를 얻을 수 없다. 한편, 2.5%를 초과하면, 인성이 저하되고 열간 가공성이 감소된다. 탄소는 따라서 1.0-2.5%로 제한된다. 가장 우수한 성질은 탄소를 2.0-2.5%로 제한하므로써 얻어진다.
규소는 환원 원소로서 강의 성질을 개량하는 이점을 갖는다. 규소는 또한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매트릭스내의 고용체로서 존재하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그것이 1.5%를 초과하면 인성이 감소하기 때문에, Si는 1.5%미만으로 제한된다. Si의 바람직한 범위는 0.1%-0.6%이다.
망간 역시 환원 원소로서 작용하여 강의 성질을 개량하는 이점을 가지므로 1.0% 미만의 Mn 이 첨가된다. Mn의 바람직한 범위는 0.1-0.6%이다.
크롬은 탄화물을 형성하므로써 마모 저항을 증가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크롬은 매트릭스내에 고용체 상태로 존재하므로 매트릭스에 담금 성질을 부여하고 내부식성을 개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서 대체 프레온, HFC의 흡습성이 높고 유활유가 분해되어 카르복실산과 같은 산을 형성한다는 사실 때문에 베인은 부식성이 약한 환경하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베인의 비정상적 마모는 단순한 연마성 마모만이 아니고 부식이 특정 작용을 하는 메카니즘에도 기인한다고 가정된다. 그러한 경우에, Cr외에, 매트릭스내의 후에 기술될 Mo, Co, Ni의 고용체는 베인의 부식 저항을 증가시키고 마모를 감소시킨다. 크롬이 3%미만이면, 상기 이점의 효과는 적어지고, 한편, 6%를 초과하면 열 처리를 통해서 경도가 얻어지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크롬은 3-6%로 제한된다.
텅스텐과 몰리브덴은 탄소와 결합할 때 M6C형의 탄화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마모 저항과 앤티-스커핑성질(anti-scuffing property)을 개량하기 위해 첨가된다. 매트릭스내에 고용체를 형성한 후에, 그것은 매트릭스의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템퍼링을 통해 경화되도록 분리된다. 몰리브덴은 또한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이점을 갖는다. 몰리브덴은 텅스텐의 2배의 효과를 갖는다. 20% 미만의 W와 12% 미만의 Mo의 양으로 W와 Mo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이 "W+2Mo"의 양에 15%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이점의 효과는 적다. 한편, 28%를 초과하면 인성은 감소되고 열간 가공성도 감소된다. 이것들은 W+2Mo로 해서 15%-28%로 제한된다. W+2Mo의 바람직한 범위는 17-26%이다.
바나듐과 니오븀은 본 발명의 중요한 효과를 갖는 원소이다. 즉, V및 Nb는 탄소와 결합하여 MC형 탄화물을 형성한다. 그러한 탄화물을 베인 표면상에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산시키므로써, 베인의 마모는 감소되고 맞닿게 되는 회전기의 마모도 방지된다. 이 범위는 압축기의 구조와 짝을 이루는 회전기의 재료 및 소요 수명에 따라 변하지만, V 및 Nb로 부터 선택된 3.5% 이상의 하나 또는 둘은 HFC 형 대체 프레온과 함께 사용될 베인에 필요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 이점은 이들이 6% 이상으로 첨가될 때 현저하다. 3.5% 미만이면 상기 이점은 충분히 얻을 수 없다. 한편, 10%를 초과하면, 분무되기 어렵고 열간 가공이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V 및 Nb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은 3.5-10%로 제한된다.
코발트와 니켈은 매트릭스내에 고용체를 형성하여, 카르복실산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이점을 가지며, 이것은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다. 즉, HFC 형태와 같은 대체 프레온이 냉각 매체로서 사용되면, 부식 및 연마 작용이 수반되어 베인의 비정상적 마모를 초래한다. 이러한 비정상적 마모는 Co 및 Ni로부터 선택된 1-15%의 하나 또는 둘로 매트릭스내에 고용체를 형성하게 하므로써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은 특히 이들이 7% 이상 포함될 때 분명하다. 그러나, 12%를 초과하면 인성이 감소되므로 그 상한은 12%로 설정된다. 코발트 또한 매트릭스의 경도를 증가시키므로써 베인의 마모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며, 짝을 이루는 회전기와의 스커핑을 방지하는 효과도 발생된다.
베인은 회전기와 실린더에 대해 미끄러질 때 압축기로서의 기능을 한다. 종래 공지된 V(바나듐)형 초고속강 또는 Co형 초고속강이 베인 재료로서 사용될 때 베인의 마모 저항은 개량된다. 그러나, 이들은 미세구조를 구성하는 탄화물 입자가 크기 때문에 짝을 이루는 회전기 또는 실린더를 부식시켜 비정상적 마모를 일으키기 때문에 베인 재료로서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서, 미세 구조를 구성하는 탄화물 입자의 직경을 짝을 이루는 (메이팅) 회전기 또는 실린더가 부식되지 않을 정도로 미세하게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특히, 1.5㎛미만의 평균 탄화물 입자 크기를 갖고, 가장 큰 탄화물 입자의 직경을 6㎛보다 작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한계가 초과되면 , 회전기 또는 실린더의 마모는 가속되어 베인의 마모는 적지만 압축 성능을 감소시킨다.
베인의 미세 구조를 구성하는 탄화물중에서, 특히 MC형 탄화물은 베인의 마모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짝을 이루는 회전기와 실린더의 마모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은 전체 면적에 대한 분산된 MC형 탄화물의 면적비가 15% 미만일때 최소이므로, 분산된 MC형 탄화물의 면적비는 15%이상으로 설정된다.
베인 재료내의 탄화물을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조성을 갖는 분무된 분말은 예를들어 고온 정수압 압축 성형 (hot isostatic press)을 사용하여 컴팩트화시킨후에, 열간 가공되고 베인의 단면 형상을 닮은 평평한 강을 생산할 필요가 있으면 냉간 가공도 된다. 이것은 가장 적합하게 베인으로 될 것이다. 이 방법에 따라서 용융 주조에 의해 생산된 것에 비해 더욱 미세한 금속 주로를 갖는 베인 재료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소결에 관련한 미세 공간과 같은 결함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품질의 변화가 최소로 된느 이점이 있다.
상기 베인 재료를 사용하여 생산된 베인을 나이트라이딩, 설파니이트라이딩 및 옥시나이트라이딩과 같은 표면 경화하거나 또는 질화물과 같은 분산된 입자의 면적비를 증가시키기 위한 처리를 하면, 베인과 회전기의 수명은 더욱 증가된다. 또한, 베인 및 회전기의 수명은 단단하고 마찰을 감소시키는 Ni-P복합층의 TiN과 같은 막으로 코팅하므로써 또한 현저히 증가된다.
몇가지 예를 아래에 보인다.
실험 1 :
표 1에 보인 13가지 베인 재료가 준비된다. 이중에 본 발명의 재료인 A-I 및 K-M에 대해, 설명하면, 기체상의 분무된 분말이 캔내에 주입된 후에, 고온 정수압 압축 성형에 의해 컴팩트하게 되고, 열간 단조 및 압연에 의해 평평한 강으로 생산된다. 종래의 재료 J에 대해 설명하면, 종래의 고속 공구강 JIS SKH51이 사용되는데, 용융 주조 공정을 통해 생성된 인고트가 상술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열간 단조 및 냉간 압연을 통해 평평한 강으로 형성된다.
표 2에서는, 표 1에 나타난 베인 재료의 담금질 및 템퍼링 후의 경도(HRC), 면적비, 이 상태에서 각각의 강재료내에 포함된 탄화물의 평균 입자 크기 및 최대 입자 크기, 마모 시험 후의 마모 손실, 부식 시험후의 부식 손실을 나타내고 있다. 마모 시험은 다음의 방법으로 수행된다. 각각의 베인 재료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회전기 재료에 대응되는 JIS FC25는 링으로 형성된다. 이, 마모 손실을 얻기 위해서, HFC 형 프레온의 대표적인 HFC 134a과 서로 가용적인 에스테르형 윤활유를 적하시키면서 이들을 서로 미끄럼 시킨다. 표 2에서, JIS SKH51으로 된 판으로 사용하고 JIS FC25으로 된 링으로 사용할 때 판과 링의 각각의 마모량을 1.0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베인 재료와 대응 링의 마모량은 이와 상대적 비교치를 얻어 평가된다.
[표 1]
[표 2]
시험 2 :
표 1에 보인 재료 C, H, K는 시험 1과 동일한 마모시험을 위한 시험편을 준비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들 중 약간의 마찰 표면은 각각 나이트라이딩, 설파이트라이딩 및 옥시나이트라이딩된다. 또한, 어떤 시험편은 TiN 막을 형성하도록 물리적 증착되고, 어떤 시험편은 Ni-P-SiC의 복합 도금막을 형성하도록 도금된다. 얻어진 시험편은 시험 1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마모 시험 및 부식 시험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된다. 그 결과는 표 3에 도시된다.
[표 3]
표 3에 따르면, 본 발명에 베인 재료를 표면 처리 또는 강성 필름 코팅(hard film coationg)하므로써, 베인과 짝을 이루는 부품의 마모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시험 3 :
실제로 베인은 표 1에 도시된 재료 A, H 및 용융 주조 공정에 의해 생산된 종래의 고속 공구강인 JIS SKH51(샘플 J로 표시됨)을 사용하여 생산된다. 이들은 실제 회전식 압축기에 합체되고, HFC 134a는 수명 평가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냉각 매체로서 사용된다.
실제 기계를 사용하는 이러한 시험 동안에서의 평가는 회전식 압축기내에 제공된 압력 게이지의 압력 변화에 기초하여 베인의 마모 또는 손상 정도를 계산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실제 기계 유닛을 사용하는 시험의 결과로서, 베인으로서 종래의 JIS SKH51을 사용하는 시험 유닛내의 압력이 작동개시후 125시간 후에 갑자기 변화하였다. 따라서, 베인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 작동을 정지한다. 회전기에 대해 미끄러지는 JIS SKH51로 제작된 베인의 표면상에서 부분적인 겔링(galling)이 관찰되고, 갤링에 기인한 스크래치가 역시 짝을 이루는 회전기의 주위 표면상에서 관찰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재료 A, B로 제작된 베인을 사용하는 회전식 압축기의 압력의 변화는 시험이 종료 시간인 720시간 작동후에도 인식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HFC형 프레온으로 표시된 대체 프레온을 사용하는 압축기내의 베인의 마모 저항은 현저히 개량되었다. 이러한 마모 저항은 종래의 베인 재료인 JIS SKH51 종류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베인은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산된 탄화물을 포함하며 분산된 MC형 탄화물의 면적비가 증가되었다. 이것은 짝을 이루는 부재인 회전기와 실린더의 마모와 스커핑을 방지하는데에 대단히 효과적이다. HFC형 프레온을 사용하는 압축기내의 윤활유의 분해에 의해 형성된 카브록실산과 같은 산에 대해서는 높은 부식저항이 보여졌다. 또한, 긴 수명을 갖는 압축기는 적어도 베인의 미끄럼 표면상에 표면 경화층 또는 강성 코팅막을 제공하므로서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베인에 의해서, 높은 마모 저항과 높은 부식 저항에 기초하여 새로운 형태의 냉각 매체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 제한을 만족시킬 압축기가 얻어질 수 있다.

Claims (9)

  1. 중량비로 1.0-2.5%의 C, 1.5% 미만의 Si, 1.0% 미만의 Mn, 3-6%의 Cr, 20% 미만의 W와 12% 미만의 Mo의 양으로 W와 Mo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15-28%의 W+2 Mo, 3.5~10%의 V와 Nb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그리고 나머지는 Fe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필수적으로 구성하는 베인 재료에 있어서, 여기의 매트릭스내에 탄화물이 균일하게 분산되고, 상기 탄화물의 평균 입자 크기가 1.5㎛보다 크지 않으며, 상기 탄화물의 최대 입자 직경이 6㎛ 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인 재료.
  2. 중량비로 1.0-2.5%의 C, 1.5% 미만의 Si, 1.0% 미만의 Mn, 3-6%의 Cr, 20% 미만의 W와 12% 미만의 Mo의 양으로 W와 Mo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15~28%의 W+2Mo, 3.5~10%의 V와 Nb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1-15%의 Co와 Ni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그리고 나머지는 Fe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필수적으로 구성하는 베인 재료에 있어서, 여기의 매트릭스내에 탄화물이 균일하게 분산되고, 상기 탄화물의 평균 입자 크기가 1.5㎛보다 크지 않으며, 상기 탄화물의 최대 입자 직경이 6㎛ 보다 크지 않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인 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내에 분산된 MC형 탄화물의 면적비는 전체 면적의 15% 보다 적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인 재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내에 분산된 MC형 탄화물의 면적비는 전체 면적의 15% 보다 적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인 재료.
  5. 회전기(2)에 미끄럼 접촉하는 원호상 단부와 실린더(3)에 미끄럼 접촉하는 측면을 가진 직사각형 판재로 된 종래 압축기의 베인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중량비로 1.0-2.5%의 C, 1.5% 미만의 Si, 1.0% 미만의 Mn, 3-6%의 Cr, 20% 미만의 W와 12% 미만의 Mo의 양으로 W와 Mo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15-28%의 W+2Mo, 3.5~10%의 V와 Nb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그리고 나머지는 Fe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필수적으로 구성하는 베인 재료에 있어, 여기의 매트릭스내에 탄화물이 균일하게 분산되고, 상기 탄화물의 평균 입자 크기가 1.5㎛보다 크지 않은 베인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와 측면상에 경화 층을 포함하는데, 상기 경화층중에는 나이트나이딩층, 설파나이트나이딩층가 옥시나이트나이딩층 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와 측면상에 강성 코팅층으로 코팅되는데, 상기 강성 코팅층중에는 TiN막과 Ni-P-SiC 도금막 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인.
  8. 회전기(2)에 미끄럼 접촉하는 원호상 단부와 실린더(3)에 미끄럼 접촉하는 측면을 가진 직사각형 판재로 된 종래 압축기의 베인에 있어서, 중량비로 1.0-2.5%의 C, 1.5% 미만의 Si, 1.0% 미만의 Mn, 3-6%의 Cr, 20% 미만의 W와 12% 미만의 Mo의 양으로 W와 Mo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15-28%의 W+2 Mo, 3.5~10%의 V와 Nb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그리고 나머지는 Fe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필수적으로 구성하는 베인 재료에 있어, 여기의 매트릭스내에 탄화물이 균일하게 분산되고, 상기 탄화물의 평균 입자 크기가 1.5㎛보다 크지 않으며, 상기 탄화물의 최대 입자 직경이 6㎛ 보다 크지 않은 조성물을 갖는 분무된 분말을 고온 정수압 압축 성형기(hot isostatic presser)에 의해 컴팩트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컴팩트화된 분말을 단조기와 압연기에의 열간가공, 고은 열간가공과 냉간 가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인 생산 방법.
  9. 회전기(2)에 미끄럼 접촉하는 원호상 단부와 실린더(3)에 미끄럼ㅊ 접촉하는 측면을 가진 직사각형 판재로 된 종래 압축기의 베인 생산 방법에 있어서, 중량비로 1.0-2.5%의 C, 1.5% 미만의 Si, 1.0% 미만의 Mn, 3-6%의 Cr, 20% 미만의 W와 12% 미만의 Mo의 양으로 W와 Mo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15~28%의 W+2Mo, 3.5~10%의 V와 Nb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1-15%의 Co와 Ni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그리고 나머지는 Fe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필수적으로 구성하는 베인 재료에 있어, 여기의 매트릭스내에 탄화물이 균일하게 분산되고, 상기 탄화물의 평균 입자 크기가 1.5㎛보다 크지 않으며, 상기 탄화물의 최대 입자 직경이 6㎛ 보다 크지 않은 베인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인.
KR1019920011412A 1991-06-28 1992-06-26 베인 재료 베인 및 베인 생산 방법 KR950005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815991 1991-06-28
JP91-158159 1991-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702A KR930000702A (ko) 1993-01-15
KR950005325B1 true KR950005325B1 (ko) 1995-05-23

Family

ID=15665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412A KR950005325B1 (ko) 1991-06-28 1992-06-26 베인 재료 베인 및 베인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403372A (ko)
KR (1) KR9500053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590A (ja) * 1994-11-30 1996-06-11 Mitsubishi Oil Co Ltd 冷凍機油組成物及び圧縮機
US5674449A (en) * 1995-05-25 1997-10-07 Winsert, Inc. Iron base alloy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valve seat inserts, and the like
FR2751348B1 (fr) * 1996-07-19 1998-10-02 Thyssen France Sa Acier pour outils de mise en forme
FR2751349B1 (fr) * 1996-07-19 1998-10-02 Thyssen France Sa Acier pour outils de mise en forme
US6057045A (en) * 1997-10-14 2000-05-02 Crucible Materials Corporation High-speed steel article
CA2359188C (en) * 1999-01-29 2008-05-27 Crs Holdings, Inc. High-hardness powder metallurgy tool steel and article made therefrom
US6364927B1 (en) * 1999-09-03 2002-04-02 Hoeganaes Corporation Metal-based powder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 carbide as an alloying powder
SE529041C2 (sv) * 2005-08-18 2007-04-17 Erasteel Kloster Ab Användning av ett pulvermetallurgiskt tillverkat stå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7550A (en) * 1979-09-28 1981-04-30 Riken Corp Iron-based sintered alloy for vane and its manufacture
JPS5920446A (ja) * 1982-07-22 1984-02-02 Toshiba Corp 耐摩耗性を有する焼結部品の製造方法
JPS6148556A (ja) * 1984-08-13 1986-03-10 Atsugi Motor Parts Co Ltd ベ−ン
GB2197663B (en) * 1986-11-21 1990-07-11 Manganese Bronze Ltd High density sintered ferrous alloys
JP2577004B2 (ja) * 1987-04-02 1997-01-29 日立金属株式会社 ベーン
JPH02102392A (ja) * 1988-10-07 1990-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ロータリー形密閉圧縮機
JPH0772530B2 (ja) * 1988-11-22 1995-08-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水車ランナの製造方法
JPH0726629B2 (ja) * 1989-04-28 1995-03-2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ンプレツサー用鉄基焼結羽根
JPH04165052A (ja) * 1990-10-29 1992-06-10 Toshiba Corp 焼結耐摩耗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702A (ko) 1993-01-15
US5403372A (en) 1995-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325B1 (ko) 베인 재료 베인 및 베인 생산 방법
US4904302A (en) Roller in rotary compress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4861372A (en) Roller in rotary compress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5423664A (en) Iron-base alloy for rotary type compressors
US5591023A (en) Rotary type compressor
JPH07300656A (ja) 高温用焼結軸受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KR0125768B1 (ko) 베인 재료 및 그 제조방법
JP2004183075A (ja) 耐摩耗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転動部材
JPH04159486A (ja) 圧縮機
JP3315249B2 (ja) ロータリ型圧縮機
JPH05171376A (ja) ベーン用材料およびベーンならびにベーンの製造方法
JPH0633256A (ja) ベーン
JP3182794B2 (ja) ベーン用材料およびベーン
JPH0551708A (ja) 圧縮機用耐摩耗材料およびその材料を使用した圧縮機
JP3722599B2 (ja) 回転式圧縮機
JP3315248B2 (ja) ロータリ型圧縮機
KR0181706B1 (ko) 회전형 압축기
JPH059660A (ja) ベーン用材料およびベーン
JPH0543987A (ja) ベーン用材料およびベーンならびにベーンの製造方法
JP3209360B2 (ja) ベーン
US4927707A (en) Combination of slide members
JP2001342981A (ja) ロータリ圧縮機
JPH06192784A (ja) 耐摩耗性焼結摺動部材
JP3363913B2 (ja) 摺動部材
JP4877502B2 (ja) 窒素含有Cr被膜およびこの被膜を有する機械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