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980B1 - 전기 코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980B1
KR950004980B1 KR1019900007755A KR900007755A KR950004980B1 KR 950004980 B1 KR950004980 B1 KR 950004980B1 KR 1019900007755 A KR1019900007755 A KR 1019900007755A KR 900007755 A KR900007755 A KR 900007755A KR 950004980 B1 KR950004980 B1 KR 950004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lug connector
contacts
cable
coaxi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290A (ko
Inventor
아끼라 가와구찌
Original Assignee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트드
제이 엘. 사이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트드, 제이 엘. 사이칙 filed Critical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트드
Publication of KR90001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코넥터
제1a도, 제1b도, 제1c도는, 본 발명의 전기 코넥터중의 리셉터를 콘넥터의 한 실시예로서, 각각 사시도, 평면도, 제1b도의 Z-Z′에 따른 단면도.
제2a도 제2b도, 제2c도는 본 발명의 전기 코넥터중의 플러그 코넥터의 한 실시예로서, 각각 덮개를 연상태의 사시도, 덮개를 덮은 상태의 사시도, 및 측면도.
제3도는 플러그 코넥터 조립용 공구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제5도는, 제2a도의 X-X′,Y-Y′에 따른, 덮개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제7도는 종래의 전기 코넥터의 한 예인 동축 케이블 코넥터의 분해사시도 및 코넥터 결합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축 케이블 10 : 플러그 코넥터
11 : 시그널 콘택트 12 : 그라운드 콘택트
20 : 리셉터클 코넥터 30 : 플로그 코넥터
32 : 시그널 콘택트 33 : 그라운드 콘택트
36 : 하우징 36a : 저면
50 : 리셉터클 코넥터 51, 52 : 콘택트
51B,52B : 결합부
본 발명은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콘택트가 돌출하여 있는 플로그 코넥터와 이 플러그 코넥터와 결합되는 리셉터를 코넥터로 구성되는 전기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회로를 상호 접속, 분리시키는데 편리함등을 위하여, 종래부터 전기 코넥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제6도와 제7도는 종래의 전기 코넥터의 일예인 동축 케이블 코넥터의 분해 사시도와 코넥터 결합시의 단면도이다(특원평 1-43863호 참조). 이하, 이들의 도면에 의하여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와 제7도에 도시한 동축 케이블 코넥터는 플로그 코넥터(10)와 리셉터클 코넥터(20)로 이루어지고, 플로그 코넥터(10)는 상면이 열리 광주리형태의 하우징(13)내에 시그널 콘택트(11)와 그라운드 콘택트(12)을 지지하고 내부에 동축 케이블(1)을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시그널 콘택트(11)는 봉상(棒狀)의 단자부(11A)와 동축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부(11B)로 이루어지고, 케이블 수용부(11B)에는 상하 방향으로 뻗은 홈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라운드 콘택트(12)는 봉상의 단자부(12a)와 반원통형의 케이블 수용부(12B)로 되어 있고 시그널 콘택트(11) 및 그라운드 콘택트(12)는 하우징(13)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13A,13B)에 각각 위쪽에 단자부(11A,12A)로 전입시킴으로써 하우징(13)내에 유지된다.
한편, 동축 케이블은 상기 플러그 코넥터(10)에 장착되기 앞서 그 선단부분의 바깥쪽 피복층(5)이 제거되어 편조선층(編組線層)(4)이 노출하게 되고, 다시 그중의 선단가까이 있는 부분은 편조선층(4)이 제거되어서 안쪽 피복층(3)이 노출된다. 이와같이 동축케이블(1)의 선단부분의 불필요한 층이 제거되면, 케이블(1)은 위쪽에서 상기 플러그 코넥터(10)내에 장착되고, 편조선층(4)이 노출된 부분은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12)에, 안쪽 피복층(3)이 노출된 부분은 시그널 콘택트(11)에 각각 접합된다.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12)의 케이블 수용부(12B)에는 그 저면의 일부를 절결하여 위쪽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판스프링(12a)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양측단면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한 V자형의 절결부를 약간 안쪽으로 구부림으로써 걸림편(12b)이 형성된다. 편조선층(4)의 노출된 동축 케이블 부분은 상기 케이블 수용부(12B)내에 넓어져 판스프링(12a)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수용부의 저면에 접촉된후 누르는 많이 해제된다. 그러면, 동축 케이블은 판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약간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게 되므로 편조선층(4)의 표면에 상기 걸림편(12b)이 침투하여 동축 케이블은 케이블 수용부(12B)내에 확실하게 지지된다. 한편, 시그널 콘택트(11)의 케이블 수용부(11B)에는, 위쪽 방향으로 뻗은 홈부(11a)와 이 홈부의 위쪽에 계속되는 테이퍼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11a)의 폭은 동축 케이블의 중심도체(2)의 직경과 거의 동등하게 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같이 안쪽 피복층(3)과 중심도체(2)로만으로 이루어지는 동축 케이블의 최선단부부은 테이퍼면(11b)에 따라 안내된 후 홈부(11a)에 압입된다. 이 압입동작에 의하여 시그널 콘택트(11)와 겹치게 되는 중심도체(2)의 중위에 앉고 피복층(3)은 절단되고, 중심도체(2)는 홈부(11a)내에서 시그널 콘택트(11)와 접촉한다.
또, 이 플러그 코넥터(10)에는 하우징(13)의 개구를 닥아서 동축케이블(1)의 빠짐, 위치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덮개(14)기 설치되고 있고, 상술한 바와같이 동축 케이블(1)이 플러그 코넥터(10)내에 장착되면, 덮개(14)를 회전운동시켜 하우징(13)의 상면을 덮는다(제3도 참조). 또 이 덮개(14)위에는 돌조(突條)(14a,14b,14c,14d)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가 닫힌 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돌조(14a,14b)는 동축 케이블 최선단부의 안쪽 피복층(3)을, 그리고 돌조(14c)는 그라운드 콘택트(12)와, 접합하고 있는 편조선층(4)를, 돌조(14d)는 바깥쪽 피복층(5)를 각각 눌러서, 동축 케이블(1)과 시그널 콘택트(11) 및 그라운드 콘택트(12)와 결합을 확실하게 행하도록 되어 있다. 편조선층(4)은 그라운드 콘택트(12)의 케이블 수용부(13B)내에서 판스프링(12a)에 의하여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돌조(14c)에 의하여 위쪽에서 눌려짐으로써 케이블 수용부(12B)와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플러그 코넥터(10)내에 동축 케이블(1)이 넣어지면, 이 플러그 코넥터(10)는 리셉터를 코넥터(20)와 결합하게 된다. 이 리셉터를 코넥터(20)는 블럭형의 하우징(23)내에 두 갈래로 나뉘어진 포크형이 제1 및 제2의 콘택트(21,22)가 매장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그널 콘택트(11)의 단자부(11A)의 거의 전체가 제1의 콘택트(21)의 결합부내에, 그라운드 콘택트(12)의 단자부(12A)의 거의 전체가 제2의 콘택트(22)의 결합부내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결합이 행하여 진다. 또, 하우징(23)의 하단면에서 돌출하고 있는 제1 및 제2의 콘택트의 단자부(21a,22a)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등에 적당히 부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축 케이블 코넥터등의 전기 코넥터에 있어서, 특히 근년에는 동일한 기능과 성능을 충족시키고 또한 가능한 소형화 하는 것이 강력하게 요청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동축 케이블 코넥터등에 있어서도 치수, 특히 높이(제7도의 상하방향)의 치수를 작게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플로그 코넥터와 리셉터를 코넥터의 결합시의 치수를 작게한 전기 코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코넥터는 하우ㅈ이의 일면으로부터 콘택트가 돌출하여 있는 플로그 코넥터와 이 플러그 코넥터를 수용하는 리셉터를 고넥터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 코넥터가 상기 리셉터를 코넥터에 수용된후, 이들 양코넥터가 상기 일면에 따라 서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이들 양 코넥터의 콘택트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플러그 코넥터의 콘택트와 결합되는 상기 리셉터를 코넥터의 콘택트의 결합부가 상기 미끄럼 이동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도에 도시한 종래의 코넥터는 리셉터를 코넥터(20)의 콘택트(21,22)의 결합주가 포크형으로 양 갈래로 나뉘어져서 제7도의 위쪽으로 뻗어 있고, 플로그 코넥터(10)의 콘택트(11,12)의 단자부(11A,11B)를 제7도의 위쪽으로부터 포크형의 양 갈래로 나뉘어진 부분에 삽입함으로써 양 코넥터(10,20)의 콘택트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 코넥터(10)의 콘택트(11,12)의 선단(11a,11b)은 리셉터를 코넥터(20)의 콘택트(21,22)의 양 갈래로 나뉘어져 근본부분 보다 깊게 삽입할 수가 없고, 코넥터의 두께(제7도의 상하 방향의 치수)도 커지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전기코넥터를 제7도에 도시한 코넥터와 대비하면, 제7도의 리셉터클 코넥터(20)의 콘택트(21,22)의 결합부가 위쪽으로 뻗는것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리셉터클콘넥터의 결합부가 횡 방향으로 뻗고 있는 것과 같이 형성되고, 플러그코넥터가 리셉터를 코넥터에 수용된후, 이들 양 코넥터를 서로 횡방향으로 미끄럼이동시킴으로써 이들 양 콘넥터의 콘택트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로그코넥터의 콘택트의 돌출한 선단 부근을 리셉터를 코넥터의 하우징의 하단부근까지 삽입 할 수가 있고, 따라서 리셉터클 코넥터의 두께를 얇게 할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대하여 설명한다.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는, 본 발명의 전기코넥터 중의 플러그코넥터의 한 실시예로서, 각각, 덮개를 연 상태의 사시도, 덮개를 닫은 상태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제6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동축케이블은 플러그코넥터의 (30)의 개구(31)를 지나 뻗은 것과 같이 배치된다. 동축 케이블(1)의 바깥쪽 피복층(5)와 편조선층(4)이 제거 되어서 안쪽 피복층(3)이 노출된 선단은 시그널 콘택트(32)의 케이블 수용부(32B)의 홈(32a)의 상부에 배치되고 안쪽 피복층(3)이 노출된 선단에 인접하는, 바깥쪽 피복층(5)이 제거되고 편조선층(4)이 노출된 부분은 그라운드 콘택트(33)이 케이블 수용부(33B)내에 배치된다.
제3도는 상기와 같이 동축 케이블(1)이 배치된 플러그 코넥터(30)의 덮개를 닫음과 동시에 동축 케이블(1)을 시그널 콘택트(32)와 그라운드 콘택트(33)에 접속시키기 위한 공구의 일예를 가리킨 도면이다.
상기의 동축 케이블(1)이 배치된 플러그 코넥터(30)를 이 도면에 가리키는 것과 같이 공구(60)에 배치하고, 레버(61,62)를 파지함으로써, 덮개(34)가 닫혀짐과 동시에 동축 케이블(1)의 안쪽 피복층(3)이 노출된 선단이 시그널 콘택트(32)의 케이블 수용부(32B)의 홈(32a)내에 압입되고, 안쪽 피복층(3)이 절단되어 동축 케이블(1)의 중심도체(2)와 이 시그널 콘택트(3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다시 동축 케이블(1)이 편조선층(4)이 노출된 부분이 뒤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하여 그라운드 콘택트(33)의 케이블 수용부(33B)에 파지되고, 이 편조선층(4)과 그라운트 콘택트(33)의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덮개(34)가 닫혀지면, 제2a도에 도시한 덮개(34)의 단부에 위치하는 2개의 록킹레버(35)의 선단부(35a)가 제2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 하우징(36)의 돌기(37)와 결합되고, 다시 덮개(34)의 양측에 설치된 2개이 록킹레버(38)의 개구(38a)이 본체 하우징(360의 돌기(39)가 제2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덮개(34)가 열리지 않게 된다.
제4도는 제2a도에 도시한 X-X′에 따른 덮개가 닫혀져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동축 케이블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34)에는 덮개(34)가 닫혀질 때 그라운드 콘택트(33)의 케이블 수용부(33B)와 대향하도록
Figure kpo00002
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Figure kpo00003
부(40)는 그 양측에 케이블의 긴쪽방향으로 뻗은 돌조(40a)가 형성됨과 동시에 케이블의 외주에 따르도록 전체적으로 원호상(圓弧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 케이블의 긴쪽방향으로 뻗은 돌기부(40b)가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덮개가 닫혀질 때, 양측의 돌조(40a)가 케이블 수용부(33B)의 양측벽부(33b)의 바깥쪽에 들어가서, 이 벽부(33b)를 안쪽으로 원호형으로 구부려, 이것에 의하여 케이블 수용부(33b)에 배치된 동축 케이블(1)이 파지된다. 그리고
Figure kpo00004
부(40)의 중앙의 돌기부(40b)에 의하여 동축 케이블(1)이 억제된다.
제5도는 제2a도에 도시한 Y-Y′에 따라 덮개가 닫혀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그널 콘택트(32)는 플러그 코넥터(30)의 본체 하우징(36)의 저면(36a)측으로 부터 삽입된다. 그러나, 이것이 정규의 삽입위치(제5도에 도시한 시그널 콘택트(32)의 위치)까지 삽입하고, 여기에 동축 케이블(1)의 선단(제8도 참조, 이하 단지 케이블(1)로 칭함)을 올려 놓으면 덮개(34)가 제3도에 1점쇄선(34′)으로 가리키는 위치까지 밖에 닫히지 않고, 케이블은 홈(32a)에 압입되어서 덮개(34)가 완전히 닫힐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시그널 콘택트(32)를 본체 하우징(36)에 삽입할 때, 정규의 위치보다 예를 들면 약 1mm내려간 위치(제5도의 2점쇄선(32′)를 가리키는 위치)까지 삽입하고, 여기에 케이블(1)을 제5도의 2점쇄선(3′)으로 가리키는 위치에 올려 놓게 된다. 이 상태로, 제3도의 실선으로 가리키는 덮개(34)의 위치가지 덮개934)를 닫고, 그 후 공구(60)에 의해 덮개(34)가 완전히 닫혀진다. 공구(60)는 덮개(34)를 닫을때 시근러 콘택트(32)를 아래서 밀어 올리도록 구성되어 있고(도시하지 않았음), 덮개(34)가 닫혀짐과 동시에 시그널 콘택트는 제5도에 가리키는 정규의 위치까지 밀어 올려져서 시그널 콘택트(32)의 돌기부(32c)가 본체 하우징(36)의 홈(42)에 들어가서 본체 하우징(36)과 결합되어 빠지지 않도록 정규의 위치에 유지된다. 또 덮개(34)가 닫혀질 때 덮개(34)에 설치된
Figure kpo00005
부(41)(제2a도 참조)에 의하여 케이블(3)이 제5도에 가리키는 케이블(3)의 위치가지 밀어 올라가고, 시그널 콘택트(32)의 홈(32a)내에 압입된다.
제1a도, 제1b도, 제1c도는, 본 발명의 전기 코넥터중의 리셉터를 코넥터의 한 실시예로서, 각각 사시도, 평면도 및 제1b도에 가리키는 Z-Z′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 리셉터클 코넥터(50)는 거의 되(곡식이나 액체를 측정하는 그릇)의 형상으로 되고 있고, 제2a도 내지 제2c도로 가리키는 플러그 코넥터(30)가 그 내부에 수용된다. 이 리셉터클 코넥터(50)의 콘택트(51,52) 및 플로그 코넥터(30)의 콘택트(32,33)의 단자부(32A,33A)와 결합되는 결합부(51B,51B)는, 제1c도의 횡방향으로 뻗어지도록 구부러져 있다. 플러그 코넥터(30)와 리셉터클 코넥터(50)를 결합하기에는, 플러그 콘넥터(30)의 본체 하우징(36)의 삼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Figure kpo00006
부(43)가 리셉터클 코넥터(50)에 설치된 홈(53)의 전면(제1a도에 가리키는 리셉터클 코넥터(50)의 좌측)의 위치 하도록, 플러그 코넥터(3)가 리셉터클 코넥터(50)에 대해 제1a도의 위쪽에서부터 수용된다.
이때, 플러그 코넥터(30)의 콘택트(32,33)의 단자부(32A,33A)는 그 선단(32d,33d)(제2c도 참조) 이 리셉터클 코넥터(50)의 저면(50a)과 거의 같은 높이로 되도록 리셉터클 코넥터(50)의 각각의 홈(54)과 구멍(55)에 삽입되고, 또한 콘택트(51,52)의 홈(51a,51b)의 개구부(51a′,52a′)에 위치한다.
이때, 리셉터클 코넥터(50)에 설치된 핀(56)은 플러그 코넥터의 양측면의 홈(45)내의 제2C도에 1점쇄선(56′)으로 가리키는 위치에 삽입된다.
그후, 플러그 코넥터(30)가 제1a도 내지 제1c도에 가리키는 화살표(A)방향으로 미끄럼이동되고, 이 미끄럼이동에 의하여 플러그 코넥터(30)의 콘택트(32,33)의 단자부(32A,33A)가 리셉터클 코넥터(50)의 콘택트(51,52)의 홈(51a,52a)내에 삽입되고, 이것에 의하여 양 코넥터(30,50)의 콘택트가 결합된다. 이와같이 양 코넥터(30,50)의 결합시에는, 상기 단자부(32A,33A)의 선단(32d,33d)이 리셉터클 코넥터(50)의 저면(50a)과 거의 같은 높이까지 삽입되고, 따라서 상술한 종래예와 비교하여 플라거 코넥터(30)와 리세터클 코넥터(50)를 합친 두께가 얇아져서 되는 것이다. 또 상기 미끄럼이동에 의하여, 리셉터클 코넥터(50)의 핀(56)은 제2c도에 가리키는 홈(45)내의 1점쇄선(56″)의 위치까지 삽입되고, 또, 플러그 하우징(30)의 돌기(37)가 리셉터클 코넥터(50)의 홈(53)내에 삽입되고, 이것에 의하여 플러그 코넥터(30)가 리셉터클 코넥터(50)에서 들어 올려지지 않게끔 된다. 또, 상기 미끄럼이동에 의하여 플러그 코넥터(30)의 부(43)가 안쪽으로 억제되면서 리셉터클 코넥터(50)의 홈(53)내로 나아가고, 종방향으로 뻗는 삼각형의 홈(57)에 끼워 맞추어 지게 된다. 이 끼워 맞춤에 의한 클럭(click)에의 하여 미끄럼이동이 완료된 것을 작업자에 알림과 동시에, 플러그 코넥터(30)가 이 미끄럼 이동의 방향(화사표 A방향)과 역방향으로 용이하게 빠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전기 코넥터는 플러그 코넥터가 리셉터클 코넥터에 수용된 후, 이들 양 코넥터가 서로 미끄럼이동하여 이들 양 코넥터의 콘택트가 서로 결합되도록, 리셉터클 코넥터의 콘택트의 결합부가 상기 미끄럼이동의 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 코넥터의 결합시의 두께를 얇게 할 수가 있고, 코넥터의 소형화가 실현된다.

Claims (1)

  1. 하우징(36)의 일면(36a)으로부터 콘택트(32,33)가 돌출하여 이루어지는 플러그 코넥터(30)와 이 플러그코넥터(30)을 수용하는 리셉터클 코넥터(50)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 코넥터(30)가 상기 리셉터클 코넥터(50)에 수용된 후, 이들 양 코넥터(30,50)가 상기 일면(36a)에 따라 서로 미끄럼이동함으로써 이들 양 코넥터(30,50)의 콘택트(32,33,51,52)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플러그 코텍트(30)의 콘택트(32,33)와 결합되는 상기 리셉터클 코넥터(50)의 콘택트(51,52)의 결합부(51B,52B)가 상기 미끄럼이동 방향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코넥터.
KR1019900007755A 1989-05-30 1990-05-29 전기 코넥터 KR950004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7177A JPH031460A (ja) 1989-05-30 1989-05-30 電気コネクタ
JP1-137177 1989-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290A KR900019290A (ko) 1990-12-24
KR950004980B1 true KR950004980B1 (ko) 1995-05-16

Family

ID=1519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755A KR950004980B1 (ko) 1989-05-30 1990-05-29 전기 코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83934A (ko)
JP (1) JPH031460A (ko)
KR (1) KR950004980B1 (ko)
CN (1) CN1028696C (ko)
GB (1) GB2232827B (ko)
MY (1) MY1056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368Y2 (ja) * 1991-03-29 1996-02-21 トーマス アンド ベッツ 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ネクタ
JPH082926Y2 (ja) * 1991-03-29 1996-01-29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アンテナコネクタ
SE468918B (sv) * 1991-08-16 1993-04-05 Molex Inc Skarvdon foer skarvning av tvaa koaxialkablar
DE9217862U1 (ko) * 1992-12-31 1993-03-04 Stewing Gmbh & Co. Kg, 1000 Berlin, De
JPH078961U (ja) * 1993-07-14 1995-02-07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5387127A (en) * 1993-08-26 1995-02-07 Wang; Tsan-Chi Shielding device for T-type BNC connectors
JPH08125352A (ja) * 1994-10-12 1996-05-17 Whitaker Corp:The ハウジング組立体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装置
US5695357A (en) * 1996-09-09 1997-12-09 Osram Sylvania Inc. Cable connector kit,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related method
US6065998A (en) * 1998-12-29 2000-05-2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
US6142804A (en) * 1999-03-09 2000-11-0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switching connector
US6164995A (en) * 1999-03-09 2000-12-26 Molex Incorporated Impedance tuning in electrical switching connector
US6290538B1 (en) * 2000-03-14 2001-09-18 Alan L. Pocrass RJ type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visual indicator
JP3745318B2 (ja) * 2002-07-24 2006-02-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DE102004055297B4 (de) * 2004-11-16 2007-07-19 Fci Steckverbinderanordnung mit Sekundärverriegelung
US20070077814A1 (en) * 2005-09-30 2007-04-05 Centurion Wireless Technologies, Inc. Connector
SE532598C2 (sv) * 2007-11-19 2010-03-02 Jenving Technology Ab Anordning vid kontakt
CN102544821B (zh) * 2011-12-23 2013-11-27 枣庄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铁路运输处 便携式插销插座
CN102751148A (zh) * 2012-07-20 2012-10-24 常州市三绿电器厂 节能灯座
JP5949838B2 (ja) * 2014-06-16 2016-07-13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US9960510B2 (en) * 2016-05-18 2018-05-01 J.S.T. Mfg. Co., Ltd. Connector
WO2021118812A1 (en) 2019-12-12 2021-06-17 Commscope Technologies Llc Dual coax network with power distribution and mid-span tap for signals and/or power from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7686A (en) * 1963-08-08 1966-11-22 Elco Corp Connector with glass substrate
US3694793A (en) * 1969-08-18 1972-09-26 Itt Snap lock coaxial connector
US4778407A (en) * 1982-12-23 1988-10-18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plug for conductors on closely spaced centers
US4538871A (en) * 1983-02-15 1985-09-03 Li Chiu Shan Set of plug with L-shaped pins and corresponding socket
NL8600041A (nl) * 1985-12-23 1987-07-16 Du Pont Nederland Contactinrichting voor een afgeschermde kabel.
US4708414A (en) * 1987-01-30 1987-11-24 Albert Lam Electric wire connector for coaxial cable
JPH0313989Y2 (ko) * 1987-03-18 1991-03-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83934A (en) 1992-01-28
CN1047942A (zh) 1990-12-19
GB2232827A (en) 1990-12-19
GB9011202D0 (en) 1990-07-04
JPH031460A (ja) 1991-01-08
MY105699A (en) 1994-11-30
GB2232827B (en) 1993-08-04
CN1028696C (zh) 1995-05-31
KR900019290A (ko) 199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980B1 (ko) 전기 코넥터
US5879190A (en) Coaxial connector
KR100359524B1 (ko) 동축케이블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플러그와회로기판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리셉터클을구비한동축커넥터
US9472875B2 (en) Wire-to-board connector
US6482028B2 (en) Cable connector having good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
EP224214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1372224B1 (en) Connector with latch mechanism
US6527592B2 (en) Matching male and female connector assembly
US722929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grounding path
US6574855B1 (en) Method of making a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US5437562A (en) Low profile edge mount connector
KR100204373B1 (ko) 편평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커넥터 조립체
US4842549A (en) Dual diameter cable strain relief
US7540774B1 (en) Coaxial connector
US20060246776A1 (en) Connector suitable for connection of a coaxial cable
EP1133003A2 (en) Plug connector
US20060246783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336820B2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JP2001110527A (ja) シールド型コネクタ
JP4177693B2 (ja) 同軸コネクタ
US20080096430A1 (en) Connector with easily replacement of a slider
EP1037313B1 (en) Female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device and process for mounting this connector on pcb
JPH04112469A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EP1199773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JP2683707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