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914Y1 - Co₂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Co₂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914Y1
KR950004914Y1 KR2019910004262U KR910004262U KR950004914Y1 KR 950004914 Y1 KR950004914 Y1 KR 950004914Y1 KR 2019910004262 U KR2019910004262 U KR 2019910004262U KR 910004262 U KR910004262 U KR 910004262U KR 950004914 Y1 KR950004914 Y1 KR 950004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tact plate
wire winding
fixed contac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4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808U (ko
Inventor
서일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4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914Y1/ko
Publication of KR9200178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8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9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CO2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CO2용접기의 개략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감김 방지수단이 장착된 CO2용접기를 나타낸 부분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감김 방지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제 4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감김 방지수단에 내장되어 있는 센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의한 CO2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 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우터 2 : 구동휠
3 : 연동휠 5a : 와이어
10 : 와이어 감김 방지수단 10a : 와이어 진입부
10b : 곡면부 11 : 센서부
13 : 와이어구멍 14 : 고정접점판
14a : 고정접점판 몸체 15 : 이동접점판
15a : 이동접점판 몸체 16 : 스프링
17 : 고정접점판 통전체 18 : 이동접점판 통전체
본 고안은 CO2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감김현상을 방지하여 와이어의 공급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CO2용접기의 와이어 감김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CO2용접법은 불활성 가스를 CO2가스로 대신한 특스 아아크 용접법의 하나로, 용접주위에 CO2가스를 살포하여 산화작용을 억제함으로서 양질의 용접상태를 얻을 수 있는 용접방식이다.
이러한 CO2용접의 경우 CO2의 고온 산화를 막기 위하여 Si, T, Al 등의 탈산제가 다량 함유된 용접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제 1 도는 종래의 CO2용접기의 개략도로서, 부호(1)는 모우터를 지칭한다.
상기한 모우터(1)의 구동축 상에는 구동휠(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동휠(2)과 맞물림 회전이 가능한 연동휠(3)이 동일 수직선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 피이더(4) 상에 설치된 모우터(1)의 반대쪽에는 와이어휠(5)이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어 와이어(5a)가 다량으로 감겨져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와이어휠(5)가 모우터(1)의 사이에는 3개의 와이어 레벨러(6)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휠(2)과 연동휠(3)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와이어 가이드(7)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한 CO2용접기는 와이어(5a)의 이송경로로 와이어 케이블(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와이어 케이블(8)의 끝부분에는 CO2가스의 공급을 위한 가스토오치(9)가 장착되어 있으며, 용접전원(도시생략)이 부착되어 있는 토오치팁(9a)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CO2용접기는 모우터(1)를 작동하면 구동휠(2)이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와이어 휠(5)에 감겨있던 와이어(5a)를, 와이어 레벨러(6)들 사이로 통과시켜 구동휠(2)과 연동휠(3)의 사이에 끼워주면, 이들 상호간에는 마찰접촉이 이루어져서 구동휠(2)과 연동휠(3)이 역방향 회전하게 되며, 와이어(5a)는 와이어 가이드(7)내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같이 연속적으로 자동 이송되는 와이어(5a)가 케이블(8)을 통하여 토오치팁(9a)에 도달하게 되면 가스토오치(9)로부터 CO2가스가 공급되면 연속 용접을 행할 수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CO2용접은 주로 가접을 위한 용접을 할 경우 불규칙한 스파크를 발생시켜 와이어의 용융물이 토오치 팁에 융착하게 된다. 이러한 융착물은 토오치팁의 구멍을 막아 와이어는 더이상 진행되지 않으며 이러한 상태에서도 모우터의 회전은 계속되어 와이어 가이드와 구동휠 사이에는 와이어가 감겨 엉키면서 작업 불능 상태가 발생한다. 다시 작업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감겨 엉킹 와이어를 잘라내고 다시 와이어를 와이어 가이드에 넣어야 하기 때문에 그 만큼의 자재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아울러 작업시간의 소모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가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목적은 작업이 원활이 이루어지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CO2용접기의 와이어 감김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와이어의 감김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센서부를 보유하고 있는 와이어 감김방지수단을 와이어 가이드에 장착하고 있다.
상기한 센서부는 고정접점판과 이동접점 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두 접점판은 공히 부도체의 몸체에 동판으로 제작된 통전체가 장착되어 있으며 스프링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탄발력을 주고 있다.
또한 와이어 감김방지수단의 와이어 진입부의 외관은 구동휠과 연동휠의 외주에 근접할 수 있는 곡면부가 상하로 대칭 형성되어 와이어의 변형 부위를 이동 접점판의 하단의 위치로 유도함으로서, 토오치팁 구멍이 막혀 이동접점판의 밑에서 와이어의 변형이 시작될때 이동접점판이 스프링의 탄발력을 이기고 위로 올려져 고정접점판과 접촉하여 통전이 이루어지게 하여 이때 릴레이가 작동하여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CO2용접기 전체에서는 와이어의 공급진행이 중단되어 와이어가 감겨 엉키는 상태를 방지할 수가 있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본 고안이 요지로 하는 부분에 대하여만 중점 기술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감김방지수단이 장착된 CO2용접기를 도시한 부분도로서, 부호(2)는 구동휠을 지칭한다. 이러한 구동휠(2)은 모우터(도시생략)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모우터축(1a)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외주에는 연동휠(3)이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연동휠(3)은 오우터축(1a)과 평행하게 배치된 연동휠축(3a)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두휠(2), (3)사이에 와이어(5a)를 와이어 가이드(7)에 공급토록 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 가이드(7)와 구동휠(2) 및 연동휠(3) 사이에는 감김방지수단(10)이 고정 장착된다.
또한 와이어휠(도시생략)로 부터 공급되는 와이어(5a)가 일정위치에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3개의 와이어 레벨러(6)가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감김 방지수단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로서, 와이어 감김방지수단(10)내에는 센서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와이어 감김방지수단(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 진입부(10a)에는 구동휠(2)과 연동휠(3)의 외주에 근접될 수 있도록 곡면부(10b)가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곡면부(10b)의 반대측에는 와이어 가이드 장착홈(12)이 뚫려져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장착홈(12)의 일측에는 센서부(11)가 장착될 수 있는 센서부 홈(11a)과 고정접점판홈(1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 감김방지수단의 중심부에는 와이어(5a)가 통과할 수 있는 와이어 구멍(13)이 뚫려 있으며 이 홈들(11a), (12)과 와이어 구멍(13)은 서로 상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4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감김방지수단에 내장되어 있는 센서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고정접점판(14)과 이동접점판(15)으로 구성되어 스프링(16)에 의해 서로 탄발력을 주고 있으며 이러한 두 접점판(14), (15)은 공히 부도체로 제작된 몸체(14a), (15a)와 동판의 통전체(17), (1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접점판(14)은 이동접점판(15) 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있으며 중간부분은 V자형의 처짐부(14c)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고정접점판(14)과 이동접점판(15)의 동판의 각 통전체(17), (18)에는 체결용 돌기(19)가 분리 형성되어 있어 몸체(14a), (15a)에 장착할 수가 있으며 스프링(16)을 고정할 수 있는 스프링고리(1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CO2용접기의 와이어 감김방지장치는 제 5 도의 와이어 감김방지수단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와 제 6 도의 전기회로도로서 설명되어 진다.
토오치팁의 구멍(도시생략)의 막히면 모우터(1)의 계속되는 회전으로 와이어(5a)는 이동접점판(15)의 밑에서 휨상태가 발생하며 휘어진 와이어(5a)는 이동접점판(15)을 위로 밀어올리게 된다.
와이어(5a)의 휨현상이 진행됨에 따라 고정접점판(14)과 이동접점판(15)의 통전체(17), (18)가 접촉되면 릴레이(20)에는 전원(21)이 공급디어 작동하게 되며 모우터(1)에 공급되는 전원(21)을 차단한다.
모우터(1)에 전원(21)이 차단되면 구동휠(2)과 연동휠(3)의 회전이 정지하여 와이어(5a)의 이송을 중단시킨다.
다시 작업을 하기 위하여 토오치팁(도시생략)에 융착되어 있는 융착물(도시생략)을 제거하고 와이어(5a)를 약간 당겨주면 휘어진 와이어(5a)는 이동접점판(15) 부위에서 이탈되며 스프링(16)의 탄발력에 의하여 고정접점판(14)과 이동접점판(15)은 분리되어 릴레이(20)로 하여금 모우터(1)에 전원(20)을 공급하도록 하므로서 와이어(5a)의 연속 이송 공급을 재개 할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와이어 감김방지수단은 토오치팁 구멍이 막혀 와이어가 감겨 엉키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서 엉킨 와이어를 잘라내지 않고도 작업을 재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자재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와이어(5a)가 통과하는 와이어구멍(13)의 길이 방향으로 근접하여 이동접점판(15)이 고정접점판(14)과 대향하는 자세로 제공되어지는 센서부(11)가 마련되어 이들 접점판(15), (14)의 접촉 유무에 따라 모우터(1)를 온, 오프시키는 와이어 감김방지수단(10)이 연동휠(2) 및 구동휠(3)과 와이어 가이드(7) 사이에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CO2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와이어 감김 방지수단(1)의 와이어 전입부(10a)의 외관은, 구동 (2)과 연동휠(3)의 외주에 근접할 수 있는 곡면부(10b)를 상하로 대칭 형성하여 와이어(5a)의 휨 부분을 와이어 감김 방지수단(10)내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2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접점판(14)과 이동접점판(15)은 스프링(16)에 의해 서로 탄발력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2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접점판(15)은 와이어(15a)의 정상적인 이송시 와이어 구멍(13)을 통과하는 와이어(5a)와 근접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CO2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접점판(14)과 이동접점판(15)의 각 몸체(14a), (15a)는 부도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CO2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접점판(14)과 이동접점판의 접촉면에는 각 통전체(17), (18)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2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장치.
KR2019910004262U 1991-03-29 1991-03-29 Co₂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장치 KR950004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4262U KR950004914Y1 (ko) 1991-03-29 1991-03-29 Co₂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4262U KR950004914Y1 (ko) 1991-03-29 1991-03-29 Co₂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808U KR920017808U (ko) 1992-10-17
KR950004914Y1 true KR950004914Y1 (ko) 1995-06-19

Family

ID=1931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4262U KR950004914Y1 (ko) 1991-03-29 1991-03-29 Co₂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9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808U (ko) 199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62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g welding
CA2822047C (en) Welding wire feeder with pushbutton wire guide holder and alignment tongue; method using a welding wire feeder having such alignment tongue
WO2012082786A1 (en) Welding wire feeder with pushbutton wire guide holder and alignment tongue method using a welding wire feeder having such alignment tongue
JP4045713B2 (ja) 自動機用溶接機
JPH0712542B2 (ja) パイプの片面溶接装置
KR950004914Y1 (ko) Co₂용접기의 와이어 감김 방지장치
KR101526275B1 (ko) 용접와이어 재생장치
JP2537312B2 (ja) レ―ザ溶接装置
JPH10193126A (ja) 狭開先溶接ヘッド及び狭開先溶接方法
US4144443A (en) Apparatus for horizontal fillet welding of steel plates
EP0980298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elding wire feeders
WO2018163808A1 (ja) アーク溶接方法
JP2831828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通電装置
KR20210066591A (ko) 무한 회전이 가능한 전자세 용접장치
JP2789686B2 (ja) 多電極溶接方法及び装置
KR200164421Y1 (ko) 로보트의 케이블 안내장치
US3882300A (en) Means in welding tools for welding with welding electrodes and means for smoke removal
KR0140282B1 (ko) 벌크 용접장치
KR100206198B1 (ko) 아아크 용접기 와이어 피더
EP0135632B1 (en) Rotary arc-welding apparatus
JPH069744Y2 (ja) ウイービング溶接装置
JP2001087860A (ja) 溶接ワイヤ供給装置
KR200194587Y1 (ko) 용접륜 진원도 유지 및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KR0136428Y1 (ko) 단,복선 겸용 용접선 송급장치
JPH0248121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通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