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610B1 -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장치 - Google Patents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610B1
KR950004610B1 KR1019910010416A KR910010416A KR950004610B1 KR 950004610 B1 KR950004610 B1 KR 950004610B1 KR 1019910010416 A KR1019910010416 A KR 1019910010416A KR 910010416 A KR910010416 A KR 910010416A KR 950004610 B1 KR950004610 B1 KR 950004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lid member
envelope
display tube
fluoresc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614A (ko
Inventor
시게오 이도오
아끼라 가와시마
이와오 나까무라
미끼오 요고야마
다게시 도네가와
Original Assignee
후다바 덴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호소야 레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다바 덴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호소야 레이지 filed Critical 후다바 덴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장치
제1도는 일실시예의 배기폐쇄장치를 복수대 구비한 배기폐쇄장치부의 전체구성도.
제2도는 일실시예의 배기폐쇄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동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부재의 사시도.
제4도는 동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배기폐쇄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기폐쇄장치 2 : 형광표시관
7 : 외위기 8 : 배기구멍
20,22 : 배기경로 24 : 배기헤드
30,31 : 압축스프링 31 : 봉체
32 : 관형상체 33 : 전달장치
34 : 굵은지름부 35 : 가는지름부
50 : 히터부 60 : 뚜껑부
80 : 가이드부재 81 : 가이드벽면
82 : 세로홈 91 : 메시필터
본 발명은 배기용의 칩관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외위기에 형성된 배기구멍을 판자형상의 뚜껑부재로 폐쇄하는 구조의 형광표시관에 관하며, 특히 이런종류의 형광표시관의 외위기내를 배기하여 배기구멍을 뚜껑부재로 폐쇄하기에 유용한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위기에 배기용의 칩관이 없으며 외위기에 형성된 배기구멍을 판형상의 뚜껑부재로 폐쇄하는 구조의 형광표시관이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형광표시관을 제조할 경우, 특히 외위기의 내부를 배기해서 배기구멍을 뚜껑부재로 폐쇄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1-200544호 공보에 있는 것과 같은 배기폐쇄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제5도는 상기 배기폐쇄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비기계에 연통하고 있는 통형상의 배기헤드(100)는 그 개구한 상단면에 0링(101)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 위에 외위기(102)를 놓도록 되어 있다. 또 배기헤드(100)의 내부에 히터(103)을 내장한 가열봉(104)이 설치되어 있고, 그 가열봉(104)의 위에는 뚜껑부재(105)를 올려 놓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공정에 있어서는 우선 봉착유리(106)를 상면에 설치한 뚜껑부재(105)를 가열체(104)의 상단에 놓고 배기헤드(100)상에 배기구멍(107)을 가지고 있는 형광표시관의 외위기(102)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배기헤드(100) 내를 진공배기 한다. 배기구멍(107)을 통해서 외위기(102)내가 충분히 배기되고, 가열로(108)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가열봉(104)을 상승시켜서 뚜껑부재(105) 및 봉착유리(106)를 외위기(102)의 배기구멍(107)으로 밀어붙이고 가열봉(104)의 히터(103)를 차단하고 봉착유리(106)를 용융시킨다. 그리고 상기 히터(103)를 차단하고 봉착유리(106)가 고형화한후 가열봉(104)을 밑으로 내린다.
상술한 종래의 배기폐쇄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가열봉(104)의 상단에 얹어놓여진 뚜껑부재(105)와 배기헤드(10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되어 배기를 통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열봉(104)위의 뚜껑부재(105)에는 가로방향의 받침이 없고, 배기헤드(100)의 내부에서 가열봉(104)을 상하동시킬 때에는 가열봉(104)상의 뚜껑부재(105)가 안정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뚜껑부재(105)는 위치가 어긋나서 외위기(102)의 소정의 위치에 접착할 수 없게 되든가 흡인에 의해 가열체(104)로 부터 떨어져서 배기헤드(100)내로 흡입되는 수도 있었다.
(2) 상기의 종래의 예에 있어서는 배기헤드(100)의 내경을 뚜껑부재(105)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하여 배기헤드(100)의 주면을 뚜껑부재(105)의 가이드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가령 그렇게하면, 배기공정에 있어서 배기헤드(100)의 내부에서 뚜껑부재(105)가 배기경로를 가로막아, 배기 콘덕턴스(Comductance)가 작아져서 배기시간이 길게되고, 동시에 봉착유리시일 부분으로 부터의 용융시의 방출가스가 충분히 배기되지 않은 상태에서 페쇄하게 됨으로 결과적으로는 배기 불량이나 필라멘트의 오염에 의한 표시관 특성의 열악화를 발생시켜 버린다.
(3) 뚜껑부재(105)를 얹어놓아 상하동시키는 가열봉(104)은 일체적 구조의 부재이며, 도시하지 않는 구동수단의 힘에 의해서 직접 뚜껑부재(105)를 상하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가열봉(104)를 상승시켜서 뚜껑부재(105)를 외위기(102)로 밀어붙일때 정위치 보다도 조금 위로 지나쳐버린 것만으로도 외위기(102)를 파괴해버리든가 또는 외위기(102)를 배기헤드(100)로부터 부상(浮上) 되게하여 배기를 새게하는 위험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참작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폐쇄직전까지 배기콘덕턴스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배기헤드내에 있어서 뚜껑부재가 안정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다시 외위기의 배기구멍에 대해서 뚜껑부재를 적당한 가압력으로 눌러붙일 수 있는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희한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장치는 형광표시관의 외위기에 마련된 배기구멍으로 부터 외위기내의 기체를 배기하는 배기헤드와, 그 배기헤드의 내부에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설치된 뚜껑부재를 가열해서 상기 외위기의 배기구멍에 융착고정하는 히터부를 구비한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장치이며, 상기 배기헤드의 상당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부에 설정된 뚜껑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배기헤드내에 마련되어 압축스프링을 개재해서 상기 히터부에 상하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전달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 청구항 제1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뚜껑부재의 외주를 안내하는 벽면을 가지고 있으며, 그 가이드벽면은 배기용의 세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청구항 제1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달장치가 굵은 지름부와 가는 지름부를 구비해서 상하동하는 봉체와, 선단에 상기 히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는 지름부에 압축스프링을 개재해서 바깥에서 끼워진 관형상체를 소유하고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전달장치가 상기 히터부를 상승시켜서 히터부에 설정된 뚜껑부재를 상기 외위기의 배기구멍에 맞닿게할때, 상기 봉체의 굵은 지름부가 상기 배기헤드 내의 배기경로를 폐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이 경우 상기 배기헤드내의 배기경로에 메시필터를 설치해도 좋다. 전달장치에 의해 상하동하는 히터부에 놓여진 뚜껑부재는 배기헤드의 상단부에서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벽면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공정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는 히터부의 위에 설정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상하동할 수가 있다.
또 외위기의 배기구멍으로 부터 뽑아낸 공기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벽면에 형성된 세로의 홈을 통할 수가 있다. 즉 배기헤드의 상단부에 가이드부재를 소유하고 있으면서 본 장치의 배기콘덕턴스는 충분하게 크다. 또 전달장치에 있어서는 봉체가 윗쪽으로 이동하면 압축스프링을 개재해서 관형상체도 윗족으로 들어 올려진다. 그리고 관형상체의 선단에 설치된 히터부는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에 상응한 힘으로 외위기의 배기구멍에 뚜껑부재를 밀어붙인다. 이때에 상기 봉체의 굵은 지름부가 배기헤드의 배기통로를 폐쇄하고 배기가 정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1도~제4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형광표시관(2)의 배기폐쇄장치(1)를 복수개 구비한 배기폐쇄장치부(3)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중의 (4)는 원형의 회전테이블이다. 이 회전테이블(4)은 그 하면중앙부가 구동축(5)을 개재하여 인덱스유니트(6)에 연결되어 있고 간헐적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회전테이블(4)의 상면에는 그 바깥둘레 가장자리에 따라서 복수개의 배기폐쇄장치(1)가 배설되어 있다. 이것들의 배기폐쇄장치(1)에는 형광표시관(2)의 외위기(7)가 각각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각 배기폐쇄(1)는 상기 회전테이블(4)의 회전에 따라서 서서히 외위기(7)내를 배기하고, 배기완료후에는 외위기(7)의 배기구멍(8)을 페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회전테이블(4)의 하면에는 상기 구동축(5)을 둘러싼 중앙부에 회전밸브(9)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배기폐쇄장치(1)에는 외위기(7)로 부터의 배기를 이끌기 위한 배기관(10)이 설치되어 있다. 각 배기관(10)은 회전테이블(4)의 밑쪽 중앙에 연장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밸브(9)에 각각 접속되어 연통되어 있다.
상기 회전테이블(4) 및 회전밸브(9)의 밑쪽에는 고정테이블(11)이 설치되어 이 고정테이블(11)의 상면 중앙에는 고정밸브(12)가 고정설치 되어 있다. 상기 회전테이블(4) 및 회전밸브(9)를 회동시키는 상기 인텍스유니트(6)의 구동축(5)은 고정테이블(11)과 고정밸브(12)의 중앙을 회동 자유롭게 끼워서 통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밸브(12)와 회전밸브(9)는 각각 복수개의 배기구멍이 개구된 하단면과 상단면으로 기밀을 유지하면서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접합하고 있고, 양 배기구멍은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연결 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밸브(12)의 각 배기구멍은, 로터리펌프(13) 또는 확산펌프(1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 인텍스유니트(16)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테이블(4) 및 회전밸브(9)가 회전하고, 배기폐쇄장치(1)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면 배기공정의 초기단계에 있는 배기폐쇄장치(1)는 고정밸브(12) 및 회전밸브(9)를 개재해서 로터리펌프(13)에 접속된다. 이것에 대하여 배기공정에 어느정도 진행된 단계에 있는 배기폐쇄장치(1)는 확산펌프(14)에 접속되어서 외위기(7) 내의 진공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기의 진행상태에 따라서 회전테이블(4)이 간헐적으로 소정의 각도 만큼 한방향으로 회전하며 이것에 의해 각 배기폐쇄장치(1)는 외위기(7)내의 진동도를 높혀 나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테이블(11)의 상면에는 바깥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서 가열로(15)가 둘레형상으로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배기폐쇄장치(1)를 수납하고 있다. 도시는 하지 않으나 이 가열로(15)내에는 가열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위기(7)를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배기폐쇄장치(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회전테이블(4)에는 내부에 배기경로(20)가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기체(21)가 부착되어 있다. 이 기체(21)의 배기경로(20)는 옆쪽으로 개구되어 있고, 상기 배기관(1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21)의 개구 상단에는 배기경로(22)를 가지고 있는 통체(23)가 접속연통되고, 전체로서 배기헤드(24)가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통체(23)의 상단에는 흡입구멍(25)이 형성되어 그 주위에는 0링(26)이 마련되고 외위기(7)와의 밀착성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기헤드(24)의 배기경로(20,22)내에는 압축스프링(30)을 개재해서 봉체(31) 및 관형상체(32)를 조립한 신축구조의 전달장치(33)가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전달장치(33)는 그 상단부에 뚜껑부재(60)가 설정되는 히터부(50)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폐쇄시에는 (60)를 들어올려서 외위기(7)로 밀어붙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우선 기체(21)의 배기경로(20)를 밑쪽으로 관통해서 봉체(3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봉체(31)는 굵은지름부(34)와 가는 지름부(35)를 가지고 있는 단(段)층의 봉으로서 상기 배기경로(20)보다도 약간 가는 굵은지름부(34)는, 기체(21) 및 회전테이블(4)의 밑쪽에 0링(36)을 개재해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돌출되어 있다. 굵은지름부(34)의 하단에는 플랜지(37)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테이블(11)상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가압수단에 의해 윗쪽으로 밀어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 밑쪽으로 돌출한 굵은지름부(34)의 옆쪽에는 스프링(38)을 구비한 스토퍼판(39)이 설치되어 들어올려진 봉체(31)의 플랜지(37)에 밑에서 걸리게해서 봉체(31)의하강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기체(21)의 배기경로(20)내에는 상기 배기관(10)보다 윗쪽의 내주면에 0링(4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가압수단에 의해 봉체(31)가 상승해서 굵은지름부(34)가 그 0링(40)에 접촉하면 상기 배기경로(20)가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이 배기관(10)은 콘덕턴스를 충분히 크게 함으로써 지름이 굵게 되어 있다. 따라서 봉체(31)의 이동에 의해서 이것을 폐쇄시키는 데에는 그 이동거리가 크게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전달장치(33)는 그 선단에 설치되는 히터부(50) 및 뚜껑부재(60)의 이동거리를 짧게하고, 적당한 힘으로 뚜껑부재(60)가 외위기(7)에 밀어붙여지도록 봉체(31)의 가는 지름부(35)에는 압축스프링(30)을 개재해서 관형상체(32)가 바깥에서 끼워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봉체(31)의 가는 지름부(35)에는 관형상체(32)가 바깥에서 끼워져 있다. 관형상체(32)의 상단에는 스토퍼(41)가 고정되어 있고, 관형상체(32)내에 있어서, 스토퍼(41)와 가는지름부(35)와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30)이 있다. 즉 압축스프링(30)을 신축시킴으로서 가는지름부(35)에 대해서 관형상체(32)를 상대적으로 미끄럼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퍼(41)의 상단에는 통체(42)가 설치되어, 이 통체(42)에는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지지체(43)가 안에서 끼워져 있다. 지지체(43)의 하단에는 플랜지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통체(42)의 개구상단에 밑쪽에서 걸림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체(43)의 선단에는 히터부(50)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그 히터부(50)의 하면과 상기 통체(42)의 개구상단과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51)이 있다. 즉 압축스프링(51)을 신축시킴으로서 통체(42) 및 관형상체(32)에 대해서 히터부(50)를 상대적으로 상하동시킬 수가 있다.
상기 히터부(50)는 형광표시관(2)의 외위기(7)에 설치된 배기구멍(8)을 막기 위한 뚜껑부재(60)를 얹어놓아서 가열하기 위한 부분이며, 상기 전달장치(33)에 의해 상하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부(50)와 뚜껑부재(60)에 같은 지름이 아니고, 히터부(50)의 최대외경 보다도 뚜껑부재(60)의 외경이 약간 작게 되어 있다. 그럼 상기 배기헤드(24)의 기체(21)에는 외부로 돌출한 한쌍의 단자부(70)가 설치되어 있과, 상기 히터부(50)는이 단자부(7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자부(70)에는 상기가열로(15)내의 소정위치에 있는 전원단자(71)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회전테이블(4)의 회전에 따라서 배기가 진행되고, 외위기(7)내가 고진공으로된 어느 위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50)에 전류가 공급되어 뚜껑부재(60)가 가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배기헤드(24)의 통형상체(23)의 상단부에는 상기 히터부(50) 및 뚜껑부재(60)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80)는 대략 고리형상이며, 원주형상의 가이드벽면(81)의 내경은 상기 히터부(50)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로 되어 있다. 이 가이드벽면(81)에는 4개의 홈(8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히터부(50) 및 뚜껑부재(60)가 가이드부재(80)내에 있어도 배기의 통로가 확보됨으로써 배기콘덕턴스를 충분히 크게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 통형상체(42)에는 정지편(90)이 설치되어 있고, 전달장치(33)가 상승했을 때에 상기 가이드부재(80)에 밑으로부터 걸림되도록 되어 있다. 즉 고리형상체(32)의 상한위치가 결정되어 있고, 이때에 히터부(50)의 뚜껑부재(60)는 외위기(7)의 밑면보다도 다소 윗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실제에는 외위기(7)가 있음으로서 압축스프링(51)이 수축되고 이것으로서 뚜껑부재(60)는 소정의힘으로 외위기(7)의 밑면으로 밀어붙쳐진다. 도면중에서 (91)은 배기경로(20,22)속에 설치된 메시필터이며 먼지등이 진공펌프에 흡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 제4도 중의 (61)은 봉착재료로서의 유리결합재이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 전달장치(33) 및 히터부(5)을 상한까지 상승시킨 상태로 유리결합재(61)가 첨가된 뚜껑부재를 히터부(50)위에 설정한다. 또다시 배기헤드(24)의 통형상체(23)의 상단에 형광표시관(2)의 외위기(7)를 얹어놓는다. 이때 외위기(7)의 배기구멍(8)을 배기헤드(24)의 흡입구멍(25)에 맞춘다.
② 스토퍼(39)을 벗기고 전달장치(33)와 뚜껑부재(6)를 구비한 히터부(50)를 하강시킨다. 이때 전달장치(33)의 봉체(31)의 굵은 지름부(34)가 0링(40)의 으로부터 벗어나 배기헤드(24)내의 배기경로(20,22)의 폐쇄가 해제되어서 진공배기가 개시된다.
③ 형광표시관(2)은 배기폐쇄(1)와 함께 가열로(15)내로 들어가서 전체는 서서히 가열된다. 회전테이블(4)의 회전에 따라 배기펌프로 로터리펌프(13)로부터 확산펌프(14)로 전환되고 외위기(7)내는 고진공으로 되어간다.
④ 진공도가 어느정도 까지 높아진 위치에 있어서 단자부(70)에는 전원단자(71)가 접촉하고 히터부(50)에는 전류가 공급된다. 히터부(50)는 뚜껑부재(60) 및 유리결합재(61)를 가열한다.
⑤ 최고의 진공상태로 된 위치에서 가압수단이 전달장치(33)를 상승시킨다. 히터부(50) 및 뚜껑부재(60)는 가이드부재(80)의 가이드벽면(81)에 안내되어 낙하하는 일 없이 안정되어 상승한다. 또 가이드부재(80)의 가이드벽면(81)에는 세로의 홈(82)이 있으므로 배기에 지장이 발생하는 일도 없다.
그리고 이 뚜껑부재(60)는 외위기(7)의 배기구멍(8)에 유리결합재(61)로 접착된다. 이때 전달장치(33)의 봉체(31)의 스트로크 보다도 관형상체(32)의 스트로크 쪽이 작다. 즉 봉체의 가는 지름부(35)는 관형상체(32)내로 끼워넣어지고 이 전달장치(33)에 의한 뚜껑부재(60)의 밀어누르는 힘은 압축스프링(30,51)의 변형에 의해 일정하게 조정된다. 따라서 외위기(7)를 파손하든가 하는 등의 불합리한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 이때 봉체(31)의 굵은지름부(34)가 지체(21)의 배기경로(20)내에서 0링(40)에 접촉하여 그 배기경로(20)를 폐쇄한다. 그리고, 전달장치(33)는 이 상태로 스토퍼판(39)에 의해 고정된다.
⑥ 전달장치(33)에 의해 뚜껑부재(60)를 외위기(7)의 배기구멍(8)에 밀어 붙인체로 전체를 가열로(15) 속에서 이동시키면서 서서히 냉각한다.
ⓛ 서냉후 스토퍼판(39)을 해제하여 도시하지 않은 밸브로부터 배기헤드(24)내에 공기를 넣고 형광표시관(2)을 빼낸다.
(1) 세로홈이 있는 가이드부재를 설치하므로써 뚜껑부재가 안정되어 히터부위에 얹어놓여지고 또 뚜껑부재가 있어도 배기 콘덕턴스를 충분하게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배기가 단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회전테이블에 본 장치를 복수개 설치해서 연속작업을 할 경우 높은 작업효율을 얻을 수 있다.
(2) 히터부를 윗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전달장치가 압축스프링을 개재해서 힘을 전달시키고 있으므로 외위기를 부상(浮上) 시키든가 파괴하든가 하는일이 없으며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뚜껑부재를 외위기에 밀어눌려서 고착시킬 수가 있다는 효과가 있다.
(3) 뚜껑부재를 밀어눌려서 고착할때는 봉체의 굵은 지름부가 배기경로를 틀어막음으로 가압시에 외위기가 파괴되였다해도 공기는 진공펌프로는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테이블을 사용할 경우와 같이 동일펌프로 복수개의 외위기를 배기하고 있을때에 외위기가 파괴되어도 인접하고 있는 다른 외위기의 진공도를 낮추어버리는 우려가 없다.
(4) 배기경로에 메시필터를 설치했으므로 진공펌프에 먼지나 쓰레기가 들어 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1. 형광표시관의 외위기에 설치된 배기구멍으로부터 외위기내의 기체를 배기하는 배기헤드와, 그 배기헤드내에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설정된 뚜껑부재를 가열해서 상기 외위기의 배기구멍에 융착고정하는 히터부를 구비한 형광표시관이 배기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헤드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부에 설정된 뚜껑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배기헤드내에 설치되어 압축스프링을 개재해서 상기 히터부에 상하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전달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뚜껑부재의 바깥둘레를 안내하는 가이드벽면과, 그 가이드벽면에 형성된 배기용의 세로의 홈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장치는 굵은지름부와 가는지름부를 구비하고, 상하동하는 봉체와, 선단에 상기 히터부를 구비해서, 상기 봉체의 가는지름부에 압축스프링을 개재해서 바깥에서 끼워진 관형상체를 소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장치가 상기 히터부를 상승시켜서 히터부에 설정된 뚜껑부재를 상기 외위기의 배기구멍에 맞닿는 때, 상기 봉체의 굵은 지름부는 상기 배기헤드내의 배기경로를 폐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헤드내의 배기경로에 메시필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장치.
KR1019910010416A 1990-06-28 1991-06-22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장치 KR950004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68270A JPH06101302B2 (ja) 1990-06-28 1990-06-28 蛍光表示管の排気封止装置
JP2-168270 1990-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614A KR920001614A (ko) 1992-01-30
KR950004610B1 true KR950004610B1 (ko) 1995-05-03

Family

ID=1586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416A KR950004610B1 (ko) 1990-06-28 1991-06-22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101302B2 (ko)
KR (1) KR950004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928B1 (ko) * 1997-03-31 2004-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형광표시관배기장치
KR100469000B1 (ko) * 2003-03-20 2005-02-02 주식회사 플라즈마램프 외부 전극형 방전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269333B (zh) * 2014-09-16 2016-12-14 安徽弘杨激光技术有限公司 一种氙灯封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61727A (ja) 1992-02-27
KR920001614A (ko) 1992-01-30
JPH06101302B2 (ja) 1994-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816B1 (ko) 진공 펌핑 장치, 진공유리 제작 시스템, 및 관련 방법
KR101088987B1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US4251252A (en) Method for making vacuum insulated container
KR950004610B1 (ko) 형광표시관의 배기폐쇄장치
JP3225915U (ja) 多真空チャンバ溶接炉
CN116741672B (zh) 一种真空固化机构的真空部
CN211893813U (zh) 一种中药饮片包装用的机械手
JP2004168409A (ja) バキューム式キャップ巻締機
KR100293069B1 (ko) 형광 표시관의 배기 장치
CN211829008U (zh) 一种软包锂离子电池排气装置
CN112238968B (zh) 一种精细化真空包装机
CN211162642U (zh) 一种用于精密机械零部件加工的焊接装置
US4220462A (en) Apparatus for making a vacuum insulated container
JPH0351312Y2 (ko)
CN216970225U (zh) 一种容器封口机的封口机构
JPS61222933A (ja) ガラス製品の成形方法及び装置
KR200215781Y1 (ko) 이중밀봉 히트파이프 제조장치
JPH03187929A (ja) ガラスのプレス成形装置
CN219474263U (zh) 一种热处理窑炉的置换室
KR200496610Y1 (ko) 롤러를 이용한 마이크로 플레이트 실러
KR20020017836A (ko) 히트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장치
JP3093641B2 (ja) 蛍光表示管の排気装置
KR20000020646U (ko) 형광 표시관용 배기 봉지 장치
CN220701570U (zh) 胶瓶瓶封膜用加热模组
CN118060660A (zh) 一种取样钳加工用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