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457Y1 - 통화선택기능을 갖는 전화기용 아답타 - Google Patents

통화선택기능을 갖는 전화기용 아답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457Y1
KR950004457Y1 KR92005906U KR920005906U KR950004457Y1 KR 950004457 Y1 KR950004457 Y1 KR 950004457Y1 KR 92005906 U KR92005906 U KR 92005906U KR 920005906 U KR920005906 U KR 920005906U KR 950004457 Y1 KR950004457 Y1 KR 950004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earphone
telephone
amplifie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5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516U (ko
Inventor
박관호
Original Assignee
박관호
범우전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관호, 범우전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관호
Priority to KR92005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457Y1/ko
Publication of KR9300245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5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4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8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with current supply sources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화선택기능을 갖는 전화기용 아답타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블록다이어그램.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송화용 고감도증폭부 B : 수화용전력증폭부
C : 전원자동공급회로 MOD. J1: 전화기본체와의 연결단자
MOD. J2: 송수화용 핸드세트와의 연결단다
SW : 핸드세트/이어폰세트 선택스위치
본 고안은 전화통화용 아답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요시 선택적으로 이어폰세트 또는 송수화용 핸드세트로 통화할 수 있는 통화선택기능을 갖는 전화기용 아답타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공개실용 소 61-37652호에는 헤드세트의 코드말단에 장착한 끼워넣는 플러그를 전화기본체에 내설된 모듈러코넥터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핸드세트측 통화회로가 열러서 헤드세트측 통화회로가 닫히고, 끼워넣은 플러그를 뽑아내는 것에 의하여 핸드세트측 통화회로가 닫히도록 구성한 전화기의 헤드세트접속구조가 제시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전화기본체에 내장된 회로는 임피던스가 수 ㏀~수백 Ω 정도인 핸드세트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는 반면에 통상의 헤드세트를 이루는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의 임피던스가 16~32Ω 정도이기 때문에 핸드세트와 헤드세트간의 현저한 임피던스 차이로 말미암아 원활한 선택적 통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본국 공개실용 소 61-37652호에는 헤드세트의 코드말단에 장착한 끼워넣는 플러그를 전화기본체에 내설된 모듈러코넥터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핸드세트측 통화회로가 열러서 헤드세트측 통화회로가 닫히고, 끼워넣은 플러그를 뽑아내는 것에 의하여 핸드세트측 통화회로가 닫히도록 구성한 전화기의 헤드세트접속구조가 제시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전화기본체에 내장된 회로는 임피던스가 수㏀~수백 Ω 정도인 핸드세트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는 반면에 통상의 헤드세트를 이루는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의 임피던스가 16~32Ω 정도이기 때문에 핸드세트와 헤드세트간의 현저한 임피던스 차이로 말미암아 원활한 선택적 통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본국 공개실용 평 2-21847호에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가진 핸드프리전화기에 있어서 수화신호를 A/D컨버터로 디지탈데이터로 변환하여서 프로세서로 받아들이고 이 프로세서로 발호시의 링 백 톤(ring back tone) 신호를 검출했을 때에는 송화계이득을 저하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프리전화기가 제시되어 있는데 전화를 받거나 걸 때 마이크폭 송화계이득과 스피커쪽 수화계이득을 제어하여서 양쪽에 상호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된 것이므로 이어폰세트 또는 송수화용 핸드세트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통화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한 것인 바,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 전화기본체와 연결시킨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귓속형이어폰세트 또는 일반적인 송수화용 핸드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면서 원활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이어폰세트와 핸드세트간의 임피던스 차이를 상쇄시켜 줌으로서 통화선택기능을 갖는 전화기용 아답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크게 나누어 송화용고감도증폭부(A) 및 수화용전력증폭부(B)와 전원자동공급회로(C)로 이루어져 있다.
송화용고감도증폭부(A)는 전압증폭기(AMP. 1), 트랜지스터(Q1) 및 저항(R1)(R2)와 콘덴서(C1)를 접속하여서 된 것으로 전압증폭기(AMP. 1)에는 마이크로폰용 이어폰잭(J1)이 연결되어 있다.
수화용전력증폭부(B)는 전력증폭부(AMP. 2) 및 가변저항(VR1)과 콘덴서(C2)를 접속하여서 된 것으로 전력증폭기(AMP. 2)에는 이어폰잭(J2)이 연결되어 있다.
송화용고감도증폭부(A)와 수화용전력증폭부(B) 사이에는 전화기 본체와의 연결단자(MOD. J1) 및 전화기의 송수화용 핸드세트와의 연결단자(MOD. J2)와 핸드세트/이어폰세트의 선택스위치(SW) 그리고 트랜스(T)와 저항(R3)이 접속되어 있다.
전원자동공급회로(C)는 트랜지스터(Q2……Q6) 및 다이오드(D1), (D2)와 콘덴서(C3)를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V는 전원자동공급회로(C)의 내장형 건전지, J3는 외부전원공급용 잭, RX는 수화용이어폰, TX는 송화용이어폰, RX/TX는 RX와 TX일체형이어폰세트, P는 전화기본체, H는 송수화용 핸드세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아답타는 제1도~제3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결단자(MOD. J1)와 연결된 코드(30)를 송수화용 핸드세트(H)가 끼워져 있던 전화기본체(P)의 단자(31)에 접속하고, 마이크로폰용 이어폰잭(J1)과 이어폰잭(J2)에 수화용이어폰(RX)과 송화용이어폰(TX) 또는 일체형이어폰(RX/TX)을 끼우며, 연결단자(MOD. J2)에는 전화기본체(P)로 분리된 송수화용 핸드세트(H)를 접속한 다음 선택스위치(SW)로 이어폰세트(RX, TX나 RX/TX) 또는 송수화용 핸드세트(H)를 선택하면서 통화를 하는 것인 바, 일반적인 전화기의 송수화용 핸드세트(H)는 송수화용 유니트의 임피던스가 수㏀~수백 Ω 정도이기 때문에 임피던스가 16~32Ω 정도인 일반적인 이어폰 유니트로는 원활한 통화를 할 수 없게 되므로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임피던스 차이를 상쇄시켜서 저렴한 가격으로 획득이 용이한 일반적인 이어폰유니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임피던스 매칭용 트랜스(T)와 접속되어 있으며 저항(R2), (R2), (R3)과 콘덴서(C1), (C2)를 포함하는 송화용고감도증폭부(A) 및 수화용전력증폭부(B)를 이어폰세트(RX, TX나 RX/TX)와 전화기본체(P) 사이에 연결한 것이다.
또 본고안 아답타는 통상적인 전화기에 있어서 송수화용 핸드세트의 송수화기능만을 대신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동작전원을 필요로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고안 아답타의 사용시마다 전원공급을 ON/OFF하는 불편을 초래하지 않도록 해 주는 전원자동공급회로(C)를 구비한 것인 바, 이 전원자동공급회로(C)는 제1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통화하기 위하여 전화기본체(P)에 있던 송수화용 핸드세트(H)를 들었을 때 발생하는 발신음을 매칭트랜스(T)와 전해콘덴서(C3)로 검출하면서 동작에 필요한 전원공급을 자동으로 ON/OFF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아답타는 제3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전화기본체(P)와 송수화용 핸드세트(H) 사이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주위의 소음정도나 하고 있는 일 등 상황에 맞게 필요에 따라 이어폰세트(RX, TX나 RX/TX) 또는 송수화용 핸드세트(H)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을 가진 헤드세트와 송수화용 핸드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통상의 마이크로폰용 이어폰잭(J1)에 전압증폭기(AMP.1), 트랜지스터(Q1) 및 저항(R1), (R2)와 콘덴서(C1)를 접속시킨 송화용고감도증폭부(A)와, 통상의 이어폰용 이어폰잭(J2)에 전력증폭기(AMP. 2) 및 가변저항(VR1)과 콘덴서(C2)를 접속시킨 수화용전력증폭부(B) 사이에 전화기본체(P)와의 연결단자(MOD. J1), 송수화용 핸드세트(H)와 연결단자(MOD. J2) 및 통상의 핸드세트/이어폰선택 스위치(SW)와 트랜스(T) 그리고 트랜지스터(Q2, ……, Q6) 및 다이오드(D1), (D2)와 콘덴서(C3)를 구비한 전원자동공급회로(C)를 연결시켜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선택기능을 선택한 전화기용 아답타.
KR92005906U 1992-04-10 1992-04-10 통화선택기능을 갖는 전화기용 아답타 KR950004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906U KR950004457Y1 (ko) 1992-04-10 1992-04-10 통화선택기능을 갖는 전화기용 아답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906U KR950004457Y1 (ko) 1992-04-10 1992-04-10 통화선택기능을 갖는 전화기용 아답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516U KR930024516U (ko) 1993-11-27
KR950004457Y1 true KR950004457Y1 (ko) 1995-06-01

Family

ID=1933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5906U KR950004457Y1 (ko) 1992-04-10 1992-04-10 통화선택기능을 갖는 전화기용 아답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4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10B1 (ko) * 2005-04-07 2013-02-1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싯대의 릴 시트 구조 및 낚싯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10B1 (ko) * 2005-04-07 2013-02-1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싯대의 릴 시트 구조 및 낚싯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516U (ko) 199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8776B2 (ja) 送受信機
US6519475B1 (en) Earphone-microphone combination including a radio module and method of shifting its operational mode between telephone mode and radio mode
US5191602A (en) Cellular telephone headset
US4367374A (en) Modem telephone interface circuit
US4907267A (en) Modem interface device
EP1199867B1 (en) Mobile terminal
JPH10200989A (ja) イヤホン
JP2003125069A (ja) 携帯電話のイヤホーンジャックに連結可能なスピーカモジュール及びその制御方法
KR950004457Y1 (ko) 통화선택기능을 갖는 전화기용 아답타
JP3855014B2 (ja) 携帯電話用ページングアンプ
JPH0951369A (ja) イヤホンマイクセット付き電話装置
KR950002110Y1 (ko) 통화선택기능을 갖는 전화기용 아답타
JPS6336757Y2 (ko)
JP3061733B2 (ja) 同時通話インターホン装置
US6445789B1 (en) Telephone having hand-set to be used also as voice input/output device for personal computer
KR20010072043A (ko) 수화기를 들 필요가 없는 전화기용 헤드셋
KR200287141Y1 (ko) 듀얼 마이크 이어폰
KR200240717Y1 (ko) 핸드프리기능을위한연결장치
KR200183281Y1 (ko) 인터넷 폰 겸용 전화기(2수화기)
KR200202418Y1 (ko) 전화기
KR200229982Y1 (ko)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
KR200286792Y1 (ko) 핸즈프리용 유선전화기의 콘넥터
KR200318746Y1 (ko) 스테레오 이어셋의 휴대전화용 연결선 및 연결모듈
KR2001001812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방법
KR200267247Y1 (ko) 전화기에 부속된 핸즈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