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982Y1 -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982Y1
KR200229982Y1 KR2020010003570U KR20010003570U KR200229982Y1 KR 200229982 Y1 KR200229982 Y1 KR 200229982Y1 KR 2020010003570 U KR2020010003570 U KR 2020010003570U KR 20010003570 U KR20010003570 U KR 20010003570U KR 200229982 Y1 KR200229982 Y1 KR 200229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ble
call
voice
h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황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컴포
문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컴포, 문도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컴포
Priority to KR2020010003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9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982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호를 주고 받도록 이동전화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케이블의 선단에 접속고정된 콘넥터와, 수신 및 발신신호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을 수용함과 동시에 제어수단의 볼륨스위치가 상부에 설치되며, 내장된 스피커의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핸즈 프리 키트와, 상기 핸즈 프리 키트의 좌ㆍ우측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내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합성섬유 또는 자연섬유로 이루어진 목걸이와, 상기 목걸이의 중간부에 고정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통화 상대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이어폰과, 상기 목걸이의 우측부내를 관통해서 좌측부의 중간부까지 내설되며 상기 마이크 및 이어폰을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는 케이블과, 상기 마이크에 접속된 2가닥의 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마이크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목걸이 및 케이블을 누르는 제1 클램퍼와, 상기 이어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케이블의 과도한 누출을 규제하도록 목걸이 및 케이블을 누르는 제2 클램퍼와, 상기 핸즈 프리 키트의 하부 개구부에 설치되는 파지부재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에 이동전화기의 결합고리에 결합되는 유연성의 링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연결 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A HANDS FREE KIT SET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상시에 이동전화기(mobile phone ; 통상적으로 핸드 폰이라고도 한다)를 통해 걸려온 전화를 받을 경우에 손을 사용하지 않고 전화를 받을 수 있음과 동시에, 통화시에 전자파의 피폭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핸즈 프리 키트 장치로는 1998년 12월 29일 실용신안등록 출원하여 2000년 7월 15일자로 실용신안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핸즈 프리 키트 장치(공개번호 실2000-13925호)가 있다.
동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핸즈 프리 키트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에는 수신음을 출력하는 이어피스(12) 및 전화 상태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어피스(12)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화음을 다시 수신하여 케이블(50)을 통하여 차량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스피커(52)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연결카바(30)가 상기 단말기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연결카바(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패널(34)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연결카바(30)는 이어피스(12)에서 출력되는 음을 수신하는 내장 마이크(32)와, 단말기 본체(10)에 밀착되게 장착되도록 3면에 일체적으로 홀더(36)가 신축성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핸즈프리 키트 장치는 단말기 본체(10)를 핸즈프리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단말기 본체(10)에 연결카바(30)를 끼우고, 이어피스(12)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은 내장 마이크(32)에서 수신된다.
상기 내장 마이크(32)에서 수신된 음은 도시하지 않은 증폭부를 통하여 증폭되어, 케이블(50)을 통하여 스피커(52)에서 출력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핸즈프리 키트 장치는 자동차내의 특정 위치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은 단말기 고정장치의 배면측에 자석이 부착되어 있어 차량에 일정 충격력이상이 가해지면, 단말기가 고정장치로 부터 떨어져서 파손될 염려가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핸즈 프리 키트 장치에 설치된 마이크가 고성능의 마이크이기는 하지만 30-40m 정도 떨어지면, 통화감도가 떨어져서 통화에 지장을 준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또한 차량내에서만 사용해야 한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말기가 파손될 염려가 없고, 통화감도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목에 걸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통화시에 전자파의 피폭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는 신호를 주고 받도록 이동전화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케이블의 선단에 접속고정된 콘넥터와, 수신 및 발신신호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을 수용함과 동시에 제어수단의 볼륨스위치가 상부에 설치되며, 내장된 스피커의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핸즈 프리 키트와, 상기 핸즈 프리 키트의 좌ㆍ우측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내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합성섬유 또는 자연섬유로 이루어진 목걸이와, 상기 목걸이의 중간부에 고정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통화 상대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이어폰과, 상기 목걸이의 우측부내를 관통해서 좌측부의 중간부까지 내설되며 상기 마이크 및 이어폰을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는 케이블과, 상기 마이크에 접속된 2가닥의 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마이크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목걸이 및 케이블을 누르는 제1 클램퍼와, 상기 이어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케이블의 과도한 누출을 규제하도록 목걸이 및 케이블을 누르는 제2 클램퍼와, 상기 핸즈 프리 키트의 하부 개구부에 설치되는 파지부재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에 이동전화기의 결합고리에 결합되는 유연성의 링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연결 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핸즈 프리 키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핸즈 프리 키트 장치의 연결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화살표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핸즈 프리 키트내에 설치되는 제어수단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콘넥터 103:케이블
110:제어수단 111:마이크로 프로세서
112:제1 증폭기 113:제2 증폭기
114:차동증폭기 115:제1 오디오증폭기
116:에코음 제거부 117:제2 오디오증폭기
118: 발진기 120:핸즈 프리 키트
122:스피커 124:관통공
126a,126b:관통공 130:목걸이
132:마이크 134:이어폰
136:케이블 138:제1 클램퍼
140:제2 클램퍼 142:파지부재
146:케이블 144:링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화살표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핸즈 프리 키트내에 설치되는 제어수단의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는 신호를 주고 받도록 도시하지 않은 이동전화기(또, 이동전화기 단말기라고도 한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케이블(103)의 선단에 접속고정된 콘넥터(101)와, 수신 및 발신신호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10)과, 상기 제어수단(110)을 수용함과 동시에 제어수단(110)의 볼륨스위치(VR)가 상부에 설치되며, 내장된 스피커(122)의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다수의 관통공(124)이 형성된 핸즈 프리 키트(120)와, 상기 핸즈 프리 키트(120)의 좌ㆍ우측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26a,126b))내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합성섬유 또는 자연섬유로 이루어진 목걸이(130)와, 상기 목걸이(130)의 중간부에 고정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32)와, 통화 상대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이어폰(134)과, 상기 목걸이(130)의 우측부내를 관통해서 좌측부의 중간부까지 내설되며 상기 마이크(132) 및 이어폰(134)을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는 케이블(146)과, 상기마이크(132)에 접속된 2가닥의 케이블(136)의 단선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마이크(132)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목걸이(130) 및 케이블(136)을 누르는 제1 클램퍼(138)와, 상기 이어폰(13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케이블(136)의 과도한 누출을 규제하도록 목걸이(130) 및 케이블(136)을 누르는 제2 클램퍼(140)와, 상기 핸즈 프리 키트(120)의 하부 개구부에 설치되는 파지부재(142)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에 이동전화기의 결합고리에 결합되는 유연성의 링(144 ; 나일론 실로 이루어짐)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연결 끈(14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수단(110)은 이동전화기으로 부터 수신데이터(RXD)를 받아서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토콜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일치할 경우에 통화가능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에 의해서 프로토콜이 일치한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1)를 스탠바이(stand-by)시키도록 이동전화기로 부터 출력되는 바이어스 신호(파워 온(P-ON)신호)를 바이어스저항(R1)을 통해 받아 도통되는 트랜지스터(Q1)와, 전화를 걸어서 상대방과 접속되었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132)로 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해서 이동전화기에 출력하는 제1 및 제2 증폭기(112,113)와, 통화시에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일정레벨로 차동증폭하는 차동증폭기(114)와, 상기 차동증폭기(114)에서 증폭된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스위치(VR)와, 상기 볼륨스위치(VR)에서 볼륨이 조절된 신호를 받아서 스피커(122)를 통해서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일정레벨로 오디오 증폭하는 제1 오디오증폭기(115)와, 통화시에 상기 스피커(122)를 통해 출력되는 상대방의 음성이 상기마이크(132)에 입력되지 않도록 상기 마이크(132)에 입력된 스피커(122)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접지로 바이패스하는 에코음 제거부(116)와, 비밀통화를 원할 경우에 상기 스피커(122)에서 통화음성이 출력되지 않도록 절환하는 절환스위치(SW)와, 상기 절환스위치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1)로 부터 뮤트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상기 차동증폭기(114)에서 출력되는 통화신호(상대방 음성신호)를 받아 상기 이어폰(134)에서 출력하도록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제2 오디오증폭기(117)와, 통화중임을 표시하도록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에코음 제거부(116)는 상기 차동증폭기(114)에서 출력되는 통화신호(상대방 음성신호)를 받아 DC성분을 차단하는 제1 커플링 캐패시터(C1)와, 제1 커플링 캐패시터(C1)를 통과한 오디오 신호(AC성분)를 바이어스저항(R2,R3)을 통해 베이스단자에서 받아 증폭하는 증폭트랜지스터(Q2)와, 상기 증폭트랜지스터(Q2)에 의해 증폭된 음성통화신호중에서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을 통과시키는 제2 커플링 캐패시터(C2)와, 상기 제2 커플링 캐패시터(C2)를 통과한 AC 성분의 신호를 전파정류하는 전파정류기(D1,D2)와, 상기 전파정류기(D1,D2)에서 전파정류된 신호를 평활화시키는 평활캐패시터(C3)와, 상기 평활캐패시터(C3)에서 평활화된 신호를 바이어스저항(R6,R7)을 통해서 베이스 단자에서 받아 스위칭 온되어 상기 스피커(122)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마이크(132)에서 입력받아 제1 증폭기(112)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신호를 저항(R8)을 통해 접지로 바이패스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118은 발진기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내장된 스피커(122)의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다수의 관통공(124)이 형성된 핸즈 프리 키트(120)의 좌ㆍ우측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26a,126b))내에 양단부가 고정된 목걸이(130)를 걸고나서, 콘넥터(101)를 도시하지 않은 이동전화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이동전화기의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스위칭 온하면, 콘넥터(101)의 ②번 단자를 통해서 이동전화기로 부터 출력되는 바이어스 신호(파워 온(P-ON)신호)가 저항(R1)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를 도통시킴으로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11)에 파워 온(P-ON)신호가 인가되어 이동전화기와 본 고안의 이동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가 스탠 바이 상태가 된다.
이 때, 본 고안의 이동전화기용 핸드 프리 키트 장치와 이동전화기가 콘넥터(10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동전화기로 부터 콘넥터(101)의 ①번 단자를 통해서 +5V의 직류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콘넥터(101)의 ⑤번 단자를 통해서 수신데이터(RXD ;Receive Data)가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에 입력되며, 수신데이터(RXD)를 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프로토콜과 상기 수신데이터(RXD)의 프로토콜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여 동일할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에서 프로토콜이 동일하다는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송신데이터(TXD ;Transitter Data)가 콘넥터(101)의 ④번 단자를 통해서 이동전화기에 출력하여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전화기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어 상대방을 호출해서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목걸이(130)의 중간부에 고정설치된 마이크(132)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며, 상기 마이크(132)에서 음성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마이크(132)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TXA)는 제1 및 제2 증폭기(112,113)에서 증폭해서 콘넥터(101)의 ⑥번 단자를 통해서 오디오출력신호(TXA)를 이동전화기에 출력하며, 이동전화기에서는 상대방의 전화기에 송신한다.
그리고, 상대방에서 보내는 음성신호(RXA)는 수신측 이동전화기에서 수신되어 콘넥터(101)의 ⑧번 단자를 통해 본 고안의 이동전화기용 핸드 프리 키트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110)의 차동증폭기(114)에서 일정레벨로 차동증폭하고, 볼륨스위치(VR)에서 볼륨이 조절되어 제1 오디오증폭기(115)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오디오증폭기(115)에서는 볼륨스위치(VR)에서 볼륨이 조절된 수신신호를 일정레벨로 오디오 증폭하여 스피커(122)에 출력하며 스피커(122)에서 음성으로 출력한다.
한편, 스피커(122)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마이크(132)로 입력되어 수신자의 스피커(122)에 다시 출력됨으로서 에코음에 의해 통화감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코음 제거부(116)의 스위칭 트랜지스터(Q3)를 도통시켜서 제1 증폭기(112)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스피커(122)에서 출력된 음성신호 성분을 저항(R8)을 통해 접지로 바이패스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에코음 제거부(116)의 제1 커플링 캐패시터(C1)에서는 상기 차동증폭기(114)에서 출력되는 통화신호(수신된 상대방 음성신호)를 받아 DC성분을 차단하여 바이어스저항(R2,R3)을 통해 증폭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인가하여 증폭트랜지스터(Q2)에서 일정레벨로 증폭하여 제2 커플링 캐패시터(C2)에 출력하며, 상기 제2 커플링 캐패시터(C2)에서는 상기 증폭트랜지스터(Q2)에서 증폭된 음성통화신호 중에서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을 통과시킨다.
상기 제2 커플링 캐패시터(C2)를 통과한 AC성분의 신호는 전파정류기(D1,D2)에서 전파정류되고, 평활캐패시터(C3)에서 평활화되어 바이어스저항(R6,R7)을 통해서 스위칭 트랜지스터(Q3)를 도통시시킴으로서, 스피커(122)에서 출력되어 마이크(132)로 입력되고 제1 증폭기(112)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신호를 저항(R8)을 통해 접지로 바이패스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이동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장치는 마이크와 스피커가 항상 사용자의 근처에 있어 통화감도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목에 걸고 이동전화기를 사용하므로, 동작에 방해를 받지 않고 매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통화시에 전자파의 피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이동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장치는 상기 마이크(132) 및 이어폰(134)을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는 케이블(146)이 목걸이(130)의 우측부내를 관통해서 좌측부의 중간부까지 내설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132)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목걸이(130) 및 케이블(136)을 제1 클램퍼(138)에 의해서 클램프되어 있어 상기 마이크(132)에 접속된 2가닥의 케이블(136)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제2 클램퍼(140)에 의해서 상기 이어폰(13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케이블(136)을 누르고 있으므로, 상기 이어폰(134)에 접속된 케이블(136)이 목걸이(130)로 부터 과도하게 노출되지도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핸즈프리 키트(120)의 하부 개구부(부호표시하지 않음)에 설치되는 파지부재(142)에 연결 끈(146)의 일측을 결합하고 상기 연결 끈(146)의 타측에 이동전화기의 결합고리에 결합되는 유연성의 링(144)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동전화기를 본 고안의 이동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에 일체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이동전화기를 분실할 염려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이동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로 부터 이동전화기가 떨어져서 파손될 염려도 전혀 없다.
한편, 비밀통화를 하고 싶을 경우에는 절환스위치(SW)를 한번 누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1)에 절환스위치(SW)의 절환신호가 입력되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111)에서 제1 오디오 증폭기(115)의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고, 마이크로프로세서(111)에서 제2 오디오 증폭기(117)에 비밀통화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제1 오디오 증폭기(115)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스피커(122)에서는 상대방 통화자의 음성신호가 출력되지 않음과 동시에, 제2 오디오 증폭기(117)가 상기 차동증폭기(114)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다시 증폭하여 이어폰(134)을 통해서 상대방 통화자의 음성신호가 출력됨으로서, 비밀 통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통화중일 경우에는 통화중임을 표시하기 위하여 발광다이오드(LED)가 발광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장치에 의하면, 이동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를 이동전화기에 결합하여 목에 걸고 있으면 단말기가 파손될 염려가 없고, 마이크와 스피커가 항상 사용자의 근처에 있어 통화감도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에 걸고 이동전화기를 사용하므로, 동작에 방해를 받지 않고 매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통화시에 전자파의 피폭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전화기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이동전화기를 분실할 염려가 전혀 없고 또 이동전화기가 떨어져서 파손될 염려도 전혀 없다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신호를 주고 받도록 이동전화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케이블(103)의 선단에 접속고정된 콘넥터(101)와, 수신 및 발신신호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10)과, 상기 제어수단(110)을 수용함과 동시에 제어수단(110)의 볼륨스위치(VR)가 상부에 설치되며, 내장된 스피커(122)의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다수의 관통공(124)이 형성된 핸즈 프리 키트(120)와, 상기 핸즈 프리 키트(120)의 좌ㆍ우측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26a,126b))내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합성섬유 또는 자연섬유로 이루어진 목걸이(130)와, 상기 목걸이(130)의 중간부에 고정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32)와, 통화 상대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이어폰(134)과, 상기 목걸이(130)의 우측부내를 관통해서 좌측부의 중간부까지 내설되며 상기 마이크(132) 및 이어폰(134)을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는 케이블(146)과, 상기 마이크(132)에 접속된 2가닥의 케이블(136)의 단선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마이크(132)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목걸이(130) 및 케이블(136)을 누르는 제1 클램퍼(138)와, 상기 이어폰(13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케이블(136)의 과도한 누출을 규제하도록 목걸이(130) 및 케이블(136)을 누르는 제2 클램퍼(140)와, 상기 핸즈 프리 키트(120)의 하부 개구부에 설치되는 파지부재(142)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에 이동전화기의 결합고리에 결합되는 유연성의 링(144)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연결 끈(146)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10)은 이동전화기으로 부터 수신데이터(TXD)를 받아서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토콜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일치할 경우에 통화가능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에 의해서 프로토콜이 일치한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1)를 스탠바이(stand-by)시키도록 이동전화기로 부터 출력되는 바이어스 신호(파워 온(P-ON)신호)를 바이어스저항(R1)을 통해 받아 도통되는 트랜지스터(Q1)와, 전화를 걸어서 전화를 걸어서 상대방과 접속되었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132)로 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해서 이동전화기에 출력하는 제1 및 제2 증폭기(112,113)와, 통화시에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일정레벨로 차동증폭하는 차동증폭기(114)와, 상기 차동증폭기(114)에서 증폭된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스위치(VR)와, 상기 볼륨스위치(VR)에서 볼륨이 조절된 신호를 받아서 스피커(122)를 통해서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일정레벨로 오디오 증폭하는 제1 오디오증폭기(115)와, 통화시에 상기 스피커(122)를 통해 출력되는 상대방의 음성이 상기 마이크(132)에 입력되지 않도록 상기 마이크(132)에 입력된 스피커(122)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접지로 바이패스하는 에코음 제거부(116)와, 비밀통화를 원할 경우에 상기 스피커(122)에서 통화음성이 출력되지 않도록 절환하는 절환스위치(SW)와, 상기 절환스위치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1)로 부터 뮤트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상기 차동증폭기(114)에서 출력되는 통화신호(상대방 음성신호)를 받아 상기 이어폰(134)에서 출력하도록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제2 오디오증폭기(117)와, 통화중임을 표시하도록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코음 제거부(116)는 상기 차동증폭기(114)에서 출력되는 통화신호(상대방 음성신호)를 받아 DC성분을 차단하는 제1 커플링 캐패시터(C1)와, 제1 커플링 캐패시터(C1)를 통과한 오디오 신호(AC성분)를 바이어스저항(R2,R3)을 통해 베이스단자에서 받아 증폭하는 증폭트랜지스터(Q2)와, 상기 증폭트랜지스터(Q2)에 의해 증폭된 음성통화신호중에서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을 통과시키는 제2 커플링 캐패시터(C2)와, 상기 제2 커플링 캐패시터(C2)를 통과한 AC 성분의 신호를 전파정류하는 전파정류기(D1,D2)와, 상기 전파정류기(D1,D2)에서 전파정류된 신호를 평활화시키는 평활캐패시터(C3)와, 상기 평활캐패시터(C3)에서 평활화된 신호를 바이어스저항(R6,R7)을 통해서 베이스 단자에서 받아 스위칭 온되어 상기 스피커(122)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마이크(132)에서 입력받아 제1 증폭기(112)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신호를 저항(R8)을 통해 접지로 바이패스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
KR2020010003570U 2001-02-13 2001-02-13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 KR200229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570U KR200229982Y1 (ko) 2001-02-13 2001-02-13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570U KR200229982Y1 (ko) 2001-02-13 2001-02-13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982Y1 true KR200229982Y1 (ko) 2001-07-19

Family

ID=7309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570U KR200229982Y1 (ko) 2001-02-13 2001-02-13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9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50Y1 (ko) 2009-01-28 2011-03-04 오상원 무선마이크용 목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50Y1 (ko) 2009-01-28 2011-03-04 오상원 무선마이크용 목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5179B2 (en) No-cable stereo handsfree accessory
US20020067825A1 (en) Integrated headphones for audio programm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a biased microphone boom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US20050288067A1 (en) Incoming call alert adapter for mobile devices
JP2008193688A (ja) ヘッドセット
KR200229982Y1 (ko)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
DK0793372T3 (da) Håndfri telefonkonverter
US20030053650A1 (en) Earphone device for motorcycle rider and passenger
KR200229983Y1 (ko) 이동 전화기용 핸즈 프리 키트 장치
JPH0951369A (ja) イヤホンマイクセット付き電話装置
KR100640409B1 (ko)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AU2019101106A4 (en) This invention integrates a 2-way radio and Bluetooth stereo audio chip capabilities. It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2-way radio signals, perform hands-free telephony using Bluetooth and act as Audio Sink via Bluetooth or auxiliary input into the device.
KR100371449B1 (ko) 무선 이어폰/마이크를 갖는 착탈형 무선전환장치
KR200297341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송수신기를 장착한 헬멧
KR200305251Y1 (ko)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
JPH0326223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001086202A (ja) イヤマイクアセンブリ
KR200183281Y1 (ko) 인터넷 폰 겸용 전화기(2수화기)
KR200267247Y1 (ko) 전화기에 부속된 핸즈프리 장치
KR950004457Y1 (ko) 통화선택기능을 갖는 전화기용 아답타
KR200202259Y1 (ko) 이중 송화구멍을 가지는 핸즈프리 송수화기
KR101439936B1 (ko) 이어폰이 장착된 휴대전화 케이스
KR200184061Y1 (ko) 와이어리스 수화기를 구비한 전화기
JP3379436B2 (ja) 車載電話装置及び携帯型電話機
KR100745009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무선 핸즈프리 세트
KR200300096Y1 (ko) 이동형 음향기기 및 휴대전화 공용 이어폰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