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8124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8124A
KR20010018124A KR1019990033945A KR19990033945A KR20010018124A KR 20010018124 A KR20010018124 A KR 20010018124A KR 1019990033945 A KR1019990033945 A KR 1019990033945A KR 19990033945 A KR19990033945 A KR 19990033945A KR 20010018124 A KR20010018124 A KR 20010018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icrophone
data
ea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주
염길춘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33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8124A/ko
Publication of KR2001001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12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어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으로 메모리수단의 목록에 저장되어 있는 임의의 상대방을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대기 모드에서 이어 마이폰 버튼 스위치의 구동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버튼 스위치의 구동이 검출되면 구동 횟수를 카운터하여 일정 횟수 이상이면 발신호를 설정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이름을 요구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 후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된 목록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일치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음성 재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한 다음 음성 인식모드를 재 수행하고 일치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의 전화번호를 자동 다이얼링하여 상대방을 호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휴대한 상태에서 착발신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운전중 음성 입력을 통한 다이얼링으로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을 호출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성 및 안정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방법{Method For Voice Activated Dialing Using Ear Mic-Phon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어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으로 메모리수단의 목록에 저장되어 있는 임의의 상대방을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자동차의 운전중이나 오토바이의 운전중에 손의 사용없이 통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 잭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이어폰 잭에 이어 마이크 폰을 결합하게 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음성 입력수단인 마이크와 음성 출력수단인 스피커의 접점이 단락되어 동작되지 않고 단지 이어 마이크 폰과 접점이 연결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운전중이나 오토바이 등을 운전하는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취급 없이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해 상대방과 자유로이 통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잭에 이어 마이크 폰을 결합한 대기 모드에서 임의의 상대방으로 부터 착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가입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임의의 키를 구동하거나 플립형 단말기에서 플립 커버의 개방 또는 이어 마이크 폰의 마이크 유닛에 스위치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버튼의 구동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에서 통화 모드로 절환한 다음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해 착신호를 요구한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해 착신호에 대해서는 통화 모드로 진입할 수 있으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키 패드의 구동없이 이어 마이크 폰 만을 통해 상대방을 호출할 수 있는 기능은 제공되고 있지 않으며, 마이크 유닛의 소정 위치에 버튼 스위치가 구비되는 이어 마이크 폰의 경우 버튼 스위치의 구동을 통해 상대방을 호출 할수는 있으나, 이는 단지 최종 전화번호의 재다이얼링에 불과한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해서는 메모리 수단의 목록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가입자가 임의의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해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버튼을 구동하여야 하며, 메모리수단의 목록에 저장된 임의의 상대방을 음성 다이얼링을 통해 호출하기 위해서는 이어잭에 결합된 이어 마이크 폰을 분리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의 접점을 연결한 상태에서 음성 입력을 통한 다이얼링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잭에 결합되는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입력으로 전화번호 목록에 저장되어 있는 상대방을 다양하게 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중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휴대한 상태에서 임의의 상대방 호출에 편리성 및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 장치에서 이어 마이크 폰이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을 실행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20 : 코덱부
30 : 제1비교부 40 : 증폭부
50 : 제2비교부 60 : 이어잭
S/W : 버튼 스위치 MIC : 마이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마이크 유닛에 버튼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이어 마이크 폰이 이어잭에 결합되어 있는 대기 모드에서 상기 버튼 스위치의 구동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버튼 스위치의 구동이 검출되면 구동 횟수를 카운터하여 일정 횟수 이상이면 발신호를 설정하고자 하는 상대방 이름의 입력을 요구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 후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된 목록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일치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음성 재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한 다음 음성 인식모드를 재 수행하고 일치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의 전화번호를 자동 다이얼링하여 상대방을 호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다이얼링 장치는 제어부(10)와, 코덱부(20), 제1비교부(30), 제2비교부(40), 증폭부(50)및 이어잭(60)으로 이루어지는데, 제어부(10)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이어잭(60)에 결합된 이어 마이크 폰의 버튼 스위치(S/W)의 구동에 따라 입력되는 키 인터럽트의 신호를 분석하여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입력 다이얼링 모드의 진입 여부를 제어한다.
코덱부(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MIC) 또는 이어잭(60)에 결합된 이어 마이크 폰의 마이크(MIC1)로 입력되는 송신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대방으로 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 또는 이어 마이크 폰의 스피커(SPK1)로 출력하며, 음성 다이얼링을 위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제1비교부(30)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MIC)로부터 일측단자(+)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다른 일측단자(-)에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코덱부(20)의 인에이블 제어하기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다.
증폭부(40)는 상기 코덱부(20)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수신 음성신호를 설정된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제2비교부(50)는 이어잭(60)에 결합된 이어 마이크 폰의 버튼 스위치(S/W) 구동에 따라 일측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와 다른 일측단자(-)에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입력 다이얼링 모드 진입 여부를 제어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10)측에 인가한다.
이어잭(60)은 이어 마이크 폰을 결합하는 인터페이스수단으로 이어 마이크 폰이 결합되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송수신수단의 단락시킨 다음 결합되는 이어 마이크 폰 만을 통한 인터페이스를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입력 다이얼링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이어 마이크 폰을 이동 통신 단말기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동작은 통상적인 동작으로 수행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동작은 생략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상적인 상태의 대기모드에서 코덱부(20)의 마이크 입력단자(MIC IN)에서는 마이크(MIC)가 음성 입력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데 필요한 기준 전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5V의 기준 전압이 출력되어 출력단자가 제어부(10)의 GPIO 입력단자와 연결되는 일측단자(-)에 일예를 들어 '0.7V'의 기준값이 설정되어 있는 제2비교부(50)의 일측단자(+)에 공급되고, 이때 이어잭(60)에 이어 마이크 폰이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내부의 a접점과 b접접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코덱부(20)의 마이크 입력단자(MIC IN)에서 출력되는 기준전압이 이어잭(60)의 a,b접점을 통해 일측단자(-)에 일예를 들어 '0.7V'의 기준값이 설정되어 있는 제1비교부(30)의 일측단자(+)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상태에서 이어잭(60)에 이어 마이크 폰이 결합되어지면 이어잭(60) 내부의 a,b 접점은 기구적인 구조에 의해 단락되므로 이어잭(60)의 a접점을 통해 전압을 공급받던 b접점은 임피던스 Z를 갖는 이어 마이크 폰의 결합에 의해 '0V' 의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1비교부(30)는 일측단자(+)에 이어잭(60)의 b접점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이 다른 일측단자(-)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 이하인 상태로 되므로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절환되어 코덱부(20)측에 입력되어 코덱부(20)의 디스에이블에 의해 통화 대기의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덱부(20)에서 이어 마이크 폰의 마이크(MIC1)에서 인가되는 기준전압이 상기 제2비교부(50)의 일측단자(+)로 인가되어 다른 입력단자(-)에 설정된 기준값 보다 높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이'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10)의 GPIO단자에 입력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대기 모드의 상태를 유지하여 준다.
이때, 제2비교부(50)의 입력단이 무한대의 저항값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준전압에 영향을 주기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비교부(50)의 출력이 '하이' 상태를 유지하여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일측단자가 그라운드로 연결되는 이어 마이크 폰의 마이크 유닛 내 버튼 스위치(S/W) 접점이 온되면 코덱부(20)의 마이크 입력단자(MIC IN)에서 출력되는 기준전압이 버튼 스위치(S/W)의 접점을 통해 그라운드로 흐르게 되므로, 제2비교부(50)의 일측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로우'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2비교부(50)는 일측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다른 일측단자(-)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 이하로 천이되므로, 출력단자는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의 신호로 절환되어 제어부(10)의 GPIO단자에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이어 마이크 폰 내의 버튼 스위치(S/W)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전압 변환의 횟수를 제어부(10)가 감지하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변환된 횟수에 해당하는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이크 폰 내의 버튼 스위치(S/W)의 구동에 의한 전압 변환 감지를 통해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해 음성 다이얼링 모드로의 진입을 수행하는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잭(60)에 이어 마이크 폰이 결합되지 않은 통신 대기의 모드에서(S101) 이어잭(60)에 마이크 유닛 내에 버튼 스위치(S/W)가 구비되어 있는 이어 마이크 폰을 결합하면(S102) 상기한 설명에서와 같이 동작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송수신수단을 차단한 상태로 통화 대기의 모드를 유지한다(S103).
상기와 같이 이어잭(60)에 이어 마이크 폰이 결합되어 있는 통화 대기의 모드에서 이어 마이크 폰의 마이크 유닛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 스위치(S/W)를 설정된 일정 횟수, 바람직하게는 2회 구동하게 되면(S104) 제어부(10)는 GPIO 입력 포트를 통해 인터럽트되는 전압의 변환 횟수를 검출하여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한 다음 음성 입력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여 코덱부(20)를 인에이블시켜 스피커(SPK1)를 통해 '이름을 말하세요'라는 메시지를 출력한 다음(S105) 음성 인식 모드의 상태로 진입한다(S106).
상기와 같이 음성 인식 모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이어 마이크 폰의 마이크 유닛으로 부터 임의의 상대방 이름을 호출하는 음성 입력이 코덱부(20)를 통해 검출되면 제어부(10)는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와 메모리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의 목록을 비교하여(S107) 일치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108).
상기에서 일치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코덱부(20)를 인에이블시켜 '이름을 다시 말하세요' 라는 메시지를 송출한후 음성 인식 모드로 리턴되고(S114), 일치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판단되면 해당 전화번호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자동 다이얼링을 통해 상대방을 호출한다(S110).
상기와 같이 음성 입력을 통한 자동 다이얼링으로 호출한 상대방이 응답하여 통화로가 형성되면 통화 모드를 수행하며(S111),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이어 마이크 폰의 마이크 유닛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 스위치(S/W)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통화 모드를 해제한 다음 리턴되어 대기모드를 유지한다(S112)(S113).
또한, 마이크 유닛에 버튼 스위치(S/W)가 구비되는 이어 마이크 폰을 이어잭(60)에 결합한 상태에서 최종 호출한 전화번호를 재 다이얼링하는 동작과 착신호의 검출에 따라 통화 모드를 진입하는 동작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과 동일하게 버튼 스위치(S/W)의 구동에 의해 해당 모드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입력으로 메모리 수단의 전화 번호 목록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호출할 수 있어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휴대한 상태에서 착발신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운전중 음성 입력을 통한 다이얼링으로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을 호출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성 및 안정성이 제공된다.

Claims (2)

  1.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대기 모드에서 이어잭에 결합된 이어 마이크 폰 버튼 스위치의 구동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버튼 스위치의 구동이 검출되면 구동 횟수를 카운터하여 일정 횟수 이상이면 발신호를 설정하고자 하는 상대방 이름의 입력을 요구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 후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된 목록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일치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음성 재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한 다음 음성 인식모드를 재 수행하고 일치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의 전화번호를 자동 다이얼링하여 상대방을 호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잭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상대방 이름의 입력을 요구하는 음성 메세지의 출력은 상기 버튼 스위치의 연속적인 2회 이상 구동 검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잭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방법.
KR1019990033945A 1999-08-17 1999-08-1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방법 KR20010018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945A KR20010018124A (ko) 1999-08-17 1999-08-1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945A KR20010018124A (ko) 1999-08-17 1999-08-1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124A true KR20010018124A (ko) 2001-03-05

Family

ID=19607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945A KR20010018124A (ko) 1999-08-17 1999-08-1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81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851B1 (ko) * 2000-01-25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에 의한 발신 방법
KR100770452B1 (ko) * 2001-06-26 2007-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메뉴와 이어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장치
KR101344863B1 (ko) * 2011-07-21 2014-01-16 김쌍규 음성인식 다이얼링 헤드셋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851B1 (ko) * 2000-01-25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에 의한 발신 방법
KR100770452B1 (ko) * 2001-06-26 2007-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메뉴와 이어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장치
KR101344863B1 (ko) * 2011-07-21 2014-01-16 김쌍규 음성인식 다이얼링 헤드셋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467B1 (ko) 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5526405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a speakerphone operation mode cordless
KR100338000B1 (ko) 무선통신장치
KR2001001812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방법
KR2005012039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거리 센서를 이용한 스피커폰 제어장치와 방법
KR1005590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178691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프리웨이 스피커 폰 장치
KR100306487B1 (ko) 핸드프리용 스피커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JPH04354234A (ja) 電話装置
KR100207819B1 (ko) 난청자용 전화기
JPH0451637A (ja) 音声認識電話機における受話音量設定方式
KR100208763B1 (ko) 전화단말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전화수신방법
KR200252094Y1 (ko) 유선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
KR200254448Y1 (ko) 전화기 음량 조절 장치
KR200259991Y1 (ko)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 연결 어댑터를 구비한이동전화기용 충전기
KR20010072043A (ko) 수화기를 들 필요가 없는 전화기용 헤드셋
KR100413537B1 (ko) 유선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
JPS6042969A (ja) 電話拡声器
KR100218692B1 (ko) 훅크 스위치 자동 온/오프 전환기능을 갖춘 전화기
JPH04286443A (ja) 電話機の保留制御装置
JP3088379B2 (ja) スピーカホン通話機能を備えた通信端末装置
JPH1155363A (ja) 無線通信用の発信アダプター
KR19990016321A (ko) 핸드셋과 스피커폰 동시 통화 수행 방법
JPH01173951A (ja) 音声ダイヤル電話方式並びにその装置
JP2000349892A (ja) ハンズフリ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