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258B1 -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258B1
KR950004258B1 KR1019920006435A KR920006435A KR950004258B1 KR 950004258 B1 KR950004258 B1 KR 950004258B1 KR 1019920006435 A KR1019920006435 A KR 1019920006435A KR 920006435 A KR920006435 A KR 920006435A KR 950004258 B1 KR950004258 B1 KR 950004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information
pattern
user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864A (ko
Inventor
백승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1019920006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258B1/ko
Priority to JP11531393A priority patent/JP3251379B2/ja
Publication of KR930021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258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장치와 방법
제 1 도는 종래의 세탁제어장치 블륵구성도.
제 2 도는 종래의 세탁제어과정의 플로우챠트.
제 3 도는 본 발명의 세탁제어장치 블록구성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세탁제어방범의 플로우챠트.
제 5 도는 본 발명의 세탁제어방법에서 세탁패던인식 및 자기 학습과정의 플로우차트.
제 6 도의 (a)는 본 발명 장치에서 세탁패턴인식 메모리의 데이타 구조의 일예. (b)는 본 맡영 창치에서 세탁패턴인식 메모리의 사용자 세탁패턴의 일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이조삭부 2 : 포랑감지부
3 : 오염감지부 4 : 수위감지부
6 : 부하부 7 : 출력구동부
8 : 세탁패턴메모리 9 : 마이컴
본 발명은 세탁기 사용자의 취향, 기호, 개성등에 따라 수동세탁시의 세탁시간, 수위, 탈수시간 및 헹굼횟수등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세탁패턴을 자기학습을 통해 인식하여 차후 자동세탁 수행시 사용자 고유의 세탁패턴에 준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한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에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제어장치는 기기조작을 위한 키이조작부(1)와, 세탁물량을 감지하는 포감지부(2)와, 세탁수의 혼탁도를 감지하는 오염정도 감지부(3)와,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4)와, 키이조작 정보및 제반 감지정보를 해독하여 그에 대응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마이컴(5)과, 상기 마이컴(5) 제어에 따라 세탁/탈수 모터, 표시부, 밸브등의 부하부(6)를 제어하는 출력구동부(7)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의한 세탁제어동작은 수동세탁 또는 자동세탁으로 판별된다.
즉, 제2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키이조작부(1)를 소작하여 수동 또는 자동 세탁모드를 결정하면 마이컴(5)이 이를 판별하여 수동세탁 모드인 경우와 자동 세탁모드인 경우로 구분 제어한다.
수동세탁 모드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키이조작부(1)를 통해 수위. 세탁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을 입력하여 설정하고 세탁을 시작시키면, 마이컴(5)이 출력구동부(7)를 통해 부하부(6)를 제어하여 세탁조내에 물을주입시키고 수위감지부(4)로부터 현재수위를 감지하며, 감지된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물공급을 중단시키고 설정된 세탁시간과 탈수시간, 헹굼횟수로 수동세탁을 수행한후 종료한다.
한편, 자동세탁 모드인 경우에는 물주입에 이어서 측정수위에서 포랑감지부(2)로부터 세탁물량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로부터 세탁수위와 탈수시간을 정하여 미리 예정된 세탁코스를 진행한다.
즉, 포량감지후 설정된 수위까지 물을 공급하고 세탁을 진행하면서 오영정도 감지부(3)로부터 세탁수의혼탁도를 감지하여 총 세탁시간을 정하고, 설정된 세탁시간동안 세탁한후 설정된 탈수시간동안 탈수를 진행하고, 세탁 오염감지 결과로부터 헹굼횟수를 정하여 설정된 횟수로 헹굼을 수행한후 종료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세탁제어방법에 의하면 세틱기사용자의 취향, 기호, 개성등에 따라 상이한 개인고유의 세탁패턴에 대응할 수 없고 단지 포량과 오염도 감지결과에 준하여 미리 설정된 에정된 세탁코스를수행할 뿐이므로 사용자 위주의 편익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세탁기 사용자는 자신의 개성이나 취향, 기호도에 따라 각각의 개인마다 동일한 세탁물량에 대한 세탁시간이나 수위, 헹굼횟수, 탈수시간등이 모두 다르고 세탁시간, 수위 헹굼횟수, 탈수 시간중에서 특별히주의와 관심을 기울이고 선호하는 요소가 존재한다.
예를를면, 동일한 세탁물량이라도 세탁시간을 특별히 길게 결정하는 사용자가 있을 수 있고. 또는 높은수위에서 헹굼횟수를 다른 사용자보다 1 내지 2회정도 많게 설정하여 세탁시키는 사용자가 있을 수 있는바, 종래에는 이러한 개인별 세탁패턴에 관계없이 자동세탁 모드에시는 감지결과에 따라 일방적으로, 결정된 세탁고스를 진행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익위주의 세탁제어가 불가능하고, 개인별 선호도에 부응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기 사용자가 수동세탁시마다 설정하는 세탁정보들을 종합하여 사용자 선호 세탁패턴으로 저장하고 자동세탁시에는 지장된 세탁패턴을 해독하여 자동세탁 모드에서 감지한 세탁 정보와 비교한 결과로부터 사용자 세탁패턴을 인식, 자기학습을 통해 최적의 세탁수위, 세탁 및 탈수시간 헹굼횟수를 결정하여 세탁을 수행하므로서 사용자 편익위주의 세탁제어가 가능하며, 사용자 취향, 기호, 개성에 적합하게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를 제공할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세탁제어장치와 그에따른 세탁제어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탁제어장치는 자기조작을 위한 키이조작부(1)와, 세탁물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부(2)와, 세탁수의 혼탁도를 감지하는 오염정도 감지부(3)와,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4)의, 수동세탁시 사용자가 설정한 제반 세탁정보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세탁패턴 정보로 저장하는세탁패턴 메모리(8)와, 수동세탁시의 세탁패턴 정보 저장과 자동세탁시 세탁패턴의 인식 및 해석을 통해 최종 세탁수위, 세탁 및 탈수시간, 헹굼횟수를 설정하는 마이컴(9)과, 상기 마이컴(9)의 제어를 받아 부하부(6)를 구동 제어하는 출력구동부(7)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의한 본 발명의 세탁제어동작을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키이조작부(1)를 조작하여 수동 또는 자동 세탁모드를 결정하면 마이컴(9)이 이를 판별하여 수동세탁 모드인 경우와 자동 세탁모드인 경우로 구분 제어한다.
먼저, 수동 세탁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키이조작부(1)를 통해 세탁수위, 세탁수위 세탁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을 입력하면 마이컴(9)은 포량감지부(2)로부터 세탁물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세탁물량에 따른 사용자 선택수위,세탁 및 탈수시간, 헹굼횟수등을 세탁페턴 정보로 메모리(8)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세탁수위와 시간및 탈수시간, 헹굼횟수로 출력구동부(7)를 통해 부하부(6)를 제어하여 수동세탁을 실시한다.
이 경우의 수동세탁 수행은 제2도에서의 수동세탁 과정에 준한다.
이와같은 세탁패턴 정보의 저장은 사용자가 수동세탁을 수행할때마다 수행되며, 그 정보량은 포량에 따라 분배하여 누적시키고, 실시예로서 미리 설정해둔 일정한 정보수를 초과하면 최선의 세탁페턴 정보에 우선순위를 두어 갱신등록시킬 수 있다.
또는 실시예로서 일정한 기간을 주기로하여 세탁패턴 정보를 갱신등록시킬 수 있다.
세탁패턴 메모리(8)에 저장되는 세탁패턴 정보의 데이타 구조의 일예로서 제6도의 (가)에 도시된 바와같은 메모리 맵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세탁조내에 투입하는 세탁물량(포량)을 0 내지 2Kg. 2 내지 3Kg 등등 일정한 범위로 구분하고. 포량감지부(2)로부터 감지된 포량이 어느법위에 속하는가를 판단하여 해당 메모리 영역을 결정하고,그 포량범위에 속하는 세탁물을 몇회 사용(세탁)하였는가를 카운트하여 누산(사용치수(N))하며, 이때 사용자가 설정한 수위, 세탁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을 판독하여 감지 포량에 대응하는 정보기록란(미리 구분지어놓은 수위및 시간, 횟수의단계(예 : 4단계 구분)에 기록해 두는 것이다.
이와같이 기록된 시용횟수(N1 내지 N5), 수위정보(Hla 내지 H5d), 세탁시간정보(Tla 내지 T5d), 헹굼횟수정보(XIa 내지 X5d), 탈수시간정보(Yla 내지 Yld)는 종합적으로 사용자의 기호, 취향, 개성등에 대응하는 개개인 고유의 세탁패턴 정보가 되는 것이다.
제6도의 (나)는 이와같은 세탁패턴의 일예를 나다낸 것으로 사용자가 수동세탁 모드에서 0 내지 2Kg 세탁물을 10회에 걸쳐 세탁한데 대한 수위, 탈수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 정보를 기록해 놓은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세탁패턴 정보가 세탁패턴 메모리(8)에 저장되면 자동세탁모드에서 마이컴(9)이 이 세탁패턴 정보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해석하여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게 되는 세탁패턴을 인식하고, 인식결과로부터 현재 포량에 대응하는 세탁수위, 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을 자기학습후 해당 세탁코스를 진행시키게 돤다.
즉, 제4도에서와 같이 모드판별결과 자동세탁 모드가 되면 측정수위에서 포량감지부(2)로 포량을 감지하고, 오염정도 감지부(3)로부터 세탁수의 혼탁모를 감지하여·감지된 포량과 혼탁도를 근거로 세탁수위(A), 세탁시간(B), 헹굼횟수(C), 탈수시간(D)을 추론한다.
이는 사용자의 세탁패턴과 관계없이 현재 감지된. 세탁물량과 혼탁도에 준하여 미리 에정된 세탁코스로 진행시키도록 기기자체에 미리 실정해둔 세탁정보에 해당한다. 이어서 세탁패턴 메모리(8)에 저장되어 있는사용자의 세탁패턴 정보틀 일정한 규칙(미리 정의해둠)에 의하여 해석하고, 해석한 결과를 사용자 세탁패턴으로 인식하여 이 패턴과 현재 감지된 포량과 혼탁도에 의하여 결정된 세탁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최종수위,세탁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을 설정한 다음 설정된 세탁정보에 준하는 세탁코스를 진행시켜 자동세탁을수행한다.
여기서 자동세탁 수행은 최종적으로 졀정된 세탁수위, 세닥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을 비교 검색하면서 출력구동부(7)를 통해 부하부(6)를 제어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제2도에 자동세탁 제어과정에 준한다.
한편, 상기 세탁패턴 정보의 해석을 통한 세탁패턴의 인식규칙은 미리 정의해 두게 되는데, 일예로써 현재 감지된 포량에 대응되는 란의 수위정보중에서 최고 빈도수에 해당되는 란의 수위와, 세탁시간 정보중에서 최고 빈도수에 해당되는 란의 세탁시간과, 헹굼횟수 정보중에서 최고 빈도수에 해당되는 란의 헹굼횟수와, 탈수시간 정보중에시 최고 반도수에 해낭되는 란의 탈수시간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수위, 세탁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을 해당 포량에서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세탁패턴으로 인식한다.
또는 각 정보의 평균값을 취하거나, 일정한 편차이내의 값을 취하여 세탁패턴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6도의(나)에서는 최대 빈도수에 해당되는 수위와 세탁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을 포량 0 내기 2Kg에서의 사용자 세탁패턴 인식한 경우이며, 인식된 사용자 세탁패턴은 0 내지 2Kg의 포량에서 수위=저수위=Href, 세탁시간=12분=Tref, 헹굼횟수=3회=Xref탈수시간=1분=Yref를 가장 선호한 것으로 인식되어진다.
이와같이 선택된 제반 데이타들을 제5도에서와 같이 각각 세탁패턴 인식정보(Href)(Tref)(Xref)(Yref)로 하여 가장 선호한 수위, 세탁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이 총빈도수에서 점유하게 되는 비율을 산출하고,현재 포량에 대응하여 결정해 놓은 세탁수위와 시간 및 헹굼횟수, 탈수시간(A)(B)(C)(D)과 상기 산출결과를 각각 비교하기 위하여 최종 설정수위, 세탁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으로 정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점유율 비교기준값(Pref1 내지 pref4)과의 비교판단을 선행한다.
이 비교 판단결과에 의하여 최종적인 수위를 인식된 세탁패턴에서의 수위(Href) 또는 기 추론한 시간(B)중에서 선정하고, 최종적인 헹굼횟수를 인식된 세탁패턴에서의 시간(Tref) 또는 기 추론한 시간(B)중에서 선정하고, 최종적인 헹굼횟수를 인식된 세탁패턴에서의 횟수(Xref) 또는 기 추론한 횟수(C)중에서 선정하고, 최종적인 탈수시간을 인식된 세탁패턴에서의 시간(Yref) 또는 기 추론한 시간(D)중에서 선정한다.
즉, 상기 제5도 및 제6도의 (나)를 참조하면 해당 포량(이 예에서는 0 내지 2Kg)에서 총 사용횟수(예: 10회)가 소정의 기준빈도수(예: 5회) 미만인 경우에는 정보·부족으로 사용자의 세탁패턴 인식에 오류가 발냉될 소지가 많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현재의 포랑/오염 감지기에 따라 기 설정된 수위(A), 세탁시간(B), 헹굼횟수(C), 탈수시간(D)을 최종 설정값으로 결정한다.
그러나 해당 포량에서의 사용횟수가 기준빈도수 이상인 경우에는 인식된 세탁패턴에서의 수위패턴 인식정보(Href)가 총빈도수(N)(예 ; 10회)에서 점유하는 비율을 Href/N(예: 7/10)로 산출하여 섬유율 비교기준값(Prefl)(예 ; 0.7=70%)과 비교한다.
비교결과 수위패턴 인식정보(Href) 가 점유하는 비율이 기준값(Prefl) 이상인 경우이면 최종수위는 인식된 정보(Href)(예 ; 7)가 속하는 수위(예 ; 저수위)로 선정하고, 기준값(예 ; 70%) 미만인 경우이면 인식정보(Href)가 속하는 수위와 기 설정된 수위(A)를 비교하여 인식정보(Href)가 속하는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A) 이상이면 최종수위를 인식정보(Href)가 속하는 수위로 선정하고 기 설정된 수위(A) 미만이면 최종수위를 기 설정된 수위(A)로 선정한다.
이어서 인식된 세탁패턴에서의 세탁시간패턴 인식정보(Tref)가 총빈도수(N)에서 점유하는 비율을 Tref/N(예 ; 7/10)로 산출하여 점유율 비교기준값(Pref2)(예 ; 0 7=70%)과 비교한다. 비교결과 세탁시간패턴 인식정보(Tref)가 점유하는 비율이 기준값(Pref2) 이상인 경우이면 최종 세탁시간은 인식된 정보(Tref)가속하는 시간대(예 ; 12분)로 선정하고 기준값(Pref2) 미만인 경우이면 인식정보(Tref)가 속하는 시간과 기설정된 세탁시간(B)을 비교하여 인식정보(Href)가 속하는 세탁시간이 기 설정된 세탁시간(B) 이상이면 최종 세탁시간을 인식정보(Tref)가 속하는 시간으로 선정하고 기 설정된 세탁시간(B) 미만이면 최종 세탁시간을 기 설정된 세탁시간(B)으로 선정한다.
이어서 선정된 세탁패턴에서의 헹굼횟수 인식정보(Xref)가 총빈도수(N)에서 점유하는 비율을 Xref/N(예 ; 9/10)로 산출하여 점유율 비교기준값(Pref3)(예 ; 0.7=70%)과 비교하여 비교결과 인식정보(Xref)가 점유하는 비율이 기준값(Pref3) 이상이면 최종 헹굼횟수는 인식된 정보(Xref)가 속하는 횟수(예 ; 3회)로 선정한다.
그러나 상기 비교결과 기준값(Pref3) 미만인 경우에는 인식징보(Xref)가 속하는 헹굼횟수와 기 설정된 헹굼횟수(C)를 비교하여 인식정보(Xref)의 헹굼횟수가 헹굼횟수(C) 이상이면 최종 헹굼횟수를 인식정보(Xref)의 헹굼횟수로 선정하고, 헹굼횟수(C) 미만이면 최종 헹굼횟수를 기 설정된 휫수(C)로 선정한다.
이어서, 인식된 세탁패턴에서의 탈수시간 인식정보(Yref)가 총빈도수(N)에서 점유하는 비율 Yref/N(예 ; 5/10)로 산출하여 점유율 비교기준값(Pref4)(예 ; 0.7 =70%)과 비교결과 인식정보(Yref)의 점유율이 기준값(Pref4) 이상이면 최종 틸수시간은 인식정보(Yref)가 속하는 시간대(예 ; 1분)로 선정한다.
그러나 상기 비교결과 기준값(Pref4) 미만인 경우에는 인식정보(Yref)가 속하는 탈수시간과 기 설정된탈수시간(D)를 비교하여 인식정보(Yref)의 탈수시간이 설정 탈수시간(D) 이상이면 최종 탈수시간을 인식정보(Yref)의 탈수시간으로 선정하고 탈수시간(D) 이만이면 최종 탈수시간을 기 실정된 탈수시간(D)으로 선정한다.
이와같이 하여 최종적으로 세탁제어할 정보인 수위, 세탁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정보에 준하여 세탁을 수행항을 상기한 바와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기를 사용하는 개개인의 세탁패턴을 스스로 학습하여 차후 자동세탁시에 이를 적용한 세탁제어를 수행하므로 세탁기 사용자의 기호, 개성, 선호도에 부응하는 세탁이 가능하고, 따라서 사용자 중심의 기기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Claims (8)

  1. 기기조작을 위한 키이조작부(1)와, 세탁물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부(2)와, 세탁수의 혼탁도를 감지하는 오염정도 감지부(3)와, 세탁수의 수익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4)와, 수동세탁시 사용자가 설정한 제반세탁정보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세탁패턴 정보로 저장하는 세탁패턴 메모리(8)와, 수동세탁시의 세탁패턴 정보 저장과 자동세탁시 세탁패턴의 인식 및 해석을 통해 최종 세탁수위, 세탁 및 탈수시간, 헹굼횟수를 설정하는 마이컴(9)과 상기 마이컴(9)의 제어를 받아 부하부(6)를 구동제어하는 출력구동부(7)로 구성된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장치.
  2. 세탁모드의 자동/수동 판별결과 수동세탁시에는 사용자가 키이조작을 통해 설정한 세탁정보(세탁수위,세탁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를 사용자 세탁패턴 정보로 종합하여 저장하고, 자동세탁시에는 감지부로 감지한 현재의 세탁물량과 오염도로부터 세탁정보를 추론해내고, 기 저장된 세탁패턴 정보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세탁패턴을 인식하며, 상기 인식한 세탁패딘을 기 추론한 세탁정보와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제어할 세탁정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세탁정보에 준하여 세탁을 진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수동세탁시 세탁정보의 저장은, 세탁물량 감지후 세탁물량을 일정한 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에 속하는 세탁물량으로 세탁기를 사용한 횟수를 누산시키고, 사용자가 설정한 세탁정보를 감지된 세탁물량에 대응하여 세탁정보의 각 항목(수위, 세탁시간, 헹굼횟수, 탈수시간)별로 누산시켜 저장함을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자동세탁시 사용자 세탁패턴의 인식은, 감지된 세탁물량에 대응하는 세탁패턴 정보중에서 총 사용횟수중 최고 빈도수를 갖는 세탁정보를 그 세탁물량에서의 사용자 세탁패턴으로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자동세탁시 최종적인 세탁정보의 선정은, 감지된 세탁물량에서의 세탁기 사용횟수가 그 빈도수에 있어 사용자의 세탁패턴으로 인지되기 어려운 경우로 판단할 수 있게 미리 정의한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반 정보 해독결과에 관계없이 기 추론된 세탁 정보를 최종 세탁정보로 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자동세탁시 최종적인 세탁정보의 선정은, 기 인식한 사용자 세탁패턴의 각 항목별 세탁정보가 총빈도수에서 점유하는 비율을 구하고, 이 점유비율을 기준으로 기 추론한 세탁정보 또는 인식한 세탁패턴에서의 세탁정보틀 최종 세탁정보로 선정항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인식한 사용자 세탁패턴의 각 항목별 세탁정보의 점유비율을 사용자의 세탁패턴으로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로 판단할 수 있게 미리 정의한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결과 점유비율이 기준값 미만이고 기 추론된 세탁정보가 인식한 세탁패턴의 세탁정보 이상인 경우에는 기 추론된 세탁정보를 최종 세탁정보로 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인식한 사용자 세탁패턴의 각 항목별 세탁정보의 점유비율을 사용자의 세탁패턴으로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로 판단할 수 있게 미리 정의한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결과 점유비율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와, 기 추론된 세탁정보가 인식한 세탁패턴의 세탁정보 미만인 경우에는 인식한 세탁패턴에서의 세탁정보를 최종 세탁정보로 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방법.
KR1019920006435A 1992-04-17 1992-04-17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장치와 방법 KR950004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435A KR950004258B1 (ko) 1992-04-17 1992-04-17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장치와 방법
JP11531393A JP3251379B2 (ja) 1992-04-17 1993-04-19 洗濯機の洗濯制御装置及び洗濯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435A KR950004258B1 (ko) 1992-04-17 1992-04-17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장치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864A KR930021864A (ko) 1993-11-23
KR950004258B1 true KR950004258B1 (ko) 1995-04-28

Family

ID=1933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435A KR950004258B1 (ko) 1992-04-17 1992-04-17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51379B2 (ko)
KR (1) KR9500042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5950A (zh) * 2018-04-12 2018-07-24 佛山市百里洲科技有限公司 一种洗衣机脱水的控制方法
CN108315951A (zh) * 2018-04-12 2018-07-24 佛山市百里洲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调节脱水时间的洗衣机
WO2020130177A1 (ko) * 2018-12-19 2020-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425B1 (ko) * 2000-06-13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시스템
KR100739617B1 (ko) * 2000-12-01 200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78469B1 (ko) * 2007-02-28 2009-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코스 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5950A (zh) * 2018-04-12 2018-07-24 佛山市百里洲科技有限公司 一种洗衣机脱水的控制方法
CN108315951A (zh) * 2018-04-12 2018-07-24 佛山市百里洲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调节脱水时间的洗衣机
WO2020130177A1 (ko) * 2018-12-19 2020-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71081A (ja) 1994-03-15
JP3251379B2 (ja) 200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7307A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such
CN103966797B (zh) 一种用户可自编程的物联网洗衣机控制方法及控制装置
JP3398228B2 (ja) 洗濯制御装置
KR950004258B1 (ko)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장치와 방법
CN108950989B (zh) 一种洗衣机运行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洗衣机
KR930021864A (ko) 사용자의 세탁패턴에 대응하는 세탁제어장치와 방법
KR0138027B1 (ko) 세탁기의 이상행정 경보 및 표시방법
KR100778046B1 (ko) 세탁기의 세탁예약시간 설정방법
CN113818189A (zh) 洗涤装置的洁净度指示方法及系统、存储介质、洗涤装置
CN113529345A (zh) 检测衣物处理设备内是否有动态物体的方法、装置及设备
JPS60139291A (ja) 全自動洗濯機
JPH06269592A (ja) 洗濯機
CN113981655A (zh)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
KR0163687B1 (ko) 세탁기의 탈수시간 설정방법
JPH0663282A (ja) 全自動洗濯機
JPH04220289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S6343695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KR0162398B1 (ko) 세탁기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16065325A (zh) 智能控制开门角度的方法、装置、洗衣机和介质
KR0139607B1 (ko) 세탁기의 예약세탁방법
JPH0546235B2 (ko)
KR100519356B1 (ko) 세탁기의 언발란스 감지시간 조절장치 및 조절방법
CN115387064A (zh) 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JPH06280A (ja) 全自動洗濯機
JPH06281A (ja) 全自動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