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158Y1 -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 - Google Patents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158Y1
KR950004158Y1 KR92013347U KR920013347U KR950004158Y1 KR 950004158 Y1 KR950004158 Y1 KR 950004158Y1 KR 92013347 U KR92013347 U KR 92013347U KR 920013347 U KR920013347 U KR 920013347U KR 950004158 Y1 KR950004158 Y1 KR 950004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upplied
synchronous
flip
fl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548U (ko
Inventor
방진원
Original Assignee
정장호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92013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158Y1/ko
Publication of KR9400045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5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1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96Trunk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14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6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
제1도는 종래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의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 유럽방식 트렁크 인터페이스 보드 12 : 멀티플렉서
20, 21 : 제1 및 제2 D플립플롭 24 : 클럭선택출력부
25 : 버퍼 26 : 라인드라이버
27 : 동기용 클럭 발생부 SW2 : 스위치
본 고안은 교환기 측으로 동기용 시스템 클럭을 전송하기 위한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럽방식 디지탈 트렁크 회로에 있어서 시스템 클럭을 원활하게 전송하 수 있도록 한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기용 시스템 클럭전송회로에 대하여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동기용 시스템 클럭전송회로는 유럽방식 트렁크 인터페이스회로(10, 11), 멀티플렉서(12), OR게이트(13), 버퍼(14), 저항(R1) 및 스위치(SW1)로 연결구성된다. 유럽방식 트렁크 인터페이스회로(10, 11)는 상대국 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서 동기용 8KHz 신호를 추출하여 멀티플렉서(12)측으로 출력하고, 멀티플렉서(12)는 유럽방식 트렁크 인터페이스회로(10, 11)로 부터 공급되는 2개의 동기용 8KHz 클럭중 1개를 선택하여 OR게이트(13)으 한 입력단 측으로 공급한다. 이때, 스위치(SW1)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동기용 8KHz 클럭의 출력 여부가 결정되는데, 스위치(SW1)가 온 되면 OR 게이트(13)에 전원(+5V)가 공급되므로 멀티플렉서(12)로 부터 OR 게이트(13)측에 공급되는 동기용 8KHz 클럭은 버퍼(14)를 통해 교환기 측으로 출력되며 스위치(SW1)가 오프되면 OR 게이트(13)에 전원(+5V)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멀티플렉서(12)로 부터 OR게이트 (13)측에 공급되는 동기용 8KHz 클럭은 버퍼(14)를 통해 교환기 측으로 출력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동기용 시스템 클럭전송회로는 유럽방식 인터페이스회로(10, 11)에서 추출한 동기용 8KHz 클럭의 송출을 수동적인 스위치(SW1)의 작동에 의해 제어하므로 복수의 DTC 보드(Digital Trunk board) 사용시 시스템이 운용중에 동기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교환기의 CPU가 동기용 8KHz 클럭의 송출여부를 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국교환기가 국설교환기로 사용될 경우는 마스터(master)시스템으로 운용되고 교환기가 사설교환기로 사용될 경우는 슬레이브(slave)시스템으로서 운용되며, 자국교환기가 마스터 시스템으로서 운용될 경우에는 상대국 교환기로 부터 동기용 8KHz 클럭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동기용 8KHz 클럭을 자체적으로 발생하여 출력하고 자국교환기가 슬레이브 시스템으로서 운용될 경우에는 상대국 교환기로 부터 수신한 동기용 8KHz 클럭을 출력해야 하는데, 종래의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를 사용하면 자국교환기의 CPU가 자기자신이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시스템으로 운용됨에 따라 동기용 8KHz 클럭송출을 적절히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복수의 DTC 보드 사용시 자국 교환기의 CPU가 동기용 8KHz 클럭의 송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자국 교환기의 CPU가 자신이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시스템으로 운용되는지를 판단하여 동기용 8KHz 클럭송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환기를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한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대국 교환기로 부터 공급되는 신호중에서 소정주파수의 클럭을 추출하는 복수의 유럽방식 트렁크 인터페이스회로(10, 11)와, 상기 유럽방식 트렁크 인터페이스회로(10, 11)로 부터 공급되는 소정주파수의 동기용 클럭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2)를 구비한 동기용 시스템 클럭전송회로에 있어서, 자국교환기의 CPU로 부터 공급되는 클럭선택데이타와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클럭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제1 D플립플롭(20)과,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분주하여 소정주파수의 동기용 클럭을 발생하는 동기용 클럭 발생부(27)와, 상기 제1 D플립플롭(20)으로 부터의 클럭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12)로 부터 공급되는 소정주파수의 동기용 클럭과 상기 동기용 클럭 발생부(27)로부터 공급되는 소정 주파수의 동기용 클럭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클럭선택출력부(24)와, 상기 자국교환기의 CPU로 부터 공급되는 클럭출력제어데이타와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 D플립플롭(21)과, 상기 제2 D플립플롭(21)으로 부터의 출력제어신호와 스위치(SW2)의 작동에 따라 상기 클럭선택출력부(24)로 부터 공급되는 소정주파수의 동기용 클럭출력을 제어하는 버퍼(25)와, 상기 제2 D플립플롭(21)으로 부터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시스템동기용클럭 및 프레임 스타트 동기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라인드라이버(2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를 구비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복수의 DTC 보드 사용시 교환기의 CPU가 동기용 8KHz 클럭의 송출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교환기의 CPU가 자신이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시스템으로 운용되는지를 판단하여 동기용 8KHz 클럭송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환기를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의 구성도이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동기용 시스템 클럭전송회로는 유럽방식 트렁크 인터페이스회로(10, 11), 멀티플렉서(12), 제1 및 제2 D플립플롭(20, 21), 클럭선택출력부(24), 버퍼(25), 라인드라이버(26), 동기용 클럭 발생부(27), 스위치(SW2) 및 저항(R2, R3)으로 연결구성된다. 유럽방식 트렁크 인터페이스회로(10, 11)는 상대국교환기로 부터 공급되는 신호로 부터 동기용 8KHz 클럭을 추출하여 멀티플렉서(12) 측으로 출력하고, 멀티플렉서(12)는 2개의 유럽방식 트렁크 인터페이스회로(10, 11)로 부터 공급되는 동기용 8KHz 클럭중 1개를 선택하여 클럭선택출력부(24)측으로 출력한다. 제1 D플립플롭(20)은 자국 교환기의 CPU로 부터 입력단(D)에 공급되는 클럭선택 데이타와 자국 교환기의 CPU로 부터 클럭단(CK)에 공급되는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출력단(Q,)을 통해 클럭 선택출력부(24) 측으로 클럭선택신호를 출력한다. 동기용 클럭발싱부(27)는 발진부(22)와 분주부(23)로 이루어지고 자국 교환기가 마스터 시스템으로 운용될 경우에 필요한 동기용 8KHz 클럭을 발생하는데, 발진부(22)가 발진한 소정주파수의 신호를 분주부(23)에 의해 분주함으로써 동기용 8KHz 클럭을 발생하여 클럭선택출력부(24)측으로 공급한다. 클럭선택출력부(24)는 OR게이트(28, 29) 및 버퍼(30, 31)로 연결구성되는데, OR게이트(28)의 두 입력단 중 한 입력단은 멀티플렉서(12)의 출력단에 접속됨과 동시에 다른 입력단은 제1 D플립플롭(2)의 출력단(Q)에 접속되고 OR게이트(28)의 출력단은 버퍼(30)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OR게이트(29)의 두 입력단중 한 입력단은 제1 D플립플롭(20)의 출력단()에 접속됨과동시에 다른 입력단은 동기용 클럭발생부(27)에 구비된 분주부(23)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OR 게이트(29)의 출력단은 버퍼(31)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버퍼(30, 31)의 출력단은 저항(R3)를 통해 전원(+5V)에 접속됨과동시에 버퍼(25)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클럭선택출력부(24)는 제1 D플립플롭(20)으로부터 공급되는 클럭선택신호에 따라 멀티플렉서(12) 또는 동기용클럭발생부(27)로 부터 공급되는 동기용 8KHz 클럭을 버퍼(25)측으로 출력하는데, 자국교환기가 마스터 시스템으로 운용될 경우는 동기용 클럭발생부(27)로 부터 공급되는 동기용 8KHz 클럭을 출력하고 자국교환기가 슬레이브 시스템으로 운용될 경우는 멀티플렉서(12)로 부터 공급되는 동기용 8KHz 클럭을 출력한다.
제2 D플립플롭(21)은 자국 교환기 CPU로 부터 입력단(D)에 공급되는 클럭 출력제어데이타와 클럭단(CK)에 공급되는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출력단(Q)를 통해 버퍼(25) 및 라인 드라이버(26)의 제어단 측으로 출력제어신호를 공급하며, 스위치(SW2)는 버퍼(25) 및 라인드라이버(26)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 시킨다. 버퍼(25)는 제2 D플립플롭(21)으로 부터 공급된 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클럭선택 출력부(24)로 부터 공급되는 동기용 8KHz 클럭의 흐름을 제어하며, 라인 드라이버(26)는 제2 D플립플롭(21)으로 부터 공급된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8MHz, 4MHz 및 2MHz 동기용 클럭과 프레임 스타트 동기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클럭선택출력부(24)는 교환기 CPU로 부터 제1 D플립플롭(20)에 공급되는 클럭선택데이타에 따라 자국교환기가 슬레이브 시스템으로 운용되는 경우에는 상대국 교환기로 부터 공급되는 동기용 8KHz 클럭을 출력하고 자국교환기가 마스터 시스템으로 운용될 경우는 동기용 클럭발생부(27)에서 발생한 동기용 8KHz 클럭을 출력한다. 또한, 복수의 BTC 보드 사용시 버퍼(25) 및 라인드라이버(26)가 자국교환기 CPU로 부터 제2 D플립플롭(21)에 공급되는 클럭출력제어데이타에 따라 동기용 클럭의 출력을 제어하므로 교환기를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상대국 교환기로 부터 공급되는 신호중에서 소정주파수의 클럭을 추출하는 복수의 유럽방식 트렁크 인터페이스회로(10, 11)와, 상기 유럽방식 트렁크 인터페이스회로(10, 11)로 부터 공급되는 소정주파수의 동기용 클럭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2)를 구비한 동기용 시스템 클럭전송회로에 있어서, 자국교환기의 CPU로 부터 공급되는 클럭선택 데이타와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클럭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제1 D플립플롭(20)과, 소정주파수의 신호를 분주하여 소정주파수의 동기용 클럭을 발생하는 동기용 클럭발생부(27)와, 상기 제1 D플립플롭(20)으로 부터의 클럭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12)로 부터 공급되는 소정주파수의 동기용 클럭과 상기 동기용 클럭 발생부(27)로 부터 공급되는 소정 주파수의 동기용 클럭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클럭선택출력부(24)와, 상기 자국 교환기의 CPU로 부터 공급되는 클럭출력 제어데이타와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 D플립플롭(21)과, 상기 제2 D플립플롭(21)으로 부터 공급되는 소정주파수의 동기용 클럭출력을 제어하는 버퍼(25)와, 상기 제2 D플립플롭(21)으로 부터의 출력제어신호와 스위치(SW2)의 작동에 따라 상기 클럭선택부(24)로 부터 공급되는 소정주파수의 동기용 클럭출력을 제어하는 버퍼(25)와, 상기 제2 D플립플롭(21)으로 부터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시스템 동기용 클럭 및 프레임 스타트 동기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라인드라이버(2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선택출력부(24)는 상기 제1 D플립플롭(20)으로부터 공급되는 클럭선택신호에 따라 상기자국 교환기가 슬레이브 시스템으로 운용될 경우는 상기 멀티플렉서(12)로 부터 공급되는 소정주파수의 동기용 클럭을 상기 버퍼(25)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자국 교환기가 마스터시스템으로 운용될 경우는 상기 동기용 클럭발생부(27)로 부터 공급되는 소정주파수의 동기용 클럭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용 시스템 클럭전송 회로.
KR92013347U 1992-07-20 1992-07-20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 KR950004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347U KR950004158Y1 (ko) 1992-07-20 1992-07-20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347U KR950004158Y1 (ko) 1992-07-20 1992-07-20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548U KR940004548U (ko) 1994-02-24
KR950004158Y1 true KR950004158Y1 (ko) 1995-05-22

Family

ID=1933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347U KR950004158Y1 (ko) 1992-07-20 1992-07-20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1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548U (ko) 199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1666B1 (en) Glitch free clock selection switch
JP2000138568A (ja) クロック信号切り換え装置
US4398155A (en) Multiple clock switching circuit
JPH0220184B2 (ko)
EP0616280A1 (en) Clock switcher circuit
KR950004158Y1 (ko) 동기용 시스템 클럭 전송회로
GB2198012A (en) Clock signal multiplexers
KR100337839B1 (ko) 디지탈교환기의동기클럭제어회로
KR100440571B1 (ko) 이중화된 스위치 보드 및 라인 접속 보드 사이의 클럭동기화를 위한 시스템
JPH04287458A (ja) シリアルインターフェースの伝送速度制御方式およびデータ伝送を行う装置
JPH02113778A (ja) 画像嵌込み用書込みクロック発生方法と装置
JP3485449B2 (ja) クロック分周切替回路
US5770952A (en) Timer that provides both surveying and counting functions
JP2988410B2 (ja) クロック同期化システム
JP2661046B2 (ja) 画像記録装置
KR940006515B1 (ko) 슬립방지용 동기신호 및 클럭 공급장치
KR950010917B1 (ko) 클럭 리커버리가 불필요한 비트동기 회로
JP2000029561A (ja) クロック供給回路
JPH08221151A (ja) クロック供給装置
KR100369685B1 (ko) 교환기의 기준클럭 동기 장치 및 그 방법
JPH04225408A (ja) 情報処理装置
KR940003353B1 (ko) Dvm의 rts-cts시간 지연회로
KR920008283B1 (ko) 컴퓨터 시스템간 데이타 전송을 위한 장치
JPH0833072A (ja) 冗長構成ディジタル回路の制御システム
KR900003423Y1 (ko) 동기신호와 기본클럭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