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074Y1 - 공기 청정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074Y1
KR950004074Y1 KR92006283U KR920006283U KR950004074Y1 KR 950004074 Y1 KR950004074 Y1 KR 950004074Y1 KR 92006283 U KR92006283 U KR 92006283U KR 920006283 U KR920006283 U KR 920006283U KR 950004074 Y1 KR950004074 Y1 KR 950004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iquid
filter
clean
clea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6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143U (ko
Inventor
조한선
Original Assignee
조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선 filed Critical 조한선
Priority to KR92006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074Y1/ko
Publication of KR9300231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1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1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gas, air purg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 청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 공기 청정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공기 청정장치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공기 청정장치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공기 청정장치의 제어회로도.
제5도는 본 고안 공기 청정장치의 실험 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차필터 2 : 제2차필터
3 : 분무노즐 4 : 탈취실
5 : 제3차필터 6 : 살균필터
8 : 팬 10 : 청정액 회수 및 공급통
11 : 펌프 16 : 전자밸브
본 고안은 공기 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업현장에서 실내공기중의 유해물질과 분진을 필터링하여 신선한 공기로 순환시켜 공급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산업현장에서 유기용제와 가스를 취급하는 실내작업 환경의 개선을 목적으로 실내 공기를 강제 환풍시키고 있으나 이는 환풍장치에 의하여 대기중으로 배출한 유해가스가 새로운 대기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대부분의 유해물질은 비중이 공기보다 크기 때문에 저면에 집중 분포되어 환풍효과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실내공기를 배기시키는 경우 열손실이 병행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처수단이 별도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탈취기를 구비하여 악취, 유해성 가스등을 제거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 효율이 미미하고 방향제를 사용하는 정도에 그치기 때문에 근본적인 공기 청정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다단계의 필터링 과정과 탈취제의 분사에 의한 유해물질의 제거를 통해 공기중의 유독가스, 유기용제, 분진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분진과 습기를 제거한 맑은 공기를 지속적으로 실내에서 순환 공급시켜 쾌적한 작업환경을 확보해줄 수 있도록한 공기 청정장치를 제고함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 공기 청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실내공기의 흡입단계에서 분진을 제거하는 제1차필터(1)와, 상기 제1차필터(1)로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탈취실로 인도하는 단계에서 청정액과의 접촉에 의한 탈취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는 제2차필터(2)와, 상기 제2차필터(2)를 통과한 공기에 탈취제를 포함하는 청정액을 분무시켜 탈취시키는 분무노즐(3) 및 분무노즐(3)에서 분사된 청정액이 공기와 접촉되는 탈취실(4)과, 탈취실(4)을 통과한 청정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해내는 제3차필터(5)와, 수분이 제거된 청정공기에 대하여 세균 제거처리를 수행하는 살균필터(6)와, 최종 필터링된 청정공기를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순환 배출시키는 팬(8) 및 팬모터(9)와, 상기 분무노즐(3)에서 분무되어 탈취실(4)과 제2차필터(2)를 경유하여 낙하되는 청정액을 회수함과 함께 분무노즐(3)로 재순환 공급시켜 주는 청정액 회수 및 공급통(10)과, 청정액 회수 및 공급통(10)으로부터 분무노즐(3)로 청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11) 및 공급관(12)과, 청정액의 고갈여부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13)와, 청정액의 재충진을 위한 주입구(14) 및 주입관(15)과, 청정액의 교체를 위하여 상기 공급관(12)로 상에서 배출경로를 확보해주는 전자밸브(16) 및 배출구(17)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차필터(1)는 필터도어(1A)에 장착되어 개폐되고, 제4차필터(6) 에는 살균제가 함침되어 미세 통공을 통과하는 제습된 공기중의 세균을 살균하며, 탈취실(4)의 바닥면은 콘형의 경사면(4A)으로 구성되어 낙하되는 청정액이 유도됨과 함께 후측방으로 소정각도 경사면(4B)으로 구성되어 청정액이 제2차피터(2)상에 고르게 분포됨과 동시에 전면으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해 주고, 탈취실(4) 상부에는 제3차 및 제4필터(5)(6)가 얹혀지는 선반부(4C)(4D)(4E)(4F)가 구성됨과 함께 상단일측의 선반부(4F)는 경첩(4G)을 구비하여 제3차 필터(5)의 결합과 분리시의 여유공간을 확보해준다.
그리고 청정액 회수 및 공급통(10)과 제1차필터(1) 및 제2차필터(2)로 이루어지는 공간부는 실내공기 흡입실(18)을 이루고, 이 흡입실(18)의 하측방향에 청정액을 청정액 회수 및 공급통(10)으로 유도하는 콘형의 안내경사면(19)이 구성되고, 청정액 회수 및 공급통(10)의 상부에도 낙하된 청정액의 유도 안내경사면(10A)이 구성됨과 함께 그 경사면 종단에는 이물질 제거필터(20)가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공기 청정장치 동작을 상기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원이 인가되어 펌프(11)가 작동되고 팬모터(9)가 구동되어 팬(8)이 회전 구동되면 실내공기의 흡입과 청정액의 분무가 시작된다.
즉, 팬(8) 구동력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제1차필터(1)를 통과하면서 분진이 제거되고 공기흡입실(18)을 경유하여 제2차필터(2)를 통해 탈취실(4)로 공급된다.
이때 펌프(11)의 작동으로 청정액 회수 및 공급통(10)으로부터 공급관(12)을 따라 분무노즐(3)로 청정액이 탈취실(4)내로 분사된다.
이때 공급 및 분사되는 청액은 증류수에 탈취제가 혼합된 액이고, 여기서 탈취제는 유기 및 유기산염, 아민 화합물, 베타민 화합물의 혼합물을 탈취제로 사용한다.
이와같이 하여 탈취실(4)내로 분사된 청정액은 탈취실(4)내로 흡입된 공기와 접촉되면서 공기중의 유기용제나 가스등의 유해물질을 제거, 이들이 흡수, 분해 혼재된 상태의 청정액으로 제2차 필터(2) 상부로 낙하된다.
제2차필터(2) 상부로 낙하된 청정액은 다시 필터상에서 얇은 수막을 형성하면서 공기흡입실(18)로 부터 탈취실(4)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유해물질과 접촉하므로서 유해물질의 필터링과 공기정화가 병행된다.
이때 제2차필터(2)는 후측방향의 경사면(4B)위에 얹혀져서 기기후측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되므로 정면측으로 넘쳐 흐르지 않고 이 필터(2)위에 낙하된 청정액이 일부는 미세 필터구멍을 통과하여 낙하되면서 일부는 후측방으로 유도되어 고른 수막을 이루어준다.
이와같이 하여 제2차 필터(2)를 통과한 청정액은 탈취실(4) 바닥의 안내경사면(4A)을 따라 유도되어 공기흡입실(18)을 통과하면서 다시 그 하측의 안내경사면(19)으로 유도되고, 이를 통과한 청정액은 청정액 회수 및 공급통(10) 상부로 낙하된다.
청정액 회수 및 공급통(10) 상부로 낙하된 청정액은 그 상면의 안내경사면(10A)을 따라 유도되어 이물질 제거필터(20)를 통해 이물질이 여과된후 청정액 회수 및 공급통(10)속으로 회수된다.
따라서 청정액은 지속적으로 순환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탈취실(4)을 경유하면서 정화된 맑은 공기는 제습을 위한 제3차필터(5)를 통화하면서 수분이 제거되고, 이 건공기는 다시 살균필터(6)를 통과하면서 유해 병원균에 대한 살균처리후 팬(8)의 송풍력으로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이와같은 일련의 동작이 반복되어 공기의 집진, 정화, 제습, 살균, 신선한 공기배출로 이어지는 일련의 공기 청정동작이 연속되고, 이에따라 실내공기는 청정되면서 순환 공급된다.
이와같이 하여 공기청정이 지속되면 소정시간을 주기로 하여 제1차필터(1)와 제4차필터(6)는 분리하여 청소해준다.
즉, 제1도 및 제3도에서 필터도어(1A)를 열고 카세트식으로 장착된 제1차필터(1)를 필터도어(1A)에서 분리한후 세제와 물을 이용하여 세척해내면 이 필터로 여과된 분진을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세척후에는 역순으로 재결합하여 반복 사용한다.
그리고 제4차필터(6)는 선반부(4E)(4F)에서 슬라이드시켜 인출한후 대기중에서 자연 건조시키면 수분이 증발되므로 이와 역순으로 재결합하여 반복 사용한다.
그러나 제2차필터(2)와 제3차필터(5)는 분무노즐(3)의 분사액과 분무압력에 의하여 사용중 지속적으로 세척이 병행되므로 이에대한 청소는 요구되지 않는다.
한편, 제3차필터(5)는 기기보수를 위해 분리/결합이 요구되는 경우 제4차필터(6)를 분리하후에 제2도에서와 같이 일측의 선반부(4F)를 경첩(4G)을 이용하여 접고, 이로서 확보된 여유공간을 이용하여 선반부(4C)(4D)에서 분리하거나 또는 재결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청정액의 재순환이 지속됨에 따라 청정액은 대기중으로 증발되고 또한 탈취효율도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되는데 이와같이 청정액의 회수량이 점차 감소되어 미리 결정해준 "고갈상태"에 이르게 되면 청정액 회수 및 공급통(10)속의 리미트 스위치(13)가 동작한다.
이후에는 이 리미트 스위치(13)에 의하여 점멸되는 표시등을 사용자가 인식하고, 전자밸브(16)를 동작시켜 분무노즐(3)측으로의 청정액 공급경로를 차단, 배출구(17)측으로의 배출경로를 개방한 상태로 펌프(11)만 동작하여 잔류 청정액을 배출시킨후 주입구(14)와 주입관(15)을 통해 새로운 청정액을 청정액 회수 공급통(10)속에 주입하여 새 청정액으로 교체시켜 사용하게 된다.
제4도는 이와같은 본 고안 공기 청정장치에 포함되는 상기 펌프(11), 팬 및 팬모터(8)(9), 전자밸브(16), 리미트 스위치(13) 등의 제어회로 구성을 보이고 있다.
즉, 이에 의하면 팬모터(9) 및 펌프(11)의 과전류를 검출하여 전원을 차단 제어하는 과전류 릴레이(OL1)(OL2) 및 그 접점(THR1)(THR2)과, 청정액 고갈시 주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13) 및 그 동작 표시등(PL4)과, 주전원 공급스위치(SW1)와, 일정시간 동안의 타이머 운전제어를 위한 타이머 릴레이(MC4) 및 그 접점(T)과, 전원공급을 나타내는 전원표시등(PLO)과, 각각 팬모터(9) 및 펌프(11)의 전원을 공급하며 과전류 릴레이(OL1)(OL2) 동작시에 그 접점(THR1)(THR2) 동작에 의하여 전원공급을 차단시켜주기 위한 팬모터 릴레이(MC1) 및 그 접점(MS1)과 펌프릴레이(MC2) 및 그 접점(MS2)과, 청정액 배출을 위해 펌프(11)만들 가공 시켜주기 위한 펌프스위치(PB)와, 청정액 배출시 전자밸브(16)를 동작시켜 배출경로를 전환시켜주는 밸브스위치(SW2) 및 밸브표시등(PL3)으로 구성된 것으로 OB1 및 OB2는 차단기, F는 퓨즈이며, 이에따른 공기청정액 제어동작은 다음과 같다.
주전원 스위치(SW1)를 온시키면 표시등(PL0)이 점등되어 전원(ACV) 공급이 표시되고, 과전류 릴레이(OL1)에 의한 과전류 검출이 선행되지 않은 정상동작시에는 그 릴레이 접점(THR1)의 상시 폐쇄점점을 통해 팬모터 릴레이(MC1)에 전원이 공급되어 릴레이 접점(MS1)이 온되므로 팬모터(9)가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한 제1도 내지 제3도에서와 같이 팬(8)이 구동된다.
또한 이때 펌프스위치(PB)의 상시 폐쇄접점과 과전류 릴레이(OL2)의 접점(THR2)중에서 상시 폐쇄접점을 통해 펌프릴레이(MC2)에 전원이 공급되어 그 접점(MS2)이 온되므로서 펌프(11)가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한 제1도 내지 제3도에서와 같이 펌프(11) 작동에 의한 청정액의 순환과 분무동작이 수행된다.
이와같이 팬모터(9) 및 펌프(11)가 동작하는중에 과전류 릴레이(OL1)(OL2)에서 과전류가 검출되면 릴레이동작에 의하여 그 접점(THR1)(THR2) 상태가 반전된다.
즉, 상기 폐쇄접점이 개방(오프)되어 팬모터 릴레이(MC1) 및 펌프릴레이(MC2)가 오프되고, 이에 따라 그 접점(MS1) 및 접점(MS2)이 오프되어 팬모터(9)와 펌프(11)의 전원(ACV) 공급이 차단되므로 기기동작은 중단되며, 릴레이 접점(THR1)(THR2) 중에서 상기 개방접점이 폐쇄(온) 되므로 과부하 표시등(PL1)(PL2)이 점등되어 각각 팬모터(9)와 펌프(11)의 이상동작을 표시해준다.
한편, 상기 정상동작중에 청정액 회수 및 공급통(10)속의 청정액이 기준수위 이하로 고갈상태가 되면 플로우트 스위치(13)가 동작하여 주전원 스위치(SW1)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고갈표시등(PL4) 측으로 스위칭 전환되므로 고갈상태가 표시됨과 함께 기기작동이 중단된다.
이 경우 이를 사용자가 인식하여 주전원 스위치(SW1)를 오프시키고 밸브스위치(SW2)를 온시키며 펌프스위치(PB)를 조작하면, 상시 개방접점이 폐쇄(온)되어 전자밸브(16)에 전원이 공급되므로 전자밸브(16)가 동작하여 상기 제2도에서와 같이 배출구(17)측 경로를 열어주게 되고, 밸브표시등(PL3)이 점등되어 전자밸브(16)작동중임이 표시되며, 펌프릴레이(MC2)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펌프(11)만 작동하므로서 상기한 제1도 내지 제3도에서와 같이 잔류 청정액을 배출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주전원 스위치(SW1)가 오프되어 있으므로 팬모터 릴레이(MC1)가 동작하지 않게되고, 따라서 팬모터(9)는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주전원 스위치(SW1)를 타이머측으로 전환시키면 타이머 릴레이(MC4)가 동작하여 설치된 소정시간(예 ; 30분) 동안만 회로전원이 공급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그 접점(T)이 오프되어 전원을 차단하므로서 타이머 운전이 수행된다.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청정의 효율을 실험한 데이타의 예로써 이에 의하는 바와같이 유해물질의 제거 효율에 있어 고효율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산업현장에서 실내공기의 정화를 집진, 탈취, 살균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효율적으로 수행할수 있고, 청정액의 순환을 통한 반복사용이 가능하여 동작시간을 장기간으로 확보할수 있으며, 채용한 필터의 청소가 용이할뿐만 아니라 일부 필터는 자체 청소가 병행되므로 기기운용에 따른 비용의 절감과, 추가 운용/조작의 편리함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실내공기의 흡입단계에서 분진을 제거하는 제1차필터(1)와, 상기 제1차필터(1)로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탈취실로 인도하는 단계에서 청정액과의 접촉에 의한 탈취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는 제2차필터(2)와, 상기 제2차필터(2)를 통과한 공기에 탈취제를 포함하는 청정액을 분무시켜 탈취시키는 분무노즐(3) 및 분무노즐(3)에서 분사된 청정액이 공기와 접촉되는 탈취실(4)과, 탈취실(4)을 통과한 청정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해내는 제3차필터(5)와, 최종 필터링된 청정공기를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순환 배출시키는 팬(8) 및 팬모터(9)와, 상기 분무노즐(3)에서 분무되어 탈취실(4)과 제2차필터(2)를 경유하여 낙하되는 청정액을 회수함과 함께 분무노즐(3)로 재순환 공급시켜 주는 청정액 회수 및 공급통(10)과, 청정액 회수 및 공급통(10)으로 부터 분무노즐(3)로 청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11) 및 공급관(12)과, 청정액의 고갈여부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13)과, 청정액의 재충진을 위한 주입구(14) 및 주입관(15)과, 청정액의 교체를 위하여 상기 공급관(12)로 상에서 배출경로를 확보해주는 전자밸브(16) 및 배출구(17)와, 청정액 회수및 공급통(10)으로 회수되는 청정액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필터(20)로 구성된 공기 청정장치.
  2. 팬모터(9) 및 펌프(11)의 과전류를 검출하여 전원을 차단 제어하는 과전류 릴레이(OL1)(OL2) 및 그 접점(THR1)(THR2)과, 청정액 고갈시 주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13) 및 그 동작표시등(PL4)과, 주전원 공급스위치(SW1)와, 일정시간 동안의 타이머 운전제어를 위한 타이머 릴레이(MC4) 및 그 접점(T)과, 전원공급을 나타내는 전원표시등(PL0)과, 각각 팬모터(9) 및 펌프(11)의 전원을 공급하며 과전류 릴레이(OL1)(OL2) 동작시에 그 접점(THR1)(THR2) 동작에 의하여 전원공급을 차단시켜주기 위한 팬모터 릴레이(MC1) 및 그 접점(MS1)과 펌프릴레이(MC2) 및 그 접점(MS2)과, 청정액 배출을 위해 펌프(11)만을 가공시켜주기 위한 펌프스위치(PB)와, 청정액 배출시 전자밸브(16)를 동작시켜 배출경로를 전환시켜주는 밸브스위치(SW2) 및 밸브표시등(PL3)으로 구성된 공기 청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수분이 제거된 청정공기에 대하여 세균 제거처리를 수행하는 살균필터(6)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탈취실(4)의 바닥면은 콘형의 경사면(4A)으로 구성되어 낙하되는 청정액이 유동됨과 함께 후측방으로 소정각도 경사면(4B)으로 구성되어 청정액이 제2차필터(2)상에 고르게 분포됨과 동시에 전면으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청정액은 증류에 탈취제가 혼합된 액이고, 여기서 탈취제는 유기 및 유기산염, 아민화합물, 베타민화합물의 혼합물을 탈취제로 구성한 공기 청정장치.
KR92006283U 1992-04-16 1992-04-16 공기 청정장치 KR950004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283U KR950004074Y1 (ko) 1992-04-16 1992-04-16 공기 청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283U KR950004074Y1 (ko) 1992-04-16 1992-04-16 공기 청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143U KR930023143U (ko) 1993-11-25
KR950004074Y1 true KR950004074Y1 (ko) 1995-05-20

Family

ID=1933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6283U KR950004074Y1 (ko) 1992-04-16 1992-04-16 공기 청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0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09B1 (ko) * 2012-10-10 2014-12-05 주식회사웰트리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1326A (zh) * 2019-03-15 2019-05-31 王支业 一种液洗空气净化器
KR102354996B1 (ko) * 2020-06-26 2022-01-24 김성우 공사현장의 비산먼지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09B1 (ko) * 2012-10-10 2014-12-05 주식회사웰트리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143U (ko) 199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71603A1 (en) Ai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purifying air
WO2007074733A1 (ja) 空気調和装置
KR100924211B1 (ko) 공기 제균 장치
JP3308278B2 (ja) 液体スプレー式空気浄化装置
KR101296799B1 (ko)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JPH08281039A (ja) 空気清浄機
JP3755010B2 (ja) 空気清浄化装置
KR950004074Y1 (ko) 공기 청정장치
CN113260444B (zh) 空气净化装置
KR102346882B1 (ko)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소독기
JP2006271614A (ja) 空気清浄機
JP2005046800A (ja) 空気清浄機
JPH0411916A (ja) 空気清浄機
JPH105530A (ja) 空気浄化装置
JPH0440205A (ja) 循環水の浄化装置
JPS6261615A (ja) 気体の除塵・除菌装置
JPH0325702B2 (ko)
JP2004357804A (ja) 空気浄化装置
JP3121160B2 (ja) 気体の除塵・除菌装置
JPH10128029A (ja) 空気清浄装置
JP6978884B2 (ja) 浴室洗浄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743236B1 (ko)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불가마
KR100704433B1 (ko) 소독기능을 갖춘 공기청정기
JP2010069423A (ja) 脱臭システム、脱臭装置及び脱臭方法
KR100529781B1 (ko) 습식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