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021Y1 -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021Y1
KR950004021Y1 KR2019930005246U KR930005246U KR950004021Y1 KR 950004021 Y1 KR950004021 Y1 KR 950004021Y1 KR 2019930005246 U KR2019930005246 U KR 2019930005246U KR 930005246 U KR930005246 U KR 930005246U KR 950004021 Y1 KR950004021 Y1 KR 950004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arm
gear
sheet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5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4580U (ko
Inventor
추수욱
류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주기계
추수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주기계, 추수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주기계
Priority to KR2019930005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021Y1/ko
Publication of KR9400245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5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A-A선을 절단하여 도시한 결합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것으로서, 제3(a)도는 록킹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제3(b)도는 록킹 해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는 일반적인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를 도시한 결합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에 의하여 시이트 백의 미세 각도 조절을 위한 상, 하부 톱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서 제1,2하부 톱니의 치차 배치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이트 아암 3 : 힌지아암
5 : 제1힌지 7 : 원판부
9 : 상부치차 11 : 제2힌지
13 : 제1기어 17 : 회전아암
19 : 제2기어 25 : 스톱아암
27 : 레버 31 : 제1탄발부재
33 : 삽입부 37 : 제2탄발부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을 보다 간단히하고 이에따른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시이트 백의 경사각을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이트는 탑승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시이트 백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한 자세로 운전 또는 여행을 할 수 있도록 시이트 굿션과 시이트 백의 연결부에는 리크라이닝 장치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리크라이닝 장치는 시이트 백이 운전자 및 탑승객의 체중 및 운전 중에 발생되는 가속도등이 부가되면서, 매우 높은 하중이 인가되는 바, 각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하중에 충분히 견딜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리크라이닝 장치의 종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1-309호에 상기한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이트 쿠션(C)의 측면에 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50)와,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50)에 힌지로 고정됨과 아울러 베이스 플레이트(50)에 회전 자재하도록 고정 설치된 캠 플레이트(51)와 스프링(52)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밀착되는 레버(53)와, 상기한 캠 플레이트(51)에 연동하도록 힌지로 고정 설치된 하부톱니(54)와, 상기한 하부톱니(54)와 간헐 치차 결합되는 상부톱니(55)와, 상기한 상부톱니(55)가 부착됨과 아울러 시이트 백(B)에 고정되고 코일스프링(56)으로 탄성 지지되는 아암 플레이트(57)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따라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레버(53)를 들어올리면, 이에 연결되어 있는 캠 플레이트(51)가 회전하면서 이의 종단에 형성되어 있는 압착부(58)가 하부톱니(5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하부톱니(54)의 회전에 의하여 하부톱니(54)와 상부톱니(55)가 서로 이격되면서 상부톱니(55)의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이와같이 상부톱니(55)의 록킹상태가 해지되면, 시이트 백(B)의 전후 회동운동이 자유롭게 되며, 이의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자신의 편리한 상태로 시이트 백(B)을 후측으로 밀거나 전측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시이트 백(B)의 경사각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시이트 백(B)의 고정된 아암 플레이트(57)는 코일 스프링(56)의 탄성을 받으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의 동작으로 시이트 백(B)의 경사각을 조절한 후에 당기고 있던 레버(53)를 놓으면, 스프링(52)의 탄성에 의해 캠 플레이트(51)가 원위치되면서 하부톱니(54)를 밀게되어 이의 하부톱니(54)가 상부톱니(55)와 치차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부톱니(55)가 고정축인 하부톱니(54)에 의해 록킹되는 바, 아암 플레이트(57)가 록킹되면서 사이트 백(B)을 현 위치에서 록킹시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시이트 백(B)의 위치 변화에 따른 각도는 상,하부 톱니(54,55)에 형성된 치차된 피치에 따라 결정되는데, 상기 치차의 피치는 시이트 백(B)의 록킹상태틀 견고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미세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5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부톱니(55)와 대응되는 하부톱니(54)를 제1,2하부톱니(54a,54b)로 형성하고, 이를 동작시키는 캠 플레이트(51)도 제1,2캠 플레이트(51a,51b)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제1,2하부톱니(54a,54b)의 치차 배열은 제6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호 엇갈리는 형태로 하였다.
즉, 시이트 백(B)의 록킹 후 시이트 백(B)의 록킹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캠 플레이트(51)로 하부 톱니(54)를 압착하도록 한것이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리크라이닝 장치는 서로 엇갈리는 치차를 갖는 2개의 하부톱니(54a,54b)와 2개의 캠 플레이트(51a,51b)를 필요로 함으로써, 구성이 복잡해지고 다수의 부품 사용으로 조립성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며, 이에따른 제조원가를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을 보다 간단히하고 이에따른 재조원가를 절감하며, 시이드 백의 경사각을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후측단이 내측으로 요입되고, 그의 중간부와 이의 전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힌지와 제2힌지가 형성되어 시이트 쿳션의 측면 후단부에 배치되는 시이트 아암과; 상측부분이 시이트백의 측면 하단부에 록킹되고, 그의 하단 원판부 외주연에 상부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의 중앙부가 상기 제1힌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아암과; 상기 제2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치치와 치합되는 제1기어와; 전측단 힌지부가 상기 제2힌지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아암의 중간부 하측에 제1기어와 치합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회동아암의 회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치차와 결합되면서 제1기어와 함께 상부치차의 회전을 억제하는 제2기어와; 상기 회전아암의 전측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아암의 자유단측이 임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아암과; 후단부 상측 부분이 상기 제1힌지에 결합되고, 전측 연장부의 중간부분이 시이트아암과의 사이로 개재되는 제1탄발부재에 의하여 항시 하측을 향하는 탄발력을 받게되며, 후측부 하단면에 상기 회전아암의 상측 곡면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레버와; 상기 제1힌지의 절개부와 힌지아암의 일정 위치에 돌설되는 지지돌기와의 사이로 탄지되는 제2탄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를 제공한다.
[작용]
시이트 백의 경사각 조절을 위하여 레버를 상승시키면 이에 연동되는 회전아암의 회전하면서 스톱아암을 밀어냄과 동시에 회전아암에 록킹된 제2기어가 상부치차와 이격으로써, 제1기어와 상부치차만이 치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시이트 백의 힌지아암에 형성되는 상부치차의 록킹을 해지하여 시이트 백의 전, 후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자세에 따라 시이트 백의 경사각을 조절한 후에 레버를 놓으면 레버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이에 연동되는 회전아암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제1,2기어를 상부치차와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부치차가 어느방향으로든 회전을 하려고 하여도 제1,2기어가 상호 외접된 상태에서 제1,2기어가 상부치차와 나란히 치합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제1,2기어가 상부치차의 회전을 억제하게되는 바, 결국 상부치차가 형성되어 있는 힌지아암의 회동을 억제하여 시이트 백을 현위치에서 록킹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하지 않은 시이트 쿳션과 시이트 백은 이의 후단과 하단에 고정되는 시이트 아암(1)과 힌지아암(3)의 힌지 연결에 의하여 시이드 백의 전,후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시이트 아암(1)은 그의 후측단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그의 중간부에 제1힌지(5)가 형성되어 이에 힌지아암(3)의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아암(3)의 하단부는 원판부(7)로 형성되어 그의 외주연에 상부치차(9)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부치차(9)는 원판부(7)의 전 외주연에 걸쳐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이의 힌지아암(3)이 고정되는 시이트 백의 전,후 회동각을 범위를 고려하여 일부분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5)의 전측으로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제2힌지(11)가 형성되어 이에 상기 상부치차(9)와 치합되는 제1기어(13)가 결합되며, 상기 제1기어(13)는 일측단 즉, 전측 힌지부(15)가 상기 제2힌지(11)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아암(17)에 의하여 외부 이탈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아암(17)의 중간부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기어(19)와 치합된다.
또한, 상기의 회전아암(17)은 상측변이 소정의 곡률로 이루어지는 곡면(2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부(15)와 중간부 하측 사이에는 내측으로 요입되는 슬라이드면(23)을 갖는다.
이에따라 회전아암(17)이 제2힌지(11)를 기준으로 이의 후단부가 상승하면 제2기어(19)가 상기 상부치차(9)와 치합되고, 반대로 후단부가 하강하면 제2기어(19)가 상부치차(9)와 이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아암(17)의 슬라이드 면(23) 전측 하부에는 스톱아암(25)이 배치되는데, 이의 스톱아암(25)은 그의 하단부가 시이트 아암(1)에 돌설되는 제3힌지(26)에 힌지 결합되고, 그의 상단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 면(23)과 접촉되면서 회전아암(17)을 받쳐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아암(17)은 조작자(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동작시키는 레버(27)에 의하여 상하 회동하면서 제2기어(19)를 상부치차(9)와 치합 또는 치합 해제시키게 되는데, 상기 레버(27)는 후단부 상측 부분이 상기 제1힌지(5)에 결합되고, 전측 연장부(29)의 중간부분이 시이트 아암(1)과의 사이로 개재되는 제1탄발부재(31)에 의하여 항시 하측을 향하는 탄발력을 받게된다.
또한, 상기 레버(27)의 후측부 하단면에는 상기 회전아암(17)의 상측부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부(33)가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부(33)는 회전아암(17)의 곡면(21)에 대응할 수 있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따라 시이트 백의 록킹시에는 항시 상기의 곡면(21)과 삽입부(33)는 면접촉이 이루어져 회전아암(17)의 회전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5)에는 절개부(35)를 형성하여 이에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재2탄발부재(37)의 일측단을 고정하고, 상기 제2탄발부재(37)의 자유단은 상기 힌지아암(3)의 일정 위치에 돌설되는 지지 돌기(39)에 탄지하였다.
상기에서 제2탄발부재(37)는 그의 형상으로 볼 때 항시 힌지아암(3)을 전측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탄발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시하고 있으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관하다.
이에따라 상기 레버(27)의 연장부(29)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이의 레버(27)가 상향 회동하면서 이의 삽입부(33)에 수용되어 있는 회전아암(17)의 후단부를 하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되는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리크라이닝 장치는 이를 형성하는 각각의 부품들이 제2도에서와 같이 시이트 아암(1)의 후단 요입부에 안착되며, 그 외측으로 위치하는 레버(27)의 후측부에 의하여 은폐된다.
이러한 리크라이닝 장치는 평상시 즉, 시이트 백이 록킹된 상태에서는 제3도의 제3(a)도와 같은 상태가 유지된다.
이의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시이트 백의 경사각을 조절하고자 할때에는 레버(27)의 전단 연장도(29)를 상측으로 당긴다.
그러면 이의 레버(27)가 상승되면서 이의 회동에 따라 삽일부(33)에 수용되어 있는 회전아암(17)의 후측단부를 눌러 제3도 (b)와 같이 회전시킴과 동시에 스톱아암(25)을 밀어내게 된다.
이때, 회전아암(17)의 회전에 의하여 그의 중간부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기어(19)가 하강함으로써, 상부치차(9)와 제2기어(19)가 이격되어 제1기어(13)와 상부치차(9)만이 치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제2기어(19)가 상부치차(9)와 이격된 상태에서는 제1기어(13)와 상부치차(9)만이 치합되는 바, 시이트 백을 전후 회동시키면 이에 고착되어 있는 힌지아암(3)이 회동하면서 상부치차(3)가 제1기어(13)를 회전 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이의 상태에서 제2기어(19)는 상부 치차(9)와 이격된 상태에서 제1기어(13)에 의하여 공전만 할 뿐 다른 작용은 하지 않게 됨으로써, 힌지아암(3)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이의 힌지아암(3)이 고착되어 있는 시이트백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시이트 백의 경사각을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한 후에는 상측으로 당기고 있던 레버(27)를 놓으면 시이트 백이 현 상태에서 록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레버(27)를 놓으면 이를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31)의 복원력에 의하여 레버(27)가 하측으로 회동하면서 이의 삽입부(33)에 수용되어 있는 회전아암(17)을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제3(a)도에서와 같이 제2기어(19)가 상부치차(9)와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부치차(9)에 상호 치합되는 2개의 기어(13)(19)가 외접됨으로써, 상부치차(9)의 회전이 억제되어 결국은 시이트 백을 록킹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는 서로 외접하는 기어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임을 고려할 때, 힌지아암(3)의 상부치차(9)에는 상호 외접하는 2개의 기어(13)(19)가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치차(9)이 회전이 억제되면서 시이트 백을 록킹시켜 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리크라이닝 장치는 치차 결합의 상태에서 경사가 조절이 이루어지는 바, 시이트 백의 경사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의 경사각 미세 조절 정도는 상부치차(9)와 제1,2, 기어(13)(19)의 기어 피치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설계 당시 이점을 고려하여 기어들의 피치를 설정하면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두개의 기어를 이용하여 상부치차가 형성되어 있는 힌지아암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리크라이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을 보다 간단히하고 이에따른 제조원가를 절감하며, 시이트 백의 경사각을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후측단이 내측으로 요입되고, 그의 중간부와 이의 전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힌지(5)와 제2힌지(11)가 형성되어 시이트 쿳션의 측면 후단부에 배치되는 시이트 아암(1)과; 상측부분이 시이트 백의 측면 하단부에 고정되고, 그의 하단 원판부(7) 외주연에 상부치차(9)가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7)의 중앙부가 상기 제1힌지(5)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아암(3)과; 상기 제2힌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치치(9)와 치합되는 제1기어(13)와; 전측단 힌지부(15)가 상기 제2힌지(11)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아암(17)의 중간부 하측에 제1기어(13)와 치합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회동아암(17)의 회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치차(9)와 결합되면서 제1기어(13)와 함께 상부치차(9)의 회전을 억제하는 제2기어(19)와; 상기 회전아암(17)의 전측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아암(17)의 자유단측이 임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아암(25)과; 후단부 상측 부분이 상기 제1힌지(5)에 결합되고, 전측 연장부(29)의 중간부분이 시이트 아암(1)과의 사이로 개재되는 제1탄발부재(31)에 의하여 항시 하측을 향하는 탄발력을 받게되며, 후측부 하단면에 상기 회전아암(17)의 상측 곡면(21)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부(33)가 형성되는 레버(27)와; 상기 제1힌지(5)의 절개부(35)와 힌지아암(3)의 일정 위치에 돌설되는 지지돌기(39)와의 사이로 탄지되는 제2탄발부재(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톱아암(25)은 하단부가 시이트 아암(1)에 돌설되는 제3힌지(26)에 힌지 결합되고, 그의 상단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회전아암(17)의 힌지부(15)와 중간부 하측 사이에 내측으로 요입되는 슬라이드면(23)과 접초되도록 형성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
KR2019930005246U 1993-04-01 1993-04-01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 KR950004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246U KR950004021Y1 (ko) 1993-04-01 1993-04-01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246U KR950004021Y1 (ko) 1993-04-01 1993-04-01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580U KR940024580U (ko) 1994-11-16
KR950004021Y1 true KR950004021Y1 (ko) 1995-05-19

Family

ID=1935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5246U KR950004021Y1 (ko) 1993-04-01 1993-04-01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0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580U (ko) 199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25470C (zh) 车辆座椅装置
US4641884A (en) Seat for vehicles
JPH0126508Y2 (ko)
GB2297902A (en) Reclining device for a seat back
JPH0218845B2 (ko)
US4889386A (en) Rear seat for motor vehicles
KR100317464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풀 플로우팅 장치
JP2601639B2 (ja) 乗物シート用の遊び無しの関節式接続装置
KR950004021Y1 (ko) 시이트 리크라이닝 장치
JP2001130294A (ja) 車両用シート
JP2001197954A (ja) シートリフタ
JPH0456602B2 (ko)
JPH061004Y2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KR100296698B1 (ko) 자동차용시트리클라이닝장치
JP2637641B2 (ja) 車両用シート
JPH01218407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S6041154Y2 (ja) 継手部材の角度調節兼固定装置
KR10033489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양측 리클라이너
JPH11151131A (ja) リクライニングデバイス
JPH0537869Y2 (ko)
KR200386997Y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기구
JPH054754Y2 (ko)
JPH046336Y2 (ko)
JPH07195969A (ja) シートのリフター機構
KR100318078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틸팅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