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567B1 - 캠코더의 전자 칼라 필터 회로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전자 칼라 필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567B1
KR950003567B1 KR1019910023807A KR910023807A KR950003567B1 KR 950003567 B1 KR950003567 B1 KR 950003567B1 KR 1019910023807 A KR1019910023807 A KR 1019910023807A KR 910023807 A KR910023807 A KR 910023807A KR 950003567 B1 KR950003567 B1 KR 950003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unit
color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694A (ko
Inventor
목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1002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567B1/ko
Publication of KR93001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7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matr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캠코더의 전자 칼라 필터 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캠코더 회로도.
제 2 도는 본 발명 캠코더의 전자 칼라 필터 회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다른 실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촬상부 20 : 신호 추출부
30 : 휘도신호 처리부 40 : 칼라신호 처리부
50 : 변조부 60 : 키 입력부
70 : 시스템 제어부 80 : R.G.B 매트릭스부
90 : R-Y 포화도 레벨 조절부 100 : B-Y 포화도 레벨 조절부
110 : 칼라 중첩부
본 발명은 캠코더의 전자 칼라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칼라 영상을 녹화시 렌즈로부터 받은 칼라 신호를 약화시키고 촬영자가 임의로 색상 및 포화도를 선택하여 기록함으로써 기존의 칼라 영상 녹화와는 달리 고전적인 분위기, 과거 회상적인 분위기등을 연출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캠코더의 전자 칼리 필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캠코더는 제 1 도에서와 같이, 렌즈(1)로부터 입력받은 광학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2)와, 상기 촬상부(2)의 출력신호를 샘플링하기 위한 신호 추출부(3)와, 샘플링된 신호중에서 휘도 신호를 처리하는 휘도신호 처리부(4)와, 샘플링된 신호중에서 칼라신호를 처리하는 칼리신호 처리부(5)와, 상기 휘도신호 처리부(4)의 출력휘도 신호와 상기 칼라신호 처리부(5)의 R-Y, B-Y 신호를 휘도와 칼라로 만들어 내는 변조부(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회로에 대하여 그 동작 및 문제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에 영상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렌즈(1)를 통하여 입력받은 광학적인 신호를 촬상부(2)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신호가 신호 추출부(3)를 통해 샘플링한 값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되어, 휘도 신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휘도신호 처리부(4)와 칼라신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칼라신호 처리부(5)를 통해 출력된 영상신호가 변조부(6)를 통하여 휘도신호와 칼라신호가 만들어져서 Y/C 처리부(도면 미표시)로 입력된다.
그런데, 종래의 캠코더는 카메라에서 받은 영상신호를 그대로 녹화하는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만 한다. 따라서 종래의 캠코더는 카메라에서 출력된 영상을 그대로 녹화하기 때문에 칼라신호 자체에 변화를 줄 수 없다. 다만 촬영자가 촬영중 칼라신호에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렌즈(1) 부분에 광학 필터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뒤따랐다.
또한, 촬영중 칼라신호에 변화를 주기 위해 광학 필터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렌즈(1)를 통해 얻은 칼라 성분을 그대로 이용하여 필터링하기 때문에 촬영자가 카메라 렌즈(1)를 통해 얻은 칼라신호성분을 약화시키고 임의로 색상과 포화도를 화면 전체에 삽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회로의 결함을 감안하여, 키보드를 통해 모드의 절환 및 R.G.B의 조합으로 다양한 색상, 포화도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고전적인 분위기, 과거 회상적인 분위기등을 촬영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독특한 화면의 구성을 얻을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발명 캠코더의 전자 칼리 필터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1)로부터 입력된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촬상부(10)와, 상기 촬상부(10)의 출력신호를 샘플링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시키는 신호 추출부(20)와, 상기 신호 추출부(20)의 출력신호중에서 휘도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휘도신호 처리부(30)와, 상기 신호 추출부(20)의 신호중에서 칼라신호를 처리하여 R-Y, B-Y 신호를 만들어내는 칼라신호 처리부(40)와, 상기 휘도신호 처리부(30)의 출력 휘도신호와 상기 칼라신호 처리부(40)의 출력 R-Y, B-Y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휘도 신호와 칼라신호를 만들어내는 변조부(50)와, 촬영중 칼라신호를 변환 및 삽입시키기 위해 촬영자가 색상 및 포화도를 조절할 수 있는 키 입력부(60)와, 상기 키 입력부(60)의 출력을 받아 색상 및 포화도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70)와, 상기 시스템 제어부(70)로부터 R.G.B 제어 신호를 입력하여 촬영자가 원하는 색상을 만들어내는 R.G.B 매트릭스부(80)와, 상기 R.G.B 매트릭스부(80)의 출력신호에서 R-Y 신호의 포화도 레벨을 조절하는 R-Y 포화도 레벨 조절부(90)와, 상기 R.G.B 매트릭스부(80)의 출력에서 B-Y 신호의 포화도 레벨을 조절하는 B-Y 신호의 포화도 레벨을 조절하는 B-Y 포화도 레벨 조절부(100)와, 상기 칼라신호 처리부(40)의 출력과 상기 R-Y 포화도 레벨 조절부(90) 및 상기 B-Y 포화도 레벨 조절부(100)의 출력을 각기 중첩하여 상기 변조부(50)에 인가하는 칼라 중첩부(110)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회로에 대하여 그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제 3 도의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렌즈(1)를 통하여 입력된 광학 신호를 촬상부(10)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촬상부(10)의 출력신호는 신호 추출부(20)에서 샘플링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된다. 상기 신호 추출부(20)의 출력중 휘도성분은 휘도신호 처리부(30)에 입력되어 처리하고 칼라 성분은 칼라신호 처리부(40)에 입력되어 처리된다.
상기 휘도신호 처리부(30)의 출력은 변조부(50)에 입력되고, 상기 칼라신호 처리부(40)의 출력은 칼라 중첩부(110)에 입력되어 R-Y 포화도 레벨 조절부(90) 및 B-Y 포화도 레벨 조절부(100)의 출력과 각기 중첩되어 상기 변조부(50)에 입력된다.
촬영중 촬영자가 렌즈(1)를 통해 입력된 칼라신호를 약화시키고 임의로 색상과 포화도를 선택하려면, 키입력부(60)의 스위치를 누르면 된다.
상기 키 입력부(60)의 스위치(SW1)는 색상을 선택하는 키로서, 스위치(SW1)를 누를 때마다 색상이 변하게 되고, 스위치(SW2)는 R-Y, B-Y의 포화도 레벨을 선택하는 키로서, 스위치(SW2)를 누를 때마다 R-Y, B-Y의 포화도 레벨이 바뀌게 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70)는 상기 키 입력부(60)의 입력을 받아 스위치(SW1)의 입력으로는 R.G.B를 제어하여 다양한 색상 정보를 R.G.B 매트릭스부(80)에 전달하고, 스위치(SW2)의 입력으로는 포화도 레벨 조절부(90, 100)를 제어하여 포화도 레벨을 조절하게 된다.
R.G.B 매트릭스부(80)에서는 상기 시스템 제어부(70)의 R.G.B 정보를 받아들여 저항의 비에 의해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 R-Y, B-Y 신호를 상기 R-Y, B-Y 포화도 레벨 조절부(90, 100)로 출력시킨다.
상기 R-Y, B-Y 포화도 레벨 조절부(90, 100)에서는 상기 R.G.B 매트릭스부(80)에서 결정된 R-Y, B-Y 100% 포화도 레벨을 상기 시스템 제어부(70)로부터 포화도 레벨 조절 신호를 받아들여 포화도 레벨 스위치(SW3, SW3')가 A-E, A'-E'까지 동시에 스위칭되어 R-Y, B-Y 포화도 레벨이 결정되어진다. 예를들어, A,A'에 스위치(SW3, SW3')가 접촉되면, R-Y, B-Y는 포화도 레벨이 5%로 패스되고, B,B'이면 10%, C,C'이면 20%, D,D'이면 30%, E,E'이면 40%가 패스되도록 하면, 상기 키 입력부(60)에 의해 R-Y, B-Y의 포화도 레벨을 5%에서 40%까지 촬영자가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칼라 중첩부(110)에서는 상기 칼라신호 처리부(40)의 출력 R-Y, B-Y의 상기 포화도 레벨 조절부(90, 100)의 출력 R-Y, B-Y를 중첩하여 변조부(50)에 입력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키 입력부(60)에서 스위치(SW1, SW2)를 스위칭함으로써 촬영자가 임의로 색상 및 포화도를 조절하여 임의의 R-Y, B-Y 신호를 만들고, 칼라신호 처리부(40)의 출력신호인 피사체 칼라신호 R-Y, B-Y 신호와 칼라 중첩부(110)에서 각기 중첩하여 변조부(50)에 입력시키면, 최종적으로 휘도신호 및 칼라신호를 만들어 휘도/칼라 처리부(도면 미도시)로 보내면 촬영자가 원하는 다양한 화면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캠코더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시 칼라신호에 변화를 주기 위해 카메라 렌즈 부분에 광학 필터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카메라 렌즈 부분에 광학 필터를 사용하더라도 렌즈를 통해 얻은 피사체의 칼라 성분을 그대로 이용하여 필터링하기 때문에 피사체 고유의 칼라신호에 대한 변화를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을 촬영자가 캠코더의 키보드를 통해 모드 절환 및 R.G.B 조합으로 다양한 색상, 포화도 레벨을 조절하므로써 고전적인 분위기, 과거 회상적인 분위기 등을 촬영시 자유자재로 연출할 수가 있고, 또한 촬영시 독특한 화면 구성, 다양한 화면 구성등 촬영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R.G.B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색상을 선택하고 R-Y, B-Y의 포화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녹화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칼라 성분에 변화를 주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피사체 촬상신호를 영상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휘도신호 처리부와 칼리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있는 캠코더에 있어서, 상기 칼라신호 처리부의 출력신호인 피사체 칼라신호에 임의의 칼라신호 중첩 및 상기 임의의 칼라신호의 포화도 레벨 조절 키 입력단자를 구비한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임의의 칼라신호를 발생시키는 칼라신호 발생부와, 상기 키 입력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칼라신호 발생부의 출력신호인 임의의 칼라신호의 포화도 레벨을 조절하는 포화도 레벨 조절부와, 상기 포화도 레벨 조절부의 출력신호인 임의의 칼라신호와 상기 칼라신호 처리부의 출력신호인 피사체 칼라신호를 중첩시키는 칼라 중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전자 칼라 필터 회로.
KR1019910023807A 1991-12-21 1991-12-21 캠코더의 전자 칼라 필터 회로 KR950003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807A KR950003567B1 (ko) 1991-12-21 1991-12-21 캠코더의 전자 칼라 필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807A KR950003567B1 (ko) 1991-12-21 1991-12-21 캠코더의 전자 칼라 필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694A KR930015694A (ko) 1993-07-24
KR950003567B1 true KR950003567B1 (ko) 1995-04-14

Family

ID=1932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807A KR950003567B1 (ko) 1991-12-21 1991-12-21 캠코더의 전자 칼라 필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523A (ko) * 1997-12-26 1999-07-15 유무성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필터 효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694A (ko) 199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2608B1 (en) Video signal processor and color video camera
US5003404A (en) Video camera
JPH02288580A (ja) カラーテレビカメラの色補正装置
JPH03214990A (ja) カラー撮像装置
KR930002042Y1 (ko) 전자 스틸 촬영이 가능한 캠코더
KR950003567B1 (ko) 캠코더의 전자 칼라 필터 회로
KR950008129B1 (ko) 2계통의 촬상부와 1계통의 신호 처리부를 갖고 있고 화이트 밸런스 제어가 개선된 촬상 장치
KR910006478Y1 (ko) 칼라 텔레비젼 카메라의 백색 밸런스 회로
EP0511005B1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a choice of clock pulse generation means
JP455810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615065B2 (ja) カメラの白バランス調整方法
KR100215456B1 (ko) 특수효과화면의 변화에 따른 음성변조기능을 구비한 캠코더
JP2532596Y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S61174893A (ja) 撮像装置
KR100194934B1 (ko) 디지탈 칼라 필터 장치 및 방법
JP2522296Y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装置
JPH05252532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607688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100282942B1 (ko)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 처리장치
JP3822920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KR930007501Y1 (ko) 캠코더의 크로마 편집 처리회로
JP2576144Y2 (ja) カラーコレクタ装置
JP2528176Y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US5699469A (en) Image sensing recording apparatus for digital recording of digitally modulated video signals without frequency rate conversion
JP3220982B2 (ja) 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