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930Y1 - 자동차용 부변속기의 웨이팅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부변속기의 웨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930Y1
KR950002930Y1 KR92025600U KR920025600U KR950002930Y1 KR 950002930 Y1 KR950002930 Y1 KR 950002930Y1 KR 92025600 U KR92025600 U KR 92025600U KR 920025600 U KR920025600 U KR 920025600U KR 950002930 Y1 KR950002930 Y1 KR 9500029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hift
shifting
spacer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5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311U (ko
Inventor
진영종
Original Assignee
김성웅
주식회사 기아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웅, 주식회사 기아기공 filed Critical 김성웅
Priority to KR92025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930Y1/ko
Publication of KR940015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3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9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2Four wheel driv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부변속기의 웨이팅 장치
제1도는 종래기술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변속엔드와 변속로드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부분 발췌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변속레버 22 : 변속엔드
23 : 변속로드 24 : 케이스
25 : 변속포크 26 : 스페이서
26a : 작은단턱 26b : 큰단턱
27a, 27b : 스프링 28 : 걸림부재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변속기의 웨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수를 감소시키며 조립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변속시 마찰부분을 최소화하여 변속감각을 좋게 할 수 있는 부변속기의 웨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4륜구동 자동차에는 필요에 따라 전륜측으로의 동력을 단속하는 부변속기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러한 부변속기는 4륜구동시에 직선주행을 할 때에는 전후륜이 같은 회전수를 갖게되어 기어변속에 별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곡선주행시에는 전후륜간에 회전수가 다르게 되어 변속기어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록킹(locking)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곡선주행시에 변속을 실시할 경우에는 기어가 맞물려 있으므로 인해 변속로드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결국 변속을 실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부변속기에는 이러한 때에, 즉, 록킹(locking)시에 변속레버의 조작을 일시적으로 수용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곡선주행에서 직선주행으로 변환시 자체적으로 변속을 이룰수 있게 하는 웨이팅(waiting)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부변속기의 웨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금까지 실시되고 있는 종래의 일례를 들어보면, 제1도에서와 같이 상단에 변속레버(1)가 연결되는 변속로드(3)에 스프링핀(4) 결합하고, 그 측단에는 변속기어(미도시)를 작동시키는 변속포크(5)가 변속로드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변속로드(3)는 양단이 케이스(4)측면에 변속레버(1)의 조작에 의해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변속엔드(2)와 변속포크(5)사이에는 스넵링(6)에 의해 지지되는 스페이서(7a)를 설치하고 이 스페이서(7a)는 변속엔드(2)에 대해 스프링(8a)탄지되어 있으며, 변속포크(5)와 케이스(4) 측벽 사이에도 스페이서(7b)가 제공되어 케이스(4)측벽에 대해 스프링(8b) 탄지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스프링(8b)은 스프링(8a)에 비해 탄성력이 큰 것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변속포크(5)의 좌측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멈춤핀(9)을 케이스(4)외부로부터 삽입 고정하여 멈춤핀(9)의 단부가 변속포크(5)의 좌측이동을 제한한다. 미설명 부호 10은 와셔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은 록킹현상에 의해 변속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변속레버(1)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변속엔드(2) 및 스프링핀(4)에 의해 일체화된 변속로드(3)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변속포크(5)는 록킹현상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변속포크(5)에 의해 스프링(8a)이 가압되며 압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변속레버(1)는 조작되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가 직선주행을 하게되면 록킹현상이 해제되어 변속포크(5)를 이동 가능하게 되므로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8a)이 복원되면 변속포크(5)를 우측으로 밀어내어 비로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스프링(8a)의 힘이 스프링(8b)의 힘에 비해 크게 구성되므로 스프링(8b)은 압축되어진게 된다.
그리고 변속레버(1)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변속레버에 이해 변속엔드(2) 및 변속로드(3) 그리고 스페이서(7a)와 스프링(8a)이 일체화되어 함께 이동하게 되고, 변속포크(5)는 스프링(8b)의 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며 멈춤핀(9)에 걸려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변속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부품수의 과다로 인해 조립효율이 크게 저하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마찰력에 의해 변속 감각이 순환되는 등의 결점을 갖고 있었다. 즉, 변속엔드와 변속로드를 스프링핀 결합하므로써 스프링핀 결합에 의한 조립성이 매우 불량하여 분해후 재조립시 스프링핀의 재사용이 불가할 뿐만 아니라, 탄성력이 큰 스프링(8a)을 변속로드에 끼우고 스페이서(7a)를 조립한 후에 스넵링(6)을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하는 동안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있어야 하는등 조립성이 매우 불량한 실정이었다. 또한, 변속레버의 작동에 의해 변속로드가 케이스에 대해 마찰되며 작동하므로 그 마찰력에 의한 변속감각이 둔화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부품수를 감소함과 동시에 조립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치내에 마찰부분을 최소화하여 변속감각을 좋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부변속기의 웨이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변속포크의 좌우단에 탄성력이 서로 다른 스프링을 갖춘 자동차용 변속기의 웨이팅 장치에 있어서, 변속로드를 케이스에 고정 설치하고, 변속엔드를 변속로드에 걸어맞춤하고, 변속엔드와 변속포크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은 스페이서 일단과 변속포크의 측면에 지지되는 걸림부재 사이에 설치하고, 걸림부재는 스페이서에 걸어맞춤되게 구성하여 달성될 수 있다. 즉, 변속엔드와 변속로드를 걸어맞춤식으로 함과 동시에 변속로드를 케이스에 고정하여 마찰부분을 배제하고, 또한 스페이서에 별도의 걸림부재를 제공하여 스넬링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써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상단에 변속레버(21)가 연결된 변속엔드(22)가 변속로드(23)상에 연결되는데, 이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엔드(22)의 하단에 걸림홈(22a)을 형성하여 변속로드(23)가 걸림홈(22a)내로 끼워 맞춤된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변속로드(23)의 양단은 케이스(24) 양측벽에 고정되어지고, 변속로드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단에 걸림턱(25a)을 갖추어 케이스 상부에 형성된 멈춤턱(24a)에 걸리도록된 변속포크(25)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변속엔드(22)와 변속포크(25)사이에는 변속로드(23)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스페이서(26)가 설치되고, 이 스페이서(26)의 주연에 스프링(27a)이 삽입되되, 제3도에서와 같이 스페이서의 일측은 스프링 내경보다 작게 구성된 단턱(26a)을 작고, 타측은 스프링(27a) 내경보다 큰 단턱(26b)을 구성하여 스프링(27a)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스페이서(26) 외단에 끼워 맞춤되어 조립 완료된 스프링(27a)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걸림부재(28)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변속포크의 측면에는 스페이서 삽입홈(25b)이 구성되어 있고, 스페이서 삽입홈(25b)의 선단 주연에는 상기 걸림부재(28)가 걸리도록 구성된다. 한편, 변속포크(25)의 우측단은 케이스(24)에 대해 스프링(27b) 탄지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27b)은 상기 스프링(27a)에 비해 탄성력이 약한 스프링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록킹현상 발생시 변속레버(21)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변속엔드(22)가 스페이서(26)를 밀게되고, 스페이서(26)가 스프링(27a)을 밀며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변속포크(25)는 록킹현상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유동되지 못하므로 스페이서(26)는 스페이서 삽입홈(25b)으로 삽입되어지고, 스프링(27a)이 압축되며 변속엔드(22)의 이동거리를 보상하여 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가 전진주행을 이루게 되면 록킹현상이 해제되어 변속포크가 자유상태로 되므로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27a)이 복원되며 변속포크(25)를 밀어주게 되어 변속이 실시되게 한다. 한편, 스프링(27b)은 스프링(27a)에 비해 탄성력이 작으므로 변속포크 이동에 의해 압축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변속레버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27b)에 의해 스페이서(26) 및 변속포크(25)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변속포크(25)는 멈춤턱(24a)에 의해 이동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되어 변속을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부변속기의 웨이팅 장치는 변속로드를 케이스에 고정 설치하고 변속엔드와 변속로드를 걸어맞춤 결합함과 동시에 스페이서와 스프링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걸림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변속로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변속레버 작동시 변속엔드만의 움직임을 느끼게 되므로 변속감각을 좋게 하였다. 특히 스프링핀 및 변속포크 멈춤핀 등을 제거하여 조립공수를 크게 감소시킴으로써 조립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2)

  1. 변속포크(25)의 좌우단에 탄성력이 서로 다른 스프링을 갖춘 자동차용 부변속기의 웨이팅 장치에 있어서, 변속로드(23)를 케이스(24)에 고정하고, 변속엔드(22)를 변속 로드에 걸어맞춤하고, 변속엔드와 변속포크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26a)은 스페이서(26)일단과 변속포크(25)의 측면에 지지됨과 동시에 스페이서(26)에 걸어 맞춤되는 걸림부재(28) 사이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변속기의 웨이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양단에 높이가 서로다른 단턱(26a, 26b)을 구성하여 작은 단턱(26a)으로 스프링(27a)을 삽탈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걸림부재는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환형상으로 되어 개방부로 스페이서상에 결합되어 작은 단턱(26a)에 걸리어 축방향의 이탈이 저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변속기의 웨이팅 장치.
KR92025600U 1992-12-16 1992-12-16 자동차용 부변속기의 웨이팅 장치 KR9500029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600U KR950002930Y1 (ko) 1992-12-16 1992-12-16 자동차용 부변속기의 웨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600U KR950002930Y1 (ko) 1992-12-16 1992-12-16 자동차용 부변속기의 웨이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311U KR940015311U (ko) 1994-07-19
KR950002930Y1 true KR950002930Y1 (ko) 1995-04-17

Family

ID=1934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5600U KR950002930Y1 (ko) 1992-12-16 1992-12-16 자동차용 부변속기의 웨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9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115A (ko) * 2000-04-04 2001-10-31 이계안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KR100452599B1 (ko) * 2001-12-24 2004-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콘트롤 샤프트 어셈블리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311U (ko) 199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0318A (en) Operating mechanism of a transfer unit
US4614256A (en) Parking brake structure for automatic transmission mechanism
US4606242A (en) Parking device
JP3900786B2 (ja) 変速機
KR0134130B1 (ko) 자동변속 조작기구
KR950002930Y1 (ko) 자동차용 부변속기의 웨이팅 장치
US4494419A (en) Transmission mechanism in a manual transmission
KR101900420B1 (ko) 동력변환유닛과 이를 이용한 삼륜오토바이
JPH0523391Y2 (ko)
KR100551083B1 (ko) 변속 조작 기구의 실렉트 리턴 장치
KR20050098518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191595B1 (ko) 수동 변속기의 일체형 시프트 포크
JPH0524382B2 (ko)
CN2274600Y (zh) 自行车二级变速后轴
JPH0242922Y2 (ko)
KR960004325Y1 (ko) 오토메틱차량의 셀렉트조정장치
WO2024089712A1 (en) Clutch assemblies for vehicles
KR19990059459A (ko) 변속레버 구조체
JPH0518196Y2 (ko)
JPS5834506Y2 (ja) シフト構造
KR880003111Y1 (ko) 4륜 구동자동차의 동력절환장치
KR950000788Y1 (ko) 자동차의 후진 오동작 방지장치
KR0126026Y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 기구
KR970008500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950011266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후진변속 제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