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889B1 -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889B1
KR950002889B1 KR1019870007732A KR870007732A KR950002889B1 KR 950002889 B1 KR950002889 B1 KR 950002889B1 KR 1019870007732 A KR1019870007732 A KR 1019870007732A KR 870007732 A KR870007732 A KR 870007732A KR 950002889 B1 KR950002889 B1 KR 950002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temperature
film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748A (ko
Inventor
슈지 키따무라
키요히코 나카에
코조 코타니
타카노리 쿠메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카가꾸코교가부시끼가이샤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카가꾸코교가부시끼가이샤,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스미또모카가꾸코교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1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0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65Permeability to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68Permeability to liquids; Adsorption
    • B29K2995/0069Permeability to liquids; Adsorption non-perme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4/00Plastic and nonmetallic article shaping or treating: processes
    • Y10S264/73Processes of stretc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Wrapp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지 성분으로서 특정한 폴리에틸렌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며, 통기성이 높고, 촉감과 외관이 우수하며, 강도가 높은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원(OPI) 제14303/83호(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OPI"는 공개되었으며 심사되지 않은 일본국 특허원"을 가리킨다)에는, 스증기와 같은 기체는 투과시키지만 물과 같은 액체는 투과시키지 않는 통기성 필름은 수지, 충전제 등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을 연신시킴으로서 수득할 수 있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통기성이 높은 필름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수지 조성물중의 충진제의 비율을 증가시키거나 연신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통기성을 증가시키는 이러한 기술은 필름 성형성과 형성된 필름의 강도를 저하시키므로, 이를 사용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통기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필름 성형성이 탁월하고 필름 강도가 우수한 필름은 상기의 기술로는 수득할 수가 없다. 필름을 저온에서 연신시켜서 통기성을 증가시키는 또다른 기술은 촉감과 외관이 열악한 통기성 필름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 성형성과 필름 연신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통기성이 높고 촉감과 외관이 우수하며 강도가 높은 통기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술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1)밀도가 0.870 내지 0.915g/㎤이며 실온에서 크실렌으로 추출할 수 있고 중량 평균 분자쇄 길이가 1,000 내지 9,000Å인 성분을 15 내지 50중량%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와 (2)충전제 50 내지 400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통기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1)밀도가 0.870 내지 0.915g/㎤이며 실온에서 크실렌으로 추출할 수 있고 중량 평균 분자쇄 길이가 1,000 내지 9,000Å인 성분을 15 내지 50중량%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 (2)충전제 50 내지 400중량부 및 (3)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5 내지 8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통기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1)밀도가 0.870 내지 0.915g/㎤이며 실온에서 크실렌으로 추출할 수 있고 중량 평균 분자쇄 길이가 1,000 내지 9,000Å인 성분을 15 내지 50중량%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와 (2) 충전제 50 내지 400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을 30내지 80℃의 온도에서 1.2 내지 8의 연신비로 기계방향으로 일축연신시키거나, 당해 필름을 4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1 내지 8.0의 연신비로 기계방향으로, 이어서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6.0 이하의 연신비로 역방향으로 이축연신시킴으로 특징으로 하여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1)밀도가 0.870 내지 0.915g/㎤이며 실온에서 크실렌으로 추출할 수 있고 중량 평균 분자쇄 길이가 1,000 내지 9,000Å인 성분을 15 내지 50중량%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 (2) 충전제 50 내지 400중량부 및 (3)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5 내지 8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을 30 내지 80℃의 온도에서 1.2 내지 8의 연신비로 기계방향으로 일축연신시키거나, 당해 필름을 4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1 내지 8.0의 연신비로 기계방향으로, 이어서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6.0 이하의 연신비로 역방향으로 이축연신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통기성 필름을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크실렌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언급하는 용어 "실온"은 25±℃의 온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용어 "탁월한 필름 성형성"은 두께가 균일한 라이트-게이지 필름(light-gage films)을 필름이 파열되거나 핀홀이 생성되지 않고 고속의 성형속도에서 성형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며, 용어 "탁월한 필름 연신성"은 필름을 불균일하게 연신하거나 필름이 파열되지 않고 두께가 균일한 라이트-게이지 필름으로 연신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밀도가 0.870 내지 0.915g/㎤이며, 실온에서 크실렌으로 추출할 수 있고 중량 평균 분자쇄 길이가 1,000 내지 9,000Å인 성분(이후, 이러한 성분을 "CXS성분"이라고 한다)을 5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중량% 함유하는 수지이다. CXS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쇄 길이가 1,000Å 미만인 경우, 필름 성형성은 저하되며, 필름의 표면은 접착성을 띠게 된다. 또한, CXS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쇄 길이가 9,000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중에 혼입되는 충전제의 비율을 증가시키기가 어렵게 되므로 통기성이 높은 통기성 필름을 수득할 수 없다. 또한, CXS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쇄 길이가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균일한 필름을 수득할 수가 없다. 밀도가 0.870g/㎤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 표면이 점착성을 띠게 되며 필름의 강도와 내열성이 감소된다. 한편, 밀도가 0.915g/㎤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내에 혼입되는 충전제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없으므로, 통기성이 높은 통기성 필름을 수득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원(OPI) 제99209/84호 및 제230011/84호에 기술된 공지의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충전제의 예는 무기 충전제, 예를 들면, 탄산염(예 :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및 탄산바륨), 황산염(예 :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및 황산칼슘), 인산염(예 : 인산마그네슘 및 인산칼슘), 수산화물(예 :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 산화물(예 :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아연 및 산회티탄), 염화물(예 : 염화아연 및 염화철), 금속 분말(예 : 알루미늄 분말, 철 분말 및 구리분말), 운모, 유리 분말, 제올라이트, 활성 백토, 규조토, 탈크, 카본 블랙 및 화산재 ; 및 유기 충전제, 예를 들면, 셀룰로오즈 분말(예: 목재 분말 및 펄프 분말) 및 합성 분말[예 : 나일론 분말, 폴리에스데르 분말, 폴리카보네이트 분말, 폴리프로필렌 분말 및 폴리(4-메틸펜텐-1)분말]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화합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필름의 통기성, 촉감 및 외관의 견지에서 볼때, 탄산칼슘, 홍산바륨 및 탈크가 특히 바람직하다. 충전제의 평균 입자 직경은 0.1 내지 20㎛이 바람직하며, 균일한 필름 연신성 촉감 및 외곤의 견지에서 볼 때, 0.8 내지 5.0㎛가 특히 바람직하다. 충전제의 혼입량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4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00중량부이다. 충전제의 양이 5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통기성이 불충분하다. 또한, 4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 성형성은 감소되며, 따라서 두께가 균일한 필름을 수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필름의 강도도 낮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충전제의 혼입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충전제의 균일한 분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또한 탁월한 연신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글리세린 에스테르와 탄소수가 12 내지 22인 지방산의 소르비탄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특히, 모노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디글리세린 디스테아레이트를 단독으로 또는 이의 혼합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입량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8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중량부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이 0.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전제의 균일한 분산성이 낮다. 또한, 8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에 함유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필름 표면으로 방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충전제 및 경우에 따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롤형 또는 밴버리형 혼련기 또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하거나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형성시킨다. 이어서, 이러한 수지 조성물을 인플레이션 성형(inflation molding), 칸렌너 성형(calender molding) 또는 T-다이성형(T-die mdding) 등의 통상적인 필름 형성기술을 이용하여 필름으로 성형시킨다. 그 후, 필름을 일축 또는 이축 연신시켜 필름에 통기성을 부여한다.
일축연신의 경우에 있어서, 롤 연신이 통상적으로 바람직하다. 연신방향이 강조되는 관상 연신(tubular stretching) 등의 연신 기술도 또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신은 1단계 과정이나 2단계 또는 그 이상의 단계 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연신비는 1.2 내지 8,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5이다. 연신비가 1.2 미만인 경우에는, 통기성이 매우 낮으며 촉감과 외관이 조악하다. 또한, 8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균일한 필름을 수득하기 어려우며, 더구나 생성되는 통기성 필름은 열수축될 수 있다. 연신을 수행하는 온도는 수득되는 통기성 필름의 통기성, 촉감 및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다. 일반적으로, 연신을 고온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촉감과 외관은 우수하나 통기성이 높지 않은 반면, 연신을 저온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통기성은 높으나 촉감과 외관이 좋지 않다. 그러나, 저온에서 연신시켜 수득하는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은 통기성이 높은 동시에 촉감과 외관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라 연신을 수행하는 온도는 통기성, 촉감 및 외관의 견지에서 볼 때, 30 내지 80℃가 바람직하며 40 내지 60℃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축연신의 경우에 있어서, 먼저 필름을 4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1 내지 8.0의 연신비로 기계방향으로 연신시킨 다음, 온도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6 이하의 연신비로 역방향으로 연신시킨다. 기계방향으로 연신시키는데 있어서, 온도가 40℃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이 연신 직후에 수축되므로, 균일한 필름을 수득할 수 없다. 또한, 온도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은 통기성을 수득할 수 없다. 연신비가 1.1 미만인 경우에는, 높은 통기성을 수득하기가 어려운 반면, 8.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역방향으로 연신시켜도 필름 강도의 균형은 수득할 수 없다. 연속적인 역방향 연신은 필름의 통기성을 월등히 증가시키는 동시에 필름 강도의 균형을 유지시킬 목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역방향 연신에 있어서, 성형 안정성의 견지에서 볼 때, 온도가 70 내지 100℃의 범위를 벗어나고 연산비가 6.0을 초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낮은 연신비로 통기성이 높은 필름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먼저 50 내지 85℃의 온도에서 1.2 내지 4.0의 연신비로 기계방향으로 연신시킨 다음, 80 내지 95℃의 온도에서 3.0 이하의 연신비로 역방향으로 연신시켜 이축연신을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축연신에 의해서 통기성이 월등히 증가하는 원인은 저온에서 기계방향으로 연신시킴으로서 형성되는 미세공(microvoids)이 역방향 연신에서, 장력이 적용되는 상태로 고온에서 노출되므로 연속적인 역방향 연신에 의해 상기의 미세공이 원형형태로 확장되고 변형되는 사실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필름 강도의 균형이 유지되는 원인은 미세공의 형태와 수지의 배향상태가 변화하는 사실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이축연신에 있어서, 기계방향 및 역방향연신을 상이한 연신 조건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축연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는 만족스러운 통기성 필름을 수득할 수 없다. 기계방향 연신은 롤 수던으로 수행하며 1단계 과정 또는 2단계 이상의 과정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방향 연신은 열풍 속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성을 더욱 증가시키고 열수축성을 완화하기 위해서, 전술한 연신으로 수득한 필름은 연속적인 열고정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고정 처리의 하한온도는 60℃이며, 상한온도는 Tm[차동주사열량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최대 피크온도(℃)]보다 5℃ 낮은 온도이다. 열고정 처리를 필요 이상의 시간 동안 적용하는 것은 통기성이 감소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열고정 처리의 바람직한 조건은 Tm보다 약 10℃ 낮은 온도에서 0.3 내지 30초 동안 처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실질적으로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을 수득하는 수지 조성물에 산화방지제와 점착 방지제를 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필름 성형성과 필름 연신성이 탁월하며 통기성이 높고 촉감과 외관이 우수하며 강도가 높은 통기성 필름은 수지 성분으로씨 특정한 폴리에틸렌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득할수 있다.
이후에 기술하는 실시예와 비교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폴리에틸렌 수지 이외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거나 본 발명의 다른 구성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을 수득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라, 목적하는 통기성 필름을 효율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인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여겨졌던 이축연신을 적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낮은 연신비로 연신을 적용함으로써 높은 통기성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수득하는 통기성 필름은 여러 가지 용도, 예를 들면, 레저 의류, 스포츠 웨어, 텐트, 그물, 의류, 벽지, 랩 물질, 의약품 및 건강 보호물질용 포장, 1회용 기저귀, 여성용 위생용품, 우비, 의료처리, 드레이프(drape), 가운, 무균랩, 붕대. 상처용 드레싱(dressings), 제초제 방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실시예와 비교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중량평균분자쇄 길이 : CXS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쇄 길이는 두개의 GMH 6-HD 컬럼이 장치되어 있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GPC)모델 8l1[토요소다사이죠가부시끼가이샤(Toyo Soda Manufacturing Co., Ltd.)제품]을 130℃의 온도에서 폴리스티렌을 표군 물질로서 사용하여 측정한다.
밀도 : 수지의 밀도는 JIS K6760-1981에 따른 밀도구배관법(density gradient tube method)으로 23℃에서 측정한다.
통기성 : 필름의 통기성은 실온에서 0.2kg/㎠의 공기 압력을 적용하는 경우에 필름을 1분 동안 통과하는공기의 양을 측정하여 결정한다.
수축비율 : 통기성 필름의 열수축성은 80℃에서 60분 동안 처리하는 경우, 원래의 필름 길이에 대한 수축된 필름 길이의 비율(퍼센트)로 표시된다. 이러한 측정은 기계방향(이후, "MD"라고 한다)과 역방향(이후, "TD"라고 한다)의 두 가지 경우에 대해서 수행한다.
인렬강도 : 통기성 필름의 엘멘토르프 인렬강도(Elmendorf tear Strength)는 JIS p 8116에 따라 MD 및 TD 두가지 경우에서 측정한다.
촉감 및 외관 : 통기성 필름의 촉감과 외관은 손의 감촉과 육안으로 관찰하여 결정한다. 등급은 다음과 같다:
◎ : 촉감이 우수하며 연신에 있어서 불균제가 관찰되지 않는다.
○ : 촉감은 우수하지만 연신에 있어서 약간의 불균제가 관찰된다.
△ : 촉감이 다소 뻣뻣하며 연신에 있어서 약간의 불균제가 관찰된다.
× : 촉감이 매우 뻣뻣하며 연신에 있어서 상당한 불균제가 관찰된다.
용융유량 : 수지의 용융유랑(이후, "MFR"이라고 한다)은 JIS K6760에 따라 측정한다.
인장강도 : 파단점 인장강도는 JIS ZI702에 따라 MD 및 TD 두가지 경우에서 측정한다.
실시예 1
중량 평균 분자쇄 길이가 6,000Å인 CXS성분을 25중량% 함유하며 밀도가 0.9003g/㎤이고 MFR이 1.9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0중량부, 평균 입자 직경이 1.25㎛인 탄산칼슘 170 중량부 및 모노글리세린 모노스데아레이트 3.3중량부를 텀블링혼합기(tumbling mixer)모뎀 MT 50[모리타세이끼가부시끼가이사(Morita Seiki Co., Ltd)제품]속에서 미리 혼합한 다음, 밴버리 혼합기 모델 BR[코베세이꼬가부시끼가이샤(Kobe Seiko Co., Ltd.)제품]을 사용하여 120 내지 150℃에서 5분 동안 혼련한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수지 조성물을 50mmψ압출기 모델 EA-50[다이 직경 100mmψ : 나선형 다이 : 모던 머쉬너리 컴페니(Modem Co., Ltd.)제품]을 사용하여 인플레이션 성형처리하여 두께가 120㎛인 필름을 생성한다. 압출성형 조건은 실린더 온도가 각각 호퍼(hopper)의 바닥 부근에서 170ψ, 중앙 부위에서 170ψ 및 헤드(head)부근에서 190ψ이며 ; 헤드 및 다이 온도는 각각 190℃이고 ; 통풍비율(blow ratio)은 약 2.0이다. 이러한 필름은 롤 연신기[닛본세이꼬가부시끼가이샤(Nippon Seiko Co., Ltd.)제품]을 사용하여 65℃의 온도에서 4의 연신비로 MD로 일축연신시겨 두께가 약 35㎛인 통기성 필름을 수득한다. 결과는 표1에 기재한다. 필름의 통기성, 촉감 및 외관은 우수하다.
실시예 2
충전제로서 평균 입자 직경이 0.6㎛인 황산바륨 210중량부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디글리세린 디스테아레이트 5.0중량부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통기성 필름을 수득한다. 결과는 표 1에 기재한다. 생성된 통기성 필름의 통기성, 촉감 및 외관은 우수하다.
실시예 3
실시예1에서 수득한 통기성 필름을 95℃에서 6초 동안 열고정 처리한다. 결과는 표1에 기재한다. 통기성은 실시예1에 비하여 매우 증가되었으며, 또한 수축비율은 작다.
실시예 4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통기성 필름을 수득한다. 결과는 표1에 기재한다. 필름의 통기성, 촉감 및 외관은 우수하다.
실시예 5
충전제로서 MS 탈크[닛뽄탈크가부시끼가이샤(Nippon Talc Co., Ltd.)제품]를 200중량부 사용하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통기성 필름을 수득한다. 통기성 필름의 통기성, 촉감 및 외관은 우수하다.
비교실시예 1
혼입하는 탄산칼슘의 비율을 43중량부로 변화시키는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가120㎛인 필름을 연산시켜 두께가 약 35㎛인 필름을 수득한다. 결과는 표1에 기재한다. 연신된 필름은 실시예1에 비하여 통기성이 전혀 없으며, 수축비율은 매우 크다.
비교실시예 2
CXS성분을 5중량% 함유하며 밀도가 0.925g/㎤이고 MFR이 1.5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폴리에틸렌 수지로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4와 동일한 방법으로 통기성 필름을 수득한다. 결과는 표1에 기재한다. 실시예4에 비하여 필름의 열수축성은 우수하지만, 필름의 촉감과 외관은 매우 불량하다.
비교실시예 3
롤을 사용하여 113℃의 온도에서 1.5의 연신비로 MD로 필름을 일축연신시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4와 동일한 방법으로 통기성 필름을 수득한다. 결과는 표1에 기재한다. 통기성 필름은 실시예4에 비하여 통기성이 거의 없으며, 촉감과 외관이 좋지 않다.
비교실시예 4
탄산칼슘의 혼입량을 153중량부로 변화시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1과 동일한 인플레이션 성형법으로 두께가 60㎛인 필름으로 성형시킨 다음, 수득한 필름을 물을 사용하여 65℃의 온도에서 1.5의 연신비로 MD로 일축연신시켜 두께가 약40㎛인 통기성 필름을 수득한다. 결과는 표1에 기재한다. 연신된 필름은 실시예1에 비하여 통기성이 없으며, 촉감과 외관은 좋지 않다.
비교실시예 5
탄산칼슘의 혼입량을 450중량부로 변화시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려고 시도해 보았으나, 충전제의 사용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필름이 수득되지 않았다.
실시예 6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콜레이션 성형시킨 수득한, 두께가 65Å의 온도에서 5.0의 연신비로 MD로 연신시켜 두께가 22㎛인 통기성 필름을 수득한다. 결과는 표 1에 기재한다.
실시예 7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플레이션 성형시켜 수득한, 두께가 60㎛인 필름을 룰을 사용하여 65℃의 온도에서 1.5의 연신비로 MD로 일축연신시킨 다음, 90℃의 열풍 속에서 1.5의 연신비로 TD로 일축연신시켜 통기성 필름을 수득한다. 결과는 표1에 기재한다. 필름의 통기성, 촉감 및 외관은 우수하며, 필름은 균형된 강도를 가진다.
실시예 8 내지 11
MD와 TD에서의 연산비와 연신온도를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화시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7과 동일한 방법으로 통기성 필름을 수득한다. 결과는 표 1에 기재한다. 필름의 통기성, 촉감 및 외관은 우수하며, 필름은 균형된 강도를 가진다.
실시예 12 및 13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화시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7과 동일한 방법으로 통기성 필름을 수득한다. 결과는 표1에 기재한다. 필름의 통기성, 촉감 및 외관은 우수하며, 필름은 균형된 강도를 가진다.
비교실시예 6
탄산칼슘의 혼입량을 43중량부로 변화시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7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플례이션 성형시켜 두께가 120㎛인 필름을 수득한다. 필름은 롤을 사용하여 75℃의 온도에서 4의 연신비로 MD로 일축 연신시킨 다음, 90℃의 열풍속에서 1.25의 연신비로 TD로 일축연신시킨 다음, 90℃의 열풍 속에서 1.25의 연신비로 TD로 일축연신시켜 두께가 약 35㎛인 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결과는 표 1에 기재한다. 이러한 필름은 통기성이 전혀 없다.
비교실시예 7
실시예7에서와 같이 인플레이션 성형으로 수득한, 두께가 60㎛인 필름을 65℃의 온도에서 1.5의 연신비로 MD로 연신시킨 다음, 105℃의 온도에서 1.25의 연신비로 TD로 연신시키려는 시도는 필름의 절단이 발생하므로 통기성 필름을 수득할 수 없다.
비교실시예 8
밀도가 0.925g/㎤이며 MFR이 1.5인 고압 폴리에틸렌 수지를 폴리에틸렌 수지로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7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플레이션 성형시켜 두께가 60㎛인 필름을 수득한다. 이러한 필름을 95℃의 온도에서 1.5의 연신비로 MD로 연신시킨 다음, 110℃의 온도에서 1.25의 연신비로 TD로 연신시키려는 시도는, 필름이 절단되어 통기성 필름을 수득할 수 없다.
비교실시예 9
모노글리세린 모노스데아례이트 9.0중량부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7과 동일한 방법으로 통기성 필름을 수득한다. 결과는 표1에 기재한다. 수득한 통기성 필름은 통기성이 높고 균형된 강도를 가진다. 그러나, 모노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는 필름의 표면으로 방출되어 필름은 상업적으로 유용하지 않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계속)
[표 1]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2) : M : 모노글리세린 모노스톄아레이트
D : 디글리세린 디스테아레이트
(3) : 실시예1의 통기성 필름을 알고정 처리한다.
본 발명을 이의 특정한 실시양태에 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개념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변화 및 변형시킬 수 있음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0)

  1. (1) 실온에서 크실렌으로 추출할 수 있고 중량평균 분자쇄 길이가 1,000 내지 9,000Å인 성분을 15내지 50중량% 함유하며 밀도가 0.870 내지 0.915g/㎤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와 (2)충전제 50 내지 400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필름.
  2. (1) 실온에서 크실렌으로 추출할 수 있고 중량 평균 분자쇄 길이가 1,000 내지 9,000Å인 성분을 15내지 50중량% 함유하며 밀도가 0.870 내지 0.915g/㎤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 (2) 충전제 50 내지 400중량부 및 (3)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5 내지 8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필름.
  3. (1) 실온에서 크실렌으로 추출할 수 있고 중량 평균 분자쇄 길이가 1,000 내지 9,000Å인 성분을 15 내지 50중량% 함유하며 밀도가 0.870 내지 0.915g/㎤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와 (2)충전제 50 내지 400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필름을 30 내지 80℃의 온도에서 1.2 내지 8의 연신비로 기계방향으로 일축연신시키거나, 당해 필름을 4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1 내지 8.0의 연신비로 기계방향으로 연신시키고, 이어서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6.0 이하의 연신비로 역방향으로 연신시겨 이축연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4. (1) 실온에서 크실렌으로 추출할 수 있고 중량 평균 분자쇄 길이가 1,000 내지 9,000Å인 성분을 15내지 50중량% 함유하며 밀도가 0.870 내지 0.915g/㎤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 (2) 충전제 50 내지 400중량부 및 (3)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5 내지 8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필름을 30 내지 80℃의 온도에서 1.2 내지 8의 연신비로 기계방향으로 일축연신시키거나, 당해 필름을 40내지 100℃의 온도에서 1.1 내지 8.0의 연신비로 기계방향으로 연신시키고, 이어서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6.0 이하의 연신비로 역방향으로 연신시켜 이축연신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실온에서 크실렌으로 추출할 수 있는 성분을 20 내지 30중량% 함유하는 통기성 필름.
  6. 제2항에 있어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실온에서 크실렌으로 추출할 수 있는 성분을 20 내지 30중량% 함유하는 통기성 필름.
  7. 제3항에 있어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실온에서 크실렌으로 추출할 수 있는 성분을 20 내지 30중량% 힘유하는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실온에서 크실렌으로 추출할 수 있는 성분을 20 내지 30중량% 함유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충전제를 60 내지 200중량부 함유하는 통기성 필름.
  10. 제2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충전제를 60 내지 200중량부 함유하는 통기성 필름.
  11. 제3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충전제를 60 내지 200중량부 함유하는 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충진제를60 내지 200중량부 함유하는 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0.5 내지 2중량부 함유하는 통기성 필름.
  14. 제4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0.5 내지 2중량부 함유하는 방법.
  15. 제3항에 있어서, 일축연신을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1.6 내지 2.5의 연신비로 기계방향으로 수행하는 방법.
  16. 제4항에 있어서, 일축연신을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1.6 내지 2.5의 연신비로 기계방향으로 수행하는 방법.
  17. 제3항에 있어서, 이축연신을 먼저 50 내지 85℃의 온도에서 1.2 내지 4.0의 연신비로 기계방향으로 수행한 다음, 80 내지 95℃의 온도에서 3.0 이하의 연신비로 역방향으로 수행하는 방법.
  18. 제4항에 있어서, 이축연신을 먼저 50 내지 85℃의 온도에서 1.2 내지 4.0의 연신비로 기계방향으로수행한 다음, 80 내지 95℃의 온도에서 3.0 이하의 연신비로 역방향으로 수행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충전제가 탄산칼슘, 황산바륨 또는 탈크인 통기성 필름.
  20. 제2항에 있어서, 충전제가 탄산칼슘, 황산바륨 또는 탈크인 통기성 필름.
  21. 제3항에 있어서, 충전제가 탄산칼슘, 황산바륨 또는 탈크인 방법.
  22. 제4항에 있어서, 충전제가 탄산칼슘, 황산바륨 또는 탈크인 방법.
  23. 제3항에 있어서, 생성된 통기성 필름을 60℃ 내지 차동주사열량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최대 피크 온도보다 5℃ 낮은 온도까지의 온도범위에서 열고정처리하는 방법.
  24. 제4항에 있어서, 생성된 통기성 필름을 60℃ 내지 차동주사열량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최대 피크 온도보다 5℃ 낮은 온도까지의 온도범위에서 열고정 처리하는 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충전제의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20μ㎛인 통기성 필름.
  26. 제2항에 있어서, 충전제의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20㎛인 통기성 필름.
  27. 제3항에 있어서, 충전제의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20㎛인 방법.
  28. 제4항에 있어서, 충전제의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20㎛인 방법.
  29. 제2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모노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디글리세린 디스테아레이트 통기성 필름.
  30. 제4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모노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디글리세린 디스테아레이트인 방법.
KR1019870007732A 1986-07-16 1987-07-16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950002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3187 1986-07-16
JP167517/86 1986-07-16
JP167517 1986-07-16
JP16751786 1986-07-16
JP123187/87 1987-05-19
JP62123187A JPH06104733B2 (ja) 1986-07-16 1987-05-19 通気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748A KR880001748A (ko) 1988-04-26
KR950002889B1 true KR950002889B1 (ko) 1995-03-28

Family

ID=1585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732A KR950002889B1 (ko) 1986-07-16 1987-07-16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104733B2 (ko)
KR (1) KR9500028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6646B2 (ja) * 1988-11-24 1997-01-29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酸素吸収シート
JPH1190981A (ja) * 1997-09-18 1999-04-06 Sumitomo Chem Co Ltd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の製造法及びフィルム
JP5070660B2 (ja) * 2000-10-30 2012-11-14 住友化学株式会社 多孔性フィルム、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電池
JP2002308345A (ja) * 2001-04-12 2002-10-23 Mitsubishi Gas Chem Co Inc 耐液性脱酸素剤包装体
KR101179249B1 (ko) * 2012-02-27 2012-09-03 (주)대명화학 낙진방지용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440A (ja) * 1983-06-23 1985-01-14 Mitsubishi Petrochem Co Ltd 通気性フイ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748A (ko) 1988-04-26
JPH06104733B2 (ja) 1994-12-21
JPS63139925A (ja) 198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9096A (en) Breathable film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KR100212776B1 (ko) 중합체성 조성물, 이로부터 배향된 미세다공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된 배향된 미세다공성 필름
US4308303A (en) Flocked, foam-coated, fibrous-reinforced, water vapor permeable, bacterial barrier
US4826493A (en) Sheets materials of HB polymers
US5008296A (en) Breathable microporous film
DE3882187T2 (de) Atmende Verbundlaminate für Gehäuseeinwickelung.
US4923650A (en) Breathable microporous film and methods for making it
US4452845A (en) Moisture vapor transmitting film of polyurethane blended with an incompatible polymer
AU609095B2 (en) Breathable films prepared from melt embossed polyolefin/filler precursor films
KR960000739B1 (ko) 공간적 조절 탄성 라미네이트
US4353945A (en) Flocked, foam-coated, water vapor permeable, bacterial barrier
JP2001233982A (ja) 多孔質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950002889B1 (ko) 통기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536004B2 (ja) 通気性フィルム
JP2002307627A (ja) 通気性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JPH10292059A (ja) 通気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540858B2 (ja) 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103121A (ja) 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1144432A (ja) 通気性フィルム
JPH08300531A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197902B1 (ko)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JPH09206331A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S6220017B2 (ko)
CN117916294A (zh) 拉伸多孔性薄膜及其制造方法
JPH01301727A (ja) ポリアミド樹脂系多孔性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