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855Y1 -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855Y1
KR950002855Y1 KR2019940027569U KR19940027569U KR950002855Y1 KR 950002855 Y1 KR950002855 Y1 KR 950002855Y1 KR 2019940027569 U KR2019940027569 U KR 2019940027569U KR 19940027569 U KR19940027569 U KR 19940027569U KR 950002855 Y1 KR950002855 Y1 KR 950002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rcury lamp
illuminance
control signal
pow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7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동현
심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윤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20001655A external-priority patent/KR930018619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윤종용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7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8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8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 H01J9/2271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by photographic processes
    • H01J9/2272Devices for carrying out the processes, e.g. light ho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01Generalised techniques
    • H01J2209/012Coating
    • H01J2209/015Machin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ght Sources And Details Of Projection-Prin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종래기술을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테핑모터와 슬라이닥스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은등 2 : 전원부
3 : 구동부 4 : 고압트랜스
5 : 제어부 6 : 센서
7 : A/D 컨버터 8 : 기준조도설정부
9 : 비교기 10 : 스테핑모터
11 : 모터구동드라이버 12 : 슬라이닥스
12a : 노브
본 고안은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교기와 센서로 구성된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보상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가변전압으로 수은등의 조도량을 보상해주게 되는 구동부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의 센서에 의해 상기 수은등의 조도량이 체킹되게 되고 비교기에서 이 체킹된 신호에 따라 판단하여 그 차이나는 값만큼 상기 구동부에 상기 수은등의 조도량보상제어신호를 인가시키게 되며 상기 보상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상기 수은등의 조도량을 보상해주는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보상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모터구동드라이버와 이 모터구동드라이버의 동작제어에 따라 구동하도록 된 스테핑모터, 이 스테핑모터의 회전작용에 따라 전압이 가변되도록 된 슬라이닥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은등의 항상 일정한 조도량으로 발광하게 됨으로 브라운관 스크린면에 블랙매트릭스가 균일하게 도포되게 되어 이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게 됨은 물론 도포량이 일정하므로 작업능률도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칼라브라운관의 제조공정중에는 칼라스크린면에 적.녹.청의 형광막이 정확히 도포되도록 노광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형광막의 위치를 보정해주는 노광공정이 수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공정에 사용되는 노광장치는 수은등을 내장한 램프하우스와 이 램프하우스로부터 빛을 상기 칼라브라운관 스크린면의 중앙부로부터 좌우측의 주변부로 조사되도록 좌우이동가능한 셔터, 상기 발생되는 빛의 굴절을 교정하도록 된 보정렌즈, 상기 칼라브라운관 스크린면의 중앙부와 좌.우측 주변부의 조도비를 맞추기 위한 필터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은등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셔터의 이동동작에 따라 상기 보정렌즈를 통해 상기 칼라브라운관의 스크린면에 조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면에 블랙매트릭스의 형성막이 일정배열로 도포되게 되어 있어, 상기 빛이 조사되게 되면 그 노광된 부위에만 블랙매트릭스(이하, B.M이라 함)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은등(70)이 일정조도량으로 유지되게 하기 위한 전원보상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71)와, 이 전원부(71)의 전원전압을 인가받아 필요한 전압으로 가변하는 슬라이닥스(72), 이 슬라이닥스(72)의 가변전압을 인가받아 고압으로 유기시키도록 된 고압트랜스(73), 이 고압트랜스(73)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광하도록 된 수은등(7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원부(71)로 부터 상기 슬라이닥스(72)로 전원이 인가되면 사용자가 이 슬라이닥스(72)의 전압을 가변시켜 상기 고압트랜스(73)에 인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압트랜스(73)가 유기하여 상기 수은등(70)을 발광시키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판단한 결과 상기 수은등(70)의 조도량이 변화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닥스(72)를 가변시키 상기 수은등(70)의 조도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수은등(70)의 조도량 조절방식은 사용자가 상기 수은등(70)의 조도량을 육안으로 판단한 다음 상기 수은등(70)의 조도량을 보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슬라이닥스(72)를 가변하여 상기 수은등(70)의 조도량을 조절하게 된다. 즉 인간의 부정확한 감각에 의하여 상기 수은등(70)의 조절 되어짐으로 일정한 값의 조도량을 연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이에 따라 B.M폭의 형성이 균일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됨은 물론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도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비교기와 센서로 구성된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보상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가변전압으로 수은등의 조도량을 보상해주게 되는 구동부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의 보상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부가 상기 수은등의 조도량을 보상해주게 되어, 상기 수은등이 항상 일정한 조도량으로 발광되게 됨으로 칼라브라운관 스크린면에 균일한 B.M이 도포되게 되어 이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게 됨은 물론 조도량이 일정함으로 작업능률도 향상되도록 된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원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전압에 의하여 고압트랜스가 유기하여 수은등을 구동시켜 이에 따라 노광공정을 수행하는데 있어 상기 수은등의 조도량을 감지하여 비교판단한 다음 그 차이나는 값만큼 보상제어신호로 출력하도록 된 제어부, 이 제어부의 보상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전원전압을 가변하여 상기 고압트랜스에 공급하도록 된 구동부를 갖는 노광대 수은 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된 보상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모터구동드라이버와, 상기 보상제어신호에 따른 이 모터구동드라이버의 동작제어에 따라 구동하도록 된 스테핑모터와, 이 스테핑모터의 회전작용에 따라 전압이 가변되도록 된 슬라이닥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노광장치에 설치된 수은등(1)이 조도량을 자동조절하는 것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부(2)로부터 구동부(3)가 상기 전원부(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3)로부터 출력된 동작전압에 의해 유기하여 상기 수은등(1)을 구동시키도록 된 고압트랜스(4)가 상기 구동부(3)와 상기 수은등(1)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은등(1)의 조도량을 감지하여 비교판단하도록 된 제어부(5)가 상기 구동부(3)와 상기 수은등(1)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에는 상기 수은등(1)의 조도량을 감지하도록 된 센서(6)와, 이 센서(6)의 감지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도록 된 A/D컨버터(7), 사용자가 상기 수은등(1)의 최적조도량을 설정해 주도록 된 기준조도설정부(8), 상가 A/D컨버터(7)로부터 인가된 감지신호를 상기 기준조도설정부(8)에 셋팅된 최적조도량과 비교하여 판단한 다음 그 차이나는 값, 즉 보상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부(3)로 출력하도록 된 비교기(9)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3)에는 상기 제어부(5)의 비교기(9)로부터 출력된 보상제어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스테핑모터(10)를 구동하도록 된 모터구동드라이버(11)와, 이 모터구동드라이버(11)의 동작제어에 따라 구동하도록 된 스테핑모터(10), 이 스테핑모터(10)의 회전작용에 따라 전압이 가변되도록 된 슬라이닥스(12)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노광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중의 하나는 B.M 폭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인데, 이 B.M폭을 균일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노광장치에 사용되는 수은등(1)의 조도량이 일정조도량으로 항상 유지되게 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노광장치가 노광공정을 수행하게 될 때 상기 수은등(1)을 자동조절하는 것이다.
먼저, 상기 노광장치의 수은등(1)의 최초구동시에는 사용자가, 제3도에 도시한, 슬라이닥스(12)의 전압가변노브(12a)를 돌려 소정전압 예컨대 150V정도로 세팅시켜주고, 또한 제어부(5)의 기준조도설정부(8)에도 소정의 조도량 예컨대 170(Lx) 정도로 셋팅시켜 주게되는데, 이때 전원부(2)의 전원전압(110V 혹은 220V)이 상기 슬라이닥스(12)에 셋팅된 전압만큼만 통과하게 되어 고압트랜스(4)에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이 고압트랜스(4)가 유기되어 상기 수은등(1)을 구동시켜주어 노광장치가 노광 공정을 수행하도록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은등(1)이 구동되면 제어부(5)의 센서(6)가 상기 수은등(1)의 조도량을 감지하여 그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5)의 A/D컨버터(7)로 연속적으로 전송시킨다. 그리고 이 A/D 컨버터(7)에서 상기 센서(6)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5)의 비교기(9)로 전송시킨다. 그러면 상기 비교기(9)에서 상기 기준조도설정부(8)에 셋팅된 값과 상기 A/D 컨버터(7)로부터 입력된 상기 수은등(1)의 현재 조도량을 비교 판단한 다음 그 판단된 결과 상기 기준조도 설정부(8)에 세팅된 값과 일치된다면 보상제어신호를 구동부(3)의 모터구동 드라이버(11)에 인가하지 않게 되고, 판단된 결과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기준조도설정부(8)에 세팅된 값보다 크거나 작다면 상기 비교기(9)에서 그 차이가 나는 만큼의 값 즉, 보상제어신호를 상기 모터구동드라이버(11)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구동드라이버(11)에서 상기 보상제어신호에 따른 범위만큼 스테핑모터(10)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스테핑모터(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닥스(12)의 전압이 가변되게 되고 상기 고압트랜스(4)에 그 보정된 전압을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고압트랜스(4)에 공급된 보정전압에 따라 유기하여 상기 수은등(1)에 그 보정전압을 공급함으로 이 수은등(1)의 조도량이 상기 기준조도설정부(8)에 셋팅된 값과 일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은등(1)에는 항상 일정한 조도량이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교기와 센서로 구성된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보상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가변전압으로 수은등의 조도량을 보상해주게 되는 구동부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의 센서에 의해 상기 수은등의 조도량이 감지되게 되고 비교기에서 이 감지된 신호에 따라 판단하여 그 차이나는 값만큼 상기 구동부에 보상제어신호를 인가시키게 되면, 또한 상기 보상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상기 수은등의 조도량을 보상해주게 되어 상기 수은등이 항상 일정한 조도량으로 발광하게 됨으로 브라운관 스크린면에 블랙매트릭스가 균일하게 도포되게 되어 이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게 됨은 물론 조도량이 일정함으로 작업능률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원부(2)로 부터 인가된 전원전압에 의하여 고압트랜스(4)가 유기하여 수은등(1)을 구동시켜 이에 따라 노광공정을 수행하는데 있어 상기 수은등(1)의 조도량을 감지하여 비교판단한 다음 그 차이나는 값만큼 보상제어신호로 출력하도록 된 제어부(5), 이 제어부(5)의 보상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2)의 전원전압을 가변하여 상기 고압트랜스(4)에 공급하도록 된 구동부(3)를 갖는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는 상기 비교기(9)로 부터 출력된 보상제어신호가 인가되는 모터구동드라이버(11)와, 상기 보상제어신호에 따른 이 모터구동드라이버(11)의 동작제어에 따라 구동하도록 된 스테핑모터(10)와, 이 스테핑모터(10)의 회전작용에 따라 전압이 가변되도록 된 슬라이닥스(1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자동조절장치.
KR2019940027569U 1992-02-01 1994-10-21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 KR950002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569U KR950002855Y1 (ko) 1992-02-01 1994-10-21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1655A KR930018619A (ko) 1992-02-01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
KR2019940027569U KR950002855Y1 (ko) 1992-02-01 1994-10-21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655A Division KR930018619A (ko) 1992-02-01 1992-02-01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855Y1 true KR950002855Y1 (ko) 1995-04-15

Family

ID=2662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7569U KR950002855Y1 (ko) 1992-02-01 1994-10-21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8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594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constant color temperature of a fluorescent lamp
JPH09501298A (ja) カラー画像投写用照明システム
JP2002333671A (ja) プロジェクタの色再現性補正装置
EP0801507A3 (en) LCD projector
JPH0273241A (ja) 投射形ディスプレイのスクリーン明るさ制御方法及び装置
US3796916A (en) X-ray image viewer
KR950002855Y1 (ko)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
JPS598937B2 (ja) カラ−ブラウン管の露光装置における照度制御方法
US5384616A (en) Photographic lighting system using incident light meter
US4254364A (en) Lamp regulator circuit for rotary camera
GB2151051A (en) Photographic or television lighting apparatus
GB2253718A (en) Controlling photographic exposure
JPH0519234A (ja) 背面光源付き液晶表示器の輝度制御装置
US2960911A (en) Colour photography printing device
JPS5740277A (en) Exposure control device of copying machine
JPH0367436A (ja) カラーブラウン管の露光方法
KR930018619A (ko) 노광대 수은등의 조도량 자동조절장치
JPH0723400A (ja) 撮像装置
JPS62169118A (ja) 投写型表示装置
CN1075215A (zh) 用于调节曝光设备中水银灯亮度的装置
JPH01158416A (ja) カラーディスプレイの輝度調整装置
KR100228218B1 (ko) 고휘도 광원 형성장치 및 그 광원 형성방법
JPS6237358Y2 (ko)
JPS5971044A (ja) 電子複写機の調光装置
JPS62269133A (ja) 自動露光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