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711Y1 -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711Y1
KR950002711Y1 KR92019732U KR920019732U KR950002711Y1 KR 950002711 Y1 KR950002711 Y1 KR 950002711Y1 KR 92019732 U KR92019732 U KR 92019732U KR 920019732 U KR920019732 U KR 920019732U KR 950002711 Y1 KR950002711 Y1 KR 950002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lectron gun
heater
cathod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9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090U (ko
Inventor
성광기
Original Assignee
박경팔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팔,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경팔
Priority to KR92019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711Y1/ko
Publication of KR9400110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0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7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24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electrodes
    • H01J2229/4831Electrode support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캐소우드의 지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제3도는 일반적인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지지봉 2 : 제2지지봉
3 : 제3지지봉 4 : 제4지지봉
5 : 제1지지부재 6 : 제2지지부재
7 : 제3지지부재 8 : 제4지지부재
9, 10 : 와이어
본 고안은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에서 캐소우드를 지지할 때 원통형 제1전극의 내측에 석면을 충만시키고 여기에 지지봉 및 지지부재를 병렬형으로 배열하여 캐소우드를 지지함에 따른 히이터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판넬과 펀넬 그리고 네트부로 구성되어 있는 벌브에 전자총과 새도우 마스크 그리고 인너 시일드를 삽입하여 구성하는 바, 이는 상기한 전자총에서 방사된 열 전자가 빔 형상으로 접속, 편향되어 새도우 마스크를 통과함으로써 판넬에 도포되어 있는 형광체층을 타격하여 소정의 색을 재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힘은 전자총에서 방사된 후 네트부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편향 요오크에 의해 편향됨으로써 판넬의 주변부로 휘어지게 되어 판넬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게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편향된 빔은 다수의 도트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어퍼쳐가 형성되어 있는 새도우 마스크를 통과하여 G, B, R각 형광체 순으로 순차 배열되어 있는 형광체를 타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전자총에는 음극 전위가 인가되고 새도우 마스크에는 애노드 버튼을 통해 양극 전위가 인가되어 음 전위를 띈 빔을 가속시켜 형광체를 보다 강하게 타격할 수 있게 되는 바, 상기한 전자총의 일반적인 구조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4전극(50, 51, 52, 53)이 순차 배열된 상태로 비이드 글래스(54)에 고정되어 있고 그 일측에 게터(55)와 써포터(56)가 부착되어 있는 시일드 컵(57)이 부착되어 있으며 그 대향측에는 배기관(58)이 형성되어 있는 스템(59)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제1전극(50)에서 배기관(58) 방향으로는 비이드 글래스(54)에 고정된 캐소우드(60)가 배치되어 있는 바, 이는 히이터 지지체(61)와 여기에 부착되어 있는 슬리이브(62) 그리고 슬리이브(62)에 삽입된 상태로 히이터 지지체(61)에 일단이 부착되어 있는 히이터(6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이드 글래스(54)에 슬리이브(62)와 히이터(63)를 고정시킴은 전극(50, 51, 52, 53)들과 캐소우드(60)를 동시에 열 접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지그의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캐소우드(60)의 위치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제1전극(50)을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전극(64)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를 석면(65)으로 충만시킨 후 소정위치에 제1, 2, 3, 4 지지부재(66, 67, 68, 69)가 부착된 상태의 제1, 2, 3, 4 지지봉(70, 71, 72, 73)과 제1, 2, 3슬리이브(62a, 62b, 62c)를 삽입시킨 후 고화시키며 상기한 지지부재(66, 67, 68, 69)들과 히이터(63)의 종단을 부착시키고 히이터(63)를 슬리이브(62a, 62b, 62c)들에 삽입시키며 지지부재(66, 67, 68, 69)들에는 리본(74)으로 스템(59)을 연결하여 전자총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상기한 지지부재(66, 67, 68, 69)들은 지지봉(70, 71, 72, 73)들에 부착되어 있는 바, 상기한 지지봉(70, 71, 72, 73)들은 서로 대향되도록 2조로 구성되어 석면(65)에 삽입되어 있고 지지봉(70, 71, 72, 73)들에 부착된 지지부재(66, 67, 68, 69)들은 2개가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2열로 형성되어 있고 히이터(63)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2열로 지지봉(70, 71, 72, 73)들과 지지부재(66, 67, 68, 69)들을 배열하고 여기에 각각 히이터(63)를 부착시킴은 중앙에 위치한 히이터(63)를 부착시킬 때 작업 공간이 작아 히이터(63)가 손상될 경우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작업이 어려워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극선관용 전자총에서 슬리이브와 히이터를 제1전극의 석면에 순차 1열로 배열하고 그 사이에 지지봉과 지지부재를 2열로 배열하여 상기한 지지부재에 히이터를 부착시킬 때 중앙의 히이터를 부착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히이터의 파손과 이로 인한 작업 능률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전극의 석면에 슬리이브를 1열로 순차 배열하고 그 양 측과 사이에 4개의 지지봉과 여기에 부착된 지지부재를 1열로 배치함으로써 히이터를 지지 부재에 부착시킬 때 발생되는 히이터의 파손과 작업 능률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원통형인 제1전극(64)의 내면에 석면이 충만되어 있고 석면(65)에 3개의 제1, 2, 3슬리이브(62a, 62b, 62c)가 1열로 순차 배열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히이터(63)가 각각 삽입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히이터(63)의 양단리이드는 각각 제1, 2, 3슬리이브(62a, 62b, 62c)의 양 측단과 사이에 순차 배치되어 있는 제1, 2, 3, 4지지봉(1, 2, 3, 4)의 상단에 부착된 지지부재(5, 6, 7, 8)들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제1, 3지지부재(5, 7)는 서로 와이어(9)로 연결되어 있고 제2, 4지지부재(6, 8) 역시 와이어(10)로 연결되어 전류가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제1전극(64)의 내부에 통상의 석면(65)을 충만시키고 미리 설계된 위치에 제1, 2, 3슬리이브(62a, 62b, 62c)와 제1, 2, 3, 4지지봉(1, 2, 3, 4)을 순차 삽입시키며 이를 가열함으로써 석면(65)을 고화시킨다.
석면(65)이 고화되면 각각의 슬리이브(62a, 62b, 62c)에 히이터(63)를 삽입시키며 상기한 히이터(63)의 양단을 지지봉(1, 2, 3, 4)들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재(5, 6, 7, 8)들에 부착시킴과 아울러 제1, 3지지부재(5, 7)와 제2, 4지지부재(6, 8)를 각각 연결시키며 통상의 리본(74)을 사용하여 스템(59)과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한 지지부재(5, 6, 7, 8)들은 양단에 히이터(63)의 리이드를 각각 부착시킬 수 있도록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렬로 순차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일 측면에서 히이터(63) 연결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작업 면적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지지 부재들이 부착되어 있는 지지봉들을 일렬로 순차배열하고 여기에 히이터를 각각 부착시킴으로써 2열로 지지봉과 지지부재를 배열하여 그 중간의 히이터 부착시 발생되는 히이터의 파손과 이로 인한 작업 능률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원통형 제1전극(64)에 석면(65)을 충만시키고 제1, 2, 3슬리이브(62a, 62b, 62c)를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 배열시키고 제1, 2슬리이브(62a, 62b)의 사이와 제2, 3슬리이브(62b, 62c)의 사이에 2열로 다수의 지지 부재(66, 67, 68, 69)가 상단에 부착된 다수의 지지봉(70, 71, 72, 73)을 순차 배열하고 상기한 슬리이브(62a, 62b, 62c)에 삽입되고 양단이 지지부재(66, 67, 68, 69)에 부착된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60)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제1, 2, 3슬리이브(62a, 62b, 62c)의 사이와 양 외곽측에 일자형의 제1, 2, 3지지부재(5, 6, 7, 8)들이 부착된 제1, 2, 3, 4지지봉(1, 2, 3, 4)을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 배열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구조.
KR92019732U 1992-10-13 1992-10-13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 구조 KR950002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9732U KR950002711Y1 (ko) 1992-10-13 1992-10-13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9732U KR950002711Y1 (ko) 1992-10-13 1992-10-13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090U KR940011090U (ko) 1994-05-27
KR950002711Y1 true KR950002711Y1 (ko) 1995-04-13

Family

ID=1934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9732U KR950002711Y1 (ko) 1992-10-13 1992-10-13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7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090U (ko) 199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9614B2 (ja) 保持手段のある支持枠組立体を有するカラーcrt
US3617787A (en) Bimetallic spring support for a shadow mask
KR950002711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 구조
JP3649744B2 (ja) テンションマスクフレーム用ディテンションロッドアセンブリを有する陰極線管
US3898510A (en) Electrical conductive means for traversing a cathode ray tube envelope to effect multiple connections therein
US3973163A (en) Heater support positioning in a CRT electron generating assembly
KR0140113Y1 (ko) 전자총 전극용 중심 정렬 지그
KR940006969Y1 (ko) 음극선관 전자총의 히이터 탭
JPH0334239A (ja) カラー映像管
US3623135A (en) Electron gun assembly mounting
US6683401B2 (en) Weld-free mask support blade structure
KR950004391B1 (ko) 브라운관의 전자총용 벌브스페이서
KR20030035937A (ko)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JP2645067B2 (ja) メッシュ後段加速形陰極線管
JP3152477B2 (ja) カラー陰極線管
US7042146B2 (en) Electron gun structure for a cathode-ray tube
KR950003537Y1 (ko) 전자총의 히터 스트랩구조
KR0177947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서포터
JPH054680Y2 (ko)
KR920004302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음극구조체
JPH0635358Y2 (ja) 陰極線管
JPH03225728A (ja) 陰極線管
KR920005829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50002053Y1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KR950002689Y1 (ko) 전자총용 음극 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