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937A -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937A
KR20030035937A KR1020020065092A KR20020065092A KR20030035937A KR 20030035937 A KR20030035937 A KR 20030035937A KR 1020020065092 A KR1020020065092 A KR 1020020065092A KR 20020065092 A KR20020065092 A KR 20020065092A KR 20030035937 A KR20030035937 A KR 20030035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strands
cantilevers
cathode ray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로그이스트반
쥬니어 윌버레오나드프랫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3003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93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66Details of skirt or border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10)용 텐션 마스크(tension mask)(32)를 제공한다. 텐션 마스크는 마스크 지지 프레임(34)의 마주하는 측면들 상에 있는 캔틸레버들(cantilevers)(52) 사이에 뻗어 있는 복수의 평행한 스트랜드들(strands)(44)로 형성된 능동 개구부(active aperture portion)를 갖는다. 텐션 마스크는 프레임 캔틸레버들의 각각의 단부의 상부에 탑재된 경계 실드들(border shields)(56)을 더 포함하며, 따라서 스트랜드 단부들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캔틸레버들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의 마주하는 측면들 상에 있는 경계 실드들은 텐션 마스크의 능동 개구부쪽으로 뻗어 있으며, CRT의 스크린 매트릭스(28)와 거의 일렬로 정렬되어 있다. 텐션 마스크의 열팽창 계수는 마스크 프레임, 캔틸레버들, 및 경계 실드의 열팽창 계수보다 작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TENSION MASK FOR A CATHODE-RAY-TUBE}
본 발명은 컬러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계 실드(border shield)를 갖는 텐션 마스크(tension mask)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새도우 마스크형 컬러 음극선관은 일반적으로 3개의 전자 빔을 형성하여 음극선관의 스크린쪽으로 보내는 전자총을 포함한다. 스크린은 음극선관의 면판(faceplate)의 내측면상에 위치하며, 서로 다른 3가지 색을 방출하는 형광체 요소들의 어레이로 이루어져 있다. 음극선관의 제조시에, 면판에 대해 위치 결정되는 새도우 마스크는 스크린 어레이를 인쇄하고 또 그것으로서 어레이 경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음극선관 조립 중에, 새도우 마스크는 스크리닝(screening) 과정 중에 소오스 위치(source position)를 재현하도록 전자총과 스크린 사이에 정밀하게 배치된다. 새도우 마스크는 스크린을 가리어 전자 빔들 중 투과된 부분이 음극선관 스크린 상의 각각의 방출색(emissive color)의 형광체 요소들을 여기시킬 수 있게 하는 시차 장벽으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종래의 음극선관에서, 새도우 마스크는 돔 형상의 얇은 금속 시트로서, 음극선관 면판의 내측면과의 상대적 배치 구성(configuration)을 자체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또 마스크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음극선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계열의 마스크로는 텐션 마스크가 있다. 텐션형 마스크의 일례로서는 연결바(tie bar) 텐션 마스크 및 스트랜드(strand) 텐션 마스크가 있다. 스트랜드 텐션 마스크는 복수의 가늘고 평행한 스트랜드들을 포함하며, 이들 스트랜드는 팽팽하게 잡아당겨 견고한 마스크 프레임에 용접되어 있다. 스트랜드들을 팽팽하게 잡아당겨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데, 이렇게 하는 것은 스트랜드들 사이에 형성된 개구들이 스크린상의 형광체 요소들과 일렬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스크에 장력이 지속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 마스크는 비교적 크고 튼튼한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어야만 한다.
종래의 음극선관을 보면 스트랜드들을 프레임에 부착하는 서로 다른 2가지 형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 형태에서는, 프레임에 용접되어 있는 마스크의 중앙 개구들을 둘러싸고 있는 경계가 있다. 이 마스크의 솔리드 경계(solid border)는 매트릭스의 블랙 서라운드(black surround)를 형성하기 위한 광학적 테두리(optical edge)으로서 기능하며, 이 매트릭스의 블랙 서라운드는 또한 음극선관 스크린의 스크린 어레이의 경계를 이룬다. 솔리드 마스크 경계의 부차적인 목적은 능동 스캔 영역의 테두리에 전자 실드를 제공하여, 수직 오버스캔(overscan) 중에 바람직하지 않은 전자의 산란을 줄이도록 하는 데 있다. 스트랜드들을 부착하는 두번째 형태에서는, 개별 마스크 스트랜드 각각의 단부들을 프레임에 부착시키고 있다. 이 두가지 형태의 텐션 마스크 모두는 전면의 만곡(curvature)이 한정되어 있거나 전혀 없는 음극선관의 미적 외관을 포함한 여러가지 이유로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마스크와 마스크 프레임을 서로 다른 물질로 제조하여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에 요구되는 마스크 장력 및 중량을 감축시키는 것도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상용 텐션 마스크 음극선관에 있어서, 마스크의 솔리드 경계들은 마스크 프레임에 용접된다. 마스크와 프레임의 열팽창 계수가 서로 다른 경우 마스크의 솔리드 경계가 프레임에 용접되면, 그 결과 음극선관의 열처리 중에 마스크-프레임 용접점들을 따라 솔리드 경계의 변형이 일어나게 됨으로써 마스크의 능동부를 영구적으로 변형시키게 된다.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마스크 스트랜드들(또는 다른 에칭 마스크 부분들)을 마스크 프레임에 개별적으로 부착시키는 수고를 해야 했으며, 이 경우 솔리드 마스크 경계는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지 않다. 불행히도 개별적으로 마스크 스트랜드들을 부착시키는 것도 문제점이 있는 데, 그 이유는 스트랜드들이 용접 중에 용접 장치의 미는 동작으로 위치가 흐트러지기 쉽기 때문이다. 개별 스트랜드들을 프레임에 부착하는 공정상의 문제점들 이외에, 솔리드 마스크 경계가 없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은 데, 그 이유는 그 경계들이 블랙 매트릭스 서라운드 및 스크린 어레이를 형성 및 정의하는 광학적 테두리으로서 기능하고 또 전자 빔이 마스크 프레임의 측면들에 충돌하여 생기는 표유 전자들(stray electrons)을 차단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스크 스트랜드들을 마스크 프레임에 변형없이 개별적으로 부착할 수 있으면서도 매트릭스 및 스크리닝에 대한 광학적 테두리로서 기능하는 어떤 종단 실드(terminating shielding) 및 표유 전자들에 대한 실드도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를 제공한다. 텐션 마스크는 프레임의 마주하는 측면들에 부착된 캔틸레버들을 갖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캔틸레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일정 간격으로 있는 평행한 복수의 스트랜드들을 포함한다. 경계 실드는 차후의 용접 기법을 위해 프레임 캔틸레버들 각각의 모서리를 따라 스트랜드들 상부에 탑재된다. 경계 실드는 각각의 스트랜드 단부들과 맞물린 관계(gripping relation)로 들어가도록 구현되어 있고, 그에 따라 스트랜드들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캔틸레버들에 고정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 마스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마스크 프레임과 경계 실드 사이에 용접된 스트랜드들의 일부분의 평면도.
도 4는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의 일부분의 측단면도로서, 마스크 프레임의 경계 실드, 마스크 스트랜드들 및 캔틸레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면판
28 : 스크린
30 : 텐션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32 : 텐션 마스크
39 : 요크
44 : 스트랜드
46 : 개구
52 : 캔틸레버
56 : 경계 실드
58 : 용접점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유리 엔벨로프(envelope)(12)를 갖는 종래의 음극선관(10)을 나타낸 것으로서, 직사각형 펀넬(funnel)(18)에 의해 연결된 직사각형 면판 패널(14) 및 튜브형 네크(16)를 구비하고 있다. 펀넬(18)상의 내부의 도전성 코팅(도시 생략)은 애노드 버튼(20)으로부터 뒤쪽으로 네크(16)까지 뻗어 있으며 또한 면판 패널(14)쪽으로도 뻗어 있다. 패널(14)은 시청 면판(viewing faceplate)(22), 및 유리 프릿(glass frit)(26)으로 펀넬(18)에 밀봉된 주변 플랜지(peripheral flange) 또는 측벽(24)을 구비한다. 3색 형광체 발광 스크린(28)(미세 구조 도시 생략)은 면판(22)의 내측면에 있다. 스크린(28)은 라인 스크린(line screen)으로서,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각각 방출하는 형광체 스트라이프(R, G, B)로 구성된 스크린 요소들을 다수 포함하며, 컬러 그룹, 즉 3개의 스트라이프가 3개 한벌로 된 트라이어드(triad)로 된 화소들을 이루어 배열되어 있고, 각 트라이어드는 3가지 컬러 각각의 형광체 라인 패턴을 포함한다. 형광체 라인은 음극선관의 단축(Y)과 거의 평행하다. 양호하게는, 형광체 스트라이프의 적어도 일부는,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교적 가늘고 광을 흡수하는 매트릭스(light absorbing matrix)(도시 생략)와 겹쳐 있다.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30)는 종래의 수단을 사용하여 스크린(28)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착탈가능하게 탑재된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30)는 프레임(34)에 고정된 텐션 마스크(32)를 포함한다. 텐션 마스크(32)는 마찰 접속된 댐핑 와이어(frictionally connected damping wire)를 갖는 스트랜드 텐션 마스크(strand tension mask), 스트랜드 텐션 포커스 마스크(strand tension focus mask) 또는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유사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텐션 마스크(32)는 일정 간격을 둔 평행한 스트랜드들(44)을 복수개 가지고 있는 능동 개구부를 포함한다. 스트랜드들(44) 사이에 있는 복수의 가늘고 긴 개구들(46)은 텐션 마스크(32)의 단축(Y)과 평행하다. 전자 빔들은 음극선관 동작 중에 능동부에 있는 개구들(46)을 통과한다. 스트랜드들(44) 각각의 가로 방향 치수, 즉 폭은 설계에 의해 동일 간격을 두고 있거나 차츰 달라지게(graded) 할 수 있다. 한 예에서, 스트랜드들의 폭은 약 0.55 mm [21.5 밀(mil)] 일 수 있다. 개구들(46)도 마찬가지로 설계에 의해 동일 간격을 두고 있거나 차츰 달라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개구는 약 0.11 mm(5.5 밀)의 폭을 가질 수 있으며, CRT의 단축(Y)에 거의 평행하다.
도 1에 점선으로 개략 도시된 전자총(38)은 네크(16) 내부의 중심에 탑재되어 3개의 인라인 전자빔(in-line electron beam)(도시 생략), 즉 하나의 중앙 빔과 2개의 측면 빔 또는 외측 빔을 발생하며, 이들 빔은 수렴 경로를 따라 텐션 마스크(32) 내의 슬롯들을 통해 스크린(28)으로 간다.
음극선관(10)은 펀넬-네크 연결부의 근방에 도시된 요크(39)와 같은 외부의 자기 편향 요크와 함께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요크(39)는 기동되면 3개의 빔에 자계를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그 빔들은 수평 및 수직으로 주사되어 스크린(28) 상에 직사각형 래스터를 이루게 된다.
텐션 마스크(32)를 지지하는 프레임(34)이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4개의 측면, 즉 음극선관의 장축(X)에 거의 평행한 2개의 긴 측면(40)과, 음극선관의 단축(Y)에 평행한 2개의 짧은 측면(42)을 포함하고 있다. 2개의 긴 측면(40) 각각은 짧은 측면(42)의 원단(distal end)에 고정되어 있는 캔틸레버(52)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프레임(34)을 사용하는 일 실시예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지만, 많은 다른 유형의 텐션 프레임들도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트랜드들(44)은 능동부로부터 2개의 캔틸레버(52)쪽으로 뻗어 있으며, 이 때 이 스트랜드들(44)은 경계 실드(56)와 캔틸레버들(52) 사이에 용접점들(58)을 통해 배치되어 있다. 일련의 용접점들(58)은 예를 들면 휠형 저항 용접기(wheel-type resistance welder)에 의하거나 또는 레이저 용접과 같은 다른 용접 방법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용접 라인(62)을 형성한다. 경계 실드(56)는 프레임 캔틸레버들(52)의 각각의 모서리를 따라 스트랜드들 상부에 용접되고, 각각의 스트랜드 단부들과 맞물린 관계로 들어가도록 구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스트랜드들(44)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캔틸레버들(52)에 고정되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캔틸레버들(52) 및 경계 실드들(56)은 저탄소 합금강 또는 다른 적당한 통상의 강(鋼)과 같은 열 팽창 계수(C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가 큰 물질로 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마스크 스트랜드들(44)은 열팽창 계수가 작은 물질로 형성된다. INVAR(TM Reg. #63,970)과 같은 철-니켈 합금 또는 열팽창 계수(CTE)가 작은 임의의 다른 유사한 물질들이 효과적이다. 솔리드 경계를 갖는, 열팽창이 적은 마스크가 열팽창이 많은 프레임에 고정되면, 450 ℃ 정도의 높은 온도에 이를 수 있는 음극선관의 열처리로 인해 마스크는 솔리드 경계 영역에서 비탄성적으로 늘어날 수 있으며, 냉각시에 마스크에 주름이 생기게 된다. 솔리드 경계 마스크가 없는 경우, 경계 실드들(56)은, 마스크 경계가 영구적으로 변형됨으로써 마스크 스트랜드들(44)의 위치가 그다지 흐트러지지 않게 하면서, 솔리드 경계가 부착되어 있는 저팽창 텐션 마스크(32)의 팽창에 비해 고팽창 프레임(34)의 팽창을 더 많이 수용하게 된다. 경계 실드(56)는 일반적으로 프레임과 유사한 열팽창 계수를 갖는 물질로 함으로써 이러한 결과를 달성하며, 이에 따라 열처리 중의 주름 발생을 회피한다. 그러므로, 개별 마스크 스트랜드들(44)을 프레임(34)의 캔틸레버들(56)에 고정시킴으로써, 텐션 마스크(32)의 측방 팽창이프레임(34)의 측방 팽창에 의해 억제된다. 일례로는, 프레임(34)과 경계 실드(56)가 120 x 10-7/℃ 내지 160 x 10-7/℃ 범위의 CTE를 가져 CTE가 큰 물질이라고 할 수 있는 저탄소 합금강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텐션 마스크(32)가 9 x 10-7/℃ 내지 30 x 10-7/℃ 범위의 CTE를 갖는, 철-니켈 합금 물질과 같은 CTE가 작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더라도 주름이 전혀 형성되지 않을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텐션 마스크(32)는 에칭되어 복수의 스트랜드들(44)로 되는 얇고 평탄한 철-니켈 합금 시트를 포함한다. 스트랜드들(44)은 캔틸레버들(52)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정렬된다. 캔틸레버들(52)을 마스크(32)의 중심쪽으로 누르거나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하는 것 등에 의해 스트랜드들(44)을 팽팽히 잡아당겨 스트랜드들(44)에 소정의 장력이 가해지게 할 수 있다. 경계 실드(56)는 프레임(34)의 각각의 단부에서 스트랜드들(44)의 단부 상부에 탑재되어, 캔틸레버(52)의 외측 모서리와 일렬로 정렬되어 있다. 경계 실드들(56)은 스트랜드들(44)와 접촉하고 있고 또 경계 실드(56)의 모서리(54)가 캔틸레버(52)의 내측 모서리(57) 상으로 돌출해 나오도록 텐션 마스크(32)의 중심쪽으로 뻗어 있다. 경계 실드(56)가 스트랜드들(44) 상부에 배치되어 있어, 용접 장치를 경계 실드(56)의 상측면을 따라 스캔하여 경계 실드(56)와 스트랜드들(44)을 용접점들(58)에 의해 캔틸레버(52)에 고정시켜 텐션 마스크(32)를 완성한다. 용접 공정 중에, 경계 실드(56)는 스트랜드들(44)을 보호하여, 휠-롤링형 저항 용접기 등의 경우에서와 같이 용접 장치의 미는 동작에 의해 야기되는원하지 않은 스트랜드 위치의 흐트러짐을 최소화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계 실드(56)와 마스크 스트랜드들(44)은 프리어샘블리를 형성하며, 이 경우 경계 실드(56)는 용접 이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스트랜드들(44)에 정밀하게 부착됨으로써, 스트랜드들(44)이 그의 정밀 정렬을 유지하고 또 용접 동작에 의해 위치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한다. 아크릴 수지나 에폭시 수지 또는 실리케이트 결합제(silicate binder)가 이러한 용도로 효과적이다.
최종 음극선관 조립 중에 면판 패널(14)과 텐션 마스크(32)를 결합시킬 때, 텐션 마스크(32)는 면판 패널(14)로부터 뻗어나온 스텃들(studs)(도시 생략)상에 탑재된다. 전자총(38)은 전자빔을 발생하며, 그 전자빔의 편향 중심은 스크린(28) 상의 형광체 스트라이프들을 형성 및 배치할 때 사용되는 광원이 따라가는 경로와 실제로 거의 일치한다. 기술 분야에 공지된 매트릭스 공정(matrix process) 및 스크리닝 공정(screening process)을 사용함에 있어서, 경계 실드(56)는 매트릭스 공정에서의 주변을 정의하며 또한 형광체 스트라이프들이 수직 방향으로 어디에서 끝나게 되는지도 정의한다.
프레임(34)의 단부들을 따라 뻗어 있는 경계 실드(56)는 또한 능동 전자 빔 스캔 영역의 모서리에 전자 실드를 제공함으로써, 수직 오버스캔 조건 동안 캔틸레버(52)로부터의 바람직하지 않은 전자 산란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경계 실드(56)의 두께는 0.1 인치 미만이어야 하고 또 캔틸레버(52)로부터 마스크의 중심쪽으로 적어도 0.1 인치만큼 뻗어 있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을 실시하는 여러가지 실시예들에 대해 도시하고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들 개시 내용을 여전히 실시하는 많은 다른 변형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안출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로는, (1) 스트랜드들(44)에 CTE가 큰 물질을 사용하고 캔틸레버들(52)과 경계 실드들(56)에 CTE가 작은 물질을 사용하는 예와, (2) 스트랜드들(44), 캔틸레버들(52) 및 경계 실드들(56)에 CTE가 큰 물질을 사용하는 예와, (3) 스트랜드들(44), 캔틸레버들(52) 및 경계 실드들(56)에 CTE가 작은 물질을 사용하는 예가 있다.

Claims (10)

  1. 패널(14) 상에 발광 스크린(28)을 갖는 음극선관(10)용 텐션 마스크(32)로서,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측면을 갖는 마스크 프레임(34),
    상기 프레임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 각각에 부착된 캔틸레버들(52),
    상기 캔틸레버들에 부착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거의 평행한 스트랜드들(44)을 복수개 가지는 마스크 - 상기 스트랜드들 사이에는 가늘고 긴 개구들(46)이 있으며, 상기 음극선관의 동작 중에 전자 빔들이 상기 개구들을 통과함 -, 및
    각각의 캔틸레버를 따라 상기 스트랜드들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는 경계 실드(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들 및 경계 실드는 제1 열팽창 계수를 갖는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랜드들은 제2 열팽창 계수를 갖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인 텐션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들, 상기 경계 실드들, 및 상기 스트랜드들은 유사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인 텐션 마스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팽창 계수는 상기 제2 열팽창 계수보다 큰 것인텐션 마스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팽창 계수는 상기 제2 열팽창 계수보다 작은 것인 텐션 마스크.
  6.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30)가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음극선관(10)으로서,
    한쌍의 서로 마주하는 캔틸레버들(52)을 갖는 거의 직사각형인 마스크 프레임(34),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스트랜드들(44) - 각각의 스트랜드는 상기 캔틸레버들 사이에 걸쳐 있음 - 로 형성된 능동 개구부를 갖는 텐션 마스크, 및
    상기 스트랜드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캔틸레버들에 고정되어 있는 경계 실드(56)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실드(56)가 상기 캔틸레버들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스트랜드들이 상기 캔틸레버들에 고정되며,
    상기 텐션 마스크(32)의 열팽창 계수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 상기 캔틸레버들 및 상기 경계 실드의 열팽창 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실드는 상기 텐션 마스크의 능동 개구부쪽으로 뻗어 있는 것인 음극선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마스크는 Invar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상기 캔틸레버들, 및 상기 경계 실드는 강(鋼)으로 이루어진 것인 음극선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실드는 용접 이전에 접착 수단을 통해 상기 스트랜드들에 정밀하게 고정됨으로써 용접 중에 상기 스트랜드들의 어떤 위치 흐트러짐(displacement)도 방지하는 것인 음극선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단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실리케이트 결합제인 것인 음극선관.
KR1020020065092A 2001-10-29 2002-10-24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KR200300359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53,153 2001-10-29
US10/053,153 US6600258B2 (en) 2001-10-29 2001-10-29 Tension mask for a cathode-ray-tub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937A true KR20030035937A (ko) 2003-05-09

Family

ID=2198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092A KR20030035937A (ko) 2001-10-29 2002-10-24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00258B2 (ko)
EP (1) EP1306875B1 (ko)
JP (1) JP2003142012A (ko)
KR (1) KR20030035937A (ko)
CN (1) CN1272826C (ko)
DE (1) DE60218263T2 (ko)
MX (1) MXPA02010592A (ko)
MY (1) MY122797A (ko)
TW (1) TW5883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4806B2 (en) * 2002-06-26 2004-09-21 Thomson Licensing S. A. Warp-free dual compliant tension mask frame
ITMI20031473A1 (it) * 2003-07-18 2005-01-19 Videocolor Spa Gruppo quadro-maschera per tubo a raggi catodici
WO2006046941A1 (en) * 2004-10-21 2006-05-04 Thomson Licensing Cathode ray tube having a tension mask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2333A (en) 1988-12-05 1990-07-17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Shadow mask with border pattern
US5647653A (en) 1995-07-26 1997-07-15 Rca Thomson Licensing Corp. Uniaxial tension focus mask materials
JP3536960B2 (ja) * 1997-03-11 2004-06-1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シャドウマスク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
KR100241597B1 (ko) * 1997-12-01 2000-02-01 손욱 음극선관용 패널 어셈블리
US6407488B1 (en) * 1999-04-01 2002-06-18 Thomson Licensing S.A. Color picture tube having a low expansion tension mask
US6225736B1 (en) 1999-04-01 2001-05-01 Thomson Licensing S.A. Color picture tube having a low expansion tension mask attached to a higher expansion frame
US6274975B1 (en) 1999-04-01 2001-08-14 Thomson Licensing S.A. Color picture tube having a tension mask attached to a frame
US6455992B1 (en) * 1999-04-12 2002-09-24 Thomson Licensing S.A. Color picture tube having a low expansion tension mask attached to a higher expansion frame
JP2001068036A (ja) * 1999-08-27 2001-03-16 Nec Kansai Ltd シャドウマスク構体およびカラーブラウン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18263D1 (de) 2007-04-05
EP1306875A2 (en) 2003-05-02
CN1272826C (zh) 2006-08-30
MY122797A (en) 2006-05-31
MXPA02010592A (es) 2005-08-26
EP1306875A3 (en) 2004-08-04
TW588391B (en) 2004-05-21
JP2003142012A (ja) 2003-05-16
EP1306875B1 (en) 2007-02-21
DE60218263T2 (de) 2008-01-03
US6600258B2 (en) 2003-07-29
CN1417837A (zh) 2003-05-14
US20030080666A1 (en)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6164B1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low expansion tension mask attached to a higher expansion frame
JPH0660822A (ja) 陰極線管
KR100731658B1 (ko) 고팽창 프레임에 부착되는 저팽창 장력 마스크를 구비하는컬러 수상관
US6600258B2 (en) Tension mask for a cathode-ray-tube
EP1405329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detensioning mask frame assembly
US6225735B1 (en)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r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166311B1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tension mask attached to a frame
EP1417696B1 (en) Cathode-ray tube having a detensioning mask support frame
US6639344B2 (en) Cathode ray tube having a focus mask and support frame assembly with an improved border
WO200208249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mask strand spatial uniformity for a crt
JP3222640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EP1433191B1 (en) Tension mask assembly for a cathode ray tube having mask detensioning
US6794806B2 (en) Warp-free dual compliant tension mask frame
KR100470337B1 (ko) 칼라 음극선관 섀도우 마스크
JP2004531868A (ja) 高膨張フレームに取付けられる低膨張テンションマスクを有するカラー受像管
KR20050058250A (ko) 마이크로포닉 제어를 갖춘 텐션 마스크를 구비한 음극선관
KR20040104726A (ko)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을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들을 갖는음극선관
JP2002216655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30093486A (ko) 텐션마스크 조립체
JP2004227834A (ja) カラー陰極線管
JP2002231149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60012884A (ko) 마스크 프레임
JP2002352742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