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486A - 텐션마스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텐션마스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486A
KR20030093486A KR1020020031062A KR20020031062A KR20030093486A KR 20030093486 A KR20030093486 A KR 20030093486A KR 1020020031062 A KR1020020031062 A KR 1020020031062A KR 20020031062 A KR20020031062 A KR 20020031062A KR 20030093486 A KR20030093486 A KR 20030093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ask
tension
correction means
fram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섭
김종헌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1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3486A/ko
Publication of KR20030093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48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Landscapes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텐션마스크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강성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지지부재상에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설치되고, 전자빔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슬롯이 형성된 텐션마스크;와, 프레임상에 텐션마스크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텐션마스크의 단변부측과 프레임 사이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열보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텐션마스크의 단변부와 프레임사이에 발생되는 개구부를 차단하게 됨으로써, 지자계의 영향으로 인한 텐션마스크의 변위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텐션마스크 조립체{Tension mask assembly}
본 발명은 텐션마스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력이 가해지는 텐션마스크를 지지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전자빔의 미스랜딩량을 줄인 텐션마스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평면의 스크린을 가지는 평면형 음극선관은 패널의 내부에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텐션마스크 조립체(tension mask assembly)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벌브 단부에 봉입된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된 전자빔이 색선별 기능을 가지는 텐션마스크에 형성된 무수개의 전자빔통과공을 통과하여 패널 내면에 형성된 형광막에 랜딩하여 형광막의 각 형광체층을 여기시킴으로써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텐션마스크 조립체(10)의 일 예는 미국특허 제5,111,10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텐션마스크 조립체(10)는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1)와, 상기 지지부재(11)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서 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강성부재(12)와, 상기 지지부재(11)의 윗면에 설치되는 마스크(13)와, 상기 마스크(13)와 반대되는 강성부재(12)의 배면에 설치되는 열보정수단(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보정수단(14)의 열팽창계수는 상기 강성부재(12)의 열팽창계수보다 크다.
상기와 같은 텐션마스크 조립체(10)는 지지부재(11)와 강성부재(12)로 된 프레임의 탄성을 이용하여 마스크(13)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한 마스크를 프레임에 조립하는 방식의 음극선관에 비하여 마스크의 단변부측에서 외부 자기장, 특히 지자계에 노출되는 부분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된 전자빔은 지자계의 영향으로 인하여 소망하는 위치의 형광막에 랜딩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텐션마스크 조립체(10)는 탄소강과 같은 열팽창계수가 높은 금속재를 이용하여 프레임(11)(12)이나, 마스크(13)를 제조시에 텐션마스크 조립체(10)의 열처리 공정이나, 음극선관의 구동중에 프레임(11)(12)과 마스크(13)의 상호 열팽창량의 차이에 의하여 마스크(13)가 열적변형되어 전자빔이 미스랜딩되는 것을 보정하기 위하여 열보정수단(14)이 강성부재(12)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열보정수단(14)은 마스크(13)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부착되어서 음극선관의 작동온도 상승에 의한 열팽창과 이로 인한 전자빔의 미스랜딩량을 감소시키게 되는데, 그 열팽창 보정량이 소망하는 대로 충분하지 못하여 별도의 부가적인 보정수단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장력이 가해진 마스크와 이를 지지하는 각 프레임들간의 열팽창에 따른 마스크의 변형을 방지하고, 외부자계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형광막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미스랜딩량을 감소시킨 텐션마스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텐션마스크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을 도시한 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마스크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3의 텐션마스크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텐션마스크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션마스크 조립체의 주요부를 절제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0...음극선관21...패널
22...펀넬23...이너쉴드
24...전자총25...편향요오크
30...텐션마스크 조립체31...텐션마스크
32...지지부재33...강성부재
34...스프링서포터35...훅스프링
300...열보정수단310...고정부
320...차폐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텐션마스크 조립체는,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강성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지지부재상에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설치되고, 전자빔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슬롯이 형성된 텐션마스크; 및
상기 프레임상에 텐션마스크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텐션마스크의 단변부측과 프레임 사이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열보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보정수단은 하기 식에 의하여 정의되는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0.5 × Lh ≤ Ls ≥ Lh
여기서, Ls는 상기 열보정수단의 관축방향으로의 높이이고, Lh는 상기 텐션마스크로부터 상기 열보정수단이 프레임에 용접된 부분까지의 높이임.
게다가, 상기 열보정수단은 상기 프레임보다 열팽창계수가 낮은 금속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열보정수단은 한 쌍의 지지부재에 용접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관축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폐가능한 크기를 가지는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음극선관(20)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음극선관(20)은 형광막(21a)이 내면에 형성된 평면상의 스크린을 가지는 패널(21)과, 상기 패널(21)과 결합하여 벌브를 이루는 펀넬(22)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21)의 내측으로는 이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텐션마스크 조립체(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텐션마스크 조립체(30)에는 이너쉴드(2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펀넬(22)의 네크부(22a) 내부에는 전자총(24)이 설치되고, 콘부(22b) 외주면에는 상기 전자총(24)으로 주사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오크(25)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텐션마스크 조립체(30)에는 텐션마스크 변형과 지자계의 영향으로 인한 전자빔의 미스랜딩량을 공히 감소시키는 열보정수단이 프레임에 설치된데에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션마스크 조립체(30)를 분리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텐션마스크 조립체(30)는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설치되는 텐션마스크(31)와, 상기 텐션마스크(3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32)와, 상기 지지부재(32)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강성부재(33)와, 상기 지지 또는 강성부재(32)(33)에 설치되는 열보정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텐션마스크(31)에는 박판의 금속재상에 소정간격 이격되며, 인장력이 인가되는 방향(Y방향)으로 다수개의 스트립(31a)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트립(31a) 사이에는 간헐적으로 슬롯(31b)이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스트립(31a)은 상기 슬롯(31b)을 구획하도록 리얼브리지(31c)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트립(31a)으로부터 슬롯(31a)의 중앙을 향해서는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더미브리지(3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텐션마스크(31)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인장력이 가해지는 마스크라면 이와 대체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32)는 상기 텐션마스크(31)를 장변부 방향(X방향)에서 양 측 가장자리를 지지가능하도록 대향되게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2)는 상기 텐션마스크(31)의 장변부 아랫면이 각각 장착되는 고정부(32a)와, 상기 고정부(32a) 하단부로부터 대향되는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32b)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2)는 Y 방향으로 절개하였을 때 그 단면이 “L”자형이다.
상기 지지부재(32)에는 이에 용접고정된 텐션마스크(31)에 장력을 인가하도록 복수개의 강성부재(33)가 대향되게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강성부재(33)는 양 단부가 대향되는 지지부재(32)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 및 강성부재(32)(33)의 외측벽에는 텐션마스크 조립체(30)가 패널내에 현가되어 지지가능하도록 스프링 지지부재(34)와,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34)에 지지되어 패널의 내측벽에 형성된 스터드핀(26,도2참조)에 결합되는 훅스프링(35)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또는 강성부재(32)(33)로 된 프레임에는 상기 텐션마스크(31)와 프레임의 열팽창율 차이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랜딩량을 보정하도록 프레임보다 열팽창계수가 낮은 열보정수단(300)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보정수단(300)은 대향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32)에 용접고정되는 고정부(310)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관축방향(Z방향)으로 절곡된 차폐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10)는 상기 텐션마스크(31)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32)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310)는 양 단부의 아랫면이 지지부재(32)의 플랜지부(32b) 윗면에 용접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310)에는 상기 텐션마스크(31)가 설치되는 부분과 반대 방향인 외측 장변부로부터 차폐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폐부(320)는 상기 텐션마스크(31)의 하부방향으로 고정부(310)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보정수단(300)은 관축방향으로 절개하였을 때 그 단면이 “L”자형을 이루고 있다.
도 4는 도 3의 텐션마스크 조립체(3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상기 텐션마스크 조립체(30)의 주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텐션마스크 조립체(30)는 텐션마스크(31)와, 한 쌍의 지지부재(32)와, 강성부재(33)로 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32)의 고정부(32a)에는 텐션마스크(31)가 용접고정되어 있다. 프레임의하부측, 상기 텐션마스크(31)가 설치되는 부분과 반대방향에는 지자계를 차폐하기위하여 이너쉴드(inner shield,4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열보정수단(300)은 텐션마스크(31)에 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32)의 양 단부에 용접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열보정수단(300)은 프레임보다 투자율이 높고, 열팽창계수가 낮은 금속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보정수단(300)은 지자계등과 같은 외부 자기장에 노출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텐션마스크(31)의 단변부측과, 이너쉴드(40)가 설치되는 부분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재(32)의 높이만큼 지자계에 노출되는 개구부가 발생하게 된다. 이 개구부에 상기 열보정수단(30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열보정수단(300)은 하기 식에 의하여 정의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식]
0.5 × Lh ≤ Ls ≤ Lh
여기서, Ls는 상기 열보정수단(300)의 관축방향으로의 높이이다. 즉, Ls는 상기 열보정수단(300)이 지지부재(32)의 플랜지부(32b)에 용접되어서 용접부(50)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재(32)에 대하여 열보정수단(300)이 용접고정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텐션마스크(31)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열보정수단(300)이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지점까지의 거리이다.
Lh는 상기 텐션마스크(31)로부터 상기 열보정수단(300)이 지지부재(32)에 용접되는 부분까지의 높이이다. 즉, Lh는 상기 열보정수단(300)이 지지부재(32)의 플랜지부(32b)에 용접되어서 용접부(50)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재(32)에 대하여 열보정수단(300)이 용접고정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텐션마스크(31)가 용접고정되는 지지부재(32)의 고정부(32a) 선단부까지의 높이이다.
Ls가 Lh보다 동일하거나 작고, Lh×0.5보다 동일하거나 클 경우의 범위를 가지도록 상기 열보정수단(300)의 높이가 설정될 경우에는 지자계를 차폐하여 전자빔의 미스랜딩량을 감소시키는데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열보정수단(300)에 의하여 미스랜딩되는 보정량은 본 출원인이 실험한 결과를 통하여 살펴보면 확연히 감소함을 알 수가 있다.
<비교예>
비교예는 텐션마스크 조립체의 프레임에 열보정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이다.
도 4에 도시된 텐션마스크의 A, B, C, D, E 및 F점에서의 텐션마스크의 이동량을 측정한 것이다. 이 경우, 텐션마스크의 각 지점을 나타내기 위하여 편의상 도 4의 텐션마스크(31)상에 표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열보정수단(30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다.
A 내지 D점은 상기 텐션마스크(31)의 중앙부를 중심점으로 하여 장변부 방향(X방향)으로 동축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텐션마스크(31)의 중심점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200 밀리미터라고 하면, A점은 원점이고, B점은 120 밀리미터 지점이고, C점은 160 밀리미터 지점이고, D점은 190 밀리미터 지점이다.
또한, A 내지 F점은 상기 텐션마스크(31)의 중앙부를 중심점으로 하여 단변부 방향(Y방향)으로 동축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텐션마스크(31)의 중심점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150 밀리미터라고 하면, A점은 원점이고, E점은 70 밀리미터 지점이고, F점은 140 밀리미터 지점이다.
A 내지 F점에서 텐션마스크의 이동량에 대한 결과치는 표 1과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A B C D
F 5 6 14 23
E - - - 16
A - - - 1
표 1은 텐션마스크의 동서방향으로의 이동량으로서, 단위는 마이크로미터이다.
표 1을 참조하면, 텐션마스크의 중심점으로부터 Y방향으로 140 밀리미터에 위치한 F점에서 X방향으로 거리가 0, 120, 160, 190 밀리미터로 증가하게 되면, 텐션마스크의 동서방향으로의 이동량은 각각 5, 6, 14, 23 마이크로미터로 증가하게 된다. 텐션마스크의 중심점으로부터 Y방향으로 70 밀리미터에 위치한 E점에서 X방향으로 거리가 190 밀리미터인 지점에서 이동량은 16 마이크로미터이다. 텐션마스크의 원점에 위치한 A점에서 X방향으로 거리가 190 밀리미터인 지점에서 이동량은 1 마이크로미터이다.
A B C D
F 37 37 34 23
E - - - 9
A - - - 1
표 2는 텐션마스크의 남북방향으로의 이동량으로서, 단위는 마이크로미터이다.
표 2를 참조하면, 텐션마스크의 중심점으로부터 Y방향으로 140 밀리미터에 위치한 F점에서 X방향으로 거리가 0, 120, 160, 190 밀리미터로 증가하게 되면, 텐션마스크의 남북방향으로의 이동량은 각각 37, 37, 34, 23 마이크로미터로 증가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텐션마스크의 중심점으로부터 Y방향으로 70 밀리미터와, 원점에 위치한 E, A점에서 X방향으로 거리가 190 밀리미터인 지점에서 이동량은 9, 1 마이크로미터이다.
<실시예>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마스크(31)에 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텐션마스크 조립체(30)의 지지부재(32)에 열보정수단(30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텐션마스크(31)상의 A, B, C, D, E 및 F점에서의 텐션마스크(31)의 이동량을 측정한 것이며, 각 점은 비교예에서와 동일한 지점을 가리킨다.
A 내지 F점에서 텐션마스크의 이동량에 대한 결과치는 표 3과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A B C D
F 2 8 20 24
E - - - 12
A - - - 1
표 3은 음극선관의 구동중에 지자계에 의하여 전자빔이 텐션마스크(31)에 미스랜딩되는 경우에 상기 텐션마스크(31)의 동서방향으로의 변위되는 이동량이다.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텐션마스크(31)의 중심점으로부터 Y방향으로 140 밀리미터에 위치한 F점에서 X방향으로 거리가 0, 120, 160, 190로 증가하게 되면, 상기 텐션마스크(31)의 동서방향으로의 이동량은 2, 8, 20, 24 마이크로미터로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텐션마스크(31)의 중심점으로부터 Y방향으로 70 밀리미터에 위치한 E점에서 X방향으로 거리가 190 밀리미터인 지점에서 상기 텐션마스크(31)가 이동하는 양은 12 마이크로미터이다. 한편, 상기 텐션마스크(31)의 원점에 위치한 A점에서 X방향으로 거리가 190 밀리미터인 지점에서 상기 텐션마스크(31)가 변위되는 량은 1 마이크로미터이다.
A B C D
F 19 24 25 15
E - - - 1
A - - - 1
표 4는 상기 텐션마스크(31)가 전자빔의 미스랜딩에 의하여 남북방향으로 변위되는 이동량이며, 단위는 마이크로미터이다.
표 4를 참조하면, 상기 텐션마스크(31)의 중심점으로부터 Y방향으로 140 밀리미터에 위치한 F점에서 X방향으로 거리가 0, 120, 160, 190 밀리미터로 증가하게 되면, 상기 텐션마스크(31)가 남북방향으로 변위되는 양은 각각 19, 24, 25, 15 마이크로미터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상기 텐션마스크(31)의 중심점으로부터 Y방향으로 70 밀리미터에 위치한 경우와, 원점에 위치한 경우인 E, A점에서 X방향으로 거리가 190 밀리미터인 지점에서 상기 텐션마스크(31)의 변위되는 양은 각각 1, 1 마이크로미터이다.
결과적으로, 열보정수단(300)이 적용된 텐션마스크 조립체(30)는 이것이 없는 경우에 비교하여 지자계에 의하여 전자빔이 텐션마스크(31)에 미스랜딩되어 상기 텐션마스크(31)가 동서방향으로 변위되는 이동량은 동등하거나, 약간 열화된다. 반면에, 상기 텐션마스크(31)가 남북방향으로 변위되는 이동량은 표 2와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32 인치의 음극선관의 구동중에 작동 온도의 상승에 따른 전자빔의 미스랜딩이 발생할 경우 보정해야 할 이동량이 94 마이크로미터인데, 도 1에 도시된 열보정수단(14)이 설치된 종래의 텐션마스크 조립체(10)는 보정량이 40 마이크로미터로서 54 마이크로미터의 보정량이 부족하다. 반면에, 전술한 바 있는 식에 의하여 높이가 설정된 열보정수단(300)이 설치된 본원발명의 텐션마스크 조립체(30)는 보정되는 양이 86 마이크로미터로서 91%까지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보정수단(600)이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호 대향되게 한 쌍의 지지부재(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2)는 텐션마스크가 안착되는 고정부(32a)와, 상기 고정부(32a)로부터 대향되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32b)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32)의 하단부에는 한 쌍의 강성부재(33)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강성부재(33)는 상기 지지부재(32)의 양 단부에 텐션마스크에 인장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2) 상에는 열보정수단(600)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열보정수단(600)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에 용접고정되는 고정부(610)와, 상기 고정부(610)로부터 관축방향으로 절곡되는 차폐부(6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610)는 텐션마스크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배치된 금속바 형상으로서, 그 아랫면이 상기 플랜지부(32b)의 윗면에 위치되어 용접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610)로부터는 상기 차폐부(620)가 설치되는데, 상기 차폐부(620)는 텐션마스크가 위치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고정부(610)의 외측 장변부로부터 텐션마스크의 아랫면을 향하여 제1 차폐부(620)가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610)의 외측 장변부로부터 텐션마스크가 설치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2 차폐부(630)가 절곡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차폐부(620)와 제2 차폐부(630)는 관축방향으로 설치된 하나의 평판이다. 또한, 제1 및 제2 차폐부(620)(630)는 고정부(610)와도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열보정수단(600)은 그 단면을 절개하면 대략 “T”자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열보정수단(600)을 가지는 텐션마스크 조립체의 작용은 제1 실시예에 전술한 바 있기에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텐션마스크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텐션마스크의 단변부와 프레임사이에 발생되는 개구부를 차단하게 됨으로써, 지자계의 영향으로 인한 텐션마스크의 변위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프레임보다 열팽창계수가 낮은 텐션마스크 조립체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열보정수단의 진동으로 인한 전자빔의 미스랜딩되는 현상을 최대한 줄일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강성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지지부재상에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설치되고, 전자빔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슬롯이 형성된 텐션마스크; 및
    상기 프레임상에 텐션마스크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텐션마스크의 단변부측과 프레임 사이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열보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마스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보정수단은 하기 식에 의하여 정의되는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마스크 조립체.
    [식]
    0.5 × Lh ≤ Ls ≥ Lh
    여기서, Ls는 상기 열보정수단의 관축방향으로의 높이이고, Lh는 상기 텐션마스크로부터 상기 열보정수단이 프레임에 용접된 부분까지의 높이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보정수단은 상기 프레임보다 열팽창계수가 낮은 금속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마스크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보정수단은 한 쌍의 지지부재에 용접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관축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폐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마스크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고정부의 외측부로부터 상기 텐션마스크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마스크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고정부의 외측부로부터 상기 텐션마스크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차폐부와, 상기 텐션마스크가 설치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2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마스크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는 상기 제2 차폐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마스크 조립체.
KR1020020031062A 2002-06-03 2002-06-03 텐션마스크 조립체 KR20030093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062A KR20030093486A (ko) 2002-06-03 2002-06-03 텐션마스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062A KR20030093486A (ko) 2002-06-03 2002-06-03 텐션마스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486A true KR20030093486A (ko) 2003-12-11

Family

ID=3238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062A KR20030093486A (ko) 2002-06-03 2002-06-03 텐션마스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34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63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US4739216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shadow mask mounted under compressive stress in a support frame
KR20030093486A (ko) 텐션마스크 조립체
US6573645B1 (en) Detensioning mask frame assembly for a cathode-ray tube (CRT)
US6600258B2 (en) Tension mask for a cathode-ray-tube
EP1428239B1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low expansion tension mask attached to a higher expansion frame
US6580205B2 (en) Frame assembly of shadow mask in flat braun tube
KR10074105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40021584A (ko) 저 열팽창 계수의 마스크가 고 열팽창 계수의 프레임에부착된 컬러 브라운관
KR20000051452A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US6166482A (en) Shadow mask structure with specific skirt portion
KR100418036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KR20040043791A (ko)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US6885141B2 (en) Shadow mask having slotted skirt portion
KR20000066352A (ko)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KR100447655B1 (ko) 칼라음극선관용 인너쉴드
KR100728202B1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KR100322066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00398B1 (ko) 칼라음극선관용섀도우마스크프레임조립체
KR20030093487A (ko) 텐션마스크 조립체
KR20030045258A (ko) 텐션마스크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음극선관
KR20020094161A (ko) 색선별 장치를 구비하는 음극선관
KR20030013547A (ko) 개선된 스프링을 가지는 평면 브라운관
KR20030067067A (ko) 칼라 음극선관용 마스크 어셈블리의 구조
KR19980043256A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