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504B1 - 레버장치 - Google Patents

레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504B1
KR950002504B1 KR1019890000231A KR890000231A KR950002504B1 KR 950002504 B1 KR950002504 B1 KR 950002504B1 KR 1019890000231 A KR1019890000231 A KR 1019890000231A KR 890000231 A KR890000231 A KR 890000231A KR 950002504 B1 KR950002504 B1 KR 950002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oot
opening
lever device
enlarged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743A (ko
Inventor
히로유끼 가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오까이 리까 뎅끼 세이사꾸쇼
무라세 하루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오까이 리까 뎅끼 세이사꾸쇼, 무라세 하루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오까이 리까 뎅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1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5/00Other details or appurtenances of control mechanisms, e.g. supporting intermediate members elastically
    • G05G25/04Sealing against entry of dust, weather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3/00Diaphragms; Bellows; Bellows pistons
    • F16J3/04Bellows
    • F16J3/041Non-metallic bellows
    • F16J3/042Fastening detai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버장치
도면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와이퍼 스위치용 레버측의 부분 단면도.
제2도는 턴 시그널스위치(turn signal switch)용 레버측의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전체의 정면도.
제4도는 부트 장착부재의 정면도.
제5도는 부트의 사시도.
제6도는 부트 프레임의 사시도.
제7도는 요부의 단면도.
제8도는 요부의 부분 사시도.
제9도는 부트 프레임의 타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디(boby) 2 : 통형 상부
3 : 우측 부트 장착부재 4 : 레버 삽입구
5 : 좌측 부트 장착부재 6: 레버 삽입구
7 : 와이퍼 스위치용 레버 10 : 턴 시그널 스위치용 레버
13, 14 : 부트 15, 16 : 부트 프레임
13c : 공부 또는 구멍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의 바디의 레버 삽입구를 통해서 요동 가능 상태로 바디에 설치되어 소정의 요동위치로 유지되는 레버를 갖춘 레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이러한 종류의 레버 장치의 한 예로서 자동차의 레버콤비 네이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스티어링 파이프의 상단부에 장착된 바디에 그의 레버 삽입구를 통해서 가령 턴 시그널 스위치용의 레버를 요동 가능상태로 설치함과 동시에, 이 레버를 소정의 요동위치인 「우」, 「중립」, 「좌」, 위치에 각각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것의 경우, 레버의 요동에 대응해서 레버 삽입구를 장공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이 레버삽입구로부터 바디 내부가 들여다 보이므로 외관상 좋지 못하였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로 만든 플렉시블 상태의 부트가, 레버와 레버 삽입구(개구)의 사이를 막도록 바디에 장착 고정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의 종래 구성에서는, 레버와 레버 삽입 개구와의 사이를 막는 부트가 바디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레버의 회동 각도가 상당히 크다는 등의 이유로, 레버가 요동하였을때 그 요동에 의해서 상기 부트가 크게 변형하고, 부트 자신의 신축성에 의해서 그 변형을 흡수할 수가 없게 되어, 부트에 이른바, 좌굴 등이 생겨서 외관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를 요동시켰을때, 레버와 레버 삽입구(개구)와의 사이를 막는 부트에 좌굴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관을 좋게 향상시킬 수 있는 레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레버 장치는, 바디에 그 레버 삽입구(개구)를 통해서 요동 가능상태로 설치되고 소정 요동위치로 유지되는 레버를 갖춤과 동시에, 이 레버와 상기 레버 삽입구의 사이를 막는 신축재로 만든 부트를 갖추고, 또한, 이 부트를 상기 바디에 상기 레버의 요동방향을 따라 요동할 수 있도록 피보팅 설치하여, 그 레버의 요동에 따라서 상기 부트를 요동시키도록 구성한 특징으로 가진다.
[작용]
레버 및 레버 삽입구의 사이를 막는 신축재로 만든 부트를 바디에 상기 레버의 요동 방향을 따라 요동할 수 있도록 추설하였으므로, 레버의 요동 각도가 클지라도, 그 레버의 요동에 따라 상기 부트가 요동하게 되므로, 레버의 요동에 따르는 부트의 변형량이 종래에 비하여 작아진다. 따라서, 부트에 좌굴 등이 생기는 일도 없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예로서 자동차의 레버 콤비네이션 스위치 장치에 적용한 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 3 도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파이프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바디(1)에는 그 중앙부에 형성된 통형상부(2)에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샤프트가 삽통되어 있다. 바디(1)의 도면중 우단부에 장착된 우측 부트 장착부재(3)에는 제 4 도 표시와 같이 대략 장방형 모양을 이루는 레버 삽입구(개구)(4)가 형성되어 있다. 바디(1)의 도면중 좌단부에 장착된 좌측 부트 장착부재(5)에도 대략 장방형 모양을 이루는 레버삽입구(6)가 형성되어 있다(제2도 참조).
레버인 와이퍼 스위칭용 레버(7)는, 제 1 도 표시와 같이, 금속제의 샤프트(7a)와 이 샤프트(7a)의 운전원 조작측의 외주에 고착된 수지제의 조작부(7b) 등을 갖추고 있으며, 바디(1)에 상기 우측의 레버 삽입구(4)를 통한 상태로 요동중심 A를 지점으로 하여 그 둘레에 요동 가능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소정의 요동위치인 예컨대 「OFF」,「INT」,「LO」,「HI」위치의 4개 요동 위치에 각각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와이퍼 스위치용 레버(7)의 조작부(7b)에는, 왓샤 스위치 조작자(8) 및 「INT」시간 설정 조작자(9)등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레버인 턴 시그널 스위치용 레버(10)는 제 2 도 표시와 같이, 금속제의 샤프트(10a)와 그 운전원 조작측의 외주에 고착된 수지제의 조작부(10b)등을 갖추고 있으며, 바디(1)에 상기 좌측의 레버 삽입구(6)를 통한 상태로 요동 중심 B를 지점으로 하여, 그 둘레에 요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소정의 요동 위치인 「R(우)」,「N(중립)」,「L(좌)」위치의 3개의 요동 위치에 각각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턴 시그널 스위치용 레버(10)의 조작부(10b)에는, 라이트 스위치 조작자(11)및 포그라이트 스위치 조작자(12)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와이퍼 스위치용 레버(7) 및 턴 시그널 스위치용 레버(10)와 상기 레버 삽입구(4 및 6)와의 각 사이를 막는 부트(13 및 14)는, 제 5 도에도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신축재인 고무 등을 플렉시블 상태로 형성하였으며, 단면으로 대략 테이퍼형을 이루는 플렉시블통 부분(13a, 14a)및 각통부(13b, 14b)를 일체로 성형해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 각통부(13b 및 14b)에는, 그 내주벽부에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된 홈 부분에 예컨대 강판제의 대략 장방형틀 모양을 이루는 부트 프레임(15 및 16(제 6도 참조))이 각각 끼워 맞춰져 고정되어 있다. 이들 부트 프레임(15 및 16)은, 이들의 외연부가 레버 삽입구(4 및 6)와 대략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그 크기는 약간 작다. 또, 부트 프레임(15 및 16)에는 샤프트(7a 및 10a)와 레버(7 및 10)내의 전기 배선이 관통하는 장방향 개구(15d 및 16d)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장방형 개구(15d 및 16d)의 레버(7 및 10)의 요동면에 평행인 대항변의 연부는 외측으로 굴곡된 굴곡면(15e 및 16e)으로 되어서 상기 배선을 상하게 하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여기에서, 부트(13,14)를 바디(1)의 부트 장착부재(3,5)에 장착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좌우 대칭의 대략 동일 구성이므로 부트(13)측에 대해서만 제 4 도 내지 제 8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 4 도 표시와 같이, 부트 장착부재(3)의 레버 삽입구(4)에는, 그의 도면중 좌우 양변부의 중앙부보다도 약간 상방부위에 축지 중심인 축부(3a, 3a)가 각각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 부트(13)의 각통부(13b)에는, 그 양측벽부에 제 5 도 표시와 같이 상기 축부(3a, 3a)에 대응해서 장공형상의 공부(13c, 13c)(한쪽만 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트 프레임(15)에는, 제 6 도 표시와 같이, 그 좌우 양변부 중 상기 공부(13c, 13c)에 대응하는 부위에 축지지 돌편부(15a, 15a)및 축수 단면부(15b, 15b)가 각각 예컨대 프레스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축지지 돌편부 (15a, 15a)를 부트(13)의 공부(13c, 13c)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제 7 도 및 제 8 도 표시와 같이, 부트 장착부재(3)의 축부(3a, 3a)를 상기 축지지 돌편부(15a, 15a)와 공부(13c, 13c)와의 사이에 삽통시킴과 동시에, 축부(3a, 3a)의 각 선단부를 부트 프레임(15)의 축수 단면부(15b, 15b)에 의해서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축지지 돌편부(15a)의 축부(3a)와의 접접면(15c)은 축부(3a)의 주면에 연하는 곡면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여 부트 프레임(15)의 회동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부트(13)의 플렉시블 통부(13a)의 선단 개구부는 제1도와 같이 와이퍼 스위치용레버(7)의 샤프트(7a)가 삽통된 상태에서 샤프트(7a)에 조작부(7b)에 인접해서 고착된 수지제 링(7c)에 끼워 맞춰져서 고정되고 있다. 이에 의해서, 부트(13)는, 부트 장착부재(3) 즉 바디(1)에 대해서 축부(3a)를 지점으로 하여 그 둘레에 요동 가능 상태로 피보팅 설치되고 있으며, 이로써 와이퍼 스위치용 레버(7)의 요동방향을 따라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중의 5a는 좌측 부트 장착부재(5)에 설치된 축부이며 축부(3a)와 같은 구성, 작용을 가지며, 10c는 수지제 링으로서 수지제 링(7c)과 같은 구성, 작용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와이퍼 스위치용 레버(7)측을 표시하는 제 1 도에 있어서, 와이퍼 스위치용 레버(7)를 「OFF」위치로부터 「HI」위치까지 요동시키는 경우, 그 요동각도가 크다고 하는 경우에도, 와이퍼 스위치용 레버(7)의 요동에 따라서, 부트(13)가 축부(3a)를 지점으로 해서 요동하므로, 그 레버(7)의 「HI」위치에서 부트(13)가 도면중 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은 요동 상태로 되기 때문에, 부트(13)의 변형량이 종래에 비하여 작아지고, 따라서 부트(13)에 좌굴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외관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턴 시그널 스위치용 레버(10)측을 표시하는 제 2 도에 있어서, 턴 시그널 스위치용 레버(10)를 「N」위치로부터 「R」위치로, 혹은 「N」위치로부터 「L」위치로 요동시키는 경우, 그 레버(10)의 요동 중심 B가 부트(14)의 위치로부터 상당히 먼곳에 있기 때문에, 상기 레버(10)의 요동에 따라 부트(14)가 평행적으로 요동하는 경우에서도, 턴 시그널 스위치용 레버(10)의 회동에 따라서, 부트(14)가 부트 장착부제(5)의 축부(5a)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므로, 그 레버(10)의 「R」위치 혹은 「L」위치에서 부트(14)가 도면중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요동상태로 되기 때문에, 부트(14)의 변형량이 종래에 비하여 작아지며, 따라서 부트(14)에 좌굴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관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동차의 레버 콤비네이션 스위치 장치에 적용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자동차 등의 쉬프트 레버 장치,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혹은 시트리클 라이닝 레버 장치 등에 적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부트(13 및 14)의 축지 중심(3a 및 5a)은 레버(7및 10)의 축심을 통하는 선으로부터 편위한 위치에 설정되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 축지 중심(3a 및 5a)이 레버(7및 10)의 축심을 통하는 선상에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트 프레임(15)은 금속제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수지제의 것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그러한 경우 축지지 돌편부(15a) 및 축수 단면부(15b) 대신에 제 9 도 표시와 같이 축부(3a) 가 회동가능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원통상 축지부(115a)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부트 프레임(15)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굴곡부(15e)는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Claims (19)

  1. 바디에 설치된 개구를 통해서 바디 내외로 뻗어 나옴과 동시에 바디 내부에 요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레버 ; 상기 레버에 의해서 관통됨과 동시에 상기 개구를 막는 신축 자재의 폐색 부재 ; 및 상기 폐색부재를 상기 레버의 요동에 따라서 요동 가능하게 하는 축지 수단으로 구성되는 레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해서 바디 내외에 걸쳐 뻗어 나오는 통형상체로서 구성되며, 이 통형상체의 외측 단부는 상기 레버의 외주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개구의 근방 부분은 상기 외측 단부쪽으로 확경된 확경부로서 상기 개구를 막고 있는 레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외측단부와 상기 확경부와의 사이에 플랙시블 부분이 설치되고 그에 의해서 상기와 같이 신축자재로 되어 있는 레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외측단부로부터 상기 확경부에 걸쳐서 서서히 확경된 테이퍼상으로 되어 있는 레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의 내측에는 환상의 프레임이 장착되고, 그에 의하여 확경부의 형상이 유지되고 있는 레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연부 형상은 상기 개구의 형상과 대략 동형이며 상기 개구보다도 작은 사이즈로 되고 있는 레버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 수단은 상기 바디의 상기 개구를 확정하는 연부로부터 상기 레버의 요동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 방향으로 뻗어나오는 한 쌍의 돌기와,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상기 확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레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원주 형상이 되고, 상기 축지 수단은 다시 상기 프레임의 외주 연부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구멍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요동시에 상기 돌기의 주면에 미끄러져 접하는 접접면을 갖춘 돌편을 가지는 레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접면은 상기 돌기의 주면에 연하는 곡면으로 되고 있는 레버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 수단은 상기 바디의 상기 개구를 획정하는 연부로부터 상기 레버의 요동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뻗어나오는 한쌍의 돌기와, 상기 프레임의 외주 연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통부분을 포함하는 레버 장치.
  11. 바디의 개구부를 통해서 바디 내외로 뻗어 나옴과 동시에 바디 내부에 요등 가능 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소정의 요동위치에 지지되는 레버; 상기 레버로 관통되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바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뻗어 나오는 신축성을 가지는 통형상으로서, 그 외측 단부가 레버의 외주에 걸리고, 상기 개구부 근방 부분은 상기 외측단부 보다도 확경된 확경부가 되어 상기 개구부를 막고 있는 부트 ; 및 상기 부트를 상기 레버의 요동에 따라서 요동 가능하게 하는 축지 수단으로 구성되는 레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는 상기 외측 단부와 상기 확경부와의 사이에 상기 부트의 신축을 허용하는 플렉시블 부분을 가지는 레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는 상기 외측단부로 부터 상기 확경부에 걸쳐 서서히 확경된 대략 테이퍼상으로 되어 있는 레버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의 내측에는 환상의 부트 프레임이 장착되어 있고, 그에 의해서 확경부의 형상이 유지되고 있는 레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 프레임의 외연부 형상은 상기 개구부의 개구형상과 대략 동형이며 개구보다도 작은 사이즈로 되어 있는 레버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 수단은 상기 바디의 상기 개구부의 연부로부터 상기 레버의 요동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뻗어나오는 한쌍의 원주형상의 축부와, 이 축부가 상대회전 가능상태로 수용되는 상기부트의 확경부에 형성된 한쌍의 구멍을 포함하는 레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 수단은 다시, 상기 부트 프레임의 외주연부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구멍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요동시에 상기 축부 주면에 미끄러져 접하는 접점면을 갖춘 돌편을 가지는 레버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접면은 상기 축부의 주면에 연하는 곡면으로 되어 있는 레버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 수단은 상기 개구부의 연부로 부터 상기 레버의 요동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뻗어나오는 한쌍의 원주형상의 축부와, 상기 부트 프레임의 외주연부에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부트를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축부가 회전 가능 상태로 수용되는 통부를 포함하는 레버 장치.
KR1019890000231A 1988-01-12 1989-01-11 레버장치 KR950002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298 1988-01-12
JP1988002298U JPH0524985Y2 (ko) 1988-01-12 1988-01-12
JP?63-2298 1988-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743A KR890011743A (ko) 1989-08-22
KR950002504B1 true KR950002504B1 (ko) 1995-03-21

Family

ID=11525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231A KR950002504B1 (ko) 1988-01-12 1989-01-11 레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16485A (ko)
JP (1) JPH0524985Y2 (ko)
KR (1) KR9500025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1240B1 (fr) * 1993-02-09 1995-03-10 Renault Levier de frein à main perfectionné.
JPH08202466A (ja) * 1995-01-31 1996-08-09 Kinugawa Rubber Ind Co Ltd シフトレバーの遮音構造
JP3565388B2 (ja) * 1996-11-26 2004-09-15 ナイルス株式会社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US20020113375A1 (en) * 2001-02-20 2002-08-22 Gennady Ruderman Pressure differential sealing device
JP3719177B2 (ja) * 2001-09-12 2005-11-2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樹脂製ジョイントブーツ
US20040134295A1 (en) * 2003-01-13 2004-07-15 Delphi Technologies Inc. Engine compartment breather boot
CN101934785B (zh) * 2009-06-26 2015-05-13 福特有限公司 一种用于孔隙的罩盖
DE102016206723A1 (de) * 2016-04-20 2017-10-26 Thyssenkrupp Ag Dichtungsvorrichtung
TR201715069A2 (tr) * 2017-10-05 2019-04-22 Serdar Plasti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Sizdirmaz si̇lecek kolu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7245A (en) * 1965-05-19 1969-12-30 William Grant Pontis Nutating shaft fluid flow meter with shaft transducers
US4229010A (en) * 1978-12-20 1980-10-21 Bellofram Corporation Self-aligning shaft seal
JPS5631459U (ko) * 1979-08-16 1981-03-27
IT1145601B (it) * 1981-12-21 1986-11-05 Lear Snc Di Foggini E C Leva di comando particolarmente per carri di velocita di autoveicoli e sua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JPS58129227U (ja) * 1982-02-26 1983-09-0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フトレバ−ブ−ツ
FR2597179B1 (fr) * 1986-04-11 1988-07-29 Peugeot Gaine d'etancheite a soufflet pour joint articule
DE3642680A1 (de) * 1986-12-13 1988-06-23 Deere & Co Vorrichtung zum verschliessen eines spal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4985Y2 (ko) 1993-06-24
JPH01106923U (ko) 1989-07-19
KR890011743A (ko) 1989-08-22
US5016485A (en) 199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504B1 (ko) 레버장치
US7227093B2 (en) Automotive windshield wiper switch
US4942273A (en) Multiple circuit switch with rockable activator and linearly movable contact holder
KR890014297A (ko) 자동차 변속기의 변속레버 축받이장치
US6495776B1 (en) Stalk lever fixed with holder member for operating turn signal switch or knob switch and the like
JPH01226458A (ja) ワイパ機構用のコネクタ
JPS5936503Y2 (ja) 自動車用ギヤシフトプ−ツ
JP3045925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30008967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틸트장치
KR200141894Y1 (ko) 스티어링컬럼 스위치용 스위치커버
JP2592868Y2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CA2817338A1 (en) Lever device
JPH0142903Y2 (ko)
JP2604582Y2 (ja) 車輌用方向指示器
KR100521188B1 (ko) 차량의 스티어링휠
JPS6327212Y2 (ko)
KR0132503Y1 (ko) 차량의 턴시그널스위치레버용 클럭스프링의 캔슬캠구조
KR960003197Y1 (ko) 전후진 스위치 레버의 장착구조
KR19990015738U (ko) 스톱퍼를 갖는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암
KR970066186A (ko) 자동변속기의 제어케이블 연결구조
KR0126491Y1 (ko) 스톡레버의 취부구조
JPS6224908Y2 (ko)
KR100392011B1 (ko) 자동차의 릴리즈 레버 조립체
FR2720336B3 (fr) Assemblages de roue de véhicule avec une rondelle tampon à l'intérieur du pneu.
JPH023619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