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342B1 - 코우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코우크스 장입장치 - Google Patents

코우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코우크스 장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342B1
KR950002342B1 KR1019920000206A KR920000206A KR950002342B1 KR 950002342 B1 KR950002342 B1 KR 950002342B1 KR 1019920000206 A KR1019920000206 A KR 1019920000206A KR 920000206 A KR920000206 A KR 920000206A KR 950002342 B1 KR950002342 B1 KR 950002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movable
cooling shaft
gate
c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916A (ko
Inventor
슈테벤 빌헬름
옵덴빙켈 하인쯔
둥커 노르버어트
나오또 야스꼬오찌
Original Assignee
신닛뽄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나까가와 하지메
루르코올레 악티엔게젤샤프트
베른트 크리이거, 디이터 존넨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나까가와 하지메, 루르코올레 악티엔게젤샤프트, 베른트 크리이거, 디이터 존넨샤인 filed Critical 신닛뽄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4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9/00Cooling or quenching coke
    • C10B39/02Dry cooling outside the ove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1/00Charging devices
    • C10B31/02Charging devices for charging ver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33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charging of particulat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ke Industry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우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코우크스 장입장치
제 1 도는 분배콘을 구비하는 이동식호퍼의 구동장치를 측방배치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코우크스 장입장치의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코우크스 장입장치의 정면도이고, 이동식호퍼 및 분배콘을 하강시의 장입위치에서 도시한 도면.
제 3 도는 제 1 도의 코우크스 장입장치의 정면도이고, 이동식호퍼 및 분배콘을 상상시켜 매니퓨레이터를 구비한 냉각샤프트 게이트를 폐쇄위치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 4 도는 제 3 도의 대응도이고, 냉각샤프트게이트를 휴지위치에 두고 도시한 도면.
제 5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동식호퍼의 환형상 시일요소부분의 확대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동식호퍼 및 분배콘의 승강구동장치 부분의 확대도.
제 7 도는 이동식호포 및 분배콘의 구동장치 및 제 1 환형상 시일요소의 다른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코우크스 장입장치의 측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코우크스 장입장치의 정면도이고, 이동식 호퍼 및 분배콘의 하강시의 장입위치에 두고 도시한 도면.
제 9 도는 제 7 도의 코우크스 장입장치의 정면도이고, 이동식호퍼 및 분배콘을 상승시켜 매니퓨레이터를 구비한 냉각샤프트 게이트를 폐쇄위치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제 9 도의 대응도이고, 냉각샤프트게이트를 휴지위치에 두고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제 7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동식호퍼의 환형상 시일요소부분의 확대도.
제12도는 고정호퍼의 다른 구성을 가진 제 7 도~제10도의 실시예의 부분 수정예에 의한 코우크스장입장치의 측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코우크스 장입장치의 정면도이고, 이동식호퍼 및 분배콘을 하강시의 장입위치에 두고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제12도의 코우크스 장입장치의 정면도이고, 이동식호퍼분배콘을 상승시켜 매니퓨레이터를 구비한 냉각샤프트 게이트를 폐쇄위치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제14도의 대응도이고, 냉각샤프트게이트를 휴지위치에 두고 도시한 도면.
제16도는 고정호퍼 및 승강부분과 가로 이동부분으로 분할가능한 이동식호퍼의 다른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코우크스 장입장치의 측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코우크스 장입장치의 정면도이고, 이동식호퍼 및 분배콘을 장입위치에 두고 도시한 도면.
제18도는 제16도의 코우크스 장입장치의 시일부분의 확대도.
제19도는 고정호퍼의 호퍼게이트의 도면이고, 개방위치에 두고 도시한 도면.
제20도는 고정호퍼의 호퍼게이트의 도면이고, 폐쇄위치에 두고 도시한 도면.
제21도는 제19도의 호퍼게이트를 구동장치와 함께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호퍼 202 : 제 2 이동식 호퍼
5 : 분배콘 8, 800 : 냉각샤프트게이트
9 : 집진덕트 10 : 수밀봉컵
11, 111 : 제 1 환형상 시일요소 14 : 매니퓨레이터
16 : 분배콘 및 승강식 환형상 시일요소의 구동장치
18 : 이동식 호퍼 19 : 이동식호퍼의 구동장치
190 : 승강식분배콘의 구동장치 20 : 호퍼게이트
21 : 호퍼게이트의 구동장치 31 : 금속제 시일링
330 : 가압링 332 : 가압링의 구동장치
333 : 내통 41 : 냉각샤프트
51 : 샤프트정상부 55 : 제 2 환형상 시일요소
64, 65 : 폐쇄판 66 : 레버링장치
9 : 링크구동장치 71 : 피스톤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코우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냉각샤프트용의 코우크스 장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코우크스 장입장치는 집진덕트를 구비한 고정 호퍼와 승강가능한 이송식호퍼와, 구동기구 부착의 조작장치를 조립한 이동식의 냉각샤프트게이트를 구비한다.
[종래의 기술 및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 종류의 코우크스 장입장치의 일예는 독일특허공보 제2553386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코우크스 장입장치에 있어서는 냉각샤프트내에 적열 코우크스를 장입했을때, 냉각샤프트내에서의 코우크스의 입도편석(粒度偏析)이 발생함과 동시에 내부가스의 편류가 커지게되어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또 일반적인 코우크스 장입장치는 승강가능한 이동식호퍼를 냉각샤프트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냉각샤프트 게이트와 같이 공통의 대 위에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그때문에 장치의 설치예는 비교적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와같은 코우크스장입장치에는 특히 냉각샤프트게이트를 그 폐쇄위치로부터 이동시키고 있는 사이 및 이동식 호퍼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사이에 고정호퍼내부의 진회를 함유한 가스가 대기중으로 누출되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냉각샤프트게이트가 폐쇄위치로 되돌아갈때까지의 사이에 이 누출을 방지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식호퍼의 폐쇄순서를 간략화하고 냉각샤프트내의 코우크스 입도분포 및 코우크스 충전층을 통과하는 가스의 유동분포를 개선하여 분진의 방출을 상당량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단순구조의 코우크스 장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집진덕트를 구비한 고정호퍼와, 승강 가능한 이동식호퍼와 구동기구부착의 조작장치를 조립한 이동식의 냉각샤프트게이트를 구비한 코우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냉각샤프트용의 코우크스 장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호퍼 및 상기 이동식호퍼의 어느것인가 한쪽에 지지되고 코우크스를 냉각샤프트내에 적당히 분배하는 승강가능한 분배콘과 상기 이동식호퍼에 구비되는 제 1 환형상 시일요소와, 상기 냉각샤프트게이트에 배열설치되는 제 2 환형상 시일요소와, 상기 이동식 호퍼의 상기 제 1 환형상 시일요소 및 상기 냉각샤프트게이트의 상기 제 2 환형상 시일요소의 어느것인가 한쪽과 협동하도록 상기 냉각샤프트의 샤프트정상부에 설치된 대응하는 시일수단과, 상기 분배콘 및 상기 이동식 호퍼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크스 장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상기 분배콘은 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고정호퍼 및 상기 이동식호퍼의 어느것인가 한쪽에 지지된 교차보에 연결된다. 또 상기 분배콘 및 상기 이동식 호퍼의 구동장치를 실린더 구동장치로부터 구성할 수가 있다. 또는 상기 이동식 호퍼의 구동장치를 상기 분배콘을 지지하는 비임을 구비한 더블 실린더장치로부터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고정호퍼가 그 자체를 폐쇄가능한 호퍼게이트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호퍼게이트는 각각에 구동장치 및 레버 링크장치를 구비한 2개의 폐쇄판으로 구성될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의하면, 상기 이동식호퍼는 상기 고정호퍼의 하부에 고정되는 관형상의 내통과 이 내통주위를 둘러싸며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관형상의 가압링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승강가능한 제 1 이동식호퍼와, 상기 가압링의 아래쪽으로 가로방향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금속제의 시일링을 구비하는 제 2이동식호퍼로부터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링의 아래쪽에는 상기 냉각샤프트게이트와 상기 제 2 이동식 호퍼를 교대로 배치할 수 있고, 상기 가압링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환형상 시일요소, 상기 냉각샤프트게이트에 배열 설치되는 상기 제 2 환형상 시일요소 및 상기 샤프트 정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시일수단은 어느것도 금속제 시일링으로부터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샤프트게이트 및 상기 제 2 의 이동식 호퍼의 상기 금속제시일링은 상기 가압링과 상기 샤프트 정상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가압링 및 상기 샤프트 정상부에 각각 설치된 상기 금속제 시일링에 교대로 밀착가능한 코우크스 장입장치에 제공된다.
[작용]
고정호퍼 및 이동식호퍼의 어느것인가 한쪽에 지지된 분배콘은 적열된 코우크스를 냉각샤프트로 장입할때에 코우크스를 적당히 분배하고, 냉각샤프트내의 코우크스의 입도편석을 방지한다. 이동식호퍼 또는 냉각샤프트게이트와 냉각샤프트와의 사이의 간극은 이동식 호퍼의 제 1 환형상 시일요소 또는 냉각샤프트게이트의 제 2 환형상 시일요소와, 냉각샤프트의 샤프트 정상부에 설치된 대응하는 시일수단과의 협동작용에 의해 봉쇄된다. 따라서 주위 대기중으로의 진회의 방출이 방지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제 4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코우크스 장입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코우크스 장입장치는 지지가설대(7)에 의해 지지된 고정호퍼(1)를 구비한다. 고정호퍼(1)의 아래쪽에는 고정호퍼(1)의 코우크스 방출개방부(1a)를 포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환형상 시일요소(11)가 배치된다. 제 1 환형상 시일요소(11)는 동시에, 승강가능한 이동식호퍼(18)로서 설계되어 있고, 구동장치(16)의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호퍼(1)의 코우크스 방출개방부(1a)와 후술하는 냉각샤프트(41)의 샤프트개방부(41a)와의 간극을 개방 및 봉쇄한다. 구동장치(16)는 제 1 의 환형상 시일요소(11) 즉 이동식호퍼(18)를 상기와 같이 이동시킴과 동시에 고정호퍼(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분배콘(5)을 승강시킨다. 분배콘(5)은 적열된 코우크스를 냉각샤프트(41)내로 적당히 분배하여 코우크스의 입도편석을 방지하는 것이고,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부재(40)를 통하여 교차보(39)에 연결되고 교차보(39)가 고정호퍼(1)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가설대(7)는 구동장치(16)와 함께 플랫포옴(42)에 의해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플랫포옴(42)은 적열된 코우크스가 장입되는 냉각샤프트(41)의 윗쪽에서 샤프트개방부(41a)와 거의 같은 높이에 배치된다. 냉각샤프트(41)의 샤프트개방부(41a)는 상하 및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냉각샤프트게이트(8)에 의해 개폐된다. 냉각샤프트게이트(8)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링크구동장치(69)의 구동에 의해 궤도(72)위를 로울러 또는 차륜(68)을 통하여 휴지위치(제 4 도)로부터 냉각샤프트(41)위의 폐쇄위치(제 3 도)로 이동가능하다. 냉각샤프트게이트(8)의 샤프트개방부(41a)로의 장착, 샤프트개방부(41a)로부터의 들어올리기 및 궤도(72)위에서의 가동이동은 플랫포옴(42)위로 배치된 매니퓨레이터(14)에 의해 링크구동장치(69)를 통하여 행하여진다.
냉각샤프트(41)의 샤프트 정상부(51)에는 수밀봉컵(10)이 배열되어 구비되어 있다. 제 1 환형상 시일요소(11) 즉 이동식호퍼(18)는 하강시의 봉쇄위치에 있어서 수밀봉컵(10)내에 그 하단부를 돌출시킨다(제 2 도 참조). 또, 냉각샤프트게이트(8)는 수밀봉컵(10)과 협동하는 제 2 환형상 시일요소(55)를 구비한다.
제 2 의 환형상 시일요소(55)는 냉각샤프트게이트(8)가 샤프트 개방부(41a)를 폐쇄할때에 똑같이 수밀봉컵(10)내로 하단부를 돌출시킨다(제 3 도 참조).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호퍼(1)에는 집진덕트(9)가 배열되어 구비되고, 집진덕트(9)는 도시하고 않은 집진 송풍기에 접속된다. 집진덕트(9)는 분배콘(5) 및 제 1 환형상 시일요소(11) 즉 이동식호퍼(18)가 하강하여 냉각샤프트(41)로 적열된 코우크스가 장입되는 사이 및 분배콘(5) 및 제 1 환형상 시일요소(11)의 상승후에 냉각샤프트게이트(8)가 상기와 같이 휴지위치(제 4)도로부터 폐쇄위치(제 3 도)로 이동할때까지의 사이에 집진송풍기의 작동에 의해 진회를 흡입한다.
제 5 도는 물(13)을 채운 수밀봉컵(10)을 도시한다. 제 1 환형상 시일요소(11) 즉 이동식호퍼(18)는 봉쇄위치에 있어서 수밀봉컵(10)내의 물(13)내에 침지된다. 제 1 환형상 시일요소(11)와 고정호퍼(11)와는 제 1 환형 시일요소(11)으 상단부에서 매어단 자재 시일요소(12)에 의해 연결된다.
제 6 도는 분배콘(5)과 제 1 환형상 시일요소(11) 즉 이동식호퍼(18)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16)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구동장치(16)는 실린더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 7 도~제10도는 승강가능한 이동식호퍼(18)의 다른 구성을 포함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동식호퍼(18)는 지지가설대(7)에 고정식으로 지지된 고정호퍼(1)의 아래쪽위치에서 고정호퍼(1) 내부를 승강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된다. 이동식호퍼(18)의 하부에는 제 1 환형상 시일요소(111)가 일체적으로 구비된다. 분배콘(5)은 연결부재(40) 및 교차보(39)에 의해 이동식호퍼(18)에 강고하게 고정된다. 분배콘(5) 및 이동식호퍼(18)가 상승위치에 있을때(제 9 도), 냉각샤프트게이트 정상부(51)의 윗쪽에서 폐쇄위치(제 9 도)와 휴지위치(제10도)와의 사이를 상하 및 가로 이동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식호퍼(18)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19)는 제 8 도에 도시한 더블실린더 장치로서 구성된다. 구동장치(19)의 피스톤(71)은 이동식호퍼(18)에 고정된 비임(17)에 연결된다. 구동장치(19)는 지지벽(70)에 의해 지지된다.
제11도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밀봉컵(10)의 확대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이동식호퍼(18)에 연결된 제 1 환형상 시일요소(111)는 이동식 호퍼(18)의 하강시의 봉쇄위치에 있어서, 수밀봉컵(10)내의 물(13)에 침지된다.
제12도~제15도는 제 7 도~제10도의 실시예의 부분수정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고정호퍼(1)의 이동식호퍼(18)와 겹치는 부분에 구비된 집진덕트(9)의 설치위치가 제 7 도~제10도의 실시예와 다르고, 나머지 부분은 동일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집진덕트(9)를 제12도~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치하면 냉각샤프트(41)에 적열코우크스를 투입할때(제15도)에 이동식호퍼(18)가 하강하여 집진덕트(9)의 입구부가 개방되고, 가스의 충분한 흡입량이 얻어진다. 한편, 냉각 샤프트게이트(8)를 폐쇄할때(제14도)에는 이동식호퍼(18)가 상승하여 집진덕트(9)의 입구부가 폐쇄 또는 교축되기 때문에 집진풍량을 교축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제12도~제15도의 예에서는 이동식호퍼(18)는 집진덕트(9)에 대한 댐퍼기능도 가진다.
제16도~제18도는 승강 가능한 분배콘(5)을 구비한 코우크스 장입장치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분배콘(5)은 비임(17)에 직접 고정된다. 비임(17)은 고정호퍼(1)의 측면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개방부(67)를 관통하고, 또한 상하이동 가능하게 가이드개방부(67)에 지지된다. 가이드개방구(67)는 비임(17)에 연결된 폐쇄판(34)을 사용하여 폐쇄가능하다. 분배콘(5)은 비임(17)의 양단부에 연결된 구동장치(190)의 구동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호퍼(1)의 아래쪽부분에는 승강가능한 제 1 이동식호퍼(18)가 배열되어 구비된다. 이동식호퍼(18)의 최저상승거리는 약 20㎜이다. 또한 이코우크스 장입장치는 제 1 이동식호퍼(18)의 아래쪽에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2 이동식호퍼(202)를 구비한다. 제 2 이동식호퍼(202)는 똑같이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냉각샤프트게이트(800)와 교대로 제 1 이동식호퍼(18)의 아래쪽위치 즉 샤프트개구부(41a)의 윗쪽 위치로 배치된다. 제 2 이동식호퍼(202)및 냉각샤프트게이트(800)는 공통의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구동된다.
제16도는 폐쇄위치에 있는 냉각샤프트게이트(800)와, 휴지위치에 있는 제 2 이동식호퍼(202)를 도시한다. 제 2 이동식호퍼(202) 및 냉각샤프트게이트(800)는 어느것도 그들의 양단부에 금속제의 시일링(31)을 구비한다. 각 시일링(31)은 냉각샤프트(41)의 샤프트정상부(5) 및 제 1 이동식호퍼(18)의 하단부에 배치된 대응하는 금속제 시일링(31)에 접촉가능하다. 각 시일링(31)의 시일면은 금속피복을 가져도 좋고, 또는 유연시일면이라도 좋다. 시일링(31)의 청소를 목적으로 압축공기가 방출가능한 환형상 노즐(32)이 각 시일링(31)의 주위에 배열설치된다. 제 2 이동식호퍼(202) 및 냉각샤프트게이트(800)는 각각 휴지위치에 있어서, 커버판(35)에 의해 피복된다. 제 2 이동식 호퍼(202) 또는 냉각샤프트게이트(800)와 냉각샤프트(41)의 샤프트정상부(51) 및 제 1 이동식호퍼(18)의 하단부와의 각각의 간극은 금속제시일링(31)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제 2 의 이동식호퍼(202)와 냉각샤프트게이트(800)를 교환할때에도 금속제 시일링(31)끼리가 미끄럼 운동함으로써 상기의 간극으로부터 진회가 주위 대기중으로 누출하는 것은 거의 완전하게 방지된다.
제18도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승강가능한 제 1 이동식호퍼(18)는 가압링(330)과 내통(330)으로 부터 이루어진다. 가압링(330)은 그 하단부에 금속제 시일링(31)을 또한 그 상단부에 외팔보(331)를 구비하고 외팔보(331)가 구동장치(332)에 연결된다. 구동장치(332)는 이 실시예에서는 피스톤 구동장치로부터 이루어지고 그 피스톤(335)에 의해 가압링(330)의 금속제시일링(31)이 냉각샤프트게이트(800) 또는 제 2 이동식호퍼(202)의 금속제시일링(31)에 압착되어서 쌍방의 시일면이 밀착한다. 내통(333)은 가압링(330)내에 인서어트식으로 수용되고 보정기(334)를 구비한다.
제19도~제2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관한 코우크스 장입장치는 고정호퍼(1)의 코우크스 장입개구부(16)에 호퍼게이트(20)를 배열설치할수가 있다. 호퍼게이트(20)는 2매의 폐쇄판(64 및 65)으로부터 이루어지고, 제19도에 그 개방상태를 제20도에 그 폐쇄상태를 도시한다. 제2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폐쇄판(64,65)은 각각 레버링크장치(66)에 연결되고(도면에는 폐쇄판(64)만을 도시), 레버링크장치(66)는 구동장치(21)에 의해 구동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고정호퍼 및 이동식호퍼의 어느것인가 한쪽에 지지된 분배콘에 의해 적열된 코우크스를 냉각샤프트내로 적당히 분배하고, 코우크스의 입도편석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코우크스 충전층을 통과하는 가스의 유동분포가 개선된다. 또 이동식호퍼 또는 냉각샤프트게이트와 냉각샤프트와의 사이의 간극을 이동식호퍼의 제 1 환형상시일요소 또는 냉각샤프트게이트의 제 2 환형시일요소와 냉각샤프트의 샤프트 정상부에 설치된 대응하는 시일수단과의 협동작용에 의해 봉쇄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에 의해 주위 대기중으로의 진회의 방출이 방지되게 된다.

Claims (6)

  1. 집전덕트를 구비한 고정호퍼와 승강가능한 이동식호퍼와 구동기구부착의 조작장치를 조립한 이동식의 냉각샤프트게이트를 구비한 코우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냉각샤프트용의 코우크스장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호퍼(1) 및 상기 이동식호퍼(18)의 어느것인가 한쪽에 지지되고 냉각샤프트내의 코우크스 입도분포를 균일화하는 승강가능한 분배콘(5)과, 상기 이동식호퍼(18)에 구비되는 제 1 환형상 시일요소(11,111,31)와, 상기 냉각샤프트게이트(8,800)에 배열설치되는 제 2 환형상 시일요소(55,31)와, 상기 이동식호퍼(18)의 상기 제 1 환형상 시일요소(11,111,31) 및 상기 냉각샤프트게이트(8,800)의 상기 제 2 환형상 시일요소(55,31)의 어느것인가 한쪽과 협동하도록 상기 냉각샤프트의 샤프트정상부에 설치된 대응하는 시일수단(10,13,31)과, 상기 분배콘(5) 및 상기 이동식호퍼(18)의 각각을 구동하는 구동장치(16,19,190)와 상기 고정호퍼(1)에 설치되고 그 고정호퍼(1)를 폐쇄가능한 호퍼게이트(20)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스트 장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콘(5)은 연결부재(40)을 통하여 상기 고정호퍼(1) 및 상기 이동식호퍼(18)의 어느것인가 한쪽에 지지되는 교차보(3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스트 장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콘(5) 및 상기 이동식호퍼(18)의 구동장치(16)가 실린더 구동장치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스트 장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호퍼(18)의 구동장치(19)가 상기 분배콘(5)을 지지하는 비임(17)을 구비한 더블실린더장치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스트 장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게이트(20)는 각각에 구동장치(21) 및 레버링크장치(66)를 구비한 2개의 폐쇄판(64,65)으로 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스트 장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호퍼는 상기 고정호퍼(1)의 하부에 고정되는 관형상의 내통(333)과, 이 내통(333) 주위를 둘러싸며 구동장치(33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관형상의 가압링(330)으로부터 이루는 승강 가능한 제 1이동식호퍼(18)와, 상기 가압링(330)의 아래쪽으로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금속제 시일링(31)을 구비하는 제 2 이동식호퍼(202)으로부터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링(330)의 아래쪽에는 상기 냉각샤프트게이트(800)와 상기 제 2 이동식호퍼(202)를 교대로 배치할 수 있고, 상기 가압링(330)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환형상 시일요소, 상기 냉각샤프트게이트(800)에 배열설치되는 상기 제 2 환형상 시일요소 및 샤프트 정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시일수단은 어느것도 금속시일링(31)으로부터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샤프트게이트(800) 및 상기 제 2 이동식호퍼(202)의 상기 금속제제시일링(31)은 상기 가압링(330)과 상기샤프트정상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가압링(330) 및 상기 샤프트 정상부에 각각 설치된 상기 금속제시일링(31)에 교대로 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스트 장입장치.
KR1019920000206A 1991-01-24 1992-01-09 코우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코우크스 장입장치 KR950002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02044A DE4102044C2 (de) 1991-01-24 1991-01-24 Kokseintragsvorrichtung für eine Kokstrockenkühlanlage
DEP4102044.8 1991-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916A KR920014916A (ko) 1992-08-25
KR950002342B1 true KR950002342B1 (ko) 1995-03-16

Family

ID=642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206A KR950002342B1 (ko) 1991-01-24 1992-01-09 코우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코우크스 장입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568636B1 (ko)
JP (1) JPH0559370A (ko)
KR (1) KR950002342B1 (ko)
BR (1) BR9200214A (ko)
CA (1) CA2100870C (ko)
DE (1) DE4102044C2 (ko)
WO (1) WO19920130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5467A (zh) * 2016-08-16 2016-11-09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干熄炉装焦防尘装置
CN110240910B (zh) * 2019-07-04 2024-02-06 华泰永创(北京)科技股份有限公司 干熄焦装焦系统
CN110360844B (zh) * 2019-07-23 2020-12-22 安徽霍山龙鑫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熔炼炉用原料提升送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5096C (de) * 1932-01-26 Ernst Knoeringer Dipl Ing Beschickungsvorrichtung fuer Schachtoefen, mit der das feine Gut nach dem Rande des Ofens das grobe sowie der Brennstoff ueber den inneren Schachtofenquerschnitt verteilt wird
JPS5161502A (en) * 1974-11-27 1976-05-28 Nippon Kokan Kk Kookusuno kanshikishokaroniokeru hatsujinboshisochi
DE2815739C3 (de) * 1978-04-12 1981-03-12 Didier Engineering Gmbh, 4300 Essen Verschlußeinrichtung für die Füllöffnung einer Kühlkammer einer Anlage zur trockenen Kokskühlung
DE3011575C2 (de) * 1980-03-26 1982-09-30 Didier Engineering Gmbh, 4300 Essen Befülleinrichtung für Kokstrockenkühlkamm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68636A1 (de) 1993-11-10
DE4102044C2 (de) 2000-07-13
DE4102044A1 (de) 1992-07-30
BR9200214A (pt) 1992-10-06
CA2100870C (en) 2002-03-26
CA2100870A1 (en) 1992-07-25
KR920014916A (ko) 1992-08-25
EP0568636B1 (de) 1994-08-03
WO1992013044A1 (de) 1992-08-06
JPH0559370A (ja) 199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9081A (en) Dust arresting apparatus for a coke dry quenching station
US4247370A (en) Coke oven fumes control system
MX2010008766A (es) Dispositivo para el llenado de camaras de horno de un horno de coquizacion.
KR950002342B1 (ko) 코우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코우크스 장입장치
JP2006225589A (ja)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におけるコークス装入装置
KR950002343B1 (ko) 코오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코오크스 장입장치
CN219313582U (zh) 一种下料自动密封阀
JP6274966B2 (ja)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装入装置
US4308899A (en) Method and installation of filling bunkers by means of lifting bins
US4508596A (en) Apparatus for dry cooling of coke
US4257849A (en) Coke guide fumes control system
US4186057A (en) Gas extracting and purifying equipment
CA1189477A (en) Filling gas by-pass device on a coke oven
US4092222A (en) Top dust collecting apparatus in coke quenching system
US4723762A (en) Apparatus for sealing the skirt of a converter waste gas recovery system
US410387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missions from oxygen steelmaking furnaces
JPH03160089A (ja) コークス炉における地上ダクトと集塵フード間のコネクター装置
JPS6135538Y2 (ko)
US4556455A (en) Method of charging dry coke cooling pit using sluice
US4198275A (en) Equipment for extracting and purifying dirty gases arising on the coke side of a battery of chamber coke ovens with vertical flues
JPS6127946Y2 (ko)
RU2048503C1 (ru) За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амеры сухого тушения кокса
JPH07180974A (ja) 集塵フードを有する天井クレーン
US4359364A (en) Gas-collecting apparatus for coking installation
JPS6057487B2 (ja) 炉口シ−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