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238Y1 - 진공흡입 압축공기배출식 변이동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흡입 압축공기배출식 변이동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238Y1
KR950002238Y1 KR92002594U KR920002594U KR950002238Y1 KR 950002238 Y1 KR950002238 Y1 KR 950002238Y1 KR 92002594 U KR92002594 U KR 92002594U KR 920002594 U KR920002594 U KR 920002594U KR 950002238 Y1 KR950002238 Y1 KR 950002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uction
compressed air
valve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2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791U (ko
Inventor
최돈구
Original Assignee
김동주
호산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3292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02238(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호산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92002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238Y1/ko
Publication of KR9300197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7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4Operated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1Bowls combined with a reservoir, e.g. containing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f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흡입 압축공기배출식 변이동처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변흡입통에의 변흡입시 작동상태 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변흡입통으로부터의 변배출시 작동상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세식변기 1a : 물
1b : 변 2 : 변흡입통
3 : 변저장통 4 : 청수주입구
5 : 압축공기주입부 6 : 전기전자제어시스템
7 : 진공발생기 8 : 배출조절기
9 : 흡입배브 9' : 흡입밸브연결실린더
10 : 배출밸브 10' : 배출밸브연결실린더
11 : 모터펌프 12 : 감압기
13 : 압력측정기 14, 15, 16, 17, 18 : 솔레노이드밸브
19 : 눌름스위치 26 : 청수관
27 : 공기관 28 : 변이동관
본 고안은 변이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세식변기에 배설된 변을 물과 함께 소정기압의 진공에 의하여 흡입하는 변흡입통이 수세식변기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변이 상기 변흡입통에 흡입된 후 이 변이 소정기압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변저장통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수세식변기에 배설된 변을 최단시간내에 국소량의 물로 변저장통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기차, 선박, 버스 등 이동매체에 부설된 변기시설에 있어 물의 저장량을 극소화 할 수 있고 변기사용자와 다음 변기사용자 사이의 대기시간을 극소화할 수 있고 또한 물의 재사용을 위한 물의 순환장치 및 오물의 여과장치가 필요없도록 한 진공흡입 압축공기배출식 변이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변이동처리장치는 다량의 물을 비축하여 두었다가 수세식 변기에 변을 배설한 후 이 다량의 물의 흐름에 따라 배설된 변이 흘러내려가 변저장퉁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다량의 물이 필요하여 기차, 선박, 버스 등 이동매체에서는 적재가능한 물의 양이 제한되므로 변저장통에 변과 함께 흘러 들어간 물을 여과기로 여과 세척하여 순환식으로 여러번 반복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악취가 나며 극히 비위생적이고, 여과기에 오물이 끼어 고장이 잦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진공식 변이동처리장치는 변저장통을 진공으로 만들어 변기내의 오물을 흡입시키는 장치이지만, 변기로부터 변기에 배설된 변을 변저장통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는 큰 흡입력이 필요하여 큰 용적의 변저장통이 매번 사용시마다 진공으로 만들어져야 했는데 그 시간이 오래 걸리며 변기에서부터 변저장통까지 전체의 장치가 진공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기밀작업이 이뤄져야 하므로 설치 및 운영상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진공에 의한 변흡입과 압축공기에 의한 변배출에 의한 소용적의 변흡입통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여, 수세식변기에 배설된 변을 최단시간내에 극소량의 물로 변저장통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기차, 선박, 버스등 이동매체에 부설된 대중사용용 수세식 변기시설에 있어서 물의 저장량을 극소화할 수 있고, 변기사용자와 다음 변기사용자 사이의 대기시간을 극소화할 수 있고 또한 물의 순환장치 밍 오물여과장치가 불필요하여 변기관련장치 전체의 용적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된 진공흡입 고압공기배출식 변이동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제2도,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세식 변기(1)와 변저장통(3)이 연결 구성된 종래의 변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세식변기(1)에 배설된 변(1b)을 물(1a)과 함께 소정기압(실시예에서 0.5기압 이하)의 진공에 의하여 흡입하도록 된 변흡입통(2)이 상기 수세식변기(1)에 연결 구성되고, 상기 변흡입통(2)에는 상기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부(7)가 연결 구성된다.
이때 수세식변기(1)는 흡입밸브(9)를 거쳐 변흡입통(2)의 흡입구(2a)로 연결되고, 압축공기주입구(5)로부터 공기관(27)이, 평시에는 닫혀 있다가 변흡입시에만 열리도록 된 솔레노이드밸브(15)를 거쳐, 흡입밸브(9)의 개폐를 제어하는 실린더(9')에 연결된다. 또한 압축공기주입부(5)로부터 압축공기(실시에에서 5∼7기압)가 주입되는 공기관(27)이,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변흡입시 변흡입통(2)을 상기 소정기압(실시예에서 0.5기압 이하)의 진공상태로 만들도록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16)를 통하여, 진공발생기(7)의 공기주입관(7a)에 연결되고, 진공발생기(7)의 진공발생관(7c)은 변흡입통(2)에 연결되고, 이 진공발생기(7)의 공기배출관(7b)은 공기유동을 조절하는 배출조절기(8)를 지나, 변의 분진이나 악취제거를 위하여, 변저장통(3)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변흡입통(2)은 변저장통(3)보다 작은 용적을 갖는다. (실시예에서는 3ℓ정도의 용적을 갖는다.)
상기 변이 상기 변흡입통(2)에 흡입된 후 이 변이 소정기압(실시예에서 2기압)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상기 변저장통(3)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변흡입통(2)에 상기 압축공기를 주입시키는 압축공기주입부(5)가 상기 변흡입통(2)에 연결 구성된다.
이때 압축공기주입부(5)로부터 공기관(27)이, 변을 배출하기에 적절한 상기 소정기압(실시예에서 2기압)으로 감압시키는 감압기(12)를 거쳐,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변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변흡입통(2)을 가압시킬 때 열리도록 된 솔레노이드밸브(17)를 거쳐 변흡입통(2)에 연결된다.
상기 감암기(12)를 거친 공기관(27)은, 평상시에 흡입밸브(9)와 배출밸브(10)가 닫혀 있도록 흡입밸브연결 실린더(9')와 배출밸브연결실린더(10')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변흡입통(2)의 배출구(2b)는 배출밸브(10)를 거쳐 변저장통(3)에 연결되고, 압축공기주입부(5)로부터 공기관(27)이, 평시에는 닫혀 있다가 변배출시에만 열리도록 된 솔레노이드밸브(18)를 거쳐, 배출밸브(10)의 개폐를 제어하는 실린더(10')에 연결된다. 솔레노이드밸브(14)(15)(16)(17)(18)은 전기전자제어시스템(6)에 의하여 제어되고, 변흡입통(2)의 내부 기압이 가압되어 소정기압(실시예에서 2기압)이 넘지 않도록, 배출조절기(8)에 연결된 압력측정기(13)는 전기전자제어시스템(6)에 이를 제어하는 압력정보에 관한 신호를 제공한다. 전기회로연결은 제1도, 제2도, 제3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아래와 같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식변기(1)에 용변을 본 후 눌림 스위치(19)를 누르면 솔레노이드밸브(14)가 열리고 소량(실시예에서 200cc정도)의 물(1a) 즉 청수(淸水)가 모터펌프(11)에 의해 뿜어져 수세식변기(1)내를 청소하고 변(1b)과 함께 하부에 모이고, 이어서 솔레노이드밸브(16)가 열려 진공발생기(7)의 구동에 의하여 변흡입통(2)내의 기압이 저하되어 소정기압(실시에에서 0.5기압 이하의 진공)의 진공이 되고, 이 때 솔레노이드밸브(15)가 전기전자제어장치(6)의 신호를 받아 흡입밸브연결실린더(9')에 의하여 흡입밸브(9)를 열러 주면, 수세식변기(1)내의 변(1b)이 변흡입통(2)에 흡입된다.
또한, 수세식변기(1)에 변(1b)을 배설한 후 눌름스위치(19)를 누르면 압축공기주입부(5)를 통해서 들어온 압축공기(실시예에서 약5∼7기압)가 전기전자제어시스템(6)에 의하여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16)를 통하여 진공발생기(7)의 압축공기 주입관(7a)으로 주입되어 공지의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른 진공 발생을 위한 고속진행공기가 진공발생기(7)의 공기배출관(7b)으로 배출되어 배출조절기(8)를 통하여 배출되고, 이 때 변흡입통(2)내의 공기를 진공발생관(2c)으로 뽑아내므로써 변흡입통(2)의 압력을 약 0.5기압 이하의 진공으로 만들게 된다. 이 때 변흡입통(2)의 진공발생관(2c)으로부터 뽑혀나오는 공기에는 미세한 변의 오물입자들과 악취가 섞여있으므로 이 공기가 변저장통(3)으로 들어가 변의 오물입자들과 악취가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한다.
압축공기주입부(5)로부터 들어온 압축공기가 감압기(12)를 거쳐 약 2기압으로 낮아지면서 평시에는 흡입밸브연결실린더(9') 및 배출밸브연결실린더(10')로 들어가 흡입밸브(9)와 배출밸브(10)를 닫혀 있게 된다.
물(1a)이 수세식변기(1)에 공급된 직후 전기전자제어시스템(6)은 솔레노이드밸브(15)를 열어, 5∼7기압의 압축공기가 흡입밸브(9)를 개폐하는 흡입밸브연결실린더(9')로 들어가 흡입밸브(9)를 열게 한다. 이 때 흡입밸브(9)에 평상시 닫혀있는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 약 2기압의 공기에 의하여 지지되던 흡입밸브 연결실린더(9')내의 피스톤은 더 강한 기압인 상기 5∼7기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밀리면서 흡입밸브(9)가 열리게 된다. 흡입밸브(9)가 열리면, 수세식변기(1)내의 변(1b)이 상기 진공상태의 변흡입통(2)으로 흡입되어 들어 가게 된다. 변(1b)이 흡입되어 들어간 후 전기전자제어시스템(6)은 솔레노이드밸브(15)를 닫아 흡입밸브(9)를 닫게 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1b)이 변흡입통(2)에 흡입된 후, 전기전자제어장치(6)에 의하여 적절한 시간이 경과되면 변(1b)을 배출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밸브(14, 15, 16)는 닫히고 솔레노이드밸브(17)가 열려서 압축공기가 변흡입통(2)에 유입되며, 이 때 변흡입통(2)내의 기압이 소정의 기압(실시예에서 2기압)을 유지하도록 된 압력측정기(13)에 연결되어 압력측정기(13)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전기전자제어시스템(6)에 의하여 솔레노이드밸브(18)가 작동되어 배출밸브(10)가 열리면, 대기압과 변흡입통(2)내의 압력차이에 의하여 변흡입통(2)내의 변(1b)이 변저장통(3)으로 배출되어 이동된다. 이 때 배출밸브(10)도 상기 흡입밸브(9)의 작동원리와 같은 원리로 구동된다.
즉, 변흡입통(2)에 변(1b)이 들어오면 전기전자제어시스템(6)은 솔레노이드밸브(17)를 열어, 감압기(12)를 거쳐 약2기압으로 낮아진 압축공기를 변흡입통(2)의 압축공기주입관(2d)으로 들어가게 한다. 이 때 압축공기는 배출조절기(8)에 달려 있는 압력측정기(13)에 의해 2기압 이상 압력으로 올라가지 못하게 된다. 변(1b)이 이미 흡입된 변흡입통(2)에 2기압의 압축공기가 가득 차게 되면 역시 전기전자제어시스템(6)은 솔레노이드밸브(18)를 열어 배출밸브(10)를 열게 된다. 이 때 감압기(12)를 통해 들어온 압축공기보다, 솔레노이드밸브(18)를 통해 들어 온 압축공기압이 크므로 배출밸브(10)는 열리며, 이 때 변흡입통(2)내의 압축공기가 변저장통(3)내의 압력보다 크므로 변흡입통(2)에 모여 있던 변은 즉시 변저장통(3)으로 배출되게 된다. 전기전자제어시스템(6)은 솔레노이드밸브(14)와 모터펌프(11)를 작동시켜, 다음 사용자의 용변을 위해 수세식변기(1)내에 소량의 물을 다시 공급한다.
변저장통(3)은 동절기에는 결빙방지를 위하여 서모스탯(Thermostat)(21)의 설정온도치에 의하여 전기히터(20)로서 결빙을 방지하고, 변저장통(3)내의 변량을 투시구(22)로 확인하여 변이 상한치에 도달하였을 때 배출밸브(25)를 열어 변저장통(3)내의 변을 밖으로 배출시키며, 이 때 변저장통(3)내를 깨끗이 청소하기 위하여 청소용 주입구(23)에 청수를 주입시켜 청소 할 수 있다. 변저장통(3)내의 약취는 환풍구(24)를 통하여 밖으로 토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진공에 의하여 변을 흡입하고 압축공기에 의하여 변을 배출하는 변흡입통(2)이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수세식변기에 배설된 변을 최단시간내에 극소량의 물로 변저장통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기차, 선박, 버스등 이동매체에 부설된 변기시설에 있어 비축할 물의 저장량을 극소화할 수 있고, 변기사용자와 다음 변기사용자 사이의 대기시간을 극소화할 수 있고, 또한 물의 재사용을 위한 물의 순환장치 및 오물의 여과장치가 필요없이 변기관련장치 전체의 용적을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세식변기(1)와 변저장통(3)이 연결구성된 변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세식변기(1)에 배설된 변(1b)을 물(1a)과 함께 소정기압의 진공에 의하여 흡입하도록 된 변흡입통(2)이 상기 수세식변기(1)에 연결 구성되고, 상기 변흡입통(2)에는 상기 소정기압의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부(7)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변(1b)이 상기 변흡입통(2)에 흡입된 후 이 변(1b)이 소정기압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상기 변저장통(3)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변흡입통(2)에 상기 소정기압의 압축공기를 주입시키는 압축공기주입부(5)가 상기 변흡입통(2)에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 압축공기배출식 변이동처리장치.
KR92002594U 1992-02-21 1992-02-21 진공흡입 압축공기배출식 변이동처리장치 KR950002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2594U KR950002238Y1 (ko) 1992-02-21 1992-02-21 진공흡입 압축공기배출식 변이동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2594U KR950002238Y1 (ko) 1992-02-21 1992-02-21 진공흡입 압축공기배출식 변이동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791U KR930019791U (ko) 1993-09-23
KR950002238Y1 true KR950002238Y1 (ko) 1995-03-29

Family

ID=1932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2594U KR950002238Y1 (ko) 1992-02-21 1992-02-21 진공흡입 압축공기배출식 변이동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2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481B1 (ko) * 2013-10-22 2014-11-27 주식회사 호두 진공변기시스템의 자동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8644C (fi) * 1993-11-11 1997-07-25 Evac Ab Ejektorilaite
KR20040001571A (ko) * 2002-06-28 2004-01-07 선진환경기공주식회사 분뇨 수거 설비 및 그의 자동 운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481B1 (ko) * 2013-10-22 2014-11-27 주식회사 호두 진공변기시스템의 자동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791U (ko) 199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2678A (en) Galley vacuum waste disposal system
US5454936A (en) Vacuum toilet system
US5665245A (en) Process for recirculating and purifying waste water from a vehicle washing installation
US6910231B2 (en) Toilet system with a toilet pan
KR950002238Y1 (ko) 진공흡입 압축공기배출식 변이동처리장치
US5946769A (en) Self-contained, closed-loop, hard surface and carpet cleaning apparatus
JPH06205907A (ja) 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85698B2 (ko)
RU2138600C1 (ru) Вакуу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туалет с вакуумной системой, включающей в себя это устройство
WO1993001008A1 (en) Parts washer
US695162A (en) Apparatus for cleaning carpets.
EP0515134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vacuum sewage systems
JPH10137711A (ja) 真空式汚水排水方法
US5429753A (en) HVAC heat transfer fluid recycling
JPH07508682A (ja) 廃水を浄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271710B2 (ja) 廃物の脱水と、真空による廃物の除去とを行なうための装置及び該装置の吸入導管に連結された真空蓄積器を構成する部分構造体
US5524655A (en) Precharge mechanism for vacuum toilet system
FI69751B (fi) Skoeljanordning foer skoeljning och tvaettning av urinflaskor stickbaecken och andra kaerl innehaollande grova aemnen
JP2503097Y2 (ja) 浄化槽汚泥清掃車
JP2761463B2 (ja) ドレン圧送装置
EP0679210B1 (en) A water closet device
TW408207B (en) The moving type feces treating apparatus with vacuum suction high pressure drain
JP2844394B2 (ja) 放電加工機の加工液吸引装置
JPH0725154Y2 (ja) バキューム吸引装置
GB2234268A (en) Drain clea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508

Effective date: 2001072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