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183B1 -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183B1
KR950002183B1 KR1019910019211A KR910019211A KR950002183B1 KR 950002183 B1 KR950002183 B1 KR 950002183B1 KR 1019910019211 A KR1019910019211 A KR 1019910019211A KR 910019211 A KR910019211 A KR 910019211A KR 950002183 B1 KR950002183 B1 KR 950002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implantation
ions
semiconductor device
dos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961A (ko
Inventor
홍승우
김병기
장윤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9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183B1/ko
Publication of KR930008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제1a도는 a,b 및 제1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이온주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Double) 이온주입을 이용한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VLSI의 고집적화, 고정밀화 등의 요구에 의하여 보다 정밀한 불순물의 제어(접합깊이 및 농도)가 요구되며 이온주입기술은 이러한 요구에 잘 부응하는 기술로써 더욱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으며, 종래의 기술을 대처하게 되었다.
특히, 초고집적 메모리장치의 소오스/드레인의 이온주입방법은 디자인 룰(Disign Ryle)의 축소와 더불어 개선되어 왔다. 그러나 섀도윙 효과(Shadowing effect), 채널링(Channeling), 측면확산(Lateral diffusion)등이 문제로 남아 메모리소자의 소오드/드레인에 나쁜 영향을 끼치고 있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먼저, 섀도윙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실리콘기판으로의 이온주입시 경사(Tilt) 각도를 0°로 하여 기울임없이 수직으로 주입하고 있는 방법이 있고, 게이트를 기준으로 소오스, 드레인에 대칭(Symmetry)으로 이온주입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기울기 0°로 이온주입할 경우에는 실리콘격자구조상 채널링 현상이 발생하여 이온이 실리콘기판내로 깊숙히 들어가므로 고집적디바이스에서 요구되는 얕은 접합(Shallow Junction)형성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채널링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이온주입시 실리콘 기판에 대해7°경사로 이온을 주입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때는 또다시 섀도윙효과가 문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한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면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반도체디바이스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들은 모두 해결할 수 없게 되어 반도체디바이스 제조공정에 적용했을 때 디바이스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섀도윙 효과를 제거하면서 채널링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온주입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은 고집적 반도체 디바이스의 불순물영역형성을 위한 이온주입방법에 있어서, 도우즈량을 적게하여 7°경사로 이온주입하는 제 1 단계와 도우즈량을 많게 하여 0°경사로 이온주입하는 제 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 및 제1b도에 본 발명에 따른 이온주입방법을 도시하였다.
반도체기판(1)상의 불순물영역, 에컨대, 소오스(2), 드레인(3)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공정에 있어서, 불순물이온, 예컨대 As+이온을 2회에 걸쳐서 주입하는 바, 먼저 제1a도를 참조하면, 제 1 단계 주입공정으로 As+이온을 적은 도우즈량, 예컨대 1×1014~5×1014ions/cm2로 실리콘기판평면에 대해 이온빔의 입사각도를 7°로 하여 이온주입을 행한다. 이때, 게이트라인(5)에 따라 평행한 주사빔(Parallel Scan beam)을 이용함으로써 게이트라인의 측면부분에서는 0°로 이온주입되고 (y축 방향에 대하여), 게이트라인 끝부분에서는 7°로 경사지게(z축 방향에 대하여)이온이 주입되도록 하면 x축 방향에서의 섀도윙효과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측면확산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 이온주입공정에 있어서, 도우즈량을 1/2로 나누고 y축 방향에서 실리콘기판의 각도를 변화시켜 2회에 걸쳐 이온주입을 행할 수도 있다. 즉, 실리콘기판을 y축을 따라 z축의 후방방향으로 7°기울여 이온주입을 행한 다음, 다시 z축이 전방방향으로 7°기울여 이온주입을 행한다(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상에서 반대방향은 (-) 부호를 붙여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제 1 단계 이온주입을 도우즈량을 나누어 각도를 변화시켜 2회에 걸쳐 행하면, y축 방향에서의 섀도윙효과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제1b도를 참조하면, 제 2 단계 주입공정으로 도우즈량을 많게, 예컨대 1×1015ions/cm2~1×1016ions/cm2로 실리콘기판 평면에 대해 이온빔의 입사각도를 0°로 하여 이온주입을 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온주입방법은 제 1 단계로 낮은 도우즈량으로 7°경사의 이온주입을 행하여 결정격자상태의 실리콘기판의 소오드/드레인영역을 비정질화시켜 제 2 단계 이온주입을 0°경사로 행해도 채널링이 일어나지 않게 한 다음, 많은 도우즈량으로 0°경사의 제 2 단계 이온주입을 행하여 새도잉 효과를 방지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이온주입기술의 문제점인 섀도윙효과, 측면확산 및 채널링현상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음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소자 제조에 적용했을 경우 소자의 전기적 특성 개선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고집적 반도체 디바이스의 불순물영역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방법에 있어서, 1×1015ions/cm2이하의 도우즈량으로 7°의 경사로 이온주입하는 제 1 단계와 1×1015ions/cm2이상의 도우즈량으로 0°의 경사로 이온주입하는 제 2 단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이온주입공정시 반도체 메모리 셀내의 게이트라인과 평행한 주사빔을 이용하여 이온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이온주입시의 도우즈량은 1×1014~5×1014ions/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이온주입시의 도우즈량은 1×1015~1×1016ions/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이온주입을 도우즈량을 1/2로 나누고 각도를 변화시켜 2회에 걸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10019211A 1991-10-30 1991-10-30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95000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211A KR950002183B1 (ko) 1991-10-30 1991-10-30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211A KR950002183B1 (ko) 1991-10-30 1991-10-30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961A KR930008961A (ko) 1993-05-22
KR950002183B1 true KR950002183B1 (ko) 1995-03-14

Family

ID=1932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211A KR950002183B1 (ko) 1991-10-30 1991-10-30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469B1 (ko) * 2001-12-29 2004-10-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961A (ko) 199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9082A (en) Angled implant to improve high current operation of bipolar transistors
US6255693B1 (en) Ion implantation with programmable energy, angle, and beam current
US72915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5212542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t least two field effect transisto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87872B1 (ko) 반도체소자 제조를 위한 이온주입방법 및 이를 이용한경사형 접합 형성방법
KR950002183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JPH10303140A (ja) 絶縁ゲート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US5543337A (en) Method for fabricating field effect transistor structure using symmetrical high tilt angle punchthrough implants
JP2562688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11916525B (zh) 锗波导探测器侧壁浅结离子注入工艺
CN1397987A (zh) 具有超浅结延伸区的mos装置的制造方法
KR950013430B1 (ko) 평행주사 이온 주입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JP253718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728611A (en)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KR0144493B1 (ko) 불순물 접합 영역 형성방법
KR20010039227A (ko)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940001250B1 (ko) 이온 주입방법
KR950002184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제조방법
KR950013432B1 (ko) 아르곤 이온(Ar^+) 주입에 의한 포스트 아몰파이즈(post amorp-hize)방법의 얕은 접합(shallow junction)의 피형(p^+형) 소오스/드레인 형성방법
KR100562628B1 (ko) 반도체소자의 이온주입 방법
JPS6322692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93269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0365422B1 (ko) 반도체기판에서의전위장벽을형성하는방법
KR20000024763A (ko) 반도체 웨이퍼의 이온주입장치의 디스크 및 이를 이용한 이온주입방법
KR10070213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